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950B1 - 목화섬유를 이용한 벽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목화섬유를 이용한 벽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950B1
KR101183950B1 KR1020090070689A KR20090070689A KR101183950B1 KR 101183950 B1 KR101183950 B1 KR 101183950B1 KR 1020090070689 A KR1020090070689 A KR 1020090070689A KR 20090070689 A KR20090070689 A KR 20090070689A KR 101183950 B1 KR101183950 B1 KR 101183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resin
delete delete
weight
cotton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814A (ko
Inventor
전효철
Original Assignee
전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효철 filed Critical 전효철
Priority to KR102009007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9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8Presence of paper
    • C09J2400/283Presence of pap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목화섬유와 같은 천연(天然)소재를 사용하여 질감(質感)과 입체감(立體感)을 높인 벽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백상지, PET부직포 및 생분해성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벽지 원지(原紙)의 상면(上面)전체에는 수지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력을 갖게 한 수지 접착제층을 형성함과 아울러 수지 접착제층의 상면으로는 목화섬유원단을 일체로 합지하여 천연(天然)질감과 입체감을 주는 목화섬유층을 형성하여 그 위에 보호용 상도(上途)코팅층을 형성하거나, 혹은 목화섬유층 위에 그 목화섬유층의 질감 표현을 극대화하기 위한 색상합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상도 코팅층을 형성한 것이다.
벽지,목화, 부직포, 천연소재, 난연

Description

목화섬유를 이용한 벽지 및 그 제조방법{WallPaper Make Use of Cotton Wool and Method of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목화섬유를 이용한 벽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 한것이다. 특히 원지 벽지에 목화 섬유원단 혹은 목화섬유 혼합 원단을 합지로 사용하여 상품가치를 높이는 우수한 질감 및 입체감을 갖게 한 목화섬유를 이용한 벽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거용 주택이나 공공건물의 내벽에는 실내의 장식 효과를 주기위한 목적에서 다양한 벽지로 마감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며, 이러한 벽지에는 본 출원인이 특허 출원하여 이미 등록 받고 있는 특허 제0767015호(이하 "선행기술"이라합니다)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목화섬유원단을 벽지원지 및 부직포(PET 부직포 등)에 합지시 접착제층과 상도(上途)코팅층과의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유발생 시키고 있다. ①상기 선행기술은 목화섬유 원단의 전체 단면적에 수지분(樹脂 分)의 함침이 미흡하여, 벽지 시공시 접착용 풀의 수분에 의해 층간(層間)이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②또, 합지(合紙)후 상도(上途) 코팅액을 도포하여 건조시, 그 건조 과정에서 건조된 접착제층으로 인하여, 상도 코팅액에 함유된 수분이 빠르게 방출되지 못하므로인해 상도 코팅액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도 유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의 발생은 벽지의 질감과 입체감을 현저히 떨어지게 하여 상품가치를 저하시키는 주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예의(銳意) 연구 결과 개발한 것으로, 벽지원지와 합지되는 목화섬유원단의 내부로 수지접착제의 침투력을 높게하여 층간 박리(剝離)현상을 없게하는 결속력을 향상시키었고, 또한 수지 접착제로부터의 신속한 수분방출로 건조 작업시 상도 코팅액이 부풀어 오르는 일이 없이 안정성을 유지하게 하였고, 또 완성된 벽지 제품에는 유연성을 갖게 하여, 전체적으로 높은 질감과 입체감을 갖게한 벽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 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의 벽지는, 청구항 1기재의 백상지, PET부직포 및 생분해성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벽지 원지(原紙); 상기 벽지 원지의 어느 일면 전체에 도포된 수지 접착제층; 상기 수지 접착제층의 상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천연질감과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한 목화섬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 목화섬유층은 목화섬유 원단 단독, 목화섬유에 마사(麻絲), 아바카섬유(abaca fabrics), 비스코사, 레이온사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목화섬유 혼합원단, 혹은 목화섬유에 펄프, 볏짚, 다년생 수초류,해초류, 허브식물의 잎 및 줄기 중 어느 하나를 넣어 만든 목화섬유 혼합 원단 중 어느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 접착제층에는 