KR102109014B1 -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 Google Patents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014B1
KR102109014B1 KR1020190172365A KR20190172365A KR102109014B1 KR 102109014 B1 KR102109014 B1 KR 102109014B1 KR 1020190172365 A KR1020190172365 A KR 1020190172365A KR 20190172365 A KR20190172365 A KR 20190172365A KR 102109014 B1 KR102109014 B1 KR 102109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evice
elastic
stepped portion
protrusion
ste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찬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2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14Housing or casing lateral walls containing guiding grooves or special mounting facil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5Constructional details of housings or casings not concerning the mounting or assembly of the different internal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2071/0242Assembling parts of a circuit breaker by using snap mounting technique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기설정값을 초과한 과전류 발생시 전류흐름을 차단하도록 전기선로의 연결을 절환하는 차단기의 하부에 연결되며, 하부 일측 테두리에 한쌍의 제1단턱부 및 제2단턱부가 각각 하향 연장 돌설되되,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의 사이에 폭방향으로 개구된 고정장치삽입공간이 형성되며, 하부 타측에 제3단턱부가 하향 연장 돌설되되,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와 상기 제3단턱부 사이에 길이방향 양측이 개구된 딘레일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3단턱부의 내벽면 하단으로부터 제1걸림돌기부가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설되고,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 사이의 하면에 구속홈이 상향 함몰 형성되는 결합케이스부; 길게 연장된 판재로 구비되어 상기 딘레일삽입공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삽입되되, 폭방향 양측에 일체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부에 걸림 구속되는 걸림테두리가 형성되는 딘레일; 및 상기 고정장치삽입공간에 상기 결합케이스부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기설정된 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되, 후단부에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케이스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1걸림돌기부와 대향되는 전단부에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걸림테두리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제2걸림돌기부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전후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연장되는 탄성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유동공간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구속홈에 걸림 구속되는 탄성 재질의 탄성굴곡부가 구비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circuit breaker having curve type joint device}
본 발명은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설정값을 초과한 과전류가 흐르거나 회로 내에 누전이 발생하는 경우 전기선로의 개폐조작을 신속하게 전환시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부하측에 연결된 전기제품 및 선로의 파손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차단기는 수동 또는 자동 조작에 의해 구동되며, 바람직하게는 과전류가 발생시 자동으로 전류가 단락되도록 조작될 수 있다.
그리고, 분전함이나 배전반 내에서 전자 접촉기, 배선용 차단기, 회로 보호차단기, 통신기기 등과 같은 전기전자장비에는 다수의 전기전자부품들을 배열 및 장착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기는 배전반 내에 설치되고 배전반에 고정된 딘레일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되며, 상기 차단기에는 상기 딘레일과의 결합을 위한 구조물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딘레일은 긴 길이로 이루어진 앵글 형상의 부재로서, 양측에 플랜지가 벌어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바닥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차단기의 하부에는 잠금레버가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차단기의 외측으로 이동되되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기 차단기의 내측으로 탄발 복원되도록 구비되었다. 또한, 차단기의 하부와 상기 잠금레버의 사이에는 상기 딘레일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딘레일이 삽입되되, 상기 홈의 내벽면과 상기 잠금레버의 전단에는 상기 딘레일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가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었다.
여기서, 상기 차단기를 상기 딘레일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의 일측이 상기 홈의 내벽면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의 타측이 상기 잠금레버에 형성된 걸림돌기의 경사면에 가압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차단기의 외측으로 일시적으로 후퇴되어 상기 홈에 상기 딘레일이 결합되었다.
