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804B1 - 악음 재생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악음 재생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804B1
KR100633804B1 KR1020067012256A KR20067012256A KR100633804B1 KR 100633804 B1 KR100633804 B1 KR 100633804B1 KR 1020067012256 A KR1020067012256 A KR 1020067012256A KR 20067012256 A KR20067012256 A KR 20067012256A KR 100633804 B1 KR100633804 B1 KR 100633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tone
timbre
memory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4861A (ko
Inventor
야스유키 무라키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4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18Selecting circuits
    • G10H1/24Selecting circuits for selecting plural preset register stop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10H7/0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in which amplitudes at successive sample points of a tone waveform are stored in one or more memor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21Mobile ringtone, i.e. generation, transmission, conversion or downloading of ringing tones or other sounds for mobile telephony; Special musical data formats or protocols 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25Computing or signal processing architecture features
    • G10H2230/031Use of cache memory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processes, e.g. for improving processing capabilities or solving interfacing probl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10H2240/046File format, i.e. specific or non-standard musical file format used in or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 wavetables
    • G10H2240/056MIDI or other note-oriented file forma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41Telephone transmission, i.e. using twisted pair telephone lines or any type of telephone network
    • G10H2240/251Mobile telephone transmission, i.e. transmitting, accessing or controlling music data wirelessly via a wireless or mobile telephone receiver, analog or digital, e.g. DECT GSM, UM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Abstract

음색 파라미터를 범용 기억 수단에 저장함으로써, 음색 변경 처리에 걸리를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악음 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CPU(10)는 RAM(11)으로부터 독출한 음색 파라미터군을 범용 메모리인 음원 메모리(30)에 등록하여 둔다. 음원 코어(33)가 악음을 재생할 때에 필요로 하는 음색 파라미터는, 캐시 메모리(32)에 모든 채널분 저장되어 있다. CPU(10)가 제어부(31)에 음색 변경 명령을 주면, 지정된 음색 파라미터가 음원 메모리(30)로부터 독출된다. 그 다음, 캐시 메모리(32)에서의 지정된 채널의 음색 파라미터가 독출된 음색 파라미터로 고쳐쓰기 된다. 음원 코어(33)가 캐시 메모리(32)로부터 각 채널에 설정되어 고쳐쓰기 된 음색 파라미터를 독출하므로, 변경된 음색의 악음이 재생된다. 음원 메모리(30)에는 임의의 수로 음색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음색 파라미터군이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음색을 변경할 때마다 CPU(10)에서 음원 메모리(30)에 음색 파라미터를 전송할 필요가 되도록 많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캐시 메모리(32)의 출력 비트 폭이 크게 되어 있으므로, 음색 파라미터를 음원 코어(33)에 삽시간에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음색 변경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음색 변경할 때에 음 끊어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악음 재생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휴대 단말 장치{MUSICAL TONE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 장치에 탑재된 악음 재생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원 하드웨어부에서의 음원 메모리, 제어부, 캐시 메모리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음원 RAM에 등록된 음색 파라미터군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음색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음색 파라미터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하는 음원 하드웨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재생 처리의 플로 차트,
도 7은 도 6의 단계 S2의 음색 파라미터의 메모리 등록 처리의 플로 차트,
도 8은 도 6의 단계 S3의 음색 변경 처리의 플로 차트,
도 9는 도 6의 단계 S4의 음 데이터 처리의 플로 차트,
도 10은 종래의 악음 재생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음색 변경이 가능한 악음 재생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이 악음 재생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악음 재생 장치로서,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악음을 생성하는 악음 재생 장치가 있다. 이러한 악음 재생 장치는, 재생되는 악음의 음색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악음 재생 장치의 구성예는 도 10에 도시되며, 이하 음색을 변경할 때의 설명을 행한다. 도 10에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110)는,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데이터나, SMAF(synthetic music mobile application format) 데이터 등의 시퀀스 데이터를 RAM(random access memory)(111)으로부터 독출하여 음원 하드웨어부(115)에 공급하고 있다. 음원 하드웨어부(115)는 RAM(111)으로부터 공급된 시퀀스 데이터를 재생하여 적절히 악음 신호를 스피커(134)에 출력하고 있다. 이 음원 하드웨어부(115)는, 음색 파라미터 보존 영역(130)과, 악음을 재생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133)로 구성되어 있다. 음색 파라미터 보존 영역(130)은, RAM(111)에 확보된 영역들이나 레지스터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악음 재생 장치에서, 재생되는 악음의 음색을 변경할 때 에는, CPU(110)가 음색 파라미터 보존 영역(130)에 음색 변경 명령을 주고, 또한 CPU(110)가 RAM(111)으로부터 변경되어야 할 음색의 음색 파라미터를 독출하여 음색 파라미터 보존 영역(130)에 기입한다. 데이터 처리부(133)는, 일단 악음 재생 타이밍에 도달하면, 변경되어야 할 음색의 음색 파라미터를 음색 파라미터 보존 영역(130)으로부터 독출하고, 이 음색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변경된 음색의 악음을 재생한다. RAM(111)에는 많은 시퀀스 데이터 및 다수의 음색 파라미터(음색 파라미터군)이 저장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이러한 종래의 악음 재생 장치에서, 음색을 변경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CPU(110)가 변경되어야 할 음색의 음색 파라미터를 RAM(111)으로부터 독출하여 음원 하드웨어부(115)에 전송하고 있다. 이 경우, 음원 하드웨어부(115)의 데이터 버스 폭은 8 비트 정도이기 때문에, 음색 파라미터 보존 영역(130)을 구성하고 있는 RAM이나 레지스터의 비트 폭, 즉, 저장되는 데이터의 비트 폭도 8 비트 정도로 제한된다. 