옥, 황토, 게르마늄, 일라이트(illite), 맥반석 및 음이온 방사물질이 첨가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수지 접착제층은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폴리졸 및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이상 을 혼합 조성하여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 접착제층은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폴리졸 및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이상 을 혼합 조성한 것 25~35중량%; 분산제 1~2중량%,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수산화 마그네슘,수산화칼슘블레이트중 어느 하나 혹은 2종 이상을 혼합 조성한 것 21~50중량%; 침투제 2~5중량%, 물 22~37중량%로 조성하여 난연성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 접착제층은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폴리졸 및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이상 을 혼합 조성한 수지25~35 중량%, 분산제 0.1~1중량%, 탄산칼슘 20~25중량%, 수산화마그네슘 5~10중량%, 수산화 알루미늄 10~15중량%, 소포제 0.5~1중량%, 침투제1~2중량% 및 물 11~38중량%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벽지는, 백상지, PET부직포 및 생분해성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벽지 원지(原紙) ; 상기 벽지 원지의 어느 일면 전체에 도포된 수지 접착제층; 상기 수지 접착제층의 상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천연질감과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한 목화섬유층; 상기 목화섬유층 위에 얇게 도포되어 상기 목화섬유층이 손상됨이 없도록 보호하는 투명한 상도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목화섬유층은 목화섬유 단독, 목화섬유에 마사(麻絲), 아바카섬 유(abaca fabrics), 비스코사, 레이온사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목화섬유 혼합원단, 혹은 목화섬유에 펄프, 볏짚, 다년생 수초류, 해초류, 허브식물의 잎 및 줄기 중 어느 하나를 넣어 만든 목화섬유 혼합 원단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지접착제층은 수지접착제 90~97중량%에 수성발포제1~3중량%를 혼합 조성하여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지 접착제층에는 옥, 황토, 게르마늄, 일라이트(illite), 맥반석 및 음이온 방사물질이 첨가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투명한 상도 코팅층은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멜라민수지,수성우레탄수지, 알콜타입의 수성옻 및 수성 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조성한 수지25~50 중량%, 유화제 혹은 계면활성제 계통의 침투제 1~2중량%, 발수제 혹은 수용성왁스 3~5중량%, 소포제 1~2중량% 및 물 41~70중량%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명한 상도 코팅층의 위에는 문양 및 그림 중 어느하나 혹은 이들이 혼합된 문양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지 접착제층은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폴리졸 및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 접착제층은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폴리졸 및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조성한 수지25~35 중량%, 분산제 0.1~1중량%, 탄산칼슘 20~25중량%, 수산화마그네슘 5~10중량%, 수산 화 알루미늄 10~15중량%, 소포제 0.5~1중량%, 침투제1~2중량% 및 물 11~38중량%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 접착제층은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폴리졸 및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조성한 것 25~35중량%; 분산제 1~2중량%,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수산화 마그네슘,수산화칼슘블레이트중 어느 하나 혹은 2종 이상을 혼합 조성한 것 21~50중량%; 침투제 2~5중량%, 물 22~37중량%로 조성하여 난연성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벽지는, 백상지, PET부직포 및 생분해성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벽지 원지(原紙); 상기 벽지 원지의 어느 일면 전체에 도포된 수지 접착제층; 상기 수지 접착제층의 상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천연 질감과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한 목화섬유층; 상기 목화섬유층 위에 도포되어 상기 목화섬유층의 질감 표현을 극대화하기 위한 색상합성수지층; 상기 색상 합성 수지층 위에 도포되어 그 색상 합성수지층을 손상됨이 없도록 보호할 수 있게 한 투명한 상도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목화섬유층은 목화섬유 단독, 목화섬유에 마사(麻絲), 아바카섬유(abaca fabrics), 비스코사, 레이온사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목화섬유 혼합원단, 혹은 목화섬유에 펄프, 볏짚, 다년생 수초류, 