그리고, 상기 차단기를 상기 딘레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잠금레버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차단기의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별도의 고정장치가 구비되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고정장치를 통해 상기 잠금레버를 상기 차단기의 외측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상기 딘레일이 각 걸림돌기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장치는 딘레일로부터 상기 차단기를 분리시킨 후 상기 잠금레버가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차단기의 내측으로 재복원되어야 하나, 상기 코일스프링이 이탈되는 경우 위치가 복원되지 않고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차단기의 외측에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거나 심지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기를 상기 딘레일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잠금레버의 걸림돌기가 상기 딘레일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에 걸림되지 않아 상기 차단기가 상기 딘레일에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808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설정값을 초과한 과전류 발생시 전류흐름을 차단하도록 전기선로의 연결을 절환하는 차단기의 하부에 연결되며, 하부 일측 테두리에 한쌍의 제1단턱부 및 제2단턱부가 각각 하향 연장 돌설되되,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의 사이에 폭방향으로 개구된 고정장치삽입공간이 형성되며, 하부 타측에 제3단턱부가 하향 연장 돌설되되,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와 상기 제3단턱부 사이에 길이방향 양측이 개구된 딘레일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3단턱부의 내벽면 하단으로부터 제1걸림돌기부가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설되고,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 사이의 하면에 구속홈이 상향 함몰 형성되는 결합케이스부; 길게 연장된 판재로 구비되어 상기 딘레일삽입공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삽입되되, 폭방향 양측에 일체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부에 걸림 구속되는 걸림테두리가 형성되는 딘레일; 및 상기 고정장치삽입공간에 상기 결합케이스부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기설정된 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되, 후단부에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케이스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1걸림돌기부와 대향되는 전단부에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걸림테두리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제2걸림돌기부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전후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연장되는 탄성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유동공간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구속홈에 걸림 구속되는 탄성 재질의 탄성굴곡부가 구비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굴곡부는 상기 고정장치가 후퇴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자동 슬라이드 복원되도록 평판 형상으로 구비된 상기 고정장치의 전측 중앙에 형성된 고정단으로부터 상기 탄성유동공간의 내벽면과 이격되며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며 후향 연장되는 제1탄성굴곡부와, 상기 제1탄성굴곡부의 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 중 다른 하나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며 후향 연장되는 제2탄성굴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탄성굴곡부의 단부에는 고정돌기가 일체로 상향 연장 돌설되어 상기 구속홈에 걸림 구속되고, 상기 고정장치에는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폭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유동공간으로 연장 돌설되는 복수개의 스토퍼돌기부가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돌기부는 상기 걸림고리의 당김시 상기 고정돌기의 전측면이 후면에 걸림되도록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연장 돌설되는 제1스토퍼돌기부와, 상기 걸림고리의 당김시 상기 제1탄성굴곡부와 상기 제2탄성굴곡부의 경계부가 후면에 걸림되도록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 중 다른 하나를 향하여 연장 돌설되는 제2스토퍼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토퍼돌기부가 상기 제2스토퍼돌기부보다 상기 고정장치의 후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탄성굴곡부는 상기 제2스토퍼돌기부의 단부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탄성굴곡부는 상기 제1스토퍼돌기부의 단부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굴곡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고정장치의 고정단으로부터 탄성유동공간의 내벽면과 이격되며 굴곡지게 연장되는 탄성굴곡부의 단부에 고정돌기가 일체로 상향 연장 돌설되어 구속홈에 걸림 구속되어 고정장치가 후퇴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자동 슬라이드 복원되므로 딘레일과의 착탈이 신속 편리하게 수행되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제1단턱부 및 제2단턱부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1탄성굴곡부 및 그의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제1단턱부 및 제2단턱부 중 다른 하나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2탄성굴곡부의 형상을 통해 부드럽고 연속적인 탄발 변형이 가능하여 사용감이 고급화되며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제1탄성굴곡부와 제2탄성굴곡부가 고정장치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폭방향을 따라 탄성유동공간으로 연장 돌설되는 각 스토퍼돌기부의 단부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컴팩트한 구조로 고정장치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공간이 