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518B1 - 분산 보정을 갖는 방송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산 보정을 갖는 방송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518B1
KR100635518B1 KR1020017014547A KR20017014547A KR100635518B1 KR 100635518 B1 KR100635518 B1 KR 100635518B1 KR 1020017014547 A KR1020017014547 A KR 1020017014547A KR 20017014547 A KR20017014547 A KR 20017014547A KR 100635518 B1 KR100635518 B1 KR 100635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ar
circuit
distort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5021A (ko
Inventor
에드윈 레이 트윗첼
로버트 플론카
Original Assignee
해리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리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해리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2009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366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undesirabl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 H04L27/367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undesirabl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using predistortion
    • H04L27/368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undesirabl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using predistortion adaptive predistor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4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 H03F1/3247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using feedback acting on predistor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7Separate feedback of real and complex signals being pres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1/00
    • H03F2201/32Indexing scheme relating to 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2201/3233Adaptive predistortion using lookup table, e.g. memory, RAM, ROM, LUT, to generate the predist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mplifiers (AREA)
  • Transmitter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전송시스템(14)은 정보신호를 방송한다. 시스템(14) 내에서, 몇 개의 부품(20-24)은 신호가 방송 안테나를 향하여 처리되고 진행됨으로써 정보신호에 왜곡을 일으킨다. 특히, 왜곡을 일으키는 부품(20-24)의 집단은 제 1 집단으로써 식별되고, 안테나를 향한 신호경로(12)를 따라서 순서대로 배열된다. 제 1 부품(20-24)의 집단은 증폭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의도된 값으로부터 왜곡이동으로 정보신호를 받는다. 제 2 부품(28-32)의 집단은 제 1 부품의 집단에 의하여 일어난 왜곡이동을 보상하기 위하여 정보신호를 보정한다. 제 2 부품(28-32)의 집단은 제 1 부품(20-24)의 집단의 상위 스트림에 위치한다. 제 2 부품(28-32)의 집단은 왜곡의 발생에 대하여 역순으로 왜곡을 보상하기 위한 정보신호를 보정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선형등화기, 비선형보정기, 필터, 왜곡, 전력증폭기, 정보신호

Description

분산 보정을 갖는 방송 전송 시스템{BROADCAST TRANSMISSION SYSTEM WITH DISTRIBUTED CORRECTION}
본 발명은 방송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텔레비젼(DTV) 전송시스템과 같은 디지털 전송시스템 내의 왜곡을 보상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TV방송 시스템과 같은 고속 방송 전송 시스템은 의도하는 값으로부터 정보신호를 왜곡하는 부품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시스템에는 신호가 증폭될 때에, 신호에 비선형 왜곡을 일으키는 전력증폭기가 포함된다. 또한, 방송 전송 시스템에는 정보 신호가 필터처리될 때에, 신호에 선형 왜곡을 일으키는 대역-제한 필터등의 필터가 포함된다.
전송시스템 내의 이러한 왜곡의 결과로써, 순간 진폭 및 위상 변화(AM/AM, AM/PM) 및 주파수 의존성 진폭 및 위상 변화(주파수 응답 및 집단 지연)가 발생한다. 따라서, 위상 진폭 변조 시스템 내에 있어서, 최적의 시스템 성능을 위하여 시스템의 진폭 및 위상의 보전을 고려해야만 한다.
종래의 텔레비젼 시스템 등화는 정적특성의(비-적응형) 아날로그, 전치-왜곡 등화기(pre-distortion equalizer) 및 보정기에 의하여 수행되어 왔다. 이러한 등화기 및 보정기는 소망의 전치왜곡(전치등화)의 양을 제공하기 위해 공장단계 보정이 요구된다. 그러나, 등화기 및 보정기의 노쇠화, 그리고 온도 변화는 등화기 및 보정기에 의하여 일어난 전치-왜곡의 양의 변동을 일으킨다. 따라서, 때때로 현장단계 보정이 요구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은 정보신호의 전치왜곡의 향샹된 성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가 적응형 보정 및 등화 접근방식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적응형 접근 방식은 공장단계 및 현장단계 보정을 필요없게 만든다.
안테나를 향한 신호 흐름 내에서 신호의 적응형 보정을 수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비교적 고속의 데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보정은 짧은 시간 내에 비교적 많은 양의 처리를 행할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알려진 기술중 하나는 모든 왜곡(즉, 선형 및 비선형)은 단일단계에서 보정하는 것이다.
이와 다른 기술에서는, 안테나를 향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부품마다 시스템 내에서 일어나는 왜곡보정이 실시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부품에 대하여, 부품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그 부품들에 의하여 일어난 왜곡의 양을 판단하기 위해서 감시된다. 그런 다음, 그 부품들에 대하여 보정이 실시된다. 그 후에, 바로 뒤의 부품은 그 부품들에 대하여 보정을 실시하기 위해서 감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시간 낭비이고 종종 높은 전송속도 흐름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더욱이, 이러한 시스템 내에서 주파수의 진폭 또는 집단 지연 변화는 순간 증폭 및 위상 변화로 잘못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전송 시스템 내의 선형 및 비선형에 적용할 수 있는 보정에 대한 고속 기술이 필요하다.
삭제
본 발명에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신호 상에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정보신호를 의도된 값으로부터 왜곡이동시키도록 순차배열된 제 1 복수의 부품들과, 상기 제 1 복수의 부품들의 상위 스트림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복수의 부품들에 의해 일어난 상기 왜곡이동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왜곡의 발생 순서의 역순으로 상기 정보신호를 보정하도록 순차배열된 제 2 복수의 부품들로 구성된 정보신호를 방송하는 전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정보신호를 제공하는 전송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를 갖는 제 1 복수의 부품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 1 복수의 부품은 정보신호상에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고, 각각의 제 1 복수의 부품들은 정보신호를 의도된 값으로부터 왜곡이동시킨다. 이 시스템은 제 1 복수의 부품들에 의하여 일어난 왜곡 이동을 보상하기 위해 정보신호를 보정하는 제 2 복수의 부품들을 포함한다. 이 제 2 복수의 부품은 제 1 복수의 부품들의 상위 스트림에 위치한다. 제 2 복수의 부품들은 정보신호를 보정하여 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왜곡의 발생순서의 역순으로 순차배열된다.