그러나, 데이터 처리부(133)가 1 채널의 음을 재생 처리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1채널분의 하나 이상의 음색 파라미터는 많은 비트, 구체적으로 수십 비트 수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8 비트의 비트 폭을 갖는 RAM이나 레지스터에서는, 데이터 처리부(133)가 1 채널의 음을 재생 처리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1채널분의 음색 파라미터를 8 비트씩 다수회 나누어 독출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 결과, 변경되는 음색의 음색 파라미터를 음색 파라미터 보존 영역(130)으로부터 독출하여 데이터 처리부(133)에 설정하는 데에 긴 시간이 필요하여, 처리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 시간이 길어지면, 음 끊어짐이 생기게 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음색 파라미터 보존 영역(130)을 구성하고 있는 RAM이나 레지스터의 동작 속도를 높이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RAM이나 레지스터의 동작 속도를 높이면 그 소비전력이 증가하므로, 악음 재생 장치가 탑재되는 휴대 단말 장치를 동작시키는데 사용되는 전지가 빨리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색이 변경될 때마다 CPU(110)가 RAM(111)으로부터 변경되어야 할 음색의 음색 파라미터를 음원 하드웨어부(115)에 전송하여야 하므로, 음원 하드웨어부(115)와 CPU(110)간의 데이터 전송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 목적을 위해서 음색 파라미터 보존 영역(130)이 전용 레지스터로 구성되면, 임의의 수의 레지스터로부터 동시에 독출할 수 있지만, 음색 파라미터 보존 영역(130)이 음색 파라미터 전용 영역으로 되므로, 음색 파라미터 보존 영역(130)을 음색 파라미터 이외의 8 비트 폭을 갖는 범용 데이터에도 사용하면, 메모리로서의 음색 파라미터 보존 영역(130)의 사용 효율이 악화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음색 파라미터 보존 영역(130)을 큰 비트 폭을 갖는 RAM으로 구성하면, 큰 비트 폭을 갖는 음색 파라미터를 한번에 독출할 수 있지만, 음색 파라미터 보존 영역(130)이 음색 파라미터 전용 영역으로 되므로, 음색 파라미터 보존 영역(130)을 음색 파라미터 이외의 8 비트 폭을 갖는 범용 데이터에도 사용하면, 메모리로서의 음색 파라미터 보존 영역(130)의 사용 효율이 악화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색 파라미터를 범용 기억 수단에 저장함으로 써, 음색 변경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악음 재생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이 악음 재생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악음 재생 장치는, 휴대단말장치 내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단말장치 내의 시스템 기억수단 및 시스템 제어수단에 버스를 통해 접속된, 악음을 재생하는 악음 재생 장치로서, 제1 비트폭의 제1 입력단 및 상기 제1 비트폭의 제1 출력단을 갖고, 상기 제1 비트폭에 따라 기억영역이 구성되고, 상기 버스를 통해 전송된 음색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 가능하고 또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음원 메모리와, 제2 입력단 및 상기 제1 비트폭보다 큰 비트폭인 제2 비트폭의 제2 출력단을 갖는 캐시 메모리와, 음원수단과, 음원제어수단을 갖고, 상기 시스템 기억수단에는, 소정의 음색 생성을 위한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가 상기 제1 비트폭 단위로 미리 기억되어 있고, 상기 음원 메모리에는,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하에서, 상기 시스템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버스를 통해,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가 복수의 전송회수로 상기 제1 입력단에 공급되어 기억되고, 음색을 변경할 때는, 상기 음원 메모리의 상기 제1 출력단으로부터 독출된 상기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가 상기 캐시메모리의 상기 제2 입력단에 순차 전송되어 상기 캐시메모리에 기억되고, 상기 음원제어수단은, 시퀀스 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어 데이터의 재생 타이밍에 상기 음원수단에 공급하고, 또한, 음색을 사용할 때 리드 요구를 상기 캐시메모리에 공급하고, 상기 캐시메모리는, 상기 음원제어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리드 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를, 상기 제2 출력단으로부터 1회의 전송회수로 상기 음원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음원수단은, 상기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 및 상기 제어 데이터에 의거하여 악음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악음 재생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원제어수단은, 변경해야할 음색의 음색 파라미터에 부여된 선두 어드레스를 지정함으로써 상기 음원 메모리로부터 상기 음색 파라미터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악음 재생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원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악음 재생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수신수단을 갖고, 상기 데이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 기억수단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악음 재생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장치로서,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은,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기능처리를 메인처리로서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악음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은, 휴대단말장치 내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단말장치 내의 시스템 기억수단 및 시스템 제어수단에 버스를 통해 접속된, 악음을 재생하는 악음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 기억수단에 소정의 음색 생성을 위한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를 제1 비트폭 단위로 미리 기억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비트폭의 제1 입력단 및 상기 제1 비트폭의 제1 출력단을 갖고, 상기 제1 비트폭에 따라 기억영역이 구성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음원 메모리에,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하에서, 상기 시스템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버스를 통해,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를 복수의 전송회수로 상기 제1 입력단에 공급하여 기억시키는 단계, 음색을 변경할 때는, 상기 음원 메모리의 상기 제1 출력단으로부터 독출된 상기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를, 제2 입력단 및 상기 제1 비트폭보다 큰 비트폭인 제2 비트폭의 제2 출력단을 갖는, 캐시 메모리의 제2 입력단에 순차 전송하여 상기 캐시메모리에 기억시키는 단계, 음원제어수단이 시퀀스 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어 데이터의 재생 타이밍에 음원수단에 공급하고, 또한, 음색을 사용할 때 리드 요구를 상기 캐시메모리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캐시메모리가 상기 음원제어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리드 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를, 상기 제2 출력단으로부터 1회의 전송회수로 상기 음원수단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수단이 상기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 및 상기 제어 데이터에 의거하여 악음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휴대 단말 장치인 휴대 전화기(1)는, 일반적으로 인입식 안테나(25)를 구비하고 있고, 무선 통신 회선에 의해 기지국(2)에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25)는 변조와 복조 기능을 갖는 통신부(13)에 접속되어 있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10)는, 전화 기능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휴대 전화기(1)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로서, 동작시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고, 특정의 시간 간격으로 타이머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타이머(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CPU(10)는, 예를 들면, 착신시 실행되는 악음 재생시에 시퀀스 데이터를 한번에 소정량씩 음원 하드웨어부(15)에 전송하고 있다. RAM(random access memory)(11)에는, 기지국(2)을 통하여 접속된 다운로딩 센터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된 시퀀스 데이터의 저장 영역, CPU(10)의 작업 영역 등이 설정되어 있다.
