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682B1 - W/o 에멀젼 타입의 치아 미백제 - Google Patents

W/o 에멀젼 타입의 치아 미백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682B1
KR100633682B1 KR1020050022510A KR20050022510A KR100633682B1 KR 100633682 B1 KR100633682 B1 KR 100633682B1 KR 1020050022510 A KR1020050022510 A KR 1020050022510A KR 20050022510 A KR20050022510 A KR 20050022510A KR 100633682 B1 KR100633682 B1 KR 100633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oxide
tooth whitening
whitening agent
weight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0752A (ko
Inventor
곽상훈
윤세영
김한수
장석윤
김상년
문교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5002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682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JP2008501818A priority patent/JP4677029B2/ja
Priority to MX2007011464A priority patent/MX2007011464A/es
Priority to RU2007138646A priority patent/RU2375040C2/ru
Priority to EP06716433.5A priority patent/EP1863438B1/en
Priority to BRPI0611560-8A priority patent/BRPI0611560A2/pt
Priority to PCT/KR2006/000983 priority patent/WO2006098602A1/en
Priority to US11/886,484 priority patent/US20080193392A1/en
Priority to CN2006800087348A priority patent/CN101141945B/zh
Priority to CA 2601064 priority patent/CA2601064C/en
Publication of KR20060100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682B1/ko
Priority to ZA200707611A priority patent/ZA200707611B/xx
Priority to US13/345,092 priority patent/US20120134936A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4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for air
    • F25J3/04763Start-up or control of the process; Details of the apparatus used
    • F25J3/04866Construction and layout of air fractionation equipments, e.g. valves, machines
    • F25J3/04896Details of columns, e.g. internals, inlet/outle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4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for air
    • F25J3/04763Start-up or control of the process; Details of the apparatus used
    • F25J3/04866Construction and layout of air fractionation equipments, e.g. valves, machines
    • F25J3/04896Details of columns, e.g. internals, inlet/outlet devices
    • F25J3/04903Plates or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16Fractionating columns in which vapour bubbles through liquid
    • B01D3/22Fractionating columns in which vapour bubbles through liquid with horizontal sieve plates or grids; Construction of sieve plates or gr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32Other features of fractionating columns ; Constructional details of fractionating colum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3/16 - B01D3/30
    • B01D3/324Tray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0/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 F25J2200/38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using pre-separation or distributed distillation before a main column system, e.g. in a at least a double column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를 이용한 W/O 에멀젼제형의 치아미백제에 관한 것으로, 치아에 도포하여 치아미백 효과를 얻도록 된 조성물로서,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 OH기를 가지는 폴리올, 접착력을 부가할 수 있는 고분자 및 치아미백성분으로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정상 치아 미백제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기본 약제로 하고, -OH기를 가지는 폴리올류를 첨가하여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고, 미백성분의 방출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 발명은 도포 전에는 유동성을 가져 바르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도포된 후에는 타액 등의 수분에 의해 고형화하여 부착, 고정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치아미백, W/O emulsion, 과산화물, 서방성,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Description

W/O 에멀젼 타입의 치아 미백제 {W/O TYPE EMULSION TOOTH WHITENER USING GLYCERYL MONOLEATE}
본 발명은 W/O emulsion 타입의 치아 미백제에 관한 것으로, 치아에 도포할 때는 액상으로 바르기 쉽고, 구강 타액 등의 수분이 유입되면 제제의 점도가 증가하여 치아에 부착 및 고정될 수 있으며, 치아에 부착된 동안에는 미백 효능을 가진 물질이 치아 표면으로 서서히 방출되어 치아 미백 효과를 발휘하는 제형에 관한 것이다.
치아는 내측의 상아질과 외측의 에나멜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치아의 색이 누렇게 변색되는 이유는 내인적으로는 음식물등으로 인하여 이중결합등의 발색단을 가지는 물질이 치아 외측의 에나멜층에 침착되기 때문이다. 또한 외인적으로 치석, 연성 침전물의 치아표면에 부착되어 치아의 변색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원인중 외인적인 색의 제거는 칫솔질로 인하여 쉽게 제거될 수 있으나, 내인성 발색은 치약이나 칫솔질로 제거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치약을 이용한 치아미백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개발된 것이 과산화수소수를 이용한 치아미백이다. 1960년에 미국의 치과의사는 환자의 잇몸 질환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과산화수소수가 치아를 희게 한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하여 치아미백제를 개발하였다.