본 발명은 또한 송신되는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를 처리하는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젼 무선 주파 전송시스템을 포함한다;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를 아날로그 형식으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텔레비젼 아날로그 신호에 의하여 무선 주파 반송파를 변조하는 업 컨버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주파 필터 회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주파 증폭회로, 변조된 무선 주파 반송파 텔레비젼 신호로 선형 및 비선형 왜곡되는 상기 필터 및 증폭기 회로, 출력 신호를 낮은 주파수로 변환하는 상기 필터 및 증폭기 회로로부터 무선 주파 반송파 텔레비젼 신호 출력을 수신하는 다운컨버터, 상기 필터 및 증폭기 회로로부터 낮은 주파수로 변환된 아날로그 텔레비젼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그리고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로 적용되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상기 입력 회로 사이에서 연결된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왜곡 보상 회로도,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로 선형 및 비선형 보상을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텔러비젼 신호를 보정하는 상기 필터 및 증폭기 회로의 출력에 따른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응답하는 상기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왜곡 보상 회로도,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로 적용되는 보상순서 등을 포함한다. 좀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순차적 배열에서 제 1 복수의 부품들을 포함하는 전송시스템을 제공한다. 각각의 제 1 복수의 부품들은 정보신호상에 소정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 1 복수의 부품들의 제 1 부품은 정보신호를 의도된 값으로부터 선형 왜곡 이동시킨다. 제 1 복수의 부품들의 제 2 부품은 정보신호를 의도된 값으로부터 비선형 왜곡 이동시킨다. 이 시스템은 제 1 복수의 부품들의 상위 스트림에 위치하는 제 2 복수의 부품들을 포함한다. 제 1 복수의 부품들은 제 1 복수의 부품들에 의하여 일어난 왜곡 이동을 보상하기 위하여 정보신호를 보정한다. 제 1 복수의 부품들의 제 1 부품은 선형 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정보신호를 보정한다. 제 2 복수의 부품들의 제 2 부품은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정보신호를 보정한다. 제 2 복수의 부품의 제 1 및 제 2 부품은 왜곡 발생의 역순서로 왜곡을 보상하는 정보신호를 보정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다른 면은, 본 발명은 정보신호를 제공하고 정보신호가 안테나를 향해서 진행되는 신호경로를 갖는 전송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 내에서, 제 1 부품은 신호경로에 위치하고 정보신호상에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 1 부품은 정보신호를 의도된 값으로부터 비선형 왜곡 이동시킨다. 제 2 부품은 신호경로에 위치하고 정보신호상에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부품은 정보신호를 의도된 값으로부터 선형 왜곡 이동시킨다. 제 3 부품은 신호경로에 위치하고 정보신호상에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부품은 정보신호를 의도된 값으로부터 선형 왜곡 이동시킨다. 제 2 및 제 3 부품은 신호경로를 따라서 제 1 부품의 상위 스트림 또는 하위 스트림에 함께 위치한다. 제 4 부품은 신호경로에 위치하고 제 1 부품에 의하여 일어난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정보신호를 보정한다. 제 5 부품은 신호경로에 위치하고 제 2 부품에 의하여 일어난 선형 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정보신호를 보정한다. 제 6 부품은 신호경로에 위치하고 제 3 부품에 의하여 일어난 선형 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정보신호를 보정한다. 제 5 및 제 6 부품은 신호경로를 따라서 제 4 부품 상위 스트림 또는 하위 스트림에 함께 위치한다. 제 4 부품과 대응하는 제 5 및 제 6 부품의 상위 스트림/하위 스트림 위치는 제 1 부품과 대응하는 제 2 및 제 3 부품의 상위 스트림/하위 스트림 위치와 반대이다.
또 다른 면에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 주파 전송시스템의 왜곡 보상 회로를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디지털 신호를 수신처리하는 입력신호, 아날로그형식으로 이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그리고 아날로그 신호에 의하여 무선 주파 반송파를 변조하는 업 컨버터를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주파 필터회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무선 주파 증폭회로를 포함한다. 이 필터 및 증폭기 회로는 변조된 무선 주파 반송파에 선형 및 비선형 왜곡을 부가한다. 이 배열은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에 적용되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와 입력회로 사이에 연결된 적응형 디지털 신호 왜곡 보상 회로도를 포함한다. 적응형 디지털 신호 왜곡 보상 회로도는 디지털 신호로 선형 및 비선형 보상을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를 보정하는 무선 주파 필터 및 증폭회로로부터 출력신호로 응답한다. 디지털 신호에 적용되는 보상 순서는 필터 및 증폭기 회로가 연결된 역순서와 같다.
또 다른 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젼 라디오 주파수 전송시스템을 제공한다. 입력회로는 송신된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를 처리한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는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를 아날로그 형식으로 변환한다. 업컨버터는 텔레비젼 아날로그 신호에 의하여 무선 주파 반송파를 변조한다. 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필터 회로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주파수 증폭회로를 포함한다. 이 필터 및 증폭기 회로는 변조된 무선 주파수 반송파 텔레비젼 신호에 선형 및 비선형 왜곡을 부가한다. 다운컨버터는 출력신호를 낮은 주파수로 변화하는 필터 및 증폭기 회로로부터 출력 무선 주파수 반송파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한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는 낮은 주파수로 변환된 아날로그 텔레비젼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필터 및 증폭기 회로로부터 변환한다. 적응형 디지털 신호 왜곡 보상 회로도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로 적용되기 위해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입력 신호 사이에 연결된다. 적응형 디지털 신호 왜곡 보상 회로도는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로 선형 및 비선형 보상를 제공하기 위하여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를 보정하는 필터 및 증폭기 회로의 출력에 대응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부터 디지털 신호에 응답한다.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에 적용된 보상 순서는 필터 및 증폭기 회로가 연결된 역순서와 같다.
본 발명은 다음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순차배열된 부품들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활용된 예시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증폭기 이동곡선 그래프이다.
도 4는 증폭기 출력을 선형화하기 위해 제공된 보정의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열을 기술한 도 2에서 보여준 장치의 부분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수학적 모델로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것은 데이터 흐름 경로(12)를 따라서 순차적으로 위치한 복수의 부품들로써 도 1에서 함수 블럭 형태로 나타난 장치(10)이다. 데이터 흐름 경로(12)는 비교적 높은 속도에서 송신되는 정보 데이터 신호를 위한 것이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데이터 신호는 비교적 넓은 대역(즉, 18MHz)을 갖는다.
높은 전송속도와 대역폭은 장치(10)가 위치하는 시스템 환경과 관련있다. 특히, 장치(10)는 바람직하게 도 2에서와 같이 고선명(HD)디지털 텔레비젼(DTV) 시스템(14)의 일부분이다. 디지털 텔레비젼은 바람직하게 무선 주파수 범위에서 신호를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서, 방송신호는 최고 주파수 범위(300-3000MHz)이고, 바람직하게는 470-860MHz범위 내이다. 이와 관련된 부분에서 디지털 텔레비젼 시스템(14)은 8VSB 여자기(16) 및 송신기(18)를 포함한다.
도 1 에서의 장치(10)의 부품들은 도 2 의 8VSB 여자기(16) 및 송신기(18) 내에 위치한다. 특히, 송신기(18, 도 1)는 전력증폭기(20), 증폭기의 상위 스트림에 위치하는 전치증폭필터(22), 그리고 증폭기의 하위 스트림에 위치하는 후치증폭필터(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치증폭필터(22)는 입력필터로서 간주하고, 후치증폭필터는 고전력필터로서 간주한다. 송신기(18)는 다른 부품들도 포함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전력증폭기(20)는 RF신호의 방송전송에 적합한 전력수준으로 정보신호를 증폭한다. 한 예로, 증폭된 전력수준은 50KW이다. 또한 전력증폭기(20)는 증폭장치 배열로 구성된다. 만약 복수의 증폭장치가 전력증폭기(20) 내에 존재한다면, 결합장치는 증폭기 장치 출력을 결합하기 위하여 고전력필터(24)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이는 다양한 증폭기 형태가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고, 고전력필터는 결합회로도와 같이 적합한 부가적 부품들을 둘러싼다.