ROM(read only memory)(12)은, 송신과 착신을 실행하는 각종 전화 기능 프로그램과 악음 재생 관련 처리 등을 실행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는 CPU(10)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미리 설정된 시퀀스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통신부(13)는, 안테나(25)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고, 기지국(2)으로 송신되는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된 신호를 안테나(25)로 공급하고 있다. 통신부(13)에 의해 복조된 수화 신호는, 음성 처리부(코더/디코더)(14)에 의해 복호화되고, 마이크로폰(21)을 통해 입력된 통화 신호는 음성 처리부(14)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다. 음성 처리부(14)는, 음성을 고능률 압축 부호화/복호화하고 있고, 예를 들면, CELP(Code Excited LPC)계나 ADPCM(적응 차분 PCM 부호화) 방식의 코더/디코 더로 구성되어 있다. 음원 하드웨어부(15)는, 음성 처리부(14)로부터의 수화 신호를 수화용 스피커(22)를 통해 소리낼 수 있고, 시퀀스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착신 멜로디와 보류음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착신 멜로디는 착신용 스피커(23)에서 소리가 나고, 보류음은 수화 신호와 혼합되어 수화용 스피커(22)에서 소리가 난다.
시퀀스 데이터의 포맷은 데이터 배송에 편리한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포맷이나 SMAF(Synthetic Music Mobile Application Format) 포맷이다. 음원 하드웨어부(15)가, 이와 같은 포맷의 시퀀스 데이터를 음원 하드웨어부(15)에 내장되어 있는 음원 코어 고유 포맷의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재생한다. 또는, CPU(10)가 시퀀스 데이터를 음원 하드웨어부(15) 고유 포맷의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RAM(11)에 기억하여 두고, 재생시에 RAM(11)으로부터 독출하여 음원 하드웨어부(15)에 공급한다. 음원 하드웨어부(15)에는, 임의의 수의 음색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음색 파라미터군이 등록되는 범용 RAM, 큰 출력 비트 폭을 갖고 있는 캐시 메모리, 및 음원 코어가 구비되어 있다. 범용 RAM에 등록되는 음색 파라미터군은, 예를 들면, GM(General MIDI) 규격에 따른 음색 파라미터군이다. 캐시 메모리는 각 채널에 지정된 음색의 음색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음원 코어는 1회 또는 수 회 캐시 메모리에 액세스함으로써 그 채널의 악음 재생에 필요한 1채널분의 음색 파라미터를 독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I/F)(16)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20)로부터 시퀀스 데이터 등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부(17)는 휴대 전화기(1)에 구비된 "0" 내지 "9"의 다이얼링 버튼과 각종 다른 버튼으로 구성되는 입력 수단이다. 표시부(18)는, 전화 기능의 메뉴와, 다이얼링 버튼 등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바이브레이터(19)는, 착신시에 착신 멜로디 대신에 휴대 전화기(1)의 본체를 진동시킴으로써, 착신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또한, 각종 기능 블록은 버스(24)를 통해 데이터 등을 송수신하고 있다.
다음에,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 장치에 탑재된 악음 재생 장치의 구성예가 도 2에 도시된다. 단, 도 2에서는, 수화용 스피커(22)와 착신용 스피커(23)가 스피커(34)로서 나타내어지는 것, 즉, 수화용 스피커(22)와 착신용 스피커(23)의 구성이 생략되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CPU(10), 음원 하드웨어부(15) 및 RAM(11)간의 데이터 전송은 버스(24)를 통해 수행되는데, 버스(24)는 도 2에 도시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되는 악음 재생 장치에서, RAM(11)에는 시퀀스 데이터와 GM 규격 등에 따른 각종 음색의 음색 파라미터군이 저장되어 있다. 이 RAM(11)에 저장되어 있는 GM 규격 등에 따른 음원 파라미터군이, CPU(10)의 제어하에서 음원 하드웨어부(15)의 음원 메모리(30)에 전송되어 등록되고 있다. 음원 메모리(30)에 음색 파라미터군을 등록할 때에는, CPU(10)가 RAM(11)에 음색 파라미터 송신 명령(a)을 주고, 등록되어야 할 음색 파라미터군에서의 음색 파라미터가 순차적으로 독출되고, 독출된 음색 파라미터(b)가 음원 메모리(30)로 공급된다. 동시에, CPU(10)는, 제어부(13)에 음색 파라미터 라이트(write)(메모리에의 음색 파라미터 등록) 명령(c)을 준다. 이 음색 파라미터 라이트 명령(c)을 수신시, 제어부(31)는, 음색 파라미 터(b)가 음원 메모리(30)에 기입하는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음원 메모리(30)에 음색 파라미터 기입 명령(d)을 준다. 이 결과, RAM(11)으로부터 독출된 음색 파라미터(a)는 음원 메모리(30)의 소정의 영역에 기입된다. 또한, 음원 메모리(30)에 등록되어 있는 각 음색 파라미터의 선두 어드레스가 기입된 음색 파라미터 테이블이, CPU(10)에 의해 RAM(11)의 작업 영역에 보존되어 있다.