최소화되어 공간활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제1단턱부 및 제2단턱부의 각 내벽면 하단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돌설되어 고정장치의 하면 테두리가 걸림 구속되는 걸림단턱부가 형성되어 고정장치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되 상하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딘레일을 선택적으로 착탈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의 하부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의 하부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에서 고정장치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의 하부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의 하부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에서 고정장치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200)는 결합케이스부(210), 딘레일(120), 그리고 고정장치(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케이스부(210)는 기설정값을 초과한 과전류 발생시 전류흐름을 차단하도록 전기선로의 연결을 절환하는 차단기(1)의 하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결합케이스부(210)는 상기 차단기(1)와 상기 딘레일(120) 간의 연결을 매개하도록 구비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차단기(1)에는 복수개의 제1체결홀(1b)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에는 제1체결홀(1b)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체결홀(215)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체결홀(1b)과 상기 제2체결홀(215)의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정렬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나사(1a)가 삽입 체결됨에 따라 상기 차단기(1)와 상기 결합케이스부(210)가 상호간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의 하부는 상기 딘레일(120)에 걸림 체결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딘레일(120)은 배전반(미도시) 내에 장착되어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의 하부 일측 테두리에는 한쌍의 제1단턱부(211) 및 제2단턱부(212)가 각각 하향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의 하부 타측에는 제3단턱부(213)가 상기 제1단턱부(211) 및 상기 제2단턱부(212)에 대응되는 높이로 하향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단턱부(211), 상기 제2단턱부(212) 및 상기 제3단턱부(213)의 하면이 상기 배전반(미도시)의 내벽면에 대향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단턱부(211) 및 상기 제2단턱부(212)의 사이에는 상기 딘레일부(120)의 폭방향(n)을 따라 양측이 개구된 고정장치삽입공간(s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장치삽입공간(s1)에는 상기 고정장치(23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에는 상기 고정장치(230)의 고정돌기(234)가 삽입되어 걸림 구속 및 고정되도록 상기 제1단턱부(211) 및 상기 제2단턱부(212) 사이의 하면에 구속홈(216)이 상향 함몰 형성된다. 즉, 상기 구속홈(216)은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의 상기 고정장치삽입공간(s1)에 대응되는 하면에 상향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의 일단부에는 상기 고정장치(230)가 상기 고정장치삽입공간(s1)에 삽입시 상기 고정돌기(234)가 하향 탄성 변형되며 안내되도록 경사안내면(217)이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장치(230)가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고정장치삽입공간(s1)으로 삽입시 상기 고정돌기(234)가 상기 경사안내면(217)에 의해 안내되며 일시적으로 하향 탄성 변형되어 상기 구속홈(216)에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턱부(211) 및 상기 제2단턱부(212)의 각 내벽면 하단에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돌설되어 상기 고정장치(230)의 하면 테두리가 걸림 구속되는 걸림단턱부(218a,218b)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림단턱부(218a,218b)는 상기 제1단턱부(211)의 내벽면 하단에 형성되는 제1걸림단턱부(218a)와, 상기 제2단턱부(212)의 내벽면 하단에 형성되는 제2걸림단턱부(218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장치(230)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 하면이 상기 걸림단턱부(218a,218b)의 상면에 걸림 구속되어 상기 고정장치(230)가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의 하측으로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고정장치(230)가 전후방향으로 안내됨에 따라 상기 고정장치(230)가 기설정된 범위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단턱부(211) 및 상기 제2단턱부(212)의 각 내벽면 하단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돌설되어 상기 고정장치(230)의 하면 테두리가 걸림 구속되는 걸림단턱부(218a,218b)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장치(23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되 상하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상기 결합케이스부(110)의 하부에 딘레일(120)을 선택적으로 착탈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턱부(211) 및 상기 제2단턱부(212)와 상기 제3단턱부(213)의 사이에는 상기 딘레일부(120)의 길이방향(m)을 따라 양측이 개구된 딘레일삽입공간(s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딘레일삽입공간(s2)에는 상기 딘레일(120)이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장치삽입공간(s1)과 상기 딘레일삽입공간(s2)은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의 하부와 상기 배전반(미도시)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에는 상기 제3단턱부(213)의 내벽면 하단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걸림돌기부(214)가 상기 제1단턱부(211) 및 상기 제2단턱부(2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설된다.