이론적으로 "이상적인" 시스템을 살펴보면, 모든 송신기의 부품은 이상적이다. 특히, 시스템의 전력증폭기는 이상적이고 이상적인 증폭기의 이동곡선은 선형이다. 도 3의 점선은 이상적 이동곡선의 예를 보여준다. 따라서, 이러한 이상적인 시스템 내에서 주어진 전 증폭전력수준을 갖는 정보신호는 증폭기에 의하여 소정의 전력 수준으로 증폭되고 오직 증폭량을 지시하는 선형관계에 근거한다. 또한 이상적인 시스템의 필터는 어떤 왜곡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장치(10)의 실전력증폭기(20)는 이상적이지 않고 증폭기의 실전력 이동곡선도 선형이 아니다. 비선형 왜곡은 정보신호가 증폭하는 동안에 정보신호상에 전력증폭기(20)에 의하여 일어난다. 특히, 비선형 왜곡은 순간적 진폭 및 위상 변화에서 변화되는 것과 직접 관련있다. 도 3의 실선은 실제 이동곡선의 예를 보여준다. 따라서, 전력증폭기(20)로 인한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서 보정이 정보신호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도 4의 실선은 보정의 한 예이다.
또한, 송신기(18)의 필터(22, 24)는 정보신호의 선형 변형을 일으킨다. 입력필터(22)는 제 1 선형 왜곡을 일으키고 고전력필터(24)는 정보신호에 제 2 선형 왜곡을 일으킨다. 특히, 고전력필터(24)에 의하여 일어난 왜곡은 집단 지연과 진폭 응답(즉. 진폭 변화 대 주파수)과 직접 관련있다. 따라서, 보상을 위하여, 송신기(18)내의 몇 개의 부품(20-24) 각각에 대하여 보정 또는 등화의 양을 정보신호에서 실시해야 한다.
이론적으로 이상적인 시스템을 다시 참조하면, 정보신호상에서 일어나는 어떠한 동작(즉, 증폭 또는 여과)은 시불변이다. 구체적으로, 이상적인 시스템에서는, 정보신호 상에서 일어난 동작이 시간에 따라 변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어진 입력자극에 대하여 이상적인 시스템은 항상, 입력자극이 발생하는 시간과 독립적인 동일한 출력을 생성한다.
그러나, 현실상의 송신기(18)는 시변이다. 구체적으로, 주어진 입력자극에 대하여 송신기(18)에 의하여 제공되는 출력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동한다. 시변의 한 원인은 송신기(18) 내의 열적 효과때문이다. 열적 효과는 정보신호에 전력증폭기(20) 및 필터(22, 24)로 인한 신호 변형량의 변화를 일으킨다. 따라서, 모든 변형(즉, 선형 및 비선형)을 보상하고 변형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는 송신기(18)내의 부품(20-24)때문에 일어나는 세 개의 왜곡을 위한 8VSB 여자기(16) 내에 세 개의 보정기 또는 등화기 부품(28-32)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적응형 비선형 보정기(28)(예, 전치등화 회로도)는 전력증폭기(20)로 인한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신호에 전치왜곡을 일으킨다. 적응형 선형등화기(30)(예, 전치보정 회로도)는 입력필터(22)로 인한 선형왜곡을 보상하기 위한 정보신호에 전치왜곡을 일으킨다. 적응형 선형 등화기(32)(예, 전치등화 회로도)는 고전력필터(24)로 인한 선형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정보신호에 전치왜곡을 일으킨다. 일괄적으로, 선형등화기(32), 비선형보정기(28), 선형등화기(30)는 적응형 디지털 신호 왜곡 보상 회로도로서 기능한다.
선형등화기(32), 비선형보정기(28), 선형등화기(30)는 전치왜곡(또는 전치보정)이 왜곡이 발생하는 순서의 역순으로 순차적으로 일어나도록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고전력필터(24)로 인한 선형왜곡이 마지막으로 발생하기 때문에(즉, 모든 다른 왜곡으로부터 하위 스트림위치), 선형등화기(32)에 의하여 일어난 선형 전치왜곡은 먼저 발생한다. 전력증폭기(20)에 의하여 일어난 비선형왜곡이 두번째로 발생하기 때문에 비선형 보정기(28)에 의하여 일어난 비선형 전치왜곡은 두번째로 발생한다. 입력필터(22)로 인한 왜곡이 먼저(즉, 전력증폭기 (20) 및 고전력필터(24)로 인한 왜곡이 우선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선형등화기(30)에 의하여 일어난 선형 전치왜곡은 세번째로(즉, 선형등화기(32)로부터 전치왜곡 및 비선형보정기(28)의 전치왜곡 후에)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치왜곡의 역순은 여러가지 문제에 근거한다. 첫째로, 선형효과 및 비선형 효과는 서로 혼합될 때, 중첩의 속성을 유지하지 않는다(즉, 서로 교환될 수 없다). 두번째로 스스로 선형 함수는 비선형 효과가 존재하지 않을 때 중첩의 속성을 유지한다. 셋째로 이상적인 "시스템"(고려하여 집단화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으로 된 "시스템")은 다른 선형 시스템 또는 비선형 시스템과 자유자재로 섞일 수 있다. 즉, 중첩은 이상적인 시스템과 어떤 다른 형태의 시스템에서 유지된다. 이 문제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수학적 설명이 제공된다. 전력증폭기와 같은 비선형 요소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Figure 112001029611059-pct00001
x(t)를 위에서 주어진 임의의 변조된 신호라 하면
Figure 112001029611059-pct00002
여기서, p(t)는 베이스밴드 변조 신호,
ω는 반송파 주파수,
θ는 고정된 위상 오프셋 이다.
간단하게 3차 시스템으로 가정하면:
Figure 112001029611059-pct00003
Figure 112001029611059-pct00035
오직 홀수 차수항만이 기본 진폭을 제공한다. 대역필터가 DC 항과 고조파 항을 제거한다고 가정하면, 일반 신호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 신호로 간략화될 수 있다:
Figure 112001029611059-pct00004
{k=1, 3, 5, ...}
선형시스템에 대하여 비선형을 적절하게 하기 위해, ak 항은 pk(t) 항이 무한대에 접근하는 것보다 빠르게 0에 접근한다. 이것은 시스템의 차수의 한계를 고정한다. 주어진 예에서 이러한 형태의 시스템의 특성은 다소 직선적이며, 비교적 작은 수의 계수 확인기가 필요하다.