해초류, 허브식물의 잎 및 줄기중 어느 하나를 넣어 만든 목화섬유 혼합 원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 상기 수지접착제층은 수지접착제 90~97중량%에 수성발포제1~3중량%를 혼합 조성하여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지 접착제층에는 옥, 황토, 게르마늄, 일라이트(illite), 맥반석 및 음이온 방사물질이 첨가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투명 코팅층은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멜라민수지,수성우레탄수지, 알콜타입의 수성옻 및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조성한 수지25~50 중량%, 유화제 혹은 계면활성제 계통의 침투제 1~2중량%, 발수제 혹은 수용성왁스 3~5중량%, 소포제 1~2중량% 및 물 41~70중량%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색상합성수지층은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우레탄수지, 알콜타입의 수성옻,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조성한 수지30~50 중량%, 분산제 1~2중량%, 염료 혹은 안료 1~2중량% 및 물 46~68중량%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지 접착제층은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폴리졸 및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 접착제층은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폴리졸 및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조성한 수지25~35 중량%, 분산제 0.1~1중량%, 탄산칼슘 20~25중량%, 수산화마그네슘 5~10중량%, 수산화 알루미늄 10~15중량%, 소포제 0.5~1중량%, 침투제1~2중량% 및 물 11~38중량%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 접착제층은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 폴리졸 및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조성한 것 25~35중량%; 분산제 1~2중량%,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수산화칼슘블레이트중 어느 하나 혹은 2종 이상을 혼합 조성한 것 21~50중량%; 침투제 2~5중량%, 물 22~37중량%로 조성하여 난연성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벽지의 제조방법은, 백상지, PET부직포 및 생분해성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벽지 원지(原紙)의 상면(上面)에 수지로 조성된 접착제를 30~200g/㎡ 도포하여 수지 접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단계; 상기 수지 접착제층의 상면에 목화섬유 원단 단독, 혹은 목화섬유에 천연 소재 혹은 인조 소재가 혼합된 혼합 원단중 어느 하나를 위치 시킨후 일체로 합지하여 천연질감과 입체감을 부여하는 목화섬유층을 형성하기 위한 단계; 상기 목화섬유층 위에 수지를 주재로하여 조성된 투명코팅액을 20~300g/㎡ 도포하여 목화섬유층이 손상됨이 없도록 보호하는 상도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벽지의 또 다른 제조방법은, 백상지, PET부직포 및 생분해성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벽지 원지(原紙)의 상면(上面)에 수지로 조성된 접착제를 30~200g/㎡ 도포하여 수지 접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단계; 상기 수지 접착제층의 상면에 목화섬유 원단 단독, 혹은 목화섬유에 천연 소재 혹은 인조 소재가 혼합된 혼합 원단중 어느 하나를 위치 시킨후 일체로 합지하여 천연질감과 입체감을 부여하는 목화섬유층을 형성하기 위한 단계; 상기 목화섬유층 위에 수지를 주재로하고 여기에 안료를 혼합하여 조성된 색상합성수지 조성물을 20~200g/㎡ 도포하여 상기 목화섬유층의 질감 표현을 극대화하기 위한 색상합성 수 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단계; 상기 색상합성 수지층 위에 수지재질을 주로하여 조성된 투명코팅액을 20~300g/㎡ 도포하여 목화섬유층이 손상됨이 없도록 보호하는 투명한 상도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벽지는, 원지와 합지되는 목화섬유원단의 내부로 수지접착제의 침투력을 높게하여 사용시 층간 박리(剝離)현상을 없게하는 높은 결속 효과가 있다.
또한, 합지에 사용되는 수지 접착제로부터의 수분방출이 신속히 이루어지게 하여, 건조 작업시 상도 코팅액이 부풀어 오르는 일이 없게 하여 유연성을 부여하고, 완성된 벽지로부터 높은 질감 및 입체감을 얻을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벽지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지(100)는, 벽지원지(102), 수지 접착제층(104) 및 목화섬유층(106)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1 표시의 벽지에 대한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단계1: 수지접착제층(104)의 형성 작업>
기 준비된 백상지, PET부직포 혹은 생분해성부직포인 벽지 원지(原紙)(102)에는 그 벽지 원지(102)의 상면(上面) 전체에 하기와 같이 조성된 수지 접착제를 고형분 기준으로 30~200g/㎡ 도포하여 수지 접착제층(104)를 형성한다. 수지접착제 의 도포방법은 특별히 정해진 방법은 없고 일반적인 콤마코타, 로터리스크린, 그라비아인쇄 동판, 바코타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접착제층(104)은 벽지 원지(102)와 상기 목화섬유층(106)이 서로 박리(剝離)되지 않게 결속력을 갖게 하는 작용을 하며, 하기와 같이 다양하게 조성하여 사용할수 있다.