한편, 상기 딘레일(120)은 길게 연장된 판재로 구비되어 상기 딘레일삽입공간(s2)에 길이방향(m)을 따라 관통 삽입되되, 폭방향(n) 양측에 일체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부(214) 및 후술될 제2걸림돌기부(232)에 각각 걸림 구속되는 걸림테두리(1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테두리(121)는 상기 딘레일(120)의 폭방향(n) 양측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연장된 단부가 폭방향(n) 양측으로 더 연장되는 형태로 절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테두리(121)의 단부측 하면이 상기 제1걸림돌기부(214) 및 상기 제2걸림돌기부(232)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걸림 연결됨에 따라 상기 결합케이스부(210)가 상기 딘레일(12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딘레일(1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통공홀(12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케이스부(210)가 상기 딘레일(120)에 걸림 연결된 상태에서 별도의 홀더(미도시)가 상기 통공홀(12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차단기(1) 및 상기 결합케이스부(210)가 상기 딘레일(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장치(230)는 상기 고정장치삽입공간(s1)에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기설정된 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230)의 후단부에는 걸림고리(231)가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의 외측으로 노출 배치된다. 이때, 상기 걸림고리(231)는 상기 고정장치(230)가 상기 딘레일(120)을 향하여 기설정된 범위내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최대로 삽입된 상태에서도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230)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부(214)와 대향되는 전단부에 상기 딘레일(120)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걸림테두리(121)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제2걸림돌기부(23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걸림돌기부(232)의 상면에 상기 걸림테두리(121)의 하면이 선택적으로 걸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2걸림돌기부(232)의 하부는 전단부로 갈수록 상하방향 폭이 협소화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딘레일(120)이 상기 제2걸림돌기부(232)의 하부의 경사면에 가압되며 상기 딘레일삽입공간(s2)에 삽입시 상기 고정장치(230)가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의 외측으로 일시 후퇴된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재전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걸림고리(231)를 당기면 상기 고정장치(230)가 기설정된 범위내에서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걸림돌기부(232)가 상기 딘레일(120)의 걸림테두리(121)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케이스부(210)를 상기 딘레일(1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딘레일삽입공간(s2)에 상기 딘레일(120)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고리(231)에 작용하는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고정장치(230)의 탄성굴곡부(233)를 통해 상기 고정장치(230)가 상기 딘레일(120)을 향하여 자동 슬라이드 복원된다. 이를 통해, 상기 걸림테두리(121)가 상기 제1걸림돌기부(214) 및 상기 제2걸림돌기부(230)에 걸림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장치(230)의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전후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연장되는 탄성유동공간(233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유동공간(233a)은 상기 고정장치(230)의 몸체(230a)의 내측에 'S'자 단면 형상으로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230)에는 상기 탄성유동공간(233a)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구속홈(216)에 걸림 구속되는 탄성굴곡부(23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굴곡부(233)는 탄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굴곡부(233)는 상기 고정장치(230)가 상기 결합케이스부(110)의 외측으로 후퇴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자동 슬라이드 복원되도록 평판 형상으로 구비된 상기 고정장치(230)의 전측 중앙에 형성된 고정단으로부터 상기 탄성유동공간(233a)의 내벽면과 초기상태에서 이격되며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굴곡지게 후향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초기상태라 함은 상기 탄성굴곡부(233)가 탄성 변형되기 전의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탄성굴곡부(233)는 'S'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변형시 고정되는 고정단이 상기 고정장치(230)의 몸체(230a)에 일체로 연결되며, 탄성변형시 탄성 이동되는 단부가 자유 변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장치(230)에는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폭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유동공간(233a)으로 연장 돌설되는 복수개의 스토퍼돌기부(235a,235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스토퍼돌기부(235a,235b)는 상기 제1단턱부(211) 및 상기 제2단턱부(212)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연장 돌설되는 제1스토퍼돌기부(235a)와, 상기 제1단턱부(211) 및 상기 제2단턱부(212) 중 다른 하나를 향하여 연장 돌설되는 