도 9는 단계적인 보정시스템을 보여준다. 다음과 같이 주어진 2차 비선형시스템인 w(t)를 선택하면:
Figure 112001029611059-pct00005
또한, 만약 v(t)가 다음과 같이 주어진 임의의 차수의 비선형 다항식 보정기라면:
Figure 112001029611059-pct00006
만약 단계적인 시스템의 출력이 입력의 선형함수으로 바람직하다면, 즉, y(t)=Ax(t)이고, 여기서 A는 스칼라 값이다(간단한 개체라고 가정).
이 시스템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1029611059-pct00007
Figure 112001029611059-pct00008
Figure 112001029611059-pct00009
등식의 정확한 답은 없지만, 근사값은 구체적인 차수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략 2차의 답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1029611059-pct00010
Figure 112001029611059-pct00011
비록 이 근사값은 제 2차항을 제거하지만, 더 높은 차수의 항을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이 보정기술은 전치보정의 차수와 같거나 적은 비선형의 인위적인 항을 보상한다. 높은 차수의 인위적인 항은 생성되고, 가장 높은 것은 결합된 비선형 시스템과 전치보정과의 합이다. 이 근사값은 높은 차수항이 작은 정도에서 사용된다.
선형시스템을 참고로 하여, 어느 선형시스템도 일반적인 과정에 의하여 예가 될 수 있다:
Figure 112001029611059-pct00012
이 시스템의 보정은 역함수를 필요로 한다. 즉:
Figure 112001029611059-pct00013
G(z)으로 주어진 형태의 다항식에서, H(z)의 역함수는 존재한다. 그러나, 이 역함수가 안정하다는 보장은 없다. 일반적인 관례는 안정성을 확신하는 역시스템의 근사값을 실행하는 것이다. 역시스템의 차수는 성능 및 처리 공급의 문제가 된다.
단계적 선형 및 비선형 시스템의 보정은 더욱 어려운 과제를 제공한다. 가장 어려운 과제는 시스템 보정기의 차수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런 형태의 시스템에서 차수는 덧셈형식이기 보다는 곱셈형식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비선형 및 주파수에 의존하는 시스템 모두를 위한 볼테라 급수(Volterra series) 전개식은 일반적인 이산 형식으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1029611059-pct00014
차수에서 합은 : k=1...무한대
Figure 112001029611059-pct00015
...
Figure 112001029611059-pct00016
이런 형태의 시스템은 HDTV와 같이 고속시스템으로 비싸고 복잡한 모델로 더 높은 차수가 요구된다.
단계적인 선형 및 비선형 시스템의 예는 도 12와 같고, 여기서 h(n)은 m+1차의 선형시스템이다. 이것의 이동함수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1029611059-pct00017
시스템w(n)은 k+1차 비선형시스템으로 가정된다. 이 시스템의 이동함수는 다 음과 같다:
Figure 112001029611059-pct00018
일반적으로 단계적 시스템의 이동함수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1029611059-pct00019
Figure 112001029611059-pct00020
Figure 112001029611059-pct00021
시스템의 차수는 k+m+2 라기 보다는 (k+1)(m+1)이다. 비용 및 복잡성은 현저한 차수의 고속시스템을 금지하게 된다. 상기 혼합된 시스템이 일으키는 문제는 시스템 보정을 분산함으로써 어느 정도 피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된 두 개의 시스템을 살펴본다. 도 11에서의 시스템은 선형 및 비선형 시스템 함수 모두를 전치왜곡하기 위하여 단일 블럭을 사용한다. 전치왜곡 V-1[h(n),w(n)]는 단계적 선형 및 비선형 시스템 상에 주어진 식의 반대를 나타낸다. 보정이 요구되는 차수는 위에서 가리킨 것과 같이 (k+1)(m+1)이다. 도 12의 시스템은 선형 및 비선형 블럭w-1(n)및 h-1(n)사이에서 각각 보정을 분배한다.
h-1(n)보정기는 오직 h(n)의 선형 보정 제공을 요구한다. 검토를 목적으로 비록 식이 변한다해도, 사용된 차수는 h(n)의 차수와 같다고 가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차수는 m으로 주어진다. h-1(n)이 h(n)으로 완전하게 보정됐다고 주어지면, 남은 시스템 동작은 전체적으로 비선형이다. 이것은 더 낮은 차수 보정기를 고려한다. 등화기가 요구된 차수는 필터의 형태, 요구되는 성능, 안정성 등을 포함하는 많은 것들에 좌우되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요구되는 비선형 보정기의 차수는 더 높은 차수 효과(a1이 0으로 가는 속도)의 함수이다. 경험상의 일반적인 규칙은 비선형 시스템의 차수의 두배이다. 높은 차수 시스템에서, 이 접근의 장점은 쉽게 보여진다.
시스템(14) 내에서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의 더 자세하게 기술된 예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특히, 8VSB 여자기(16) 내의 다른 여자기 부품(36)은 선형등화기(32)로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보여준다. 한 실시예에서, 선형등화기(30)로 입력되는 정보 데이터 흐름은 전기 신호가 변조된 위상 진폭 내에서 정의된 32 바이트(byte) 워드(word)로 구성된다.
선형등화기(32)는 바람직하게 고전력필터(24)로 인한 선형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정보신호를 전치 보상하거나 전치 등화하는 적합한 구조를 갖는 FIR 디지털 필터이다. 선형등화기(32)는 고전력필터(24)로 인한 선형 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정보신호를 전치 보상하거나 전치 동화하는 적합한 구조를 갖는 FIR 디지털 필터이다. 선형 등화기(32)는 프로그램 처리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거나 이를 포함하고, 이산 배선 회로로 구성되거나 이를 포함한다. 그 밖의 다른 필터 형태도 채택될 수 있다(예를 들어, IIR, FIR과 IIR의 조합 또는 심지어 아날로그 필터).
정보신호는 선형등화기(32)로부터 비선형보정기(28)로 통과한다. 비선형보정기(28)은 전력증폭기(20)로 인한 비선형을 보상하기 위하여 신호를 전치왜곡하는(즉, 전치 보상하거나 전치 등화하는) 모든 적합한 구조를 갖는다. 특히, 비선형 보정기(28)는 메모리 내에서 보정값의 집합을 상례적으로 갱신하기 위하여 되풀이하거나 경험적인 접근을 사용하는 선형 구분(piecewise) 보정 곡선을 일으킨다. 따라서, 비선형 보정기는 프로그램 처리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거나 이를 포함하고, 이산 배선 회로로 구성되거나 이를 포함한다.
비선형 보정기(28)의 출력은 선형등화기(30)로 제공된다. 선형등화기(30)는 입력필터(22)로 인한 선형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신호를 전치왜곡하는 모든 적합한 부품을 갖는다. 한 실시예에서, 선형등화기(30)의 구조와 기능은 다른 전치 왜곡이 일어나는 것을 제외하고는 선형등화기(32)의 구조 및 기능과 같다. 선형등화기(30)의 출력은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 40)로 제공된다.
정보신호는 DAC(40)와 업컨버터(42)를 통해서 진행되고, 변조된 무선 주파수 신호로써 정보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로컬발진기(44)에 의하여 구동된다. 변조는 DAC(40)의 출력을 통한다. 그 다음 정보신호는 입력필터(22), 전력증폭기(20), 고전력필터(24)를 통해서 진행된다.