먼저, 수지접착제층(104)은 수지류만으로 조성된,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폴리졸 및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 수지들에서 2종이상을 혼합하여 조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지 접착제층(104)은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폴리졸 및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이상을 혼합 조성한 수지25~35 중량%에 대하여 분산제 0.1~1중량%, 탄산칼슘 20~25중량%, 수산화마그네슘 5~10중량%, 수산화 알루미늄 10~15중량%, 소포제 0.5~1중량%, 침투제1~2중량% 및 물 11~38중량%를 혼합하여 조성한 것을 사용할수 있다.
상기에서 수지의 첨가량이 25중량% 미만이면, 수지성분 부족으로 인해 벽지 원지(102)의 상면에 목화섬유층(106)과의 결합력을 부여하는 수지피막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35중량%를 초과시에는 제조원가에 대한 상승 문제는 물론, 특히 벽지의 폐기시 환경 오염의 우려성이 있다.
또 분산제를 1~2중량%의 범위로 첨가하는 이유는 분산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함인데, 첨가량이 1중량% 미만이면 같이 첨가되는 재료들의 분산성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고, 반대로 2중량%를 초과하면 같이 첨가되는 수지성분의 결합력을 약화시 킬 우려가 있다.
또한, 탄산칼슘을 첨가하는 이유는 같이 첨가되는 무기질 필러들(수산화 알루미늄 및 수산화마그네슘)에 대한 부피를 좋게 하기 위함인데, 그 첨가량이 20중량% 미만이면 부피의 감소를 일으킬 우려가 있고, 반대로 25중량%를 초과하면 같이 첨가되는 수지 성분의 결합력이나 분산제의 분산력을 약화 시킬 우려가 있다.
또, 수산화 알루미늄 및 수산화마그네슘을 각각 10~15중량% 및 5~10중량%의 범위로 첨가하는 이유는 무기질 충진제(Filler)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함인데, 수지접착제에 무기질 필라의 사용은 벽지 원지나 혹은 목화섬유층의 섬유조직 사이에 무기질 필라가 균일하게 충진되게 함으로써, 벽지제품의 신율(伸率)변화를 최소화하고 또 내열성을 갖게 한다. 따라서 첨가량이 각각 10 혹은 5중량% 미만으로 되면, 상기와 같은 필라의 기능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고, 반대로 그 첨가량이 각각 15 혹은 10중량%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벽지의 중량이나 부피를 너무 크게 할 우려가 있다.
또, 소포제를 0.5~1중량%의 범위로 첨가하는 이유는 같이 첨가되는 상기재료들의 물에 대한 분산력을 좋게 하면서도 소포(消泡, defoaming) 및 억포(抑泡)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함인데, 첨가량이 0.5중량% 미만이면 재료의 혼합시 소포(消泡, defoaming) 및 억포(抑泡)의 효과가 약화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첨가량이 1중량%를 초과하면 같이 첨가되는 재료들의 성분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침투제를 1~2중량%의 범위로 첨가하는 이유는, 벽지원지(102)와 목화섬유층(106)과의 층간 박리현상을 방지하여 벽지원지(102)와 목화섬유층(106)과의 결 합력을 강화를 하기 위함인데, 침투제는 유화제 혹은 계면활성제 계통의 것이 사용되는데, 침투제의 사용은 수지접착제를 목화섬유층(106)의 단면적(斷面績) 30~80% 까지 침투되게 하여, 벽지원지(102)와 목화섬유층(106)과의 층간 박리현상을 방지하고, 또한 벽지원지(102)와 목화섬유층(106)과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침투제의 첨가량이 1중량% 미만으로 되면, 수지접착제가 목화섬유층(106)의 단면적(斷面績)의 내부로 깊숙히 침투되는것을 약화시키어 벽지원지(102)와 목화섬유층(106)과의 층간 박리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첨가량이 2 중량%를 초과하면 같이 첨가되는 재료들의 성분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또, 상기 수지 접착제층(104)은,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폴리졸 및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이상 을 혼합 조성한 것 25~35중량%에 대하여, 분산제 1~2중량%,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수산화 마그네슘,수산화칼슘블레이트중 어느 하나 혹은 2종 이상을 혼합 조성한 것 21~50중량%; 침투제 2~5중량%, 물 22~37중량%을 첨가하여 조성함으로서 벽지원지에 난연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수지종류, 분산제, 침투제의 첨가 이유는 상기에서와 설명한바와 동일하다. 다만, 수산화알루미늄,수산화 마그네슘,수산화칼슘블레이트의 첨가는 난연 특성을 부여하기 위함인데, 그 첨가량이 21중량% 미만으로 되면 난연성이 약화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첨가량이 5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난연 특성은 향상되지만, 같이첨가되는 재료들의 결합력 등을 약화시키어 벽지의 층간 박리현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상기 수지 종류에서 수성 생분해성수지는 폐기시 자연 분해를 돕기 위하여 전분을 이용한 수지 혹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계통의 수지이다.