음원 코어(33)에 의해 재생되는 악음의 음색을 변경할 때에는, CPU(10)는 제어부(31)에 음색 변경 명령(c)을 준다. 이 음색 변경 명령(c)을 수신하면, 제어부(31)는, 지정된 음색 파라미터를 캐시 메모리(32)로 송신하도록 음색 파라미터 송신 명령(d)을 음원 메모리(30)에 준다. 이 결과, 음원 메모리(30)는 지정된 음색 파라미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음색 파라미터(e)를 캐시 메모리(32)로 송신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악음 재생시에 음원 코어(33)는, 제어부(31)로부터 공급된 시퀀스 데이터를 음원 코어(33) 고유 포맷의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제어 데이터에서의 각 이벤트의 재생 타이밍에 도달하였을 때에 음색 파라미터 리드(read) 요구(h)를 캐시 메모리(32)에 준다. 이 음색 파라미터 리드 요구(h)를 수신하면, 캐시 메모리(32)는, 음색 파라미터(g)를 독출하여 음원 코어(33)로 보낸다. 여기서, 캐시 메모리(32)의 출력 비트 폭은, 예를 들면 1채널분의 음색 파라미터(g)를 한번에 보낼 수 있는 비트 폭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삽시간에 음색 파라미터가 음원 코어(33)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음원 코어(33)는 변경된 음색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변경된 음색의 악음을 재생하고, 따라서 재생 데이터(i)를 스피커(34)로 보내고, 이것에 의해 악음이 소리내어진다.
다음에,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음색 변경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음원 하드웨어부(15)에서의 음원 메모리(30), 제어부(31), 및 캐시 메모리(32)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음원 RAM(30a)에 등록된 음색 파마미터군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음색 캐시 메모리(32a)에 저장되어 있는 음색 파라미터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CPU(10)에 의해 음색 파라미터 라이트 명령(c)이 음원 메모리 어드레스 생성 회로(31a)에 주어지고, 등록되는 음원 파라미터를 기입하는 어드레스가 생성되어 음원 RAM(30a)의 어드레스 입력 단자에 주어진다. 음원 RAM(30a)은, 입력 비트 폭 및 출력 비트 폭이, 예를 들면, 각각 8 비트를 갖는 범용 메모리이다. CPU(10)에 의해 음색 파라미터 라이트 명령(c)이 주어질 때에는, CPU(10)에 의해 음색 파라미터 송신 명령(a)이 RAM(11)에 주어지고, 등록될 음색 파라미터(b)가 독출된다. 독출된 음색 파라미터(b)는 음원 RAM(30a)의 데이터 입력 단자에 주어진다. 그 다음에, 음원 RAM(30a)에서, 음원 메모리 어드레스 생성 회로(31a)에 의해 순차적으로 주어지는 어드레스 위치에 음색 파라미터(b)가 차례로 기입된다. 이 때, 임의의 수의 음색 파라미터의 음색 파라미터군, 예를 들면 GM 음원 사양서에 따른 모든 음색 파라미터군을 음원 RAM(30a)에 기입할 수 있다. 또한, 각 음색 파라미터를 음원 RAM(30a)에 기입하는 선두 어드레스는, CPU(10)에 의해 음색 파라미터 라이트 명령(c)의 일부로서 음원 메모리 어드레스 생성 회로(31a)에 주어지고, 각 음색 파라미터의 선두 어드레스를 기입한 음색 파라미터 테이블이 RAM(11) 에 기억된다.
음원 RAM(30a)에 등록된 음색 파라미터군의 데이터 구성은,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도 4에서, 음원 RAM(30a)의 비트 폭은 8 비트로 되어 있고, 어드레스 "1000h"(h는 16진수를 나타냄) 내지 어드레스 "100Fh"에 음색 파라미터 1이 저장되고, 어드레스 "1100h" 내지 어드레스 "110Fh"에 음색 파라미터 2가 저장되고, 어드레스 "2FF0h" 내지 어드레스 "2FFFh"에 음색 파라미터 3이 저장된다. 각 음색 데이터는, 예를 들면 어드레스가 연속하는 16행 ×8 비트의 영역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음원 메모리 어드레스 생성 회로(31a)에 의해 증분된 어드레스가 주어질 때마다 음색 파라미터의 최대 8 비트의 프래그먼트(fragment)가 음원 RAM(30a)에 등록된다. 이와 같이 도 4에 도시되는 예에서, 각 음색 파라미터는 각각 8비트 이내의 크기로 16개의 프래그먼트로 나누어져, 16개의 프래그먼트의 형태로 음원 RAM(30a)에 등록된다. 음원 RAM(30a)에 등록되는 음색 파라미터 1 내지 음색 파라미터 m(m은 임의의 정수)의 음색 파라미터들은 음색 파라미터군으로 간주된다. 도 4에 도시되는 음색 파라미터는 FM 음원용의 음색 파라미터들이다. 이들 각 음색 파라미터는, SR(sustain rate), ERB(reverb on/off), SUS(sustain level), RR(release rate), DR(decay rate), WS(파형 선택), 및 FB(피드백 레벨) 등의 파라미터로 구성되어 있다.
음원 ROM(30b)에는 미리 소정의 음색 파라미터군이 저장되어 있고, 그 데이터 구성은 도 4에 도시되는 데이터 구성예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음색을 변경할 때에, CPU(10)로부터 출력된 음색 변경 명령(c)은 레지 스터 어드레스 생성 회로(31b)에 인가된다. 음색 변경 명령(c)에 의한 변경되는 음색의 음색 파라미터의 지정은, 음원 RAM(30a)의 선두 어드레스와 그 채널 번호를 생략하여 수행된다. 그 다음에, 레지스터 어드레스 생성 회로(31b)에서는, 음색 변경 명령(c)에 의해 지정된 음색 파라미터의 선두 어드레스와 채널 번호로부터, 제어 레지스터(31c)에서의 보이스 어드레스(voice address) 레지스터의 그 채널의 보이스 어드레스를 재기입한다. 이 보이스 어드레스 레지스터는 동시에 발음되는 최대 채널 수(슬롯)분의 레지스터들로 이루어지고, 각 슬롯(채널)의 레지스터에는 각 슬롯에 설정되는 음색 파라미터의 선두 어드레스가 보이스 어드레스로서 기입된다. 그리고, 어느 채널에 대한 보이스 어드레스가 변경되었는가를 보이스 어드레스 변경 검지 회로(31d)가 검지하고, 보이스 어드레스가 변경된 채널에 대응하는 슬롯 번호를 캐시 전송 대기 큐(queue) 레지스터(31e)에 보낸다. 이 캐시 전송 대기 큐 레지스터(31e)는, 음색 변경이 한번에 다수 채널에 대해서 수행될 때에, 음색 파라미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슬롯 번호 큐를 작성하는 레지스터로, FIFO(first in first out) 구성을 갖고 있다. 캐시 전송 대기 큐 레지스터(31e)로부터 출력된 선두의 슬롯 번호는, 슬롯 번호-보이스 어드레스 변환 회로(31f)에 주어지고, 제어 레지스터(31c)에서의 보이스 어드레스 레지스터를 참조하여, 슬롯 번호-보이스 어드레스 변환 회로(31f)는 슬롯 번호를 대응하는 슬롯의 레지스터에 기입되어 있는 보이스 어드레스로 변환한다. 이 보이스 어드레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채널에 지정된 음색 파라미터의 선두 어드레스이고, 슬롯 번호-보이스 어드레스 변환 회로(31f)에 의해 선두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음색 파라미터 송신 명령(d)이 음원 메모리 어드레스 생성 회로(31a)에 주어진다.
