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120B1 - 천연소재를 이용한 수성발포벽지 - Google Patents

천연소재를 이용한 수성발포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120B1
KR100639120B1 KR1020030080370A KR20030080370A KR100639120B1 KR 100639120 B1 KR100639120 B1 KR 100639120B1 KR 1020030080370 A KR1020030080370 A KR 1020030080370A KR 20030080370 A KR20030080370 A KR 20030080370A KR 100639120 B1 KR100639120 B1 KR 100639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queous
layer
foaming composition
aqueous fo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6311A (ko
Inventor
전효철
Original Assignee
(주)숲으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숲으로 filed Critical (주)숲으로
Priority to KR1020030080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120B1/ko
Publication of KR20050046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5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orm
    • D21H21/56Foam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2Pattern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2Patterned paper

Landscapes

  • Paper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소재와 수성발포제를 이용한 수성발포벽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벽지 원지의 일면에 제1수성발포 조성물층, 천연소재층, 제2수성발포 조성물층, 인쇄층 및 탑코팅층을 순차로 적층하는 구조로 인해, 엠보싱 작업시 그 성형성을 향상 시킴과 아울러 표면상부의 평활도를 높여 인쇄성을 크게 개량한 친환경적인 벽지를 제공하게 한 것이다.
수성발포제, 천연소재

Description

천연소재를 이용한 수성발포벽지{Aqueous foam wallpaper using natural material}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성발포벽지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수성발포벽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벽지 원지 2,4,12:수성발포 조성물층
3,13:천연소재층 5:인쇄층
6,14:탑코팅층
삭제
본 발명은 천연소재와 수성발포재를 이용한 수성발포 벽지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1998-0019564로 개시된 생분해성 벽지는 본원 출원인이 발명자로 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를 생산하여 본 결과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기존의 생분해성 벽지는 벽지원지-접착제-생분해성 미장재-탑코팅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기존의 생분해성 벽지는 일반 벽지와 비교하여 인쇄작업이 불가능하고(표면의 요철현상이 심하여 인쇄작업이 불가능하다), 엠보싱 작업이 불가능하며(천연소재류는 복원력이 강하여 압력을 가하여도 압착될 수 있는 성분이 없음), 벽지 시공시 후면에 풀칠을 하면 다량의 수분이 천연소재 쪽으로 전이되어 물녹임 작업시간을 장시간(보통 벽지의 물녹임 시간은 4∼12시간 정도로 가능하지만 천연소재류를 사용한 벽지일 경우 30분∼2시간이내 벽지를 시공함이 적정하며 그 이상의 시간이 경과할 때) 갖다 보면 벽지가 수분에 약하여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풀칠된 배접면이 서로 밀착하여 물녹임 작업시 접착면에 건조현상(풀에 함유된 수분이 천연소재 쪽으로 전이되어 풀의 수분이 없어진 형태)이 발생하여 벽지 시공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범용화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류에 수성발포제를 혼합하여 엠보싱 작업시 그 성형성을 향상 시킴과 아울러 표면상부의 평활도를 높여 인쇄성을 크게 개량하기 위한 천연소재를 이용한 수성발포벽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 넓이로 이루어진 벽지 원지; 상기 벽지 원지의 일면에 고형분 기준으로 50∼150g/㎡를 도포한 하기와 같은 수성발포 조성물로 이루어진 제1수성발포 조성물층;