시스템(14)은 등화기(32), 보정기(28), 그리고 등화기(30)가 전치보정을 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신호의 다양한 샘플 포인트의 선택을 돕는 적응형 결정기능(46)을 포함한다. 모든 적합한 적응은 각각 세 개의 전치왜곡 부품(28-32)이 사용된다. 적응을 동작하기 위해서, 제 1 샘플신호(50)는 입력필터(22)에 의해 순차적으로 여과되기 위하여 송신기(18) 내에서 분리된다. 제 2 샘플신호(52)는 전력증폭기(20)에 의해 순차적으로 증폭되기 위하여 송신기(18) 내에서 분리된다. 제 3 샘플신호(54)는 고전력필터(24)에 의해 순차적으로 여과되기 위하여 송신기(18) 내에서 분리된다.
도 1은 도 7의 시스템을 단순화한 블럭도이다. 이것은 시스템이 분산된 보정안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단계적 선형 및 비선형 시스템이다.
도 6의 함수 블럭도는 본 발명에 따는 장치(60)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특히, 장치(60)는 비선형 보정기A-1(62), 선형 등화기B-1(64), 비선형 등화기C-1(66), 비선형 보정기D-1(68), 그리고 선형 등화기E-1(70)를 포함한다. 이들 부품(62-70)은 필터E(72), 비선형 전력증폭기D(74), 필터C(76) 필터B(78), 그리고 비선형 전력 증폭기A(80)의 하위 스트림 부품으로 인한 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공급된 정보신호를 전치왜곡한다. 보상 부품(예, 선형등화기C-1(66))은 각각 왜곡을 하는 부품(필터C(76))이 존재한다. 각각의 보상 부품은 정보신호의 왜곡에 따른 역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알파벳 기호는 왜곡 동작(A)과 보상의 역동작(A-1)을 지시하는 쌍으로 이루어진다.
각각 보상 부품의 위치는 왜곡 부품과 관련한 위치의 반대이다. 따라서, 전치왜곡의 순서는 필터E(72), 비선형 전력 증폭기D(74), 필터C(76), 필터B(78), 그리고 비선형 전력증폭기A(80)로 인한 왜곡의 역순서가 된다. 예를 들어, 제 1 보상 부품(즉, 비선형 보정기A-1(62))은 마지막 왜곡 부품(즉, 비선형 전력 증폭기 A(80))과 관련한다.
도 7의 함수 블럭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90)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장치(90)는 도 6의 장치(60)의 변형이다. 장치(90)는 선형 전치 왜곡의 치환이 모든 비선형 전치 왜곡의 위치에서 확장되지 않는 만큼 길기 때문에 전치 왜곡 부품의 순서가 왜곡이 발생함으로써 역순서가 존재하지 않기 위해서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특히, 도 7의 예에서, 비선형 보정기A-1(92)는 비선형 전력 증폭기A(94)로 인한 비선형 왜곡을 보상한다. 선형등화기B-1(96)는 필터B(98)로 인한 선형 왜곡을 보상한다. 선형 등화기C-1(100)는 필터C(102)로 인한 선형 왜곡을 보상한다. 선형 보정기D-1(104)는 비선형 전력 증폭기D(106)로 인한 선형 왜곡을 보상한다. 선형 등화기E-1(108)는 필터E(110)로 인한 선형 왜곡을 보상한다.
왜곡의 순서는 E,D,C,B, 및 A이지만, 전치왜곡 보상의 순서는 A-1,C-1,B-1,D-1, 및 E-1이다. 선형 등화기C-1(100)는 선형등화기B-1(96)의 상위 스트림에(이전에) 위치한다. A-1,C-1,B-1,D-1, 및 E-1은 적합하게 왜곡을 보상한다. 선형 왜곡의 순서 구분을 보상하는 부품 집단의 순서는 재배열이 비선형 보상 부품 이전에 선형 보상 부품을 구동되지 않을 만큼 길어서 재배열된다. 도시된 예에서, 선형 등화기E-1(108)는 재배열이 비선형 보정기D-1(104)를 통과하기 때문에 선형 등화기 B-1(96) 또는 비선형 보정기C-1(100) 모두 재배열하지 않는다.
도 8의 블럭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2)를 도시한다. 장치(12)는 도 6의 장치(60)의 변형이고, 왜곡과 같은 집단은 합계로써 조절될수 있다. 도 8에서 필터 B와 C는 단일 필터 블럭(122)으로 결합된다. 필터 B와 C는 정보신호에 선형 왜곡을 일으킨다. 그러나 필터 B와 C의 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선형 전치 왜곡은 선형 등화기 (B*C)-1(124) 내에서 단일 단계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은 장치(12)에 특히 유용하고, 적응된다. 장치(120)는 보상값을 계산하고/생성하기 위하여 피드백을 사용하고, 보정기 및 등화기 내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도 8에서와 같이 네 개의 피드백 루프가 요구되고, 다섯 개는 안된다. 감소된 피드백의 수는 하드웨어 및 계산/산정 보다 적은 양을 요구하고, 그리고 보정을 분리하는 상황을 비교하는 메모리는 필터B와 C를 위하여 발생한다.
전송시스템(14)은 정보신호를 방송한다. 시스템(14) 내에서, 몇 개의 부품(20-24)은 신호가 방송 안테나를 향하여 처리되고 진행됨으로써 정보신호에 왜곡을 일으킨다. 특히, 왜곡을 일으키는 부품(20-24)의 집단은 제 1 집단으로써 식별되고, 안테나를 향한 신호경로(12)를 따라서 순서대로 배열된다. 제 1 부품(20-24)의 집단은 증폭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정보신호를 의도된 값으로부터 왜곡이동시킨다. 제 2 부품(28-32)의 집단은 제 1 부품의 집단에 의하여 일어난 왜곡이동을 보상하기 위하여 정보신호를 보정한다. 제 2 부품(28-32)의 집단은 제 1 부품(20-24)의 집단의 상위 스트림에 위치한다. 제 2 부품(28-32)의 집단은 왜곡의 발생순서의 역순으로 왜곡을 보상하기 위한 정보신호를 보정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Claims (12)

  1. 정보신호를 방송하는 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에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를 포함하며, 각각 상기 정보신호 상에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정보신호를 의도된 값으로부터 왜곡이동시키도록 순차배열된 제 1 복수의 부품들과,
    상기 제 1 복수의 부품들의 상위 스트림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복수의 부품들에 의해 일어난 상기 왜곡이동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왜곡 발생 순서의 역순으로 상기 정보신호를 보정하도록 순차배열된 제 2 복수의 부품들로 구성된 방송 전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수의 부품은 비선형 왜곡을 일으키는 제 2 부품과 선형 왜곡을 일으키는 제 1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복수의 부품의 부품의 수는 상기 제 2 복수의 부품의 부품의 수와 같은 방송 전송 시스템.