음원 메모리 어드레스 생성 회로(31a)에서는, 음색 파라미터 송신 명령(d)에 포함되어 있는 선두 어드레스가 음원 RAM(30a)의 어드레스 범위 내에 있는지 음원 ROM(30b)의 어드레스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별하여, 선두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범위 내에 있는 음원 RAM(30a) 또는 음원 ROM(30b)으로부터, 지정된 음색 파라미터를 독출한다. 여기서, 음원 메모리 어드레스 생성 회로(31a)는, 예를 들면, 선두 어드레스를 15회 증분시켜 1채널분의 음색 파라미터 모두를 독출한다. 독출되고, 지정된 음색 파라미터(e)는, 셀렉터(30c)를 통해 음색 캐시 메모리(32a)의 데이터 입력 단자에 주어진다. 또한, 캐시 전송 대기 큐 레지스터(31e)로부터 출력된 선두의 슬롯 번호는, 음색 파라미터 수신 명령(f)으로서 캐시 어드레스 생성 회로(32b)에도 주어진다. 음색 캐시 메모리(32a)는, 동시에 발음될 수 있는 최대 채널 수의 음색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고, 캐시 어드레스 생성 회로(32b)는, 주어진 슬롯 번호에 대응하는 캐시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이 캐시 어드레스를 음색 캐시 메모리(32a)의 어드레스 입력 단자에 준다. 이 결과, 음색 캐시 메모리(32a)에서의 캐시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슬롯 번호에 설정되어 있는 음색 파라미터가 셀렉터(30c)로부터 보내진 지정된 음색 파라미터(e)를 이용하여 재기입된다.
한편, 시퀀스 데이터는, 제어 레지스터(31c)에 주어져, 음원 코어(33)에 고유한 포맷의 제어 데이터로 변환되고, 일단 제어 데이터에서의 각 이벤트의 재생 타이밍에 도달되면, 제어 레지스터(31c)로부터 음원 코어(33)에 설정하는 것이 수행된다. 이 결과, 음원 코어(33)는, 시퀀스 데이터에 근거한 악음을 순차적으로 재생하고, 또한, 이 때에 음원 코어(33)가 재생하는 각 채널에 설정되어 있는 음색 파라미터가 음색 캐시 메모리(32a)로부터 수신된다. 구체적으로, 음원 코어(33)는, 각 이벤트의 재생 타이밍에 도달하였을 때에, 재생되는 채널에 대응하는 슬롯 번호를 음색 파라미터 리드 요구(h)로서 캐시 어드레스 생성 회로(32b)에 준다. 이 음색 파라미터 리드 요구(h)를 수신하면, 캐시 어드레스 생성 회로(32b)는, 그 슬롯 번호에 설정되어 있는 음색 파라미터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의 캐시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이 캐시 어드레스를 음색 캐시 메모리(32a)에 준다. 이 결과, 그 슬롯 번호에 설정되어 있는 음색 파라미터가, 예를 들면, 한번에 음원 코어(33)로 보내지고, 이 보내진 음색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음원 코어(33)가 그 슬롯 번호에 대응하는 채널의 악음을 재생한다.
여기서, 음색 캐시 메모리(32a)에 저장되어 있는 음색 파라미터의 데이터 구성예가 도 5에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음색 캐시 메모리(32a)의 출력 비트 폭은, 파라미터 SR 내지 파라미터 FB로 구성되는 1 채널분의 각 음색 파라미터가 1행에 포함될 수 있는 수십 비트로 설정되어 있다. 음색 캐시 메모리(32a)는 음원 코어(33)에 의해 동시에 발음될 수 있는 최대 채널 수와 동일한 행 수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행째(#0)에는 채널 1의 음색 파라미터가 저장되어 있고, 제2 행째(#1)에는 채널 2의 음색 파라미터가 저장되어 있고, 동일하게 하여 제N 행째(#N)에는 채널 N의 음색 파라미터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N은 동시에 발음될 수 있는 최대 채널 수-1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색 캐시 메모리(32a)는 큰 출력 비트 폭(예를 들면, 60 비트 정도)을 갖고 있기 때문에, 1채널분의 음 색 파라미터가 한번에 음원 코어(33)로 보내질 수 있다. 이 결과, 음원 코어(33)에 삽시간에 음색 파라미터가 보내질 수 있으므로, 음이 끊어지지 않고 악음이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음색이 변경될 때에는, 지정된 음색 파라미터의 음색 캐시 메모리(32a)로의 전송이 완료할 때까지, 대응하는 키 온 이벤트의 처리를 일시 정지(키 온 마스크(key on mask))하여 변경 후의 음색의 악음을 확실히 재생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보이스 어드레스 변경 검지 회로(31d)가 출력되는 음색이 변경된 채널에 대응하는 슬롯 번호의 정보를 키 온 마스킹 회로(31g)에 준다. 키 온 마스킹 회로(31g)는, 주어진 슬롯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채널의 키 온을 마스크하는 키 온 마스크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키 온 마스크 신호를 음원 코어(33)에 보낸다. 이 결과, 음원 코어(33)에서는, 그 채널의 키 온이 마스크되어 악음의 재생이 일시 정지된다. 일단 지정된 음색 파라미터의 음색 캐시 메모리(32a)로의 전송이 완료하면, 전송 완료 플래그가 설정되고, 키 온 마스킹 회로(31g)는 원 상태로 리셋된다. 이 결과, 그 슬롯 번호에 새로이 설정된 재기입된 음색 파라미터가 음원 코어(33)에 보내지므로, 보내진 음색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음원 코어(33)는 그 채널의 변경된 음색의 악음을 확실히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코어(33)가 PCM 음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음원 ROM(30b) 및 음원 RAM(30a)에 각종 샘플링 파형이 저장될 수 있다. 악음 재생시에는, 음원 코어(33)에 의해 음원 메모리 어드레스 생성 회로(31a)에, 지정된 음색의 파형 어드레스가 주어진다. 음원 메모리 어드레스 생성 회로(31a)는, 주어진 파형 어드레스가 음원 RAM(30a)의 어드레스 범위 내에 있는지 음원 ROM(30b)의 어드레스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별하여, 파형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범위 내에 있는 음원 RAM(30a) 또는 음원 ROM(30b)으로부터, 지정된 파형 데이터를 독출한다. 독출된 파형 데이터는, 셀렉터(30c)를 통하여 음원 코어(33)에 주어지고, 음원 코어(33)는 이 파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정된 음색의 악음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음원 RAM(30a)은 음색 파라미터만이 아니라 다른 데이터도 기억할 수 있는 범용 메모리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2에 도시하는 음원 하드웨어부(15)에 의해 실행되는 재생 처리의 플로 차트가 도 6에 도시된다.