제2스토퍼돌기부(235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스토퍼돌기부(235a)가 상기 제2스토퍼돌기부(235b)보다 상기 고정장치(230)의 후측으로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스토퍼돌기부(235a)가 상기 제2단턱부(212)를 향하여 연장 돌설되며, 상기 제2스토퍼돌기부(235b)가 상기 제1단턱부(211)를 향하여 연장 돌설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230)의 몸체(230a) 내측에 형성된 상기 탄성유동공간(233a)의 형상이 각 상기 스토퍼돌기부(235a,235b)에 의해 'S'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굴곡부(233)는 각 상기 스토퍼돌기부(235a,235b)의 각 단부를 각각 기준점으로 하여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다중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탄성굴곡부(233)가 한쌍의 스토퍼돌기부(235a,235b)를 기준으로 이중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스토퍼돌기부가 3~4개소 구비되는 경우 이를 곡률 반경의 기준으로 하여 탄성굴곡부가 3~4중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굴곡부(233)는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제2스토퍼돌기부(235b)의 단부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제1단턱부(211) 및 상기 제2단턱부(212)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탄성굴곡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굴곡부(233)는 상기 제1탄성굴곡부의 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제1스토퍼돌기부(235a)의 단부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제1단턱부(211) 및 상기 제2단턱부(212) 중 다른 하나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탄성굴곡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굴곡부 및 상기 제2탄성굴곡부는 상기 고정장치(230)가 후퇴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자동 슬라이드 복원되도록 평판 형상으로 구비된 상기 고정장치(230)의 전측 중앙에 형성된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상기 탄성유동공간(233a)의 내벽면과 이격되며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탄성굴곡부가 상기 제1단턱부(211)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탄성굴곡부가 상기 제2단턱부(212)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고정장치(230)의 고정단으로부터 탄성굴곡부(233)가 탄성유동공간(233a)의 내벽면과 이격되며 각 스토퍼돌기부(235a,235b)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다중으로 굴곡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고정장치(230)가 후퇴된 상태에서 초기위치로 자동 복귀되는 안정적인 탄성복원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므로 제품의 작동신뢰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제1단턱부(211) 및 상기 제2단턱부(212)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상기 제1탄성굴곡부, 및 상기 제1탄성굴곡부의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제1단턱부(211) 및 상기 제2단턱부(212) 중 다른 하나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2탄성굴곡부의 형상을 통해 부드럽고 연속적인 탄발 변형이 가능하여 사용감이 고급화되며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탄성굴곡부와 상기 제2탄성굴곡부가 상기 고정장치(230)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폭방향을 따라 탄성유동공간(233a)으로 연장 돌설되는 각 스토퍼돌기부(235a,235b)의 단부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컴팩트한 구조로 고정장치(23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공간이 최소화되어 공간활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이 개별 구비되어 장착되던 종래와 달리, 상기 탄성굴곡부(233)가 상기 고정장치(230)에 일체로 구비되므로 코일스프링의 이탈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굴곡부(233)의 후단부에는 상기 고정돌기(234)가 일체로 상향 연장 돌설되어 상기 구속홈(216)에 걸림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장치(230)를 상기 고정장치삽입공간(s1)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돌기(234)는 상기 고정장치(230)의 몸체(230a) 상면이 상기 고정장치삽입공간(s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속홈(216)에 걸림 구속되도록 상기 고정장치(230)의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장치(230)의 몸체(230a) 상면이 상기 고정장치삽입공간(s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굴곡부(233)의 자유단이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탄성 변형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사안내면(217)이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의 일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장치(230)가 상기 고정장치삽입공간(s1)에 삽입시 상기 고정돌기(234)가 하향 탄성 변형되며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장치(230)를 상기 고정장치삽입공간(s1)에 삽입시 최소한의 외력으로도 용이한 조립 수행이 가능하므로 조립성 및 제조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234)가 상기 구속홈(216)에 탄성 삽입되어 걸림 구속됨에 따라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장치(230)가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의 외측으로 후퇴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자동 슬라이드 복원될 수 있다.
상세히,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장치(230)가 상기 딘레일삽입공간(s2)을 향하여 전방으로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제2걸림돌기부(232)가 상기 딘레일삽입공간(s2)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234)가 상기 구속홈(216)에 걸림 구속되어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고정장치(230)가 상기 딘레일삽입공간(s2)을 향하여 전방으로 과도하게 전진되면 상기 고정돌기(234)의 후측면이 상기 탄성유동공간(233a)의 후측 내벽면에 걸림됨에 따라 상기 고정장치(230)의 전진이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230)가 전진되는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굴곡부(2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걸림돌기부(232)가 상기 딘레일삽입공간(s2)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삽입된 초기위치로 자동 복원된다. 이때, 초기위치에서 상기 고정돌기(234)가 상기 제1스토퍼돌기부(235a)와 상기 탄성유동공간(233a)의 후측 내벽면 사이에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걸림고리(231)를 당기면 상기 고정장치(230)가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의 외측으로 후퇴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굴곡부(233)가 압축되며 상기 고정장치(230)의 전방으로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234)의 전측면이 상기 제1스토퍼돌기부(235a)의 후면에 걸림되어 상기 고정장치(230)의 후퇴가 제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탄성굴곡부와 상기 제2탄성굴곡부의 경계부가 상기 제2스토퍼돌기부(235b)의 후면에 걸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장치(230)가 상기 결합케이스부(210)의 외측으로 당겨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굴곡부(2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장치(230)가 상기 딘레일삽입공간(s2)을 향하여 전방으로 전진될 수 있다.
이처럼, 평판 형상으로 구비된 고정장치(230)에 형성된 고정단으로부터 고정장치의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전후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연장되는 탄성유동공간(233a)의 내벽면과 이격되며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굴곡지게 연장되는 탄성굴곡부(233)의 단부에 고정돌기(234)가 일체로 상향 연장 돌설되어 구속홈(216)에 걸림 구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장치(230)가 후퇴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자동 슬라이드 복원되므로 상기 차단기(1)와 상기 딘레일(120)과의 착탈이 신속 편리하게 수행되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200: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210: 결합케이스부
211: 제1단턱부 212: 제2단턱부
213: 제3단턱부 214: 제1걸림돌기부
216: 구속홈 217: 경사안내면
218a: 제1걸림단턱부 218b: 제2걸림단턱부
120: 딘레일 121: 걸림테두리
230: 고정장치 231: 걸림고리
232: 제2걸림돌기부 233: 탄성굴곡부
234: 고정돌기 235a: 제1스토퍼돌기부
235b: 제2스토퍼돌기부

Claims (5)

  1. 기설정값을 초과한 과전류 발생시 전류흐름을 차단하도록 전기선로의 연결을 절환하는 차단기의 하부에 연결되며, 하부 일측 테두리에 한쌍의 제1단턱부 및 제2단턱부가 각각 하향 연장 돌설되되,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의 사이에 폭방향으로 개구된 고정장치삽입공간이 형성되며, 하부 타측에 제3단턱부가 하향 연장 돌설되되,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와 상기 제3단턱부 사이에 길이방향 양측이 개구된 딘레일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3단턱부의 내벽면 하단으로부터 제1걸림돌기부가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설되고,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 사이의 하면에 구속홈이 상향 함몰 형성되는 결합케이스부;
    길게 연장된 판재로 구비되어 상기 딘레일삽입공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삽입되되, 폭방향 양측에 일체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부에 걸림 구속되는 걸림테두리가 형성되는 딘레일; 및
    상기 고정장치삽입공간에 상기 결합케이스부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기설정된 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되, 후단부에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케이스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1걸림돌기부와 대향되는 전단부에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걸림테두리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제2걸림돌기부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전후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연장되는 탄성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유동공간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구속홈에 걸림 구속되는 탄성 재질의 탄성굴곡부가 구비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굴곡부는 상기 고정장치가 후퇴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자동 슬라이드 복원되도록 평판 형상으로 구비된 상기 고정장치의 전측 중앙에 형성된 고정단으로부터 상기 탄성유동공간의 내벽면과 이격되며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며 후향 연장되는 제1탄성굴곡부와, 상기 제1탄성굴곡부의 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 중 다른 하나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며 후향 연장되는 제2탄성굴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탄성굴곡부의 단부에는 고정돌기가 일체로 상향 연장 돌설되어 상기 구속홈에 걸림 구속되고,
    상기 고정장치에는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폭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유동공간으로 연장 돌설되는 복수개의 스토퍼돌기부가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돌기부는 상기 걸림고리의 당김시 상기 고정돌기의 전측면이 후면에 걸림되도록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연장 돌설되는 제1스토퍼돌기부와, 상기 걸림고리의 당김시 상기 제1탄성굴곡부와 상기 제2탄성굴곡부의 경계부가 후면에 걸림되도록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 중 다른 하나를 향하여 연장 돌설되는 제2스토퍼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토퍼돌기부가 상기 제2스토퍼돌기부보다 상기 고정장치의 후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탄성굴곡부는 상기 제2스토퍼돌기부의 단부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탄성굴곡부는 상기 제1스토퍼돌기부의 단부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굴곡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장치의 상면이 상기 고정장치삽입공간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속홈에 걸림 구속되도록 상기 고정장치의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되,
    상기 결합케이스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고정장치삽입공간에 삽입시 상기 고정돌기가 하향 탄성 변형되며 안내되도록 경사안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의 각 내벽면 하단에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돌설되어 상기 고정장치의 하면이 걸림 구속되는 걸림단턱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020190172365A 2019-12-20 2019-12-20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02109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365A KR102109014B1 (ko) 2019-12-20 2019-12-20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365A KR102109014B1 (ko) 2019-12-20 2019-12-20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014B1 true KR102109014B1 (ko) 2020-05-11

Family

ID=70729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365A KR102109014B1 (ko) 2019-12-20 2019-12-20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0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088Y1 (ko) 2002-12-09 2003-03-20 엘지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딘-레일 결합장치
US20130214109A1 (en) * 2012-02-16 2013-08-22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ounting device for securing electronic component
US20180175517A1 (en) * 2016-12-20 2018-06-21 Schneider Electric USA, Inc. Din rail latching mea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088Y1 (ko) 2002-12-09 2003-03-20 엘지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딘-레일 결합장치
US20130214109A1 (en) * 2012-02-16 2013-08-22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ounting device for securing electronic component
US20180175517A1 (en) * 2016-12-20 2018-06-21 Schneider Electric USA, Inc. Din rail latching mea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6310B2 (en) Support rail fastening means
CN109306828B (zh) 安全闩锁
US7243734B2 (en) Power tool with battery power supply
AU766594B2 (en)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din rail mounting adaptor
CA2999089C (en) Switching device
EP1705876B1 (en)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mobile phone, comprising a sliding cover for protecting a camera lens
KR102098749B1 (ko) 탄성걸림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EP3208900B1 (en) Electrical device for rail mounting
CZ295100B6 (cs) Přídržná pružina k uvolnitelnému spojení dvou konstrukčních částí
KR20220057573A (ko) 단자대
US6232859B1 (en) Auxiliary switch mounting configuration for use in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7667146B2 (en) Attachment device for attaching an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 to a top-hat rail
KR102109014B1 (ko)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EP3594986B1 (en)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EP2259396B1 (en) Assembly for locking a component on a rail
KR102109012B1 (ko) 보우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GB2027994A (en) Handle fastening device for an electrical circuit breaker
KR102109018B1 (ko) 탄성프레임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01704430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2098752B1 (ko) 고정격자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02121845B1 (ko) 밴드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02121843B1 (ko) 교차절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02121844B1 (ko) 바운스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02098760B1 (ko) 링크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02121846B1 (ko)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