또한 상기 수지접착제층(104)은 수지접착제 조성물 90~97중량%에 대하여 수성발포제1~3중량%를 혼합 조성한 것으로 형성할 수 있다. 수성발포제의 첨가는 벽지의 제조시 고온으로 건조하는 과정에서 수성발포제의 발포로 인한 수지접착제층(104)에의 기공을 확장시켜 수분을 신속히 방출시키어 벽지의 층간 박리현상을 방지한다. 특히 수성발포제의 첨가는 벽지의 유연성 부여와 아울러 벽지의 시공시 접착용 풀에 함유된 수분의 방출을 쉽게 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수지 접착제에대 한 수성발포제의 첨가량이 1중량%미만이면, 발포제의한 발포기능을 약화시킬우려가 있으며, 반대로 첨가량이 3중량%를 초과하면 발포력이 커져서 벽지의 부피를 불필요하게 크게 만드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수지 접착제층(104)을 형성하는 수지 접착제 조성물에는 옥, 황토, 게르마늄, 일라이트(illite), 맥반석 및 음이온 방사물질을 첨가하여, 벽지로 사용시 인체에 유용한 원적외선 방출 및 살균능력을 발휘하는 음이온을 다량 방출하여 기능성 벽지로서의 작용도 하게 할 수 있다. 수지접착제 조성물과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물질의 혼합비율은 90 : 10 중량%나 혹은 97 : 3중량%의 비율로 조성된다.
<단계2: 목화섬유층(106)의 형성 작업>
벽지원지(102)의 위에 수지 접착제층(104)의 도포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수지접착제층(104)의 상면에는 목화섬유 원단 단독, 혹은 목화섬유에 천연 소재 혹은 인조 소재가 혼합된 혼합 원단중 어느 하나를 위치 하여 일체로 합지 시킨다. 상기 벽지원지(102)와 목화섬유층(106)의 합지는 기 도포된 수지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하여 달성되고,합지 이후에는 일반적인 벽지 제조공정을 통해 벽지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 목화섬유층(106)을 형성하는 이유는 벽지에 대하여 보다 좋은 질감과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함 인데, 수지 접착제층(104)에 대한 목화섬유층의 두께는 평량(坪量)으로 30~300g/㎡를 이루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합지되는 목화섬유층(106)은 목화섬유 원단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또는 목화섬유 혼합원단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목화섬유 혼합원단은 목화섬유 30~50중량%에 대하여 비스코사 및 레이온사 중 어느 하나 10~30중량%, 합성수지 혹은 전분을 이용하여 만든 수지 20~60 중량%를 혼합후 이를 방사하여 만든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목화섬유 혼합원단은 목화섬유 20~35중량%에 대하여 비스코사 및 레이온사 중 어느 하나 10~30중량%, 마사(麻絲), 아바카섬유(abaca fabrics), 볏짚, 다년생 수초류, 해초류, 허브식물의 잎 및 줄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2종이상 혼합한 것 10~20중량%, 합성수지류 혹은 전분을 이용하여 만든 수지 15~60 중량%를 혼합후 이를 방사하여 만든 것을 사용할수 있다.