악음 재생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1)에서는, 착신을 통지하는 멜로디를 이 악음 재생 장치가 재생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착신 수신시 악음 재생 지시가 행해지고, 이것에 의해 도 6에 도시되는 재생 처리가 개시된다. 단계 S1에서, 예를 들면 각종 레지스터가 리셋 또는 디폴트 값으로 되는, 음원 하드웨어부(15)를 초기화하는 초기화 처리가 수행된다. 그 다음, 단계 S2의 음색 파라미터의 메모리 등록 처리, 단계 S3의 음색 변경 처리, 및 단계 S4의 음 데이터 처리가 병행하여 수행된다. 이들 단계 S2 내지 S4의 처리는, 시퀀스 데이터가 종료 또는 정지 지시될 때까지 반복 실행되고, 이것에 의해 시퀀스 데이터에 근거한 재생 악음이 출력된다.
다음에, 도 6의 단계 S2 내지 S4의 처리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먼저, 도 6의 단계 S2의 음색 파라미터의 메모리 등록 처리의 플로 차트가 도 7에 도시된다.
악음의 재생 개시가 지시되어 초기화 처리가 수행된 후에, 사용자가 입력부(17)의 버튼을 조작하여 음색 파라미터의 메모리 등록을 선택하면, 도 7에 도시되는 음색 파라미터의 메모리 등록 처리가 개시된다. 도 7의 단계 S10에서, CPU(10)로부터의 등록 요구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CPU(10)에 의해 음색 파라미터 라이트 명령(c)이 음원 하드웨어부(15)에 주어지고, RAM(11)에 음색 파라미터 송신 명령(a)이 주어지는 경우는, "예"로 판정되어 단계 S11로 진행하고, S11에서 RAM(11)으로부터 독출된 음색 파라미터가 음원 메모리(30)의 음원 RAM(30a)에 등록된다. 일단 등록이 완료되면, 음색 파라미터의 메모리 등록 처리는 종료하고, 처리는 단계 S1 후의 단계로 리턴된다. 또한, 단계 S10에서 CPU(10)로부터의 등록 요구가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 다시 음색 파라미터의 메모리 등록 처리는 종료하고, 처리는 단계 S1 후의 단계로 리턴된다.
다음에, 도 6의 단계 S3의 음색 변경 처리의 플로 차트가 도 8에 도시된다.
도 8에서, 악음의 재생 개시가 지시되어 초기화 처리가 수행된 후에, 시퀀스 데이터 중에 포함된 음색 변경 메시지 등을 통해 음색 변경 처리가 개시되면, 단계 S20에서 CPU(10)로부터 음색 변경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CPU(10)가 음원 하드웨어부(15)의 제어부(31)에 음색 변경 명령(c)을 주는 경우는 "예"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21 및 단계 S22로 진행한다. 단계 S21에서는, 지정된 음색 파라미터가 음원 RAM(30a) 또는 음원 ROM(30b)으로부터 독출되어 음색 캐시 메모리(32a)로 송신된다. 또한, 단계 S21과 병렬로 처리되는 단계 S22에서는, 송신된 음색 파라미터가 음색 캐시 메모리(32a)에 의해 수신되고, 지정된 채널의 음색 파라미터가 재기입 된다. 일단 단계 S21 및 단계 S22의 처리가 완료되면, 음색 변경 처리가 종료하여, 처리는 단계 S1로 리턴된다. 또한, 단계 S20에서 CPU(10)로부터 음색 변경 명령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는, 다시 음색 변경 처리를 종료하여, 처리는 단계 S1로 리턴된다.
다음에, 도 6의 단계 S4의 음 데이터 처리의 플로 차트가 도 9에 도시된다.
