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899B1 -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899B1
KR100636899B1 KR1020040063642A KR20040063642A KR100636899B1 KR 100636899 B1 KR100636899 B1 KR 100636899B1 KR 1020040063642 A KR1020040063642 A KR 1020040063642A KR 20040063642 A KR20040063642 A KR 20040063642A KR 100636899 B1 KR100636899 B1 KR 100636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oil winding
winding device
pitch
cor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4908A (ko
Inventor
김옥란
최순희
Original Assignee
김옥란
최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란, 최순희 filed Critical 김옥란
Priority to KR1020040063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899B1/ko
Publication of KR20060014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64Winding non-flat conductive wires, e.g. rods, cables or co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94Tensioning or bra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 Winding Methods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심재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심재이송부와 상기 심재의 외측에 복수의 발연선을 권선시키도록 설치되는 코일권선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심재, 코일, 보빈, 플라이캡, 구동휠

Description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a winding machine of the coil which use heating cable}
도1은 종래의 코일권취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선 권선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권선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4a,b는 각각 도3의 권선장치중 연결수단을 도시한 분해도및 결합단면도 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권선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구동휠 150...모터
170...스핀들 220...심재
310...보빈 350...플라이캡
430...조절편 510...피치블록
530...연결블록
본 발명은 발열케이블용 코일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심재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심재이송부와 상기 심재의 외측에 복수의 발연선을 권선시키도록 설치되는 코일권선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심재에 권선되는 복수 코일의 피치를 항상 일정하게 조정함으로써 단락이나 숏트등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발명케이블용 코일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발열케이블은, 전기담요 또는 전기장판및 온열매트 등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심재에 촘촘하게 코일이 권취되고, 상기 코일 상에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내열전열재가 피복되며, 상기 내열전열재의 외측에는 코일의 발열량을 감지하는 감지선이 권취되고, 상기 감지선상에 PVC로 이루어진 보호용 외피가 피복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발열케이블은, 심재에 권취되는 코일이 일정 간격으로 권취된후 그 양단이 각각 플러그의 +단자 및 -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발열토록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발열케이블은, 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 자장이 형성되어 인체에 유해한 전자기파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자기파를 상쇄시킬수 있도록 하는 무자계 발열케이블이 개발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무자계 발열케이블을 권취할수 있는 장치로서 공개특허공보 특2003-67603호에 코일권취기 및 코일권취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살펴보면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롤(R1,R2,R3)에 의해 이동하는 시일(23)의 외측에 제1,2발열선(35)(37)을 권취하도록 코일권취기(10)가 구비된다.
상기 코일권취기(10)는, 구동부(13)와 상기 구동부(13)에 의해 회전하는 스핀들(17)과, 상기 스핀들(17)에 끼워져 스핀들(17)과 함께 회전하는 보빈(15)과, 상기 스핀들(17)의 단부에 장착된 플라이 캡(19)으로 구성됩니다.
그리고, 상기 플라이캡(19)은, 양 단부에 각각 코일의 진행을 안내하기 위한 제1,2유도구멍(11)(16)이 구비되고, 제1,2권취구멍(14)(18)이 시일(23)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간격(d) 이격토록 설치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코일권취기(10)는, 플라이캡(19)에 형성되는 제1,2권취구멍(14)(18)이 사일(23)을 중심으로 그 이격설치되어 유도구멍(11)(16)에 의해 보빈(15)에서 풀려지는 발열선이 늘어지는 상태로 시일(23)에 권취될수 있어 코일사이의 간격유지가 불균일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권취완료후 코일의 단락이나 숏트등을 가져와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심재에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코일을 권취하도록 하고, 권취되는 복수 코일의 피치를 용이하게 조절할수 있도록 하며, 코일의 피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코일의 접촉에 의한 단락등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케이블의 굽힘등에 의한 단락을 최소화 하여 제품을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하며, 권취되는 코일의 장력을 일정하게 조절할수 있도록 하는 발열케이블용 코일 권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심재을 이동시키도록 복수의 로울러로 이루어진 심재이송부가 설치되며, 상기 심재의 외측에 복수의 발연선을 권선시키도록 코일권선부가 설치되는 코일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캡의 상부에 발연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플라이캡에 의해 권취되는 발열선의 피치를 조절토록 피치조절수단이 더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발열케이블용 코일 권취장치를 포함하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단에 연결되는 플라이캡에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복수의 보빈이 연결수단을 통하여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발열케이블용 코일 권취장치를 포함하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심재권취휠(210)에 권취되는 심재(220)의 일부를 풀어 보빈(310)을 통과시킨후 복수의 로울러(230)(240)에 물려 일방향으로 풀려지면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심재(210)는, 복수의 코일(320a)(320b)이 권선되어 있는 보빈(310)의 중앙부에 관통되고, 상기 보빈(310)의 상부에 플라이캡(350)이 일체로 연결된다.