상기에서 목화섬유 혼합원단을 만드는 방법은 일반적인 부직포 원단을 만드는 방사방법을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2 표시의 벽지(110)는, 벽지의 최 상부에 투명한 상도코팅층(118)을 설치 한 구성만이 상기한 도1 실시예의 벽지(100)와 달리 할 뿐, 그밖의 벽지원지(112), 수지접착제층(114) 및 목화 섬유층(116)의 구성과 이에 대한 제조방법은 상기 도1 벽지의 실시예와 동일하여 별도의 설명은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상기 목화 섬유층(116)에 투명한 상도 코팅층(118)의 형성은 하기와 같이 조성된 상도 코팅용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즉,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멜라민수지,수성우레탄수지,알콜타잎의 수성옻 및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조성한 수지25~50 중량%에 대하여 유화제 혹은 계면활성제 계통의 침투제 1~2중량%, 발수제 혹은 수용성왁스 3~5중량%, 소포제 1~2중량% 및 물 41~70중량%를 각각 첨가하여 조성한 상도 코팅액을 고형분 기준 20~300g/㎡을, 상기 도 1에 따른 벽지 실시예에서의 수지접착제의 도포 방법과 같은, 콤마코타, 로터리스크린, 그라비아인쇄 동판, 바코타 방법 및 에어나이프 방법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목화섬유층(116)위에 도포하여 건조하면, 도 2의 구성의 벽지가 완성된다. 상기 목화 섬유층(116)위에 투명한 상도 코팅층(118)을 형성하는 이유는 목화 섬유층(116)위에 투명한 피막을 형성하여, 목화 섬유층(116)이 손상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도코팅층(118)을 형성하는 경우, 수지접착제층(114)을 수지접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수성발포제를 혼합 조성한 것을 사용하게 되면, 벽지의 고온 건조 과정에서 수성발포제의 발포로 인한 수지접착제층(114)의 기공 확장으로 수분방출을 신속히 실행되게 하여, 상도 코팅층(118)과 수지접착제층(114)의 결합력을 강화함으로서, 상도 코팅층(118)과 수지접착제층(114)간의 박리현상을 없게 한다.
또, 상기에서 수지, 침투제, 소포제의 첨가량에 대해서는 상기 도1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바 있어,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도1의 실시예에서 설명 되지않은 발수제 혹은 수용성왁스 3~5중량%를 첨가하는 이유는, 외부로부터 수분 침투시 수분의 발수 효과를 더 신속하게 하여 벽지에서의 층간의 박리현상 및 내오염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첨가량이 3중량% 미만이면 상도 코팅액의 수분 발수 기능이 약화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첨가량이 5중량%를 초과하게 되면,수분 발수 효과는 높아지지만 같이 첨가되는 수지재료의 결합력을 약화 시키어 피막 형성에 장해를 줄 우려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벽지(120)는, 상도코팅층(128)위에 인쇄 작업이나 실사 인쇄등을 통하여 문양을 설치한 구성만이 상기한 도2 실시예의 벽지(110)와 달리 할 뿐, 그밖의 벽지원지(122), 수지접착제층(124), 목화 섬유층(126) 및 상도 코팅층(128) 의 구성과 이에 대한 제조 방법은, 상기 도2 벽지의 실시예와 동일하여 여기서는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도 코팅층(128)위에 문양층(129)의 형성 방법은 다양한 인쇄방법 즉, 그라비아인쇄방법, 로타리 스크린 방법, 실사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문양층(129)의 구성은 일반적인 문자, 문양 및 그림 중 어느하나 혹은 이들이 혼합된 문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양층(129)의 형성은 벽지의 미려감과 높은 장식특성을 갖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벽지(130)는, 상도코팅층(138)과 목화섬유층(136)의 사이에 색상합성수지층(137)을 설치한 구성만이 상기한 도2 실시예의 벽지(110)와 달리 할 뿐, 그밖의 벽지원지(132), 수지접착제층(134), 목화 섬유층(136) 및 상도 코팅층(138)의 구성과 이에 대한 제조방법은, 상기 도2 벽지의 실시예와 동일하여 여기서는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목화 섬유층(136)위에 색상합성수지층(137)의 형성은 하기와 같이 조성된 색상합성 수지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즉,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우레탄수지, 알콜타잎의 수성옻,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조성한 수지30~50 중량%에 대하여, 분산제 1~2중량%, 염료 혹은 안료 1~2중량% 및 물 46~68중량%를 각각 첨가하여 조성된 조성물을 고형분 기준 20~200g/㎡을, 상기 도 1에 따른 벽지 실시예에서의 수지접착제의 도포 방법과 같은, 콤마코타, 로터리스크린, 그라비아인쇄 동판, 바코타 방법 및 에어나이프 방법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목화섬유층(136)위에 도포하여 건조하고, 그 위에 상도코팅층(138)을 형성후 다시 건조함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벽지가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지(130)에서 상도코팅층(138)과 목화섬유층(136)의 사이에 색상합성수지층(137)을 설치한 이유는, 목화섬유층(136)의 질감 표현을 극대화하기 위해서이다.