  3. 정보신호를 방송하는 전송 시스템으로, 상기 시스템은,
    정보신호 상에서 소정의 기능을 각각 수행하면서, 상기 정보신호를 의도된 값으로부터 선형 왜곡이동시키는 제 1 부품과, 상기 정보신호를 의도된 값으로부터 비선형 왜곡이동시키는 제 2 부품들이 순차배열되어 구성된 제 1 복수의 부품들과,
    상기 제 1 복수의 부품들의 상위 스트림에 위치하고, 상기 선형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신호를 보정하는 제 1 부품과, 상기 비선형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신호를 보정하는 제 2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복수의 부품들에 의해 일어난 상기 왜곡이동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왜곡 발생 순서의 역순으로 상기 정보신호를 보정하도록 순차배열된 제 2 복수의 부품들로 구성된 방송 전송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수의 부품의 상기 제 1 부품은 상기 제 1 복수의 부품의 상기 제 2 부품의 상위 스트림에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복수의 부품의 상기 제 2 부품은 상기 제 2 복수의 부품의 상기 제 1 부품의 상위 스트림에 위치하는 방송 전송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수의 부품의 제 3 부품은 상기 정보신호를 의도된 값으로부터 선형 왜곡 이동시키며, 상기 제 2 복수의 부품의 제 3 부품은 상기 제 1 복수의 부품의 상기 제 3 부품으로 인한 선형 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신호를 보정하고, 상기 제 1 복수의 부품의 상기 제 3 부품은 상기 제 1 부품의 제 2 부품의 하위 스트림에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복수의 부품의 상기 제 2 부품은 상기 제 2 복수의 부품의 상기 제 3 부품의 하위 스트림에 위치하는 방송 전송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수의 부품의 제 2 부품은 상기 제 1 복수의 부품의 상기 제 1 부품의 상위 스트림에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복수의 부품의 상기 제 1 부품은 상기 제 2 복수의 부품의 상기 제 2 부품의 상위 스트림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복수의 부품의 부품수는 상기 제 2 복수의 부품의 부품수와 동일한 방송 전송 시스템.
  7. 정보신호를 방송하고, 상기 정보신호가 안테나를 향하여 진행되도록 해주는 신호 경로를 갖는 방송 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방송 전송 시스템은,
    상기 신호 경로에 위치하고 상기 정보신호상에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정보신호를 의도된 값으로부터 비선형 왜곡 이동시키는 제 1 부품, 상기 신호 경로에 위치하고 상기 정보신호상에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정보신호를 의도된 값으로부터 선형 왜곡 이동시키는 제 2 부품, 상기 신호 경로에 위치하고 상기 정보신호상에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정보신호를 의도된 값으로부터 선형 왜곡 이동시키는 제 3 부품, 신호 경로를 따라 위치하고 상기 제 1 부품에 의하여 일어난 상기 선형 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신호를 보정하는 제 4 부품, 상기 신호 경로를 따라 위치하고 상기 제 2 부품에 의하여 일어난 상기 선형 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정보신호를 보정하는 제 5 부품, 및 상기 신호 경로를 따라 위치하고 상기 제 3 부품에 의하여 일어난 선형 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신호를 보정하는 제 6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및 제 3 부품들은 상기 신호경로를 따라 상기 제 1 부품의 상위 스트림 또는 하위 스트림 중 하나에 함께 배열되고, 상기 제 5 및 제 6 부품들은 상기 신호경로를 따라 상기 제 4 부품의 상위 스트림 또는 하위 스트림 중 하나에 함께 배열되며, 상기 제 4 부품과 관련한 상기 제 5 및 제 6 부품의 상위 스트림/하위 스트림 위치는 상기 제 1 부품과 관련한 상기 제 2 및 제 3 부품의 상위 스트림/하위 스트림 위치와 반대되는 방송 전송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품은 상기 제 3 부품의 상위 스트림이고, 상기 제 5 부품은 상기 제 6 부품의 하위 스트림이고, 또는 상기 제 2 부품은 상기 제 3 부품의 하위 스트림이고, 상기 제 5 부품은 상기 제 6 부품의 상위 스트림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5 및 제 6 부품은 상기 제 2 및 제 3 부품에 의하여 일어난 선형 왜곡을 동시에 보상하기 위하여 결합되는 방송 전송 시스템.
  9. 디지털 신호를 수신처리하는 입력신호, 상기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의하여 무선 주파 반송파를 변조하는 업 컨버터,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 반송파에 선형 및 비-선형 왜곡을 일으키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주파 필터회로와 적어도 하나의 무선 주파 증폭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 전송 시스템을 위한 왜곡 보상 회로구성으로서,
    상기 입력회로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에 상기 디지털 신호를 인가시키는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무선 주파 필터와 상기 증폭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디지털 신호에 선형 및 비-선형 보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신호를 보정하며, 상기 디지털 신호에 적용되는 상기 보상처리 순서는 상기 필터와 상기 증폭회로가 연결된 순서의 역순이 되는 적응형 디지털 신호 왜곡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왜곡 보상 회로구성.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 증폭회로는 출력회로와 결합되고, 상기 출력신호는 상기 출력회로로부터 상기 출력회로에 의해 일어난 상기 왜곡들에 대하여 상기 출력신호를 보정하는 상기 적응형 디지털 신호 왜곡보상 회로에 인가되며, 상기 출력회로에 의해 일어난 왜곡들에 대한 상기 디지털 신호의 보정은 상기 적응형 디지털 신호 왜곡보상 회로에 의해 행해지는 상기 보상처리 시퀀스 중에서 제 1 순이며, 상기 적응형 디지털 신호 왜곡보상 회로에는 상기 디지털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보정하는 직렬연결된 복수의 보상회로가 포함되며, 상기 보상회로에는 상기 필터, 증폭기 및 출력회로에 의해 일어난 상기 선형 및 비-선형 왜곡들의 순서의 역순으로 연결된 선형 및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들이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주파 전송 시스템에는 선형 왜곡을 일으키는 제 1, 제 2 필터회로와 비선형 왜곡을 일으키는 제 1, 제 2 증폭회로들이 직렬로 순차연결된 조합구성이 포함되며, 상기 적응형 디지털 신호 왜곡보상 회로에는 상기 제 2 증폭회로의 출력에 응답하는 제 1 비-선형 보상회로, 상기 제 2 필터회로의 출력에 응답하는 제 1 선형 보상회로, 상기 제 1 증폭회로의 출력에 응답하는 제 2 비-선형 보상회로, 및 상기 제 1 필터회로의 출력에 응답하는 제 2 선형 보상회로가 포함되는 왜곡 보상 회로구성.