더하여, 상기 플라이캡(350) 역시 그 내측에 심재(210)가 관통되어 통과하도 록 설치되며, 양측에 지지링을 갖는 플라이바(330a)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플라이캡(350)에는 보빈(310)에서 풀려지는 코일의 장력을 조절토록 장력조절수단(360)이 설치되고, 상기 장력조절수단(360)은 가이드롤(360b)과 지지블록에 가이드홀을 형성하여 이에 내장되는 스프링(360a-1)으로서 탄성연결되는 이송롤(360a)로서 이루어 진다.
계속하여, 상기 플라이캡(350)에 의해 풀려지는 코일이 심재에 권취될때 그 피치를 조절하는 피치조절수단(4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피치조절수단(400)은, 지지대(미도시)에 연결되는 이송가능토록 설치되는 가이드레일(410)과 상기 가이드레일(410)에 연결되면서 내측에 관통공(400a)을 갖는 조절편(4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빈(310)은 모터(150) 연결되어 일체로 구동하는 구동휠(100)이 스핀들(170)로서 보빈(31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한편, 도3및 도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보빈(310)이 보빈연결수단(500)을 통하여 일체로 회전토록 연결된다.
상기 보빈연결수단(500)은, 연결플레이트(540)와 그 상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스핀들(170)이 각각 삽입토록 고정홀(530a)을 갖는 연결블록(530)및 가이드레일(510a)과 가이드(510b)를 통하여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는 피치블록(510)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피치블록(510)에 손잡이(미도시)가 더 연결되며, 상기 피치블록 및 연결블록 역시 심재가 관통하여 이동하도록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구성으 로 이루어 진다.
다른 한편, 도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플라이캡(350)이 분리되어 별도 회전토록 설치되는 하나의 보빈(310) 상측에 보빈연결수단(500)을 통하여 상기의 보빈(310)과 동일 구성을 갖는 다른 하나의 보빈(310)이 연결된다.
이때, 다른 하나의 보빈에 연결되는 플라이캡의 상부에 복수의 장력조절수단(360)이 각각 설치되어 하나의 보빈에서 풀려지는 코일(320a)과 다른 하나의 보빈 즉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로울러와 가이드로울러를 통하여 장력조절수단에 연결되는 코일(320b)이 복수의 보빈및 보빈연결수단을 통과한 심재의 외측에 순차로 권취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플라이캡(320a)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풀려지는 코일이 심재에 권취될때 그 피치를 조절하도록 피치조절수단(400)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빈연결수단(500)은, 연결플레이트(540)와 그 상하단에 스핀들(170)이 각각 연결되는 고정홀(530a)을 갖는 연결블록(530)및 지지로울러로서 이루어 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먼저 심재권취휠(210)에 권취되는 심재(220)를 풀어 보빈(310)과 플라이캡(350)및 조절편(430)을 관통한후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토록 연결되는 로울러(230)(240)에 연결하면 심재권취휠(210)에 연결된 심재(220)가 일정한 속도로 풀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심재(220)의 풀림과 동시에 보빈(310)에 권선되는 각각의 코일 (320a)(320b)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심재(220)의 외경측에 감기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심재(210)에 감겨지는 복수의 코일(320a)(320b)은 보빈(310)에 연결되는 플라이캡(350)의 플라이바(330a)에 의해 순차로 풀려지면서 심재(220)의 외경측에 감겨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빈(310)은 그 저면에 연결되는 스핀들(170)을 통하여 모터(150) 연결되어 일체로 구동하는 구동휠(100)에 연결됨으로써 구동휠과 연결시 일체로 회전토록 된다.
상기 구동휠(100)의 회전속도는 심재(220)의 외경측에 감겨지는 코일의 피치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심재(220)의 외경측에 감겨지는 코일의 피치는 상기 보빈(310)의 상측에서 상하 이송가능토록 설치되는 조절편(430)에 의해서도 가능토록 되며, 상기 조절편(430)의 하향시 상부코일과 하부코일의 간격이 좁아지게되어 피치의 조절이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조절편(430)은, 지지대(미도시)에 연결되는 이송가능토록 설치되는 가이드레일(410)에 장착되어 상하 이송토록 되고, 그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공(400a)을 통하여 심재의 외측에 복수의 코일이 감기면서 통과하도록 된다.
더하여, 상기 플라이캡(350)의 상측에는 장력조절수단(360)이 설치되어 풀려지는 코일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 장력조절수단(360)의 동작은 코일이 가이드롤(360b)을 통하여 이송롤(360a)에 지지되면 상기 지지블록에 가이드홀을 형성하여 이에 내장되는 스프링 (360a-1)으로서 탄성연결되는 이송롤(360a)에 의해 일정한 장력이 작용하여 코일이 느슨하게 감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3및 도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코일을 심재(220)에 곧바로 감는 방법이 아닌 제1,2차로 나누어 감을수도 있으며, 이때 각각의 코일이 권선되는 복수의 보빈(310)이 보빈연결수단(500)을 통하여 일체로 회전토록 연결된다.