이를 계기로 1980년대에는 가정용 치아미백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는 과산화수소나 카바마이드 페록사이드 겔을 트레이(tray)에 담아 사용하는 제품이다. 이 제품은 고농도의 과산물을 사용하여야 하고, 잇몸에 트레이가 닿는 물리적 자극으로 인해 구강내 안전성에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저농도의 과산화물을 함유하는 스트립제형이나, 액체를 직접 치아에 도포하는 액제형 제품이 널리 개발되었다.
이중 액제형 제품은 치아에 바르기 쉬워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바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치아뿐만 아니라, 입술등 구강내 연조직에 쉽게 달라 붙어 자극을 나타내고, 타액에 쉽게 희석되어 치아 내로 과산화수소의 흡수가 어려워져 미백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제형이 소개되거나 특허로도 출원되어 공개되어 있으며, 국내특허출원 제1999-7011451호 및 제2001-7011679호는 그 대표적인 것이다. 아래와 같이 대표적인 액상 치아미백제의 특허를 분석하여 보았다.
콜게이트사(colgate)사는 미국 특허 제 6,770,266호에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를 이용한 액체형 치아미백제를 개발하였다. 이 특허는 사용하기 편리하고, 사용시 이물감이 적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수용성 폴리머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를 사용하여, 치아에 대한 부착력이 낮고, 타액에 의해 쉽게 희석되어 치아에 과산화물의 흡수가 충분하지 않아 소비자가 원하는 미백효과를 나타내기 어렵다.
피앤지(P&G)사는 미국 특허 제 6,569,408호 에서 유기실리콘(organosiloxane) 을 이용한 액체형 치아미백제를 개발하였다. 이 특허는 사용이 편리하고 치아에 대한 부착력이 좋아 밤새 사용할 수 있으나, 비친수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미백성분인 과산화물이 치아에 흡수되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덴매트(Den-mat)사 미국 특허 제 6,555,020호에서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를 이용한 액체형 치아미백제를 개발하였다. 이 특허 역시 타액에 의해 치아미백제 겔이 쉽게 희석되어 치아에 대한 부착력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EDTA나 CDTA같은 과산화물 안정화제가 첨가되어 치아표면에서의 미백 반응이 지연되어 원하는 치아미백의 효과를 나타내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Singh등이 미국에 출원 중인 제 2003/0152528호에서 친수성(hydrophilic) 폴리머와 친수성 폴리머 수소결합을 하는 분자량 1000달톤 미만의 단량체(oligomer)를 사용하여 치아미백제를 개발하였다. 이 특허는 캐스팅이나 압출에 의한 고체상의 제형에는 적합하나, 액제의 경우 겔상에서는 분자간의 운동에너지가 강하고, 자유도가 증가하여 분자량이 작은 단량체만을 사용한다면 친수성 폴리머와 강한 수소결합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제제와 치아와의 선택적인 부착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치아 미백 제형에 있어서 사용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W/O형 에멀젼(역상 미셀)상으로 제조하여 상안정성 및 과수안정성을 향상시킨 제형이다.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는 식물유에서 유래하는 지방산의 일종으로 여러 가지 액정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결정형의 변화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와 수분의 비율에 의하여 변화하며, 수분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순수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W/O 에멀젼(역상 미셀), 라멜라상의 액정, 큐빅상의 액정으로 변화하며, 이후 수분의 함량이 증가하면 큐빅상의 결정들이 단리되어 약물의 용출을 일으킨다. 이 때 결정 구조의 변화에 따라 제제의 점도, 부착력등의 변화하게 된다.