[수성 아크릴계, EVA계, 수성우레탄계통의 접착제 중 어느하나 또는 혼합하여 20∼50 중량%, 물 5∼10 중량%, 메탄올 및 수성 알코올 중 어느하나 8.5∼10 중량%, 이소부탄 및 이소펜탄계통의 수성발포제 중 어느하나 2∼7 중량%, 비이온, 음이온, 양쪽성 유화제 중 어느하나 0.1∼0.5중량%, CaCo3 25∼31 중량%, 탈크 및 편운모분 중 어느하나 5∼10 중량%, TiO2 2∼5 중량%, 옥, 일라이트, 맥반석, 세라믹, 장석, 제오라이트, 게르마늄 등 원적외선 방사물질 중 어느하나 2∼5 중량%, 암모니아수 0.1∼0.3 중량%, 콜리로즈타입(Colly Lose Type)계 및 아크릴계 증점제 중 어느하나 0.1∼0.2 중량%, 특수음이온, 음이온복합물, 특수비이온 복합물의 분산제 중 어느하나 0.1∼0.5 중량%, 실린콘계 및 비실리콘계 소포제 중 어느하나 0.1∼0.5 중량%]
상기 제1수성발포 조성물층 위에 목분, 왕계분, 녹차분, 쑥분, 건초분, 건수초분, 무기질인 숯분, 열팽창된 질석 중 어느하나를 50∼150g/㎡로 도포하여 이루어진 천연소재층; 상기 천연소재층 위에 상기 제1수성발포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수성발포 조성물을 고형분 기준으로 50∼300g/㎡를 도포하여 이루어진 제2수성발포 조성물층; 상기 제2수성발포 조성물층의 표면에 인쇄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위에 고형분 기준으로 10∼50g/㎡를 코팅하여 투명막을 형성하는 탑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 넓이로 이루어진 벽지 원지; 상기 벽지 원지의 일면에 고형분 기준으로 50∼150g/㎡를 도포한 하기와 같은 수성발포 조성물로 이루어진 제3수성발포 조성물층;
[수성아크릴계, EVA계, 수성우레탄계통의 수지 중 어느하나 또는 혼합하여 21∼49.09 중량%, 물 5∼10 중량%, 메탄올 및 수성알코올 중 어느하나 5∼10 중량%, TiO2 2∼5 중량%, 이소부탄 및 이소펜탄계통의 수성발포제 중 어느하나 2∼7 중량%, 유화제 0.5∼1 중량%, 탈크 및 편운모분 중 어느하나 6∼10 중량%, 옥, 일라이트, 맥반석, 세라믹, 장석, 제오라이트, 게리마늄 원적외선 방사물질 중 어느하나 2∼5 중량%, 수산화 알루미늄계통의 난연제 28∼30중량%, 암모니아수 0.01∼0.1 중량%, 증점제 0.1∼0.2 중량%, 분산제 0.2∼0.5 중량%, 소포제 0.1∼0.5 중량%]
상기 제3수성발포 조성물층 위에 목분, 왕계분, 녹차분, 쑥분, 건초분, 건수초분, 무기질인 숯분, 열팽창된 질석 중 어느하나를 50∼150g/㎡를 도포하여 이루어진 천연소재층; 상기 천연소재층 위에 상기 제3수성발포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수성발포 조성물을 고형분 기준으로 50∼300g/㎡를 도포하여 이루어진 제4수성발포 조성물층; 상기 제4수성발포 조성물층의 표면에 인쇄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위에 고형분 기준으로 10∼50g/㎡를 코팅하여 투명막을 형성하는 탑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성발포벽지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수성발포벽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발포벽지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로 되는 제1벽지 원지(1)의 일면으로부터 제1수성발포 조성물층(2), 제1천연소재층(3), 제2수성발포 조성물층(4), 인쇄층(5) 및 제1탑코팅층(6)이 순차로 적층되는 구조이거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벽지 원지(11)의 일면으로부터 제3수성발포 조성물층(12), 제2천연소재층(13) 및 제2탑코팅층(14)이 순차로 적층되는 구조일 수 있다. 제1 및 제3수성발포 조성물층(2,12)을 이루는 수성발포 조성물에 상응하는 기존 제품(생분해성 벽지)의 접착제는 아크릴, PE, EVA 계통의 접착제 중 어느 하나를 1㎥당 30∼50g 정도를 도포하여 천연소재류를 접착시켜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단순히 일반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제품 완성후 벽지 시공시 벽지 후면에 풀칠하여 물녹임 작업시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 현상이 발생한다.