  11.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처리하는 입력신호;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를 아날로그 형식으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상기 텔레비젼 아날로그 신호에 의하여 무선 주파 반송파를 변조하는 업 컨버터;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 텔레비젼 반송파에 선형 및 비-선형 왜곡을 일으키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주파 필터 회로와 적어도 하나의 무선 주파 증폭 회로; 상기 필터 및 증폭회로로부터 상기 무선 주파 반송파 텔레비젼 신호의 출력을 수신하여 상기 출력신호를 복조하는 다운 컨버터; 상기 필터 및 증폭회로로부터의 상기 복조된 아날로그 텔레비젼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상기 입력회로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에 상기 디지털 신호를 인가하는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필터 및 증폭회로의 출력에 대응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에 선형 및 비-선형 보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를 보정하며,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에 적용되는 상기 보상처리 순서는 상기 필터와 상기 증폭회로의 연결순서에 대하여 역순이 되는 적응형 디지털 신호 왜곡보상 회로로 구성된 디지털 텔레비젼 무선 주파 전송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디지털 신호 왜곡보상 회로에는 상기 디지털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보정하는 직렬연결된 복수의 보상회로가 포함되며, 상기 복수의 보상회로에는 상기 필터, 상기 증폭회로에 의해 일어난 상기 선형 및 비-선형 왜곡들의 순서의 역순으로 연결된 선형 및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들이 포함되며, 상기 증폭회로는 출력회로와 결합되며, 상기 출력신호는 상기 출력회로로부터 상기 적응형 디지털 신호 왜곡보상 회로에 인가되어 상기 출력회로에 의해 일어난 왜곡에 대하여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를 보정하고, 상기 출력회로에 의해 일어난 왜곡에 대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의 보정은 상기 적응형 디지털 신호 왜곡보상 회로에 의해 행해진 상기 보상처리 시퀀스 중에서 제 1 순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회로에는 제 1, 제 2 필터회로가 포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폭회로에는 제 1, 제 2 증폭회로가 포함되며, 상기 필터 및 증폭회로들은 상기 제 1 필터회로, 상기 제 1 증폭회로, 상기 제 2 필터회로, 및 상기 제 2 증폭회로의 조합으로 순차적으로 직렬연결되며, 상기 필터회로는 선형왜곡을 일으키고, 상기 증폭회로는 비-선형 왜곡을 일으키고, 상기 적응형 디지털 신호 왜곡 보상 회로에는 상기 제 2 증폭회로의 출력에 응답하는 제 1 비-선형 보상회로, 상기 제 2 필터회로의 출력에 응답하는 제 1 선형 보상회로, 상기 제 1 증폭회로의 출력에 응답하는 제 2 비-선형 보상회로, 및 상기 제 1 필터회로의 출력에 응답하는 제 2 선형 보상회로가 직렬로 순차연결된 조합구성이 포함되는 디지털 텔레비젼 무선 주파 전송 시스템.
KR1020017014547A 1999-05-14 2000-05-12 분산 보정을 갖는 방송 전송 시스템 KR100635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12,354 US6335767B1 (en) 1998-06-26 1999-05-14 Broadcast transmission system with distributed correction
US09/312,354 1999-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021A KR20020095021A (ko) 2002-12-20
KR100635518B1 true KR100635518B1 (ko) 2006-10-18

Family

ID=2321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547A KR100635518B1 (ko) 1999-05-14 2000-05-12 분산 보정을 갖는 방송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335767B1 (ko)
EP (1) EP1181771B1 (ko)
JP (1) JP4723726B2 (ko)
KR (1) KR100635518B1 (ko)
CN (1) CN1211917C (ko)
AT (1) ATE252783T1 (ko)
AU (1) AU4842700A (ko)
CA (1) CA2373778A1 (ko)
DE (1) DE60006102T2 (ko)
HK (1) HK1046336A1 (ko)
TW (1) TW484320B (ko)
WO (1) WO2000070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1805B1 (en) * 1999-05-14 2002-12-31 Harris Corporation Broadcast transmission system with single correction filter for correcting linear and non-linear distortion
US6242978B1 (en) * 1999-06-30 2001-06-05 Harri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arizing an amplifier
US6639537B1 (en) * 2000-03-31 2003-10-2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Highly linear analog-to-digital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6600516B1 (en) * 2000-04-21 2003-07-29 Harris Corporation Digital RF transmitter system employing both digital pre-correction and analog pre-correction
KR100448115B1 (ko) * 2000-11-30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0360273B1 (ko) * 2000-12-28 200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탈 티브이 중계기의 선형보상 적응 등화기 및 그의제어방법
CA2383717A1 (en) * 2001-06-28 2002-12-28 Telecommunications Research Laboratories An optical fiber based on wireless scheme for wideband multimedia access
US20030058959A1 (en) * 2001-09-25 2003-03-27 Caly Networks. Combined digital adaptive pre-distorter and pre-equalizer system for modems in link hopping radio networks
US20030063663A1 (en) * 2001-10-01 2003-04-03 Bryant Paul Henry Multistage equalizer that corrects for linear and nonlinear distortion in a digitally-modulated signal
US6801086B1 (en) 2002-04-03 2004-10-05 Andrew Corporation Adaptive digital pre-distortion using amplifier model that incorporates frequency-dependent non-linearities
US7991071B2 (en) * 2002-05-16 2011-08-02 Rf Micro Devices, Inc. AM to PM correction system for polar modulator
US7801244B2 (en) * 2002-05-16 2010-09-21 Rf Micro Devices, Inc. Am to AM correction system for polar modulator
JP2004040564A (ja) * 2002-07-04 2004-02-05 Fujitsu Ltd 電力増幅器の歪補償方法及びその装置
JP4063612B2 (ja) * 2002-08-26 2008-03-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機
AU2003301967A1 (en) * 2002-10-08 2004-06-03 M/A-Com, Inc.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pre-emphasis filtering of a modulated signal
US7340007B2 (en) * 2003-09-16 2008-03-04 M/A-Com, Inc.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pre-emphasis filtering of a modulated signal
US6816008B2 (en) * 2002-12-31 2004-11-09 Alion Science And Technology Corporation Quasi-linear multi-state digital modulation through non-linear amplifier arrays
KR100540171B1 (ko) * 2003-05-20 2006-0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신호를 위한 동일채널중계장치 및 그 방법
US7027780B2 (en) * 2003-09-30 2006-04-11 Broadcom Corporation Technique for improving modulation performance of translational loop RF transmitters
US7313208B2 (en) * 2003-11-03 2007-12-25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Pre-equalization for low-cost DTV translators
BRPI0507137A (pt) * 2004-01-27 2007-06-19 Crestcom Inc circuito de pré-distorção de transmissor e método para isto
US7430248B2 (en) * 2004-01-27 2008-09-30 Crestcom, Inc. Predistortion circuit and method for compensating nonlinear distortion in a digital RF communications transmitter
US7469491B2 (en) 2004-01-27 2008-12-30 Crestcom, Inc. Transmitter predistortion circuit and method therefor
US7099399B2 (en) * 2004-01-27 2006-08-29 Crestcom, Inc. Distortion-managed digital RF communications transmitter and method therefor
US7551686B1 (en) 2004-06-23 2009-06-23 Rf Micro Devices, Inc. Multiple polynomial digital predistortion
US7529523B1 (en) 2004-08-23 2009-05-05 Rf Micro Devices, Inc. N-th order curve fit for power calibration in a mobile terminal
EP1662655A1 (en) * 2004-11-26 2006-05-31 Alcatel Power amplifier with digital linearisation device