이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글리세롤기에 위치한 1,2 다이올이 액체 결정의 구조를 이루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계면활성제에도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올레이트기에 존재하는 이중 결합은 과산화수소와 같은 산화제에 의하여 쉽게 공격받아 분해되어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는 과산화물과 배합금기로 알려진 물질이다.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4th edition, p 262)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글리세릴기는 친수성을, 모노올레이트기는 친유성을 가진다. 이러한 이유로 과산화수소와 같은 친수성 물질을 글리세릴기에 선택적으로 존재하게 할 수 있게 하려면 W/O 에멀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치아미백에 사용하는 미백물질은 일반적으로 35%의 과산화수소수, 혹은 과산화물 수용액을 사용하는데 만족할 만한 치아미백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2% 이상의 과산화물을 사용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치아미백에 가장 선호되는 35% 과산화수소수의 경우, 2%의 과산화수소 농도를 맞추기 위해서는 6% 이상의 친수성 성분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W/O형 에멀젼이 아닌 라멜라 액정이 생성되어 안정성이 떨어진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OH기를 가지는 폴리올을 사용하여 W/O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는데 이는 위에 기재 하였듯이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글리세릴기의 1,2 다이올이 수분 혹은 분자내 수소결합을 이루어 액정을 이룬다. 그러므로 결정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글리세릴기의 1,2 다이올과 경쟁적으로 경합할 수 있는 저분자량의 -OH기를 가지는 고분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OH기를 가지는 폴리올을 첨가하는 것이다. -OH기를 가지는 폴리올을 첨가하면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1,2 다이올과 경쟁적으로 경합하여 수분이 증가하여도 매트릭스상의 액정화를 막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OH기를 첨가하지 않은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매트릭스는 상온에서 5%이상의 친수성 물질 함유시 액정을 관찰되지만, -OH기를 가지는 폴리올을 첨가하면 15%정도 까지는 W/O 에멀젼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OH기를 폴리올을 첨가하면 어는점을 강하할 수 있고 및 굳는 점을 높일 수 있어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상품화에 가장 문제를 줄 수 있는 온도에 따른 점도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원 발명은 위에 열거되었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아에 도포하여 치아 미백 효과를 이룰 수 있는 적절한 물성을 갖는 치아 미백 제형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즉, 종래의 여러 액체형 제제 및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제제상의 단점을 보완한 제형으로, 구강 내의 원하는 부위에 약제를 쉽게 도포하여 치아미백에 사용할 수 있으며,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상안정성과 과산화물의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 제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을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치아에 도포하여 치아 미백 효과를 얻도록 된 조성물로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OH기를 가지는 폴리올, 폴리머, 과산화물 및 친수성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O 상 에멀젼상의 치아 미백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제는, 치아 미백 효능 물질을 치아 표면에 전달하기 위해 약제를 치아에 도포할 때 쉽게 바를 수 있고, 치아에 도포된 후에는 쉽게 고정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치아 미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기본 약제로 사용하였다.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경우,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온도와 수분의 함량에 따라 액정을 형성하며 그 환경에 따라 형태 및 물성을 달리 한다. 즉, 계면활성제 등의 상변화를 보면 라멜라(lamellar) 상 또는 W/O 에멀젼(역상 미셀)상, 역상 육각형(hexagonal) 상에서는 유동성이 있어서 치아의 표면 등에 도포하거나 적용하기 쉬운 형태를 가지나, 온도의 변화나 수분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구조가 입방체(cubic) 상으로 변화하면서 고형화되어 유동성이 없어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액정의 물성 변화를 제형에 적용하여 발전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에서는 약제가 치아에 부착된 동안 미백 효능을 가진 물질이 치아 표면에 서서히 방출되는데, 타액 등에 의해 흡수가 된 후 점도가 상승하여 미백성분이 치아와 접촉하는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액상제제를 도포 하여 고형화되어 치아에 부착된 제제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W/O 에멀젼상에서 큐빅상으로 결정형이 변화하며 구강 내 타액의 양이 증가할수록 큐빅상이 단리되어, 과산화수소가 용출된다. 그러므로 고형화된 제제는 특 별히 제거하지 않아도 구강 내 타액에 의하여 소실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제에서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기본 약제로 하여, 구강 내 조건에 의해 액정의 상 중에서 입방체(cubic) 상으로의 변화를 유도하여 치아에 고정되고 부착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구강에서의 체온과 구강 타액 등의 수분 유입에 의해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기본 약제가 고형화되고 점도가 증가되어 치아에 도포된 약제가 부착 및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즉, 치아에 도포할 때는 유동성이 적절하여 치아에 도포하기 편하도록 하고, 치아에 도포된 후에는 타액의 유입에 의해서 점도가 빨리 상승하여 치아에 고정이 되어 부착이 잘 되도록 한 것으로, 구강 조건에서 쉽게 희석되거나 소실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W/O 에멀젼상의 치아 미백제에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는 제제 내에 약 15 내지 95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고, 제형의 형태를 갖추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조성물 전체중량 대비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양이 15%이하이면 제제상에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상이 큐빅상으로 생성되어 치아에 바르기 힘들며,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저해된다. 또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양이 전체중량 대비 95%이상이면 온도에 따라 점도 변화가 심해 제제의 상안정성에 영향을 준다.