상기 보빈연결수단(500)은, 그 상하부에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홀(530a)을 갖는 연결블록(530)이 각각 설치되어 보빈(310)에 연결되는 스핀들및 플라이캡의 상단이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피치블록의 고정홀(530a)에는 관통공(530a-1)이 형성되어 심재가 통과하도록 된다.
더하여, 상기 보빈연결수단(500) 역시 이동가능한 피치블록(510)이 구비되어 1차로 심재의 외측에 권선되는 코일의 피치를 조절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치블록(510)은, 그 외측에 연결되는 가이드(510b)가 연결플레이트(540)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510a)에서 연결될때 그 일측에 연결되는 손잡이및 가이드홀을 통하여 용이하게 상하이동할수 있도록 된다.
한편, 도5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에 의한 권취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보빈(310) 상측에 보빈연결수단(500)을 통하여 상기의 보빈(31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다른 하나의 보빈(310)이 연결되어 각각의 보빈에 권선되는 코일이 각각의 보빈에 연결되는 플라이캡(330a)의 회전에 의해 풀려지게 된다.
이때, 상부의 보빈에서 풀려지는 코일은 장력조절구단을 통하여 곧바로 심재 에 감겨지게 되며, 하부의 보빈에서 풀려지는 코일은 보빈연결수단에 지지로울러와 플라이캡에 연결되는 가이드로울러를 경우한후 장력조절수단을 통해 심재의 외경에 권선된다.
그리고, 상기 보빈연결수단을 통과하는 심재는 하부의 보빈에서 풀려지는 코일과 간섭이 없도록 되어 권선불량및 코일의 단락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심재(220)의 외경측에 감겨지는 코일(320a)(320)의 피치를 용이하게 조절함은 물론 코일이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여 일정한 피치로서 권선되어 권취완료시 코일이 플어지거나 서로 접촉되어 단락되는 현상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심재에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코일을 권취하고, 권취되는 복수 코일의 피치를 용이하게 조절하며, 코일의 피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코일의 접촉에 의한 단락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케이블의 굽힘등에 의한 단락을 최소화 하여 제품을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권취되는 코일의 장력을 일정하게 조절하고, 심재에 코일을 권선을 신속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입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12)

  1. 심재를 이동시키도록 복수의 로울러로 이루어진 심재이송부가 설치되며, 상기 심재의 외측에 복수의 발연선을 권선시키도록 보빈과 플라이캡으로 이루어진 코일권선부가 설치되는 코일 권취장치에 있어서,
    보빈(310)과 분리되어 이동토록 설치되는 플라이캡(350)의 상부에 보빈(310)에 풀려지는 복수 코일(320a)320b)의 장력을 조절토록 장력조절수단(360)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플라이캡(350)의 상부에서 분리되는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풀려지는 코일이 심재에 권취될때 그 피치를 조절하도록 피치조절수단(4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조절수단(400)은, 지지대(미도시)에 연결되는 이송가능토록 설치되는 가이드레일(410)과 상기 가이드레일(410)에 연결되면서 내측에 관통공(400a)을 갖는 조절편(4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수단(360)은 가이드롤(360b)과 지지블록에 가이드홀을 형성하여 이에 내장되는 스프링(360a-1)으로서 탄성연결되는 이송롤(360a)로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
  4. 심재를 이동시키도록 복수의 로울러로 이루어진 심재이송부가 설치되며, 상기 심재의 외측에 복수의 발연선을 권선시키도록 보빈과 플라이캡으로 이루어진 코일권선부가 설치되는 코일 권취장치에 있어서,
    분리되어 회전토록 설치되는 플라이캡(350)의 상부에 풀려지는 하나의 코일 장력을 조절토록 장력조절수단이 일체로 설치되는 각각의 보빈(310)이 보빈연결수단(500)을 통하여 연결되어 심재에 각각의 코일을 순차로 권취토록 설치되며, 상부에 연결되는 보빈의 플라이캡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풀려지는 코일이 심재에 권취될때 그 피치를 조절하도록 피치조절수단(4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연결수단(500)은, 연결플레이트(540)와 그 상하단에 연결되는 스핀들(170)이 각각 연결되는 고정홀(530a)을 갖는 연결블록(530)및 피치블록(510)으로서 이루어 지며, 내측에 심재가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블록(510)은, 가이드레일(510a)과 가이드(510b)를 통하여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540)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이드홀을 통하여 연결되는 손잡이에 의해 상하이송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530)에 형성되는 고정홀(530a)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스핀들의 이동이 방지토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조절수단(400)은, 지지대에 연결되는 이송가능토록 설치되는 가이드레일(410)과 상기 가이드레일(410)에 연결되면서 내측에 관통공(400a)을 갖는 조절편(4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수단(360)은 가이드롤(360b)과 지지블록에 가이드홀을 형성하여 이에 내장되는 스프링(360a-1)으로서 탄성연결되는 이송롤(360a)로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