DE102005020318B4 (de) * 2005-05-02 2007-02-22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Ermitteln eines Modells für ein elektrisches Netzwerk und Verwendung des Verfahrens
US8224265B1 (en) 2005-06-13 2012-07-17 Rf Micro Devices, Inc. Method for optimizing AM/AM and AM/PM predistortion in a mobile terminal
US7877060B1 (en) 2006-02-06 2011-01-25 Rf Micro Devices, Inc. Fast calibration of AM/PM pre-distortion
ATE397325T1 (de) * 2006-02-06 2008-06-15 Alcatel Lucent Modulare mehrband, multi-standard transceiverschaltung für mobil- und basisstationen von funkkommunikationssystemen
US7962108B1 (en) 2006-03-29 2011-06-14 Rf Micro Devices, Inc. Adaptive AM/PM compensation
US7782978B2 (en) * 2006-04-13 2010-08-24 Harris Corporation Phase correction of a constant envelope signal without introducing amplitude modulation
US7606539B2 (en) * 2006-08-07 2009-10-20 Infineon Technologies Ag Adaptive predistorter coupled to a nonlinear element
US7689182B1 (en) 2006-10-12 2010-03-30 Rf Micro Devices, Inc. Temperature compensated bias for AM/PM improvement
US7724840B2 (en) * 2006-12-19 2010-05-25 Crestcom, Inc. RF transmitter with predistortion and method therefor
US8009762B1 (en) 2007-04-17 2011-08-30 Rf Micro Devices, Inc. Method for calibrating a phase distortion compensated polar modulated radio frequency transmitter
US20080285640A1 (en) * 2007-05-15 2008-11-20 Crestcom, Inc. RF Transmitter With Nonlinear Predistortion and Method Therefor
WO2009012537A1 (en) * 2007-07-20 2009-01-29 Eqcologic Nv Equalizer filter with mismatch tolerant detection mechanism for lower and higher frequency gain loops
US8195118B2 (en) 2008-07-15 2012-06-05 Linear Signal,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phase shifting and amplitude control of phased array signals
JP5105309B2 (ja) * 2008-07-15 2012-12-26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力増幅器、電力増幅器の非線形歪補正方法、無線通信装置
DE102008046689B4 (de) 2008-09-10 2014-01-02 Tesat-Spacecom Gmbh & Co.Kg Vorverzerrungslinearisierer
US8489042B1 (en) 2009-10-08 2013-07-16 Rf Micro Devices, Inc. Polar feedback linearization
US8872719B2 (en) 2009-11-09 2014-10-28 Linear Signal,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odular phased array tile configuration
US8953711B2 (en) 2013-06-04 2015-02-10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ble pre-emphasis component for transmission circuitry
JP6646382B2 (ja) * 2015-08-25 2020-02-14 日本放送協会 デジタル信号の送信装置
US10985951B2 (en) 2019-03-15 2021-04-20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Integrating Volterra series model and deep neural networks to equalize nonlinear power amplifier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41058B1 (fr) * 1983-02-11 1986-01-24 Thomson Csf Dispositif de linearisation d'amplificateur haute frequence a coefficients de non-linearite complexes
DE3614785A1 (de) * 1986-05-02 1988-01-21 Rohde & Schwarz Hilfssystem zur entzerrung frequenzabhaengiger nichtlinearer systeme insbesondere verstaerker
JPH05122087A (ja) * 1991-10-28 1993-05-18 Toshiba Corp 無線送信機
JP2964883B2 (ja) * 1994-09-30 1999-10-18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器
US5732333A (en) * 1996-02-14 1998-03-24 Glenayre Electronics, Inc. Linear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JPH10322137A (ja) * 1997-05-20 1998-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リディストーション型歪補償回路付送信装置
US6081158A (en) * 1997-06-30 2000-06-27 Harris Corporation Adaptive pre-distortion apparatus for linearizing an amplifier output with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EP0891041B1 (de) * 1997-07-08 2004-03-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Sendeeinrichtung
US6285412B1 (en) * 1997-07-23 2001-09-04 Harris Corporation Adaptive pre-equalization apparatus for correcting linear distortion of a non-ideal data transmission system
US6054895A (en) * 1997-08-27 2000-04-25 Harri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stortion correction of a power amplifier stage
US6054825A (en) * 1998-01-20 2000-04-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voltage gen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81771A1 (en) 2002-02-27
WO2000070749A1 (en) 2000-11-23
KR20020095021A (ko) 2002-12-20
AU4842700A (en) 2000-12-05
EP1181771B1 (en) 2003-10-22
TW484320B (en) 2002-04-21
WO2000070749A8 (en) 2001-05-03
ATE252783T1 (de) 2003-11-15
CA2373778A1 (en) 2000-11-23
CN1211917C (zh) 2005-07-20
JP2003500875A (ja) 2003-01-07
DE60006102D1 (de) 2003-11-27
US6335767B1 (en) 2002-01-01
CN1355954A (zh) 2002-06-26
DE60006102T2 (de) 2004-07-08
JP4723726B2 (ja) 2011-07-13
HK1046336A1 (zh) 200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518B1 (ko) 분산 보정을 갖는 방송 전송 시스템
EP0998823B1 (en) Adaptive digital predistortion apparatus for linearizing a power amplifier for digital broadcasting
JP4491152B2 (ja) 増幅部および信号調整部で生じる歪補正用のサンプリングおよび補正装置を有する放送送信システム
US5105445A (en) Predistortion arrangement for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US4967164A (en) Adaptive predistortion circuit
US5113414A (en) Predistortion arrangement for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KR101109861B1 (ko) 전치 보상기
US7106806B1 (en) Reducing distortion of signals
US7415252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digital predistortion of a complex baseband input signal
JPH11145734A (ja) 電力増幅器の先行歪み補正方法及び装置
US6519010B2 (en) Broadcast transmission system with sampling and correction arrangement for correcting distortion caused by amplifying and signal conditioning components
US20090021304A1 (en) Model based distortion reduction for power amplifiers
KR20060109997A (ko) 광대역 향상된 디지털 주입 전치왜곡 시스템 및 방법
US6501805B1 (en) Broadcast transmission system with single correction filter for correcting linear and non-linear distortion
US20120194270A1 (en) Broadband Linearization Module And Method
US6473133B1 (en) Broadcast transmission system with correction for distortion caused by amplifying and signal conditioning components at a different rate
CN1206251A (zh) 在数字传输系统中线性化放大器输出的自适应预失真装置
US6335660B1 (en) Pre/post-distortion circuit and method, particularly for microwave radio-frequency systems
KR100695632B1 (ko) 증폭기 비선형성 및 직교 복조 오류를 위한 동시 적응보상기법
JPH0865352A (ja) ディジタル変調器
Stonick et al. Multi-stage adaptive predistortion of hpa saturation effects for digital television transmission
Arora Improved Linearisers for Emerging Wireless Transmitters Based on Perturbation Theory
Stonick et al. Electrical & Computer Engineering Oregon State University
Zborowski J. T. zyxwvutsrqponmlkjih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