여기에서, W/O 에멀젼상 치아 미백제의 물성, 특히 치아 도포 전후의 점도 변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OH기를 가진 폴리올이 중요하다. 점도 변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OH기를 가지는 폴리올 등의 함량을 조절하면 점도가 변화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OH기를 가지는 폴리올의 첨가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데, 상기 하였던 바와 같이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1,2 다이올이 분자내 결합 혹은 물과의 결합을 경쟁적으로 방해하여 액정이 생성되는 것을 방해한다. 이로 인하여 같은 모노올레이트의 비율을 가지더라도 -OH기를 첨가하면 액정이 생성되지 아니하며 이로 인하여 W/O 에멀젼(역상 미셀)을 제조할 수 있다. 과산화물을 W/O 에멀젼(역상 미셀)으로 제조할 경우 상안정성, 주성분인 과산화물의 경시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OH기를 가지는 폴리올을 사용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OH기를 가지는 분자량 8000이하의 폴리올은 그 자체로도 상기 기능이 존재하고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분자간의 결정 배열을 방해함으로 제조 유통 과정중의 온도변화에 의해 상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OH기를 가지는 폴리올은 액정이 생성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1,2 다이올과 분자내 결합, 혹은 물과의 결합을 방해하므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와 결합하여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액정간의 결합을 느슨하게 함으로 약물의 방출속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W/O 에멀젼에서의 -OH기를 가지는 저분자성 폴리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스테아릴 알코올, 자일리톨, 소비톨, 마니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량은 약 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의 범위이다.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OH기를 가지는 폴리올의 양이 1% 이하이면 점도조절 및 온도에 의한 상변화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20% 이상이면 폴리올의 -OH기가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액정을 형성에 방해를 하여 본발명에서 원하는 W/O 에멀젼상에서 큐빅상으로 변화하는 효과를 주지 못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 미백제에 있어서 수분 혹은 에탄올과 같은 친수성 용매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여러 가지 상을 결정한다. 본 발명이 이용하고자 하는 W/O 에멀젼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분 함량을 조절해야 용이하게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W/O 에멀젼상의 치아 미백제에서 용매의 함량은 약 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중량%의 범위에 있다.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친수성 용매의 비율이 1% 이하이면, 제제의 점도가 높아 치아에 바르기 쉽지 않으며, 50% 이상인 경우 제제상에서 클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상이 큐빅상을 형성하므로 치아에 부착력이 없고,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저해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상 치아 미백제에서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기본 약제의 물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고분자 화합물, 즉 폴리머를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 부착력이 우수한 폴리머를 첨가하여 접착력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상 치아 미백제에서 고분자 화합물은 0.2 내지 40중량%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고, 제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한다.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폴리머의 비율이 0.2% 이하이면 치아 부착력이 낮아 기대하였던 효과를 나타낼 수 없으며, 40% 이상이면 폴리머가 석출되어 상안정성이 낮아진다.