  10. 심재를 이동시키도록 복수의 로울러로 이루어진 심재이송부가 설치되며, 상기 심재의 외측에 복수의 발연선을 권선시키도록 보빈과 플라이캡으로 이루어진 코일권선부가 설치되는 코일 권취장치에 있어서,
    플라이캡(350)이 분리되어 별도 회전토록 설치되는 하나의 보빈 상측에 보빈연결수단(500)을 통하여 상기의 보빈과 동일 구성을 갖는 다른 하나의 보빈이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보빈에 연결되는 플라이캡의 상부에 복수의 장력조절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하나의 보빈에서 풀려지는 코일과 다른 하나의 보빈에서 풀려지는 코 일을 심재에 순차로 권취토록 설치되며, 상부에 연결되는 보빈의 플라이캡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풀려지는 코일이 심재에 권취될때 그 피치를 조절하도록 피치조절수단(4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연결수단(500)은, 연결플레이트(540)와 그 상하단에 스핀들(170)이 각각 연결되는 고정홀(530a)을 갖는 연결블록(530)및 지지로울러로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310)은, 지지로울러와 상부의 가이드로울러를 통하여 장력조절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
KR1020040063642A 2004-08-12 2004-08-12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 KR100636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642A KR100636899B1 (ko) 2004-08-12 2004-08-12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642A KR100636899B1 (ko) 2004-08-12 2004-08-12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908A KR20060014908A (ko) 2006-02-16
KR100636899B1 true KR100636899B1 (ko) 2006-10-20

Family

ID=37123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642A KR100636899B1 (ko) 2004-08-12 2004-08-12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082B1 (ko) * 2010-01-03 2011-05-19 박상구 전열망의 제조방법과 전열망의 제조장치 및 그의 전열망
CN103752728B (zh) * 2014-01-28 2016-03-23 昆山库克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线圈加热装置
KR102041759B1 (ko) * 2019-07-09 2019-11-07 김종완 권선형 저항기 제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6050A (ja) 1986-02-24 1987-08-29 Toshiba Corp コイル巻回装置
JP2002249280A (ja) 2001-02-21 2002-09-03 Sony Corp 線材供給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巻線機
JP2003249133A (ja) 2002-02-22 2003-09-05 Miyazaki Iron Works Ltd 線材繰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6050A (ja) 1986-02-24 1987-08-29 Toshiba Corp コイル巻回装置
JP2002249280A (ja) 2001-02-21 2002-09-03 Sony Corp 線材供給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巻線機
JP2003249133A (ja) 2002-02-22 2003-09-05 Miyazaki Iron Works Ltd 線材繰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908A (ko)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333B1 (ko) 트로이드의 트로이덜 코일 권선장치
EP2612834B1 (en) Slack preventing device for wire rod wound around spool, and slack preventing method therefore
KR101174435B1 (ko) 와이어 감지장치
DE602007002699D1 (de) Vorrichtungen und verfahren zum wickeln von drahtspulen von dynamoelektrischen maschinenkernen
KR100636899B1 (ko) 발열케이블용 발열코일 권취장치
KR101793410B1 (ko) 와이어 이상상태의 감지가 가능한 무대장치
KR100878204B1 (ko) 동선 압연기의 권취장치
KR870002550A (ko) 토로이달 코어에 코일을 감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551803B1 (ko) 2단 코일 권선기 및 이를 이용한 2단 코일 권선 방법
KR101128362B1 (ko) 전선 가공장치
JPS586115A (ja) 環状鉄心の巻線方法および装置
CN102471029A (zh) 电梯的减振装置
KR101798484B1 (ko) 권취장력 유지기능을 구비하는 와이어 권취장치
JP5623794B2 (ja) 巻線用線材のバックテンション付与装置及びそのバックテンション付与方法
JP2004210489A (ja) 線状体の一時貯留方法および装置
US9959956B2 (en) Machine for producing transposed cable
DK1435685T3 (da) Apparat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n multipel trådvikling
JPS6225565B2 (ko)
JP2973921B2 (ja) 電線送給装置
KR100989527B1 (ko) 라인형 금속재 성형장치
JP4478929B2 (ja) 巻線装置
CN220132302U (zh) 丝线热处理装置及拉丝设备
KR200393164Y1 (ko) 코일 권취기
KR200246911Y1 (ko) 권선기의와이어장력조절장치
JPH07105754A (ja) 電線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