이같은 현상은 일반 접착제는 벽지 원지에 도포된 후 건조되어도 완전히 필림으로 형성되지 못하여 수분의 투과가 쉬기 때문에 발생되는데, 이와 달리 너무 필림이 형성되어 수분이 투과되지 못하면 시공시 물녹임 작업이 불가능하여 벽지 시공이 힘들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엠보싱 작업시 압력에 의한 압착층이 없기 때문에 엠보싱 성형성이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수성 아크릴계, EVA계, 수성우레탄계통의 접착제 중 어느하나 또는 혼합하여 20∼50 중량%, 물 5∼10 중량%, 메탄올 및 수성 알코올 중 어느하나 8.5∼10 중량%, 이소부탄 및 이소펜탄계통의 수성발포제 중 어느하나 2∼7 중량%, 비이온, 음이온, 양쪽성 유화제 중 어느하나 0.1∼0.5중량%, CaCo3 25∼31 중량%, 탈크 및 편운모분 중 어느하나 5∼10 중량%, TiO2 2∼5 중량%, 옥, 일라이트, 맥반석, 세라믹, 장석, 제오라이트, 게르마늄 등 원적외선 방사물질 중 어느하나 2∼5 중량%, 암모니아수 0.1∼0.3 중량%, 콜리로즈타입(Colly Lose Type)계 및 아크릴계 증점제 중 어느하나 0.1∼0.2 중량%, 특수음이온, 음이온복합물, 특수비이온 복합물의 분산제 중 어느하나 0.1∼0.5 중량%, 실리콘계 및 비실리콘계 소포제 중 어느하나 0.1∼0.5 중량%를 혼합하여 수성발포 조성물을 조성하고, 그 조성된 수성발포 조성물을 제1및 제2벽지 원지(1,11)에 콤마코타, 로타리스크린 또는 그라비아 인쇄 동판 방식 중 어느하나의 방식으로 1㎡당 50∼150g(고형분 기준) 정도를 도포하여 제1및 제3수성발포 조성물층(2,12)을 형성함으로써, 차후 적당한 수분 통과와 엠보싱 작업시 압착될 수 있는 발포층을 형성시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상기 배합에서 메탄올 및 수성 알코올은 제1및 제2벽지 원지(1.11)에 접착제의 침투 속도를 조절하는 효과와 건조 속도를 향상 시키는 역할을 하며, 유화제는 수성발포제를 첨가하여 겔링작업(건조시)시 및 배합시 액상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수성발포 조성물을 제1및 제2벽지 원지(1,11)에 도포 후 겔링 작업시 건조 오븐의 고온의 열기로 인해 수성발포제가 혼합된 상기 제1및 제3수성발포 조성물층(2,12)의 표면 건조가 먼저 일어나거나 코팅면의 균열현상 및 코팅면의 수성발포제 발포 불균일성 등의 이상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코팅된 제1및 제3수성발포 조성물층(2,12)의 표면만 건조가 먼저 일어나 내부의 수분이 미쳐 증발할 수 없어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는 옥 등 원적외선 방사물질에 의해서 해소되는데, 즉 원적외선 방사물질의 복사열을 이용하여 내부 건조 촉진을 향상시킴으로써 건조의 균일성이 달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암모니아수는 조성물의 PH를 7∼8 정도의 중성을 유지하게 하여 저장 안정성을 향상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및 제2천연소재층(3,13)은 제1및 제2벽지 원지(1,11)에 도포된 제1및 제3수성발포 조성물층(2,12)이 건조되기 전에 천연소재류인 목분, 왕계분, 녹차분, 쑥분, 건초분, 건수초분 및 무기질인 숯분, 열팽창된 질석 중 어느하나를 선정하여 입도 분리(40∼60매쉬, 60∼80매쉬,80∼100매쉬,100∼120매쉬 등으로 분류하여 사용함) 해서 정전기 대전방식(일명: 섬유에서 후로킹 공법으로 불리우며, 고압의 전류를 약 600,000W 정도 방전하면서 정전기를 발생시켜 접착시키는 방법), 로타리 스크린, 고압분사방식 또는 스케트링 방식 중 어느하나의 방식으로 50∼150g/㎡ 정도의 두께로 도포된 후 건조하여 완성된다. 