본 발명의 W/O상 치아 미백제에 사용할 수 있는 폴리머는 다음과 같다: 비이온성 폴리머 계열로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록사머(poloxamer),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olyvinyl pyrrolidone/vinyl acetate copolymer),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ethyl cellulose), 폴리옥스(polyox) 등, 음이온성 폴리머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카르복시프로필 셀룰로오스(carboxypropyl cellulose)와 이의 염으로 된 폴리머, 잔탄 검(xanthan gum), 카라게난 검(carrageenan gum), 알지네이트 검(alginate gum) 등, 기타 폴리머류로 카라얀 검(karayan gum), 아라비아 검(arabic gum)과 이의 염 유도체, 및 젤라틴(gelatin), 합성 폴리머로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카보폴(carbopol), 폴리쿼터니움-11(polyquaternium-11), 폴리쿼터니움-39(polyquaternium-39)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 (PVM/MA copolymer: Gantrez AN 119, AN 139, S-97)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상 치아 미백제에서 치아 미백 성분으로는 과산화수소, 과산화물 염으로서 과탄산염, 과붕산염, 그리고 과산화요소, 과인산피로인산나트륨, 그리고 폴리머류로 폴리비닐피롤리돈-과산화수소 복합체, 그리고 무기 금속 과산화물염으로서 고체로서는 과산화칼슘(CaO2), 과산화바륨(BaO2), 과산화마그네슘 (MgO2), 과산화나 트륨(Na2O2), 과산화칼륨(Ka2O2)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미백제 성분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우월한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상 치아 미백제에서는 치아 미백 성분을 조성물의 0.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의 농도로 첨가할 수 있다. 위 과산화물이 고체 또는 분말일 경우 수분에 미리 용해 또는 분산시켜 조제하면 더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상 치아 미백제는 과산화물 안정성에 유리하면서, 구강용품, 특히 치아 미백제에 적합하도록 pH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pH 조절 기능이 있는 안정화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안정화제는 보존시 pH 변화를 억제하고 구강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는 pH 조절 기능이 있는 물질로서, 과산화물과 상용성이 뛰어난 금속-콤플렉스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과산화물 상용성이 좋은 안정화제는 축합인산염(polyphosphate)으로 피로인산나트륨 (tetrasodium pyrophosphate, TSPP), 산성 피로인산나트륨(sodium acid pyrophosphate, SAPP), 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SHMP), 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STP), 피로인산나트륨칼륨(sodium potassium tripolyphosphate, SKTP), 피로인산칼륨(tetrapotassium pyrophosphate, TKPP), 울트라메타인산염(acidic sodium meta-polyphosphate), 산성폴리인산나트륨(acidic sodium polyphosphate), 또는 금속-킬레이트제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페이트 및 이의 염, 하이드록시에틸렌디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안정화제의 사용량은 과산화물에 대하여 중량대비 0.1 ~ 10% 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축합인산염은 치석 생성 억제나 치석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미백 효과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로도 이들을 함유한 경우 치아 표면이나 치아 사이사이가 깨끗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밖에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치아 미백제는 앞서 언급된 성분 외에 향, 표백활성화제 또는 치아우식증 억제제, 잇몸질환 개선제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제형의 형상 유지 및 과산화물의 안정성에 변화를 주는 일 없이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향은 대표적으로 페퍼민트, 스페어민트, 멘톨, 시트러스, 허브 등, 표백활성화제는 산화티탄, 전이금속-콤플렉스, TAED(tetraacetyl ethylene diamine) 등, 치아우식증 억제제로는 불화나트륨(NaF), 불화칼슘(CaF2) 등, 잇몸 질환 개선제로는 죽염, 초산토코페롤, 비타민 D,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alantoin chlorohydroxy aluminum), 트리클로산(triclosan), 자일리톨(xylitol), 칼슘글리세롤포스페이트, 아미노카프론산, 트로닉아민, KNO3,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monoflurophosphate), 효소(enzyme) 등이 사용 가능하다.
이상 언급된 성분들을 사용함으로써 사용감을 개선하고 부가 기능이 부여된 새로운 제형의 치아 미백 전달 시스템이 완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제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로, 사용전에는 W/O에멀젼(역상 미셀)으로 존재하여 바르기 편리하며, 치 아에부착시 수분과 반응하여 액정 구조를 이루어 치아미백 성분이 치간 사이에 전달이 잘 되도록 하는 치아미백 제형을 제공한다.
둘째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에 -OH기를 가지는 폴리올을 첨가하여 W/O 에멀젼(역상 미셀)을 형성할 수 있는 범위를 증가시켰으며, 이것으로 인해 종래에는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지던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와 과산화물을 이용한 치아미백 제형을 제공한다.