또, 상기에서 수지, 분산제의 첨가량에 대해서는 상기 도1의 실시예에서 이 미 설명한바 있어,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도1의 실시예에서 설명 되지않은 염료 혹은 안료 1~2중량%를 첨가하는 이유는, 미려감을 더욱 높게 하는 색상을 나타나게 하기 위함인데, 첨가량이 1중량% 미만이면 색상의 선명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첨가량이 2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색상의 선명도는 높아지지만 같이 첨가되는 수지재료의 접착력을 약화시키어 목화섬유층에서 색상합성수지층이 쉽게 떨어지게 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벽지는, 자연스러운 질감과 입체감을 갖게하여 벽지를 더일 층 고급화한 산업상의 이용 가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원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원 발명의 등록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균열벽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100,110,120,130 : 벽지
102,112,122,132 : 벽지원지
104,114,124,134 : 수지접착제층
106,116,126,136 : 목화섬유층
118,128,138 : 투명 상도 코팅층
129 : 문양층
137 : 색상합성수지층

Claims (4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백상지, PET부직포 및 생분해성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벽지 원지(原紙) ;
    상기 벽지 원지의 어느 일면 전체에 도포하여 된 수지 접착제층;
    상기 수지 접착층의 상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천연질감과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한, 목화섬유 원단 단독, 목화섬유에 마사(麻絲), 아바카섬유(abaca fabrics), 비스코사, 레이온사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목화섬유 혼합원단, 혹은 목화섬유에 펄프, 볏짚, 다년생 수초류, 해초류, 허브식물의 잎 및 줄기중 어느 하나를 넣어 만든 목화섬유 혼합 원단 중 어느 하나인 목화섬유층;
    상기 목화섬유층 위에 도포되어 상기 목화섬유층의 질감 표현을 극대화하기 위한,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우레탄수지, 알콜타입의 수성옻,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조성한 수지30~50 중량%, 분산제 1~2중량%, 염료 혹은 안료 1~2중량% 및 물 46~68중량%로 조성됨을 색상합성 수지층; 및
    상기 색상 합성 수지층 위에 도포되어 그 색상 합성수지층을 손상됨이 없도록 보호할 수 있게 한,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멜라민수지,수성우레탄수지, 알콜타잎의 수성옻 및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조성한 수지25~50 중량%, 유화제 혹은 계면활성제 계통의 침투제 1~2중량%, 발수제 혹은 수용성왁스 3~5중량%, 소포제 1~2중량% 및 물 41~70중량%로 조성된 상도 코팅층을 포함하는 목화 섬유를 이용한 벽지.
  22. 청구항21에 있어서, 상기 수지 접착제층은 수지접착제 90~97중량%에 수성발포제1~3중량%와 나머지는 옥, 황토, 게르마늄, 일라이트(illite), 맥반석 및 음이온 방사물질을 혼합 조성하여 된 것이나 혹은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폴리졸 및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혼합 조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목화 섬유를 이용한 벽지.
  23. 청구항21에 있어서, 상기 수지 접착제층은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폴리졸 및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조성한 수지25~35 중량%, 분산제 0.1~1중량%, 탄산칼슘 20~25중량%, 수산화마그네슘5~10중량%, 수산화 알루미늄10~15중량%, 소포제0.5~1중량%, 침투제1~2중량% 및 물11~38중량%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화섬유를 이용한 벽지.