악음의 재생 개시가 지시되어 음원 하드웨어부(15)의 초기화 처리가 수행된 후에, 제어 데이터에서의 각 이벤트의 재생 타이밍에 도달되었을 때에, 제어부(31)에 의해 음원 코어(33)에 제어 데이터가 설정된다. 이 결과, 악음을 재생하는 타이밍에 도달되었을 때에, 음 데이터 처리가 개시된다. 단계 S30에서, 음원 코어(33)에 키 온이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와 현재 키 온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키 온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31로 진행하여, 음원 코어(33)가 음색 캐시 메모리(32a)로부터 재생되는 채널의 음색 파라미터를 독출한다. 다음에, 단계 S32에서, 독출한 음색 파라미터 및 음원 코어에 설정된 제어 데이터에 근거하여 악음을 재생하는 데이터 처리가 수행된다. 그 다음에, 단계 S33에서, 재생된 악음 데이터가 출력(발음)된다. 일단 단계 S33의 처리가 완료되면, 음 데이터 처리가 종료하고, 처리는 단계 S1로 리턴된다. 또한, 단계 S30에서 현재 키 온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 다시 음 데이터 처리를 종료하고, 처리는 단계 S1로 리턴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음색 캐시 메모리(32a)로부터 1회의 액세스로 1 채널분의 음색 파라미터를 음원 코어(33)에 보내도록 하였지만, 출력 비트 폭을 약간 좁게 하여 수 회의 액세스로 1 채널분의 음색 파라미터를 음원 코어(33)에 보내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도, 그 처리에 걸리는 시간에 의한 음 끊어짐의 영향은 거의 없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악음 재생 장치는, 휴대 단말 장치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 전화기(1) 뿐만 아니라, 악음을 출력할 수 있는 휴대 정보 기기, 악음을 출력할 수 있는 휴대형 퍼스널 컴퓨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텍스트 및/또는 화상 컨텐츠에 동기하여 음악 컨텐츠 데이터가 재생되어도 된다.
또한, 음원 하드웨어부(15)에서의 음원 코어(33)는, 주파수 변조 방식의 음원, 즉 FM 음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FM 음원은, 악음의 합성에 주파수 변조에 의해 생성되는 고조파를 이용하고, 비교적 간단한 회로에 의해 비조화음(non-harmonic tone)을 포함하는 고조파 성분을 갖는 파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FM 음원은, 자연 악기의 합성음부터 전자음까지 폭 넓은 악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FM 음원에서는, 정현파를 등가적으로 발진시키는 "오퍼레이터"라고 불리우는 발진기를 사용하고, 예를 들면 제1 오퍼레이터와 제2 오퍼레이터를 종속(縱續) 접속함으로써 FM 음원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FM 음원은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출력을 자신이 피드백하여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음원 하드웨어부(15)의 음원 코어(33)의 음원 방식은, FM 음원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파형 메모리 음원(PCM 음원 또는 ADPCM 음원) 방식, 물리 모델 음원 방식 등이어도 된다. 음원의 구성으로서는 DSP 등을 사용하는 하드웨어 음원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악음 재생 장치는, 시스템 기억 수단으로부터 독출된 적어도 임의의 수의 음색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음색 파라미터군을 등록하는 범용 메모리로서의 음원 메모리와, 등록된 음원 파라미터군으로부터의 음색 파라미터를 음원 메모리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폭으로 입력받고, 입력한 음색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 폭보다 큰 데이터 폭으로 출력하는 캐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음색 변경시에는, 음원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음색 파라미터가 캐시 메모리에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음원 메모리에는 임의의 수의 음색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음색 파라미터군이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음색이 변경될 때마다 시스템 제어 수단에서 음원 메모리로 음색 파라미터를 전송할 필요가 되도록 많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캐시 메모리의 출력 비트 폭이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음색 파라미터가 음원 수단에 삽시간에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음원 메모리에 미리 음색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있어도, 음색 변경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음색을 변경할 때에 음 끊어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악음 재생 장치에 의하면, 시스템 제어 수단은, 음색 파라미터에 부여된 소정의 어드레스의 선두 어드레스를 지정함으로써, 음원 메모리로부터 음색 파라미터의 각각을 독출하므로, 시스템 제어 수단과 악음 재생 장치간의 데이터 전송량을 삭감시킬 수 있다.

Claims (6)

  1. 휴대단말장치 내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단말장치 내의 시스템 기억수단 및 시스템 제어수단에 버스를 통해 접속된, 악음을 재생하는 악음 재생 장치로서,
    제1 비트폭의 제1 입력단 및 상기 제1 비트폭의 제1 출력단을 갖고, 상기 제1 비트폭에 따라 기억영역이 구성되고, 상기 버스를 통해 전송된 음색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 가능하고 또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음원 메모리와,
    제2 입력단 및 상기 제1 비트폭보다 큰 비트폭인 제2 비트폭의 제2 출력단을 갖는 캐시 메모리와,
    음원수단과,
    음원제어수단을 갖고,
    상기 시스템 기억수단에는, 소정의 음색 생성을 위한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가 상기 제1 비트폭 단위로 미리 기억되어 있고,
    상기 음원 메모리에는,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하에서, 상기 시스템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버스를 통해,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가 복수의 전송회수로 상기 제1 입력단에 공급되어 기억되고,
    음색을 변경할 때는, 상기 음원 메모리의 상기 제1 출력단으로부터 독출된 상기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가 상기 캐시메모리의 상기 제2 입력단에 순차 전송되어 상기 캐시메모리에 기억되고,
    상기 음원제어수단은, 시퀀스 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상 기 제어 데이터의 재생 타이밍에 상기 음원수단에 공급하고, 또한, 음색을 사용할 때 리드 요구를 상기 캐시메모리에 공급하고,
    상기 캐시메모리는, 상기 음원제어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리드 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를, 상기 제2 출력단으로부터 1회의 전송회수로 상기 음원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음원수단은, 상기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 및 상기 제어 데이터에 의거하여 악음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제어수단은, 변경해야할 음색의 음색 파라미터에 부여된 선두 어드레스를 지정함으로써 상기 음원 메모리로부터 상기 음색 파라미터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 재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 재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수신수단을 갖고, 상기 데이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 기억수단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 재생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악음 재생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장치로서,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은,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기능처리를 메인처리로서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6. 휴대단말장치 내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단말장치 내의 시스템 기억수단 및 시스템 제어수단에 버스를 통해 접속된, 악음을 재생하는 악음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 기억수단에 소정의 음색 생성을 위한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를 제1 비트폭 단위로 미리 기억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비트폭의 제1 입력단 및 상기 제1 비트폭의 제1 출력단을 갖고, 상기 제1 비트폭에 따라 기억영역이 구성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음원 메모리에,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하에서, 상기 시스템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버스를 통해,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를 복수의 전송회수로 상기 제1 입력단에 공급하여 기억시키는 단계,