셋째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에 -OH기를 폴리올을 첨가하여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를 최소화 하였으며, 약물의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위(중량%)
과산화수소 3%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77%
폴록사머 1%
피로인산나트륨 0.1%
향료(flavor) 0.9%
프로필렌 그리콜 1%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1%
폴리비닐피롤리돈 1%
정제수 15%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약 50℃ 근방에서 액화시키면서 나머지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산화수소수와 정제수를 마지막에 넣고 균질화시켜 본 발명에 따른 액정상 치아 미백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단위(중량%)
과탄산나트륨 10%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67%
폴리비닐피롤리돈 3%
폴리에틸렌 글리콜 8000 5%
불화나트륨 2%
정제수 4%
향 5%
폴리프로필렌 1%
산성피로인산나트륨 3%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약 50℃ 근방에서 액화시키면서, 산성피로인산나트륨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 및 에탄올을 마지막에 넣고 균질화시켜 본 발명에 따른 액정상 치아 미백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단위(중량%)
과산화요소 15%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70%
하이드록시프로필 4%
피로인산나트륨 2%
향료 0.5%
산화티탄 0.1%
정제수 3%
에탄올 0.4%
프로필렌 글리콜 2%
폴리에틸렌 글리콜 3%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프로필렌 글리콜을 올리브 오일로 대체 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 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프로필렌 글리콜의 양을 반으로 줄인 다음 나머지를 올리브 오일로 대체 하였다.
비교예 3 단위(중량%)
유기실록산 레진 25%
실리콘 검 4.2%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혼합물 17%
벤톤 클레이 1%
과탄산나트륨 17%
위 처방을 갖는 유기실록산 레진을 이용한 반고형 제제
효과 실험예 1: 점도변화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제제에 대하여 수분 유입 전과 후의 점도 변화를,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Viscometer)를 이용하여 RVT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낸다.
수분 유입전 점도(cps) 수분 유입후 점도(cps)
실시예 1 50000~70000 400000~500000
비교예 1 100000~150000 400000~500000
위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OH기를 가지는 폴리올을 첨가하여 점도를 떨어뜨려 바르기 용이하며, 수분의 유입으로 점도가 상승하여 경화되는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의 특성을 잃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효과 실험예 2: 방출 시험
인산염을 이용하여 완충액을 제조한 후, 미국 약전에 수재된 방출시험법에 따라 방출 시험을 시행하였다. 즉, 500 ㎖ 완충액을 35℃로 유지하고, 패들을 25 rpm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 의 제제에 대하여 각각 방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완충액 중의 과산화수소를 측정하여 각 제제마다 방출률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측정시간 5분 30분 1시간
실시예 1 32 ±5% 53 ±15% 85 ±13%
비교예 1 20 ±4% 45 ±7% 67 ±10%
비교예 2 25 ±5% 48 ±12% 80 ±13%
비교예 3 15 ±5% 25 ±7% 40 ±10%
위 표 2에서 보듯이 실시예 1의 제제는 비교예 1,2의 제제와 비교할 때 방출되는 속도가 현저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OH기를 가지는 폴리올의 비율을 변화하여 약물의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효과 실험예 3: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제제에 대하여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를,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Viscometer)를 이용하여 RVT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낸다.