  24. 청구항21에 있어서, 상기 수지 접착제층은 수성아크릴수지,수성EVA수지,수성PVA수지,수성폴리졸 및 수성생분해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이상 을 혼합 조성한 것 25~35중량%; 분산제 1~2중량%,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수산화 마그네슘,수산화칼슘블레이트중 어느 하나 혹은 2종 이상을 혼합 조성한 것 21~50중량%; 침투제 2~5중량%, 물 22~37중량%로 조성하여 난연성을 부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목화 섬유를 이용한 벽지.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KR1020090070689A 2009-07-31 2009-07-31 목화섬유를 이용한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183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689A KR101183950B1 (ko) 2009-07-31 2009-07-31 목화섬유를 이용한 벽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689A KR101183950B1 (ko) 2009-07-31 2009-07-31 목화섬유를 이용한 벽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814A KR20110012814A (ko) 2011-02-09
KR101183950B1 true KR101183950B1 (ko) 2012-09-18

Family

ID=4377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689A KR101183950B1 (ko) 2009-07-31 2009-07-31 목화섬유를 이용한 벽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9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12953A (zh) * 2012-10-19 2013-02-06 史丹龙涂料(常州)有限公司 具有层次感的壁纸
KR101481293B1 (ko) * 2013-07-15 2015-01-14 정국환 수성점착제를 이용한 디지털프린터용 점착직물 시트
KR102516744B1 (ko) * 2021-03-11 2023-03-31 한국바이린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43381B1 (ko) * 2021-09-07 2024-03-05 김태호 엠보싱 접착된 입체무늬가 있는 섬유 벽지
KR102550206B1 (ko) * 2021-11-23 2023-06-30 김광일 목화솜을 이용한 미장용 바닥재의 형성방법
KR102398491B1 (ko) * 2021-12-20 2022-05-16 박성현 나노복합 기능성 무기질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525Y1 (ko) 2004-03-12 2004-05-22 주식회사 한국클리너지 광촉매를 함유하는 한지벽지
KR200360532Y1 (ko) 2004-05-31 2004-08-30 임태희 섬유옥벽지
KR200405677Y1 (ko) 2005-10-17 2006-01-11 김근종 직물 벽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525Y1 (ko) 2004-03-12 2004-05-22 주식회사 한국클리너지 광촉매를 함유하는 한지벽지
KR200360532Y1 (ko) 2004-05-31 2004-08-30 임태희 섬유옥벽지
KR200405677Y1 (ko) 2005-10-17 2006-01-11 김근종 직물 벽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814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950B1 (ko) 목화섬유를 이용한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767015B1 (ko) 내장용 시트지 및 그 제조방법
CN105297552B (zh) 一种防潮水性裂纹墙纸的制备方法
US20070000568A1 (en) Packaging material for food items containing permeating oils
CN108360302B (zh) 一种墙纸
KR100973798B1 (ko) 여과 원지를 이용한 합지 벽지
CN104937168B (zh) 用于分层制品的装饰纸
KR101953282B1 (ko) 통기성 필름을 이용한 친환경 수성 목분 발포 벽지의 제조 방법
CN106393293B (zh) 竹纳米有机生态板
KR101120123B1 (ko) 균열 벽지 및 그 제조방법
CN106835855A (zh) 一种耐腐蚀防水墙纸及其制备方法
JPS63125332A (ja) 壁面外装用防水化粧シート
CN102697267A (zh) 一种用丝绸或宣纸制作折扇扇面的工艺
RU2719829C1 (ru) Декорирующая бумага для ламината
JP5122995B2 (ja) 樹脂塗工シート
KR101199686B1 (ko) 혼용 부직포 및 방수 코팅층을 이용한 무기질 보드용 표면 방수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EP3643634B1 (en) Paper, bread bag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KR100903668B1 (ko) 수성 발포벽지
CN104878661A (zh) 一种防水隔音聚氯乙烯壁纸原纸及其制备方法
KR101415960B1 (ko) 펄프를 이용한 타일
KR20200108198A (ko) 골판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 보드
US20130240161A1 (en) Method of making a window blind component
KR20140014815A (ko) 환경친화지의 제조방법
JP7026414B1 (ja) 金属光沢を有する紙
JP2005299017A (ja) 壁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