이후,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천연소재층(13) 위에 내오염성 및 인쇄피막을 보호하는 제2탑코팅층(14)을 도포 건조하여 형성한 후 엠보싱 성형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천연소재층(3) 위에 다시 상기 제1수성발포 조성물층(2)을 형성하는 수성발포 조성물을 콤마코타, 로타리 스크린 또는 그라비아 인쇄동판 방식 중 어느하나의 방식으로 50∼300g/㎡(고형분 기준) 정도를 도포하고 겔링작업(150∼200℃ 사이) 하여 제2수성발포 조성물층(4)을 형성한 다음 인쇄공정-탑코팅 작업을 실시한 후 엠보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천연소재층(3) 위에 제2수성발포 조성물층(4)을 재코팅한 것은 다양한 모양의 인쇄작업시 평활도를 좋게 하기 위함이며, 또한 엠보싱 성형 작업시 그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탑코팅 작업은 제1및 제2벽지 원지(1,11)의 내오염성 방지 및 인쇄피막을 보호하기 위해서 실시되는데,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제1및 제2탑코팅층(6,14)은 수성아크릴수지, 우레탄계통, 수성메라민수지, 수성에폭시수지 중 어느하나 또는 혼합하여 75∼93 중량%와, 고온용 파라핀계, PE계, 카르나바 왁스 중 어느하나 5∼10 중량%와, 파라핀계, PE왁스, 실리콘계 발수제 중 어느하나 2∼15 중량%를 혼합하여 조성한 탑코팅제를 인쇄층(5) 및 제2천연소재층(13) 위에 고형분 기준으로 10∼50g/㎡ 를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의 탑코팅액을 증점제를 사용하여 점도 2,000∼4,000cps 정도를 상승시켜 콤마코타로 도포-건조-엠보싱 작업 순으로 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및 제2벽지 원지(1,11)에 난연성을 부여하고자 할 때는 일반적으로 난연 처리된 벽지 원지를 사용하면 되고, 이와 달리 수산화 알루미늄계통의 난연제가 혼합된 제1∼제3수성발포 조성물층(2,4,1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및 제2벽지 원지(1,11)에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난연성을 갖는 제1∼제3수성발포 조성물층(2,4,12)은 수성아크릴계, EVA계, 수성우레탄계통의 수지 중 어느하나 또는 혼합하여 21∼49.09 중량%, 물 5∼10 중량%, 메탄올 및 수성알코올 중 어느하나 5∼10 중량%, TiO2 2∼5 중량%, 이소부탄 및 이소펜탄계통의 수성발포제 중 어느하나 2∼7 중량%, 유화제 0.5∼1 중량%, 탈크 및 편운모분 중 어느하나 6∼10 중량%, 옥, 일라이트, 맥반석, 세라믹, 장석, 제오라이트, 게리마늄 원적외선 방사물질 중 어느하나 2∼5 중량%, 수산화 알루미늄계통의 난연제 28∼30중량%, 암모니아수 0.01∼0.1 중량%, 증점제 0.1∼0.2 중량%, 분산제 0.2∼0.5 중량%, 소포제 0.1∼0.5 중량%를 혼합하여 조성된 난연성의 수성발포 조성물을 상기 제1및 제2벽지 원지(1,11)와 제1천연소재층(4)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류에 수성발포제를 혼합하여 엠보싱 작업시 그 성형성을 향상 시킴과 아울러 표면상부의 평활도를 높여 인쇄성을 크게 개량한 친환경적인 벽지를 제공하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소정 넓이로 이루어진 벽지 원지;