측정온도 5도 30도 45도
실시예 1 50000~70000 50000~70000 50000~70000
비교예 1 700000~850000 (굳음) 100000~150000 1000~10000
비교예 2 700000~850000 (굳음) 90000~120000 30000-40000
위 표 3의 결과에서 보듯이, -OH기를 가지는 폴리올을 첨가하여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를 최소화 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상 치아 미백제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기본 약제로 하고, -OH기를 가지는 폴리올류를 첨가하여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고, 미백성분의 방출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 발명은 도포 전에는 유동성을 가져 바르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도포된 후에는 타액 등의 수분에 의해 고형화하여 부착, 고정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Claims (15)

  1. 치아미백성분으로 과산화물을 함유하며 치아에 도포하여 치아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15 내지 95 중량%, -OH기를 가지는 폴리올 1 내지 20 중량%, 폴리머 0.2 내지 40 중량%, 및 친수성 용매 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O 에멀젼 타입의 치아 미백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H기를 가지는 폴리올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스테아릴 알코올, 자일리톨, 소비톨, 마니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미백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록사머(poloxamer),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olyvinyl pyrrolidone/vinyl acetate copolymer),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ethyl cellulose), 폴리옥스(polyox),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카르복시프로필 셀룰로오스(carboxypropyl cellulose)와 이의 염으로 된 폴리머, 잔탄 검(xanthan gum), 카라게난 검(carrageenan gum), 알지네이트 검(alginate gum), 카라얀 검(karayan gum), 아라비아 검(arabic gum)과 이의 염 유도체, 젤라틴(gelatin),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카보폴(carbopol), 폴리쿼터니움-11(polyquaternium-11), 폴리쿼터니움-39(polyquaternium-39),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이 과산화수소, 과탄산염, 과붕산염, 과산화요소, 과인산피로인산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과산화수소 복합체, 과산화칼슘(CaO2), 과산화바륨(BaO2), 과산화마그네슘 (MgO2), 과산화나트륨(Na2O2), 과산화칼륨(Ka2O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양이 조성물 전체의 30 내지 9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OH기를 가지는 폴리올이 조성물 전체의 2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머의 양이 조성물 전체의 0.2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친수성 용매가 물 또는 에탄올이며, 용매의 양이 조성물 전체의 2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13. 과산화물, 과산화물 안정화제를 함유하며 치아에 도포하여 치아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15 내지 95 중량%, -OH기를 가지는 폴리올 1 내지 20 중량%, 폴리머 0.2 내지 40 중량%, 및 친수성 용매 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O 에멀젼 타입의 치아 미백제.
  14. 제 13 항에서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 안정화제가 pH 조절기능이 있는 것으로서, 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TSPP), 산성 피로인산나트륨 (sodium acid pyrophosphate, SAPP), 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SHMP), 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STP), 피로인산나트륨칼륨 (sodium potassium tripolyphosphate, SKTP), 피로인산칼륨(tetrapotassium pyrophosphate, TKPP), 울트라메타인산염(acidic sodium meta-polyphosphate), 산성폴리인산나트륨(acidic sodium polyphosphate),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페이트 및 이의 염, 하이드록시에틸렌디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 안정화제를 과산화물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KR1020050022510A 2005-03-18 2005-03-18 W/o 에멀젼 타입의 치아 미백제 KR100633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510A KR100633682B1 (ko) 2005-03-18 2005-03-18 W/o 에멀젼 타입의 치아 미백제
CN2006800087348A CN101141945B (zh) 2005-03-18 2006-03-17 牙齿美白剂
RU2007138646A RU2375040C2 (ru) 2005-03-18 2006-03-17 Отбеливатель для зубов
EP06716433.5A EP1863438B1 (en) 2005-03-18 2006-03-17 Tooth whitener
BRPI0611560-8A BRPI0611560A2 (pt) 2005-03-18 2006-03-17 branqueador dental
PCT/KR2006/000983 WO2006098602A1 (en) 2005-03-18 2006-03-17 Tooth whitener
JP2008501818A JP4677029B2 (ja) 2005-03-18 2006-03-17 歯牙美白剤
MX2007011464A MX2007011464A (es) 2005-03-18 2006-03-17 Blanqueador dental.
CA 2601064 CA2601064C (en) 2005-03-18 2006-03-17 Tooth whitener
US11/886,484 US20080193392A1 (en) 2005-03-18 2006-03-17 Tooth Whitener
ZA200707611A ZA200707611B (en) 2005-03-18 2007-09-04 Tooth whitener
US13/345,092 US20120134936A1 (en) 2005-03-18 2012-01-06 Tooth White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510A KR100633682B1 (ko) 2005-03-18 2005-03-18 W/o 에멀젼 타입의 치아 미백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752A KR20060100752A (ko) 2006-09-21
KR100633682B1 true KR100633682B1 (ko) 2006-10-12

Family

ID=3763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510A KR100633682B1 (ko) 2005-03-18 2005-03-18 W/o 에멀젼 타입의 치아 미백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633682B1 (ko)
CN (1) CN101141945B (ko)
ZA (1) ZA20070761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552B1 (ko) * 2009-03-13 2015-11-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항동맥경화 및 항당뇨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리피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230B1 (ko) * 2012-07-25 2014-07-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의 변색 및 착색 방지를 위한 치아 미백 유지제
US10076476B2 (en) * 2014-12-10 2018-09-1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peroxide source, a polyhydric alcohol, and a surfactant
JP6882303B2 (ja) * