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095B1 -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095B1
KR100636095B1 KR1019990035843A KR19990035843A KR100636095B1 KR 100636095 B1 KR100636095 B1 KR 100636095B1 KR 1019990035843 A KR1019990035843 A KR 1019990035843A KR 19990035843 A KR19990035843 A KR 19990035843A KR 100636095 B1 KR100636095 B1 KR 100636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multimedia content
files
multimedia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9445A (ko
Inventor
정의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5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095B1/ko
Publication of KR20010019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2Delete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상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multimedia contents file)을 관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은, 복수 종류의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준비하는 단계와, 관련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들이 서로 링크되는 관계와 동기되어지는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콘텐츠 파일들을 인덱싱(indexing)하여 관련된 모든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에 대한 링크(link) 정보와 동기(synchronization) 정보가 저장된 소정의 설정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상에서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직 하나의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엑세스함으써 이에 인덱싱되어 있는 복수 종류의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들을 엑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사용자 친화적(user friendly)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메모리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Multimedia file manag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방법에 의하여 인덱싱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는 도 1의 방법의 단계(104)에 의하여 생성된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타측면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단계(302,30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복수 종류의 콘텐츠 파일을 동시에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AVI, Shackwave, 또는 Smil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포맷들은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콘텐츠들을 모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만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수많은 서로 다른 콘텐츠 파일들을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들어, 이미지, 음악, 및 가사가 모두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만드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BMP, GIF, 또는 JPEG 파일 형태의 자신이 선호하는 다수의 이미지 파일과, 가사 또는 음악의 정보를 나타낸는 텍스트 파일, 및 실제 음악을 연주하기 위한 MP3 또는 WAV 파일 형태의 사운드 파일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는 이미지, 텍스트 및 사운드 파일들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파일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와같이, 사용자는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만들기 위하여 수많은 파일들이 필요하다.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그 특성상 그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야 하고, 이들의 관계는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에 따르면, 예를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구성하는 파일들이 한 폴더에서 다른 폴더로 이동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구성하는 모든 파일들이 사용자들에게 보여진다면 사용자는 여러개의 파일을 핸들링하고 있다는 부담감과 작업상의 혼동을 느낄 수 있는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종류의 많은 파일들을 관리하는 것이 용이하지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종류의 많은 파일들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독취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준비하는 단계; 관련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들이 서로 링크되는 관계와 동기되어지는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콘텐츠 파일들을 인덱싱하여 관련된 모든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에 대한 링크 정보와 동기정보가 저장된 소정의 설정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상에서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파일은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과 확장자는 구별되고 동일한 파일명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타측면에 따른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멀 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에 대응되는 설정 파일내에 저장되어 있는 링크 정보와 동기정보에 따라관련된 모든 콘테이너 콘텐츠 파일들의 할당된 메모리 번지를 읽어오는 단계; 및 설정 파일에 기록된 인덱싱 정보에 따라 필요한 싯점에 해당 콘텐츠 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삭제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프로젝트 파일들 중에서 공유되어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은 삭제되지 않고, 멀티 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사용하는 프로젝트 파일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마지막 프로젝트 파일이 삭제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이 삭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컴퓨터 독취가능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독취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준비하는 단계; 관련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들이 서로 링크되는 관계와 동기되어지는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콘텐츠 파일들을 인덱싱하여 관련된 모든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에 대한 링크 정보와 동기정보가 저장된 소정의 설정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상에서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타측면에 따른 컴퓨터 독취가능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독취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에 대응되는 설정 파일내에 저장되어 있는 링크 정보와 동기정보에 따라관련된 모든 콘테이너 콘텐츠 파일들의 할당된 메모리 번지를 읽어오는 단계; 및 설정 파일에 기록된 인덱싱 정보에 따라 필요한 싯점에 해당 콘텐츠 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흐름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에 따르면, 먼저, 복수 종류의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준비한다(단계 100). 콘텐츠 파일로써는 예를들어 "샘플1.JPG", "샘플2.JPG", 및 "샘플3.JPG"라는 파일명을 가지는 JPEG 형식의 이미지 파일 3장과, "샘플.MP3"라는 파일명을 가지는 MP3 형식의 오디오 파일 1장, 및 "샘플.TEXT"라는 파일명을 가지는 TEXT 파일 형식의 텍스트 파일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이미지 파일, 오디오 파일, 및 텍스트 파일의 동기 정보를 포함하 도록 콘텐츠 파일들을 인덱싱하여 "샘플.CONF"라는 파일명을 가지는 설정 파일을 생성한다(단계 102). 도 2a 및 도 2b에는 도 1의 방법에 의하여 인덱싱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내었다.
도 2a를 참조하면, "샘플"이라는 폴더명의 디렉토리상에는 "샘플1.JPG", "샘플2.JPG", 및 "샘플3.JPG"라는 파일명을 가지는 JPEG 형식의 이미지 파일 3장과, "샘플.MP3"라는 파일명을 가지는 MP3 형식의 오디오 파일 1장, 및 "샘플.TEXT"라는 파일명을 가지는 TEXT 파일 형식의 텍스트 파일이 준비되어 있다. "샘플"이라는 폴더명의 디렉토리상에는 또한 단계(102)에 의하여 인덱싱됨으로써 생성된 "샘플.CONF"라는 파일명을 가지는 설정 파일이 포함되어 있다. 즉, "샘플.CONF"라는 파일명을 가지는 설정 파일에는 관련된 모든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에 대한 링크 정보와 동기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샘플.CONF"라는 파일명을 가지는 설정 파일에는 인덱싱에 의하여 JPEG 형식의 파일들이 하나의 동일한 "샘플_JPG"라는 폴더명을 가지는 것으로 인식되도록 설정 정보가 저장된다.
다음에는,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상에서 아이콘으로 표시되고 "샘플.CONF"라는 파일명을 가지는 설정 파일에 링크되고 "샘플. PJT"라는 파일명을 가지는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생성한다(단계 104). 도 2c에는 단계(104)에 의하여 생성된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의 일예를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과, 상기 파일에 링크된 복수 종류를 가지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들은 이하에서 기술되어지는 본 발명의 타측면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에 따라 더욱 효율적 관리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타측면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흐름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타측면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에 따르면, 먼저,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도 1의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샘플.PJT" 파일을 선택한다(단계 300). 도 4에는 이와같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샘플.PJT" 파일을 선택하는 과정을 화면으로써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화면(40)상의 파일 선택 영역(42) 상에서 "샘플.PJT" 파일에 해당하는 아이콘(44)을 마우스 커서(46)를 선택한다.
이제, "샘플. PJT"라는 파일명을 가지는 파일에 대응되는 "샘플.CONF"라는 파일명을 가지는 파일로부터 모든 콘테이너 콘텐츠 파일들의 할당된 메모리 번지를 읽어온다(단계 302). 다음에는, "샘플.CONF" 파일내에 기록된 인덱싱 정보에 따라 필요한 싯점에 해당 콘텐츠 파일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304). 도 5에는 도 3의 단계(302,30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샘플. PJT"이라는 파일명을 가지는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이하 프로젝트 파일이라 칭한다)을 선택하면, 애플리케이션은 이에 대응되는 "샘플.CONF"라는 파일(550)을 어드레스(XX600 ~ XX699) 번지로 부터 엑세스한다. 이제, 애플리케이션은 "샘플.CONF" 파일(550)내에 저장되어 있는 링크 정보와 동기정보에 따라 "샘플.CONF"라는 파일(550)에 링크되어 있는 복수 종류의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들을 읽어들인다. 이로써, 어드레스(XX000 ~ XX199) 번지 상에는 JPEG1 파일(510)이 저장되고, 이어서, 별도로 어드레스를 나타내지 않은 번지상에는 JPEG2 파일(512)과, JPEG3 파일(514)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어드레스(XX200 ~ XX399) 번지 상에는 TEXT1 파일(520)이 저장되고, 이어서, 별도로 어드레스를 나타내지 않은 번지상에는 TEXT2 파일(512)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어드레스(XX400 ~ XX599) 번지 상에는 MP3 파일(540)이 저장되어 있다. 이로써, 애플리케이션은 설정 파일에 저장된 인덱싱 정보에 따라 필요한 싯점에 해당 콘텐츠 파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예를들어, 상기 프로젝트 파일("샘플.PJT")과 동일한 JPEG 파일을 포함하는 다른 프로젝트 파일을 선택하는 경우, 이 JPEG 파일은 실제로 하나의 메모리 번지 영역에 동일한 JPEG 파일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젝트 파일의 수에 해당하는 만큼 JPEG 파일을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아도 되므로 리던던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프로젝트 파일을 삭제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프로젝트 파일들 중에서 공유되어 사용되는 JPEG 파일은 삭제되지 않지만, JPEG 파일을 사용하는 프로젝트 파일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마지막 프로젝트 파일이 삭제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JPEG 파일이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오직 하나의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엑세스함으로써 이에 인덱싱되어 있는 복수 종류의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들을 엑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사용자 친화적(user friendly) 인터페이 스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직 하나의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엑세스함으써 이에 인덱싱되어 있는 복수 종류의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들을 엑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사용자 친화적(user friendly)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메모리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준비하는 단계;
    관련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들이 서로 링크되는 관계와 동기되어지는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콘텐츠 파일들을 인덱싱하여 관련된 모든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에 대한 링크 정보와 동기정보가 저장된 소정의 설정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상에서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파일은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과 확장자로서 구별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파일은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과 확장자는 구별되고 동일한 파일명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3.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에 대응되는 설정 파일내에 저장되어 있는 링크 정보와 동기정보에 따라관련된 모든 콘테이너 콘텐츠 파일들의 할당된 메모리 번지를 읽어오는 단계; 및
    설정 파일에 기록된 인덱싱 정보에 따라 필요한 싯점에 해당 콘텐츠 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삭제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프로젝트 파일들 중에서 공유되어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은 삭제되지 않고, 멀티 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사용하는 프로젝트 파일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마지막 프로젝트 파일이 삭제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이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5.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독취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준비하는 단계;
    관련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들이 서로 링크되는 관계와 동기되어지는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콘텐츠 파일들을 인덱싱하여 관련된 모든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에 대한 링크 정보와 동기정보가 저장된 소정의 설정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상에서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취 가능 기록 매체.
  6.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독취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에 대응되는 설정 파일내에 저장되어 있는 링크 정보와 동기정보에 따라관련된 모든 콘테이너 콘텐츠 파일들의 할당된 메모리 번지를 읽어오는 단계; 및
    설정 파일에 기록된 인덱싱 정보에 따라 필요한 싯점에 해당 콘텐츠 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취 가능 기록 매체.
  7.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단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삭제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프로젝트 파일들 중에서 공유되어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은 삭제되지 않고, 멀티 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사용하는 프로젝트 파일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마지막 프로젝트 파일이 삭제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이 삭제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취 가능 기록 매체.
KR1019990035843A 1999-08-27 1999-08-27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방법 KR100636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843A KR100636095B1 (ko) 1999-08-27 1999-08-27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843A KR100636095B1 (ko) 1999-08-27 1999-08-27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445A KR20010019445A (ko) 2001-03-15
KR100636095B1 true KR100636095B1 (ko) 2006-10-19

Family

ID=1960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843A KR100636095B1 (ko) 1999-08-27 1999-08-27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312B1 (ko) 2002-05-06 2010-10-13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상이한 디바이스 능력들에 대한 영상 콘텐트 재구성과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581B1 (ko) * 2001-06-20 2004-10-14 (주)잉카엔트웍스 인터넷 사이트의 컨텐츠 자료를 개인용 정보 처리기로 오토 싱크하는 싱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자료 동기화 방법
KR20040051285A (ko) * 2002-12-12 2004-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릿이 링크된 마크업 문서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50092688A (ko) * 2005-08-31 2005-09-22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합 멀티미디어 파일 포맷 구조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0276B1 (ko) * 2006-05-04 2007-03-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서의 누실된 인덱스 정보 재생성방법 및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US8725443B2 (en) 2011-01-24 2014-05-13 Microsoft Corporation Latency measurement
US8988087B2 (en) 2011-01-24 2015-03-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screen testing
US9378389B2 (en) 2011-09-09 2016-06-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hared item account selection
US9785281B2 (en) 2011-11-09 2017-10-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coustic touch sensitive testing
WO2013111930A1 (ko) * 2012-01-25 2013-08-01 (주)티비스톰 시연 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시연 시스템 및 방법
US9317147B2 (en) 2012-10-24 2016-04-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testing tool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21A (ja) * 1991-06-26 1993-01-08 Fujitsu Ltd マルチメデイアデータフアイルの結合方式
JPH05241930A (ja) * 1992-03-03 1993-09-21 Fujitsu Ltd ファイル管理方式
JPH05298148A (ja) * 1992-04-22 1993-11-12 Toshiba Corp ファイル作成装置
JPH0756781A (ja) * 1993-08-20 1995-03-03 Fujitsu Ltd ファイル管理方式
US5430872A (en) * 1993-03-12 1995-07-04 Asymetrix Corporation Verifying multimedia linking for a multimedia presentation
US5574905A (en) * 1994-05-26 1996-11-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editing and data recovery
KR20020064888A (ko) * 1999-10-22 2002-08-10 액티브스카이 인코포레이티드 객체 지향형 비디오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21A (ja) * 1991-06-26 1993-01-08 Fujitsu Ltd マルチメデイアデータフアイルの結合方式
JPH05241930A (ja) * 1992-03-03 1993-09-21 Fujitsu Ltd ファイル管理方式
JPH05298148A (ja) * 1992-04-22 1993-11-12 Toshiba Corp ファイル作成装置
US5430872A (en) * 1993-03-12 1995-07-04 Asymetrix Corporation Verifying multimedia linking for a multimedia presentation
JPH0756781A (ja) * 1993-08-20 1995-03-03 Fujitsu Ltd ファイル管理方式
US5574905A (en) * 1994-05-26 1996-11-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editing and data recovery
KR20020064888A (ko) * 1999-10-22 2002-08-10 액티브스카이 인코포레이티드 객체 지향형 비디오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5002521 *
1020020064888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312B1 (ko) 2002-05-06 2010-10-13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상이한 디바이스 능력들에 대한 영상 콘텐트 재구성과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445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238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s using icon images
RU2376630C2 (ru) Файловая система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элементов различных типов и из различных физических местоположений
JP3460597B2 (ja) 複合文書管理システム及び複合文書の構造管理方法ならびに複合文書構造管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KR100613788B1 (ko) 파일 관리 방법
US5740445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generating directory information to manage a file using directories
US20020073105A1 (en) File management method, content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content recording program
US20060288044A1 (en) File management device, file management method, file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 file management method program
US6330567B1 (en) Searching system for searching files stored in a hard disk of a personal computer
US20020051641A1 (en) Electronic camera apparatus and file management method
KR100636095B1 (ko)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방법
KR100477844B1 (ko) 화일 관리 방법,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기록/재생 장치, 및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2763096B2 (ja) 電子ファイリング装置
JPWO2004081794A1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用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1086023A (ja) 記憶が曖昧な情報の検索が可能なコンピュータ
JP4110316B2 (ja) ファイル表示装置
KR20030069278A (ko) 사용자의 mp3 파일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광디스크재생 장치 및 방법
RU2351981C2 (ru) Расширяемое создание и редактирование объединенных наборов
JPH1115708A (ja) ディレクトリ情報管理方法、および、その処理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714899B2 (ja) 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
JP4312170B2 (ja) 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
JP2000010993A (ja) 文書記憶検索方法および文書記憶検索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H0785079A (ja) 情報ファイルの管理装置
JP2005157768A (ja) 電子ファイル保存方法及び実施装置並びに処理プログラム
JP2002244900A (ja) 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
JP2000132439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のハードディスクに記憶されたファイルを検索する検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