    음색을 변경할 때는, 상기 음원 메모리의 상기 제1 출력단으로부터 독출된 상기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를, 제2 입력단 및 상기 제1 비트폭보다 큰 비트폭인 제2 비트폭의 제2 출력단을 갖는, 캐시 메모리의 제2 입력단에 순차 전송하여 상기 캐시메모리에 기억시키는 단계,
    음원제어수단이 시퀀스 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어 데이터의 재생 타이밍에 음원수단에 공급하고, 또한, 음색을 사용할 때 리드 요구 를 상기 캐시메모리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캐시메모리가 상기 음원제어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리드 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를, 상기 제2 출력단으로부터 1회의 전송회수로 상기 음원수단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수단이 상기 1채널분의 복수의 음색 파라미터 및 상기 제어 데이터에 의거하여 악음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67012256A 2001-05-25 2002-05-22 악음 재생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휴대 단말 장치 KR100633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56622A JP3642039B2 (ja) 2001-05-25 2001-05-25 楽音再生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JP-P-2001-00156622 2001-05-2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395A Division KR20040004654A (ko) 2001-05-25 2002-05-22 악음 재생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861A KR20060084861A (ko) 2006-07-25
KR100633804B1 true KR100633804B1 (ko) 2006-10-16

Family

ID=190006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395A KR20040004654A (ko) 2001-05-25 2002-05-22 악음 재생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
KR1020067012256A KR100633804B1 (ko) 2001-05-25 2002-05-22 악음 재생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휴대 단말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395A KR20040004654A (ko) 2001-05-25 2002-05-22 악음 재생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35733B2 (ko)
EP (1) EP1391874B1 (ko)
JP (1) JP3642039B2 (ko)
KR (2) KR20040004654A (ko)
CN (1) CN1535458B (ko)
DE (1) DE60229377D1 (ko)
ES (1) ES2312572T3 (ko)
TW (1) TW594671B (ko)
WO (1) WO20020977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9228B2 (ja) 2003-10-22 2009-08-05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IPテレフォニーシステム、VoIP端末及びそれらに用いる保留音・可聴音再生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20050087368A (ko) 2004-02-26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단말기의 벨소리 처리 장치
JP4475323B2 (ja) * 2007-12-14 2010-06-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楽音発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7505A (en) * 1987-06-26 1989-12-19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apable of performing an automatic accompaniment
JP2605434B2 (ja) * 1989-12-09 1997-04-30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のデータ発生装置
US5345035A (en) * 1992-07-10 1994-09-06 Yamaha Corporation Musical tone generating apparatus
JP3235409B2 (ja) 1995-06-07 2001-12-04 ヤマハ株式会社 ミュージックシステム、音源および楽音合成方法
US5895449A (en) * 1996-07-24 1999-04-20 Yamaha Corporation Singing sound-synthesizing apparatus and method
US5850051A (en) * 1996-08-15 1998-12-15 Yamah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 automatic accompaniment pattern on the basis of analytic parameters
JP3572892B2 (ja) * 1997-09-24 2004-10-06 ヤマハ株式会社 マルチ音源用楽音信号生成方法、マルチ音源装置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H11312085A (ja) * 1998-04-28 1999-11-09 Hitachi Ltd プロセッサ
JP2000029462A (ja) * 1998-05-18 2000-01-2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提供媒体
JP3541718B2 (ja) * 1999-03-24 2004-07-14 ヤマハ株式会社 楽音生成装置
JP3603705B2 (ja) * 1999-11-29 2004-12-22 ヤマハ株式会社 音源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話端末装置
JP3675362B2 (ja) * 2000-08-18 2005-07-27 ヤマハ株式会社 楽音生成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3525901B2 (ja) 2001-03-15 2004-05-10 松下電工株式会社 浴室ユニット
JP3700599B2 (ja) * 2001-03-29 2005-09-28 ヤマハ株式会社 音色選択装置及び方法
JP3862061B2 (ja) * 2001-05-25 2006-12-27 ヤマハ株式会社 楽音再生装置および楽音再生方法ならびに携帯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861A (ko) 2006-07-25
KR20040004654A (ko) 2004-01-13
WO2002097789A1 (fr) 2002-12-05
JP3642039B2 (ja) 2005-04-27
ES2312572T3 (es) 2009-03-01
EP1391874A4 (en) 2007-12-19
CN1535458A (zh) 2004-10-06
CN1535458B (zh) 2010-05-05
EP1391874B1 (en) 2008-10-15
US7235733B2 (en) 2007-06-26
JP2002351465A (ja) 2002-12-06
US20040159217A1 (en) 2004-08-19
TW594671B (en) 2004-06-21
DE60229377D1 (de) 2008-11-27
EP1391874A1 (en) 200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0871B1 (ko) 휴대전화 및 음악 재생방법
KR20020084248A (ko) 휴대전화단말에 적용 가능한 음악재생장치
KR100591378B1 (ko) 악음 재생 장치와 방법, 및 휴대 단말 장치
JP3675362B2 (ja) 楽音生成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7167725B1 (en) Music reproducing apparatus, music reproducing method and telephone terminal device
JP3722015B2 (ja) 楽音生成装置
KR100633804B1 (ko) 악음 재생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휴대 단말 장치
US7450971B2 (en) Tele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JP3982532B2 (ja) 楽音再生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3279298B2 (ja) 楽曲再生装置、楽曲再生機能を備える携帯電話装置、および楽曲再生方法
JP3279293B2 (ja) 楽曲再生装置、楽曲再生機能を備える携帯電話装置および楽曲再生方法
JP2001345883A (ja) 電話端末装置
JP3985817B2 (ja) 楽音生成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2001060990A (ja) 電話端末装置および楽曲データ転送方法
JP2005229511A (ja) 楽音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