    상기 벽지 원지의 일면에 고형분 기준으로 50∼150g/㎡를 도포한 하기와 같은 수성발포 조성물로 이루어진 제1수성발포 조성물층;
    [수성 아크릴계, EVA계, 수성우레탄계통의 접착제 중 어느하나 또는 혼합하여 20∼50 중량%, 물 5∼10 중량%, 메탄올 및 수성 알코올 중 어느하나 8.5∼10 중량%, 이소부탄 및 이소펜탄계통의 수성발포제 중 어느하나 2∼7 중량%, 비이온, 음이온, 양쪽성 유화제 중 어느하나 0.1∼0.5중량%, CaCo3 25∼31 중량%, 탈크 및 편운모분 중 어느하나 5∼10 중량%, TiO2 2∼5 중량%, 옥, 일라이트, 맥반석, 세라믹, 장석, 제오라이트, 게르마늄 등 원적외선 방사물질 중 어느하나 2∼5 중량%, 암모니아수 0.1∼0.3 중량%, 콜리로즈타입(Colly Lose Type)계 및 아크릴계 증점제 중 어느하나 0.1∼0.2 중량%, 특수음이온, 음이온복합물, 특수비이온 복합물의 분산제 중 어느하나 0.1∼0.5 중량%, 실린콘계 및 비실리콘계 소포제 중 어느하나 0.1∼0.5 중량%]
    상기 제1수성발포 조성물층 위에 목분, 왕계분, 녹차분, 쑥분, 건초분, 건수초분, 무기질인 숯분, 열팽창된 질석 중 어느하나를 50∼150g/㎡로 도포하여 이루어진 천연소재층;
    상기 천연소재층 위에 상기 제1수성발포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수성발포 조성물을 고형분 기준으로 50∼300g/㎡를 도포하여 이루어진 제2수성발포 조성물층;
    상기 제2수성발포 조성물층의 표면에 인쇄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위에 고형분 기준으로 10∼50g/㎡를 코팅하여 투명막을 형성하는 탑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를 이용한 수성발포벽지.
  2. 소정 넓이로 이루어진 벽지 원지;
    상기 벽지 원지의 일면에 고형분 기준으로 50∼150g/㎡를 도포한 하기와 같은 수성발포 조성물로 이루어진 제3수성발포 조성물층;
    [수성아크릴계, EVA계, 수성우레탄계통의 수지 중 어느하나 또는 혼합하여 21∼49.09 중량%, 물 5∼10 중량%, 메탄올 및 수성알코올 중 어느하나 5∼10 중량%, TiO2 2∼5 중량%, 이소부탄 및 이소펜탄계통의 수성발포제 중 어느하나 2∼7 중량%, 유화제 0.5∼1 중량%, 탈크 및 편운모분 중 어느하나 6∼10 중량%, 옥, 일라이트, 맥반석, 세라믹, 장석, 제오라이트, 게리마늄 원적외선 방사물질 중 어느하나 2∼5 중량%, 수산화 알루미늄계통의 난연제 28∼30중량%, 암모니아수 0.01∼0.1 중량%, 증점제 0.1∼0.2 중량%, 분산제 0.2∼0.5 중량%, 소포제 0.1∼0.5 중량%]
    상기 제3수성발포 조성물층 위에 목분, 왕계분, 녹차분, 쑥분, 건초분, 건수초분, 무기질인 숯분, 열팽창된 질석 중 어느하나를 50∼150g/㎡를 도포하여 이루어진 천연소재층;
    상기 천연소재층 위에 상기 제3수성발포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수성발포 조성물을 고형분 기준으로 50∼300g/㎡를 도포하여 이루어진 제4수성발포 조성물층;
    상기 제4수성발포 조성물층의 표면에 인쇄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위에 고형분 기준으로 10∼50g/㎡를 코팅하여 투명막을 형성하는 탑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를 이용한 수성발포벽지.
KR1020030080370A 2003-11-13 2003-11-13 천연소재를 이용한 수성발포벽지 KR100639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370A KR100639120B1 (ko) 2003-11-13 2003-11-13 천연소재를 이용한 수성발포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370A KR100639120B1 (ko) 2003-11-13 2003-11-13 천연소재를 이용한 수성발포벽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062U Division KR200342189Y1 (ko) 2003-11-18 2003-11-18 천연소재를 이용한 수성발포 벽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311A KR20050046311A (ko) 2005-05-18
KR100639120B1 true KR100639120B1 (ko) 2006-10-27

Family

ID=37245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370A KR100639120B1 (ko) 2003-11-13 2003-11-13 천연소재를 이용한 수성발포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1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225B1 (ko) 2008-06-10 2011-08-30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벽지와 그 제조방법
KR101066031B1 (ko) 2009-12-17 2011-09-20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친환경 가구 마감재
KR101657568B1 (ko) 2015-04-22 2016-09-19 (주) 숲으로벽지 내오염성과 내마모성이 향상된 천연소재를 이용한 수성발포 벽지
KR20230078168A (ko) * 2021-11-26 2023-06-02 (주)엘엑스하우시스 벽지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575B1 (ko) * 2005-04-08 2007-02-08 장철환 생분해성 수용성 코팅졸 조성물
KR100767014B1 (ko) * 2005-10-17 2007-10-15 전효철 엠보싱 성형성을 증대 시킨 수성발포벽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225B1 (ko) 2008-06-10 2011-08-30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벽지와 그 제조방법
KR101066031B1 (ko) 2009-12-17 2011-09-20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친환경 가구 마감재
KR101657568B1 (ko) 2015-04-22 2016-09-19 (주) 숲으로벽지 내오염성과 내마모성이 향상된 천연소재를 이용한 수성발포 벽지
KR20230078168A (ko) * 2021-11-26 2023-06-02 (주)엘엑스하우시스 벽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24776B1 (ko) 2021-11-26 2024-01-11 (주)엘엑스하우시스 벽지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311A (ko) 200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61809B (zh) 发泡叠层片材
CN103923600B (zh) 单面热熔胶防水卷材和双面热熔胶防水卷材的制备方法
KR100767014B1 (ko) 엠보싱 성형성을 증대 시킨 수성발포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81246A (ko) 내장용 시트지 및 그 제조방법
WO2009038314A2 (en) Laminated wallpaper using a filter master sheet
CN1981008B (zh) 超吸收性可印刷组合物
KR100639120B1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수성발포벽지
CN104497683A (zh) 一种无机干粉隔热腻子
KR101183950B1 (ko) 목화섬유를 이용한 벽지 및 그 제조방법
JP5247645B2 (ja) 接着壁紙及び壁紙の施工方法
KR100611354B1 (ko) 합지 벽지
KR20000054527A (ko) 자연소재를 이용하여 만드는 벽지
KR200342189Y1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수성발포 벽지
JP6075159B2 (ja) 積層シート及び発泡積層シート
KR100611356B1 (ko) 엠보싱 벽지
US10683617B2 (en) Wall covering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903668B1 (ko) 수성 발포벽지
CN103756433A (zh) 一种水性外墙浮雕涂料
CN108610771A (zh) 一种白墨浆料及其在壁纸中的应用方法
JP6217830B2 (ja) 積層シート及び発泡積層シート
CN205476219U (zh) 一种防潮的自粘无纺布墙纸
KR200202555Y1 (ko) 자연소재를 이용하여 만드는 벽지
JP5505403B2 (ja) 接着壁紙及び壁紙用接着剤組成物
CN211112920U (zh) 一种白色uv环保纸封边条
CN104441834B (zh) 铝质丁基胶复合材料及其在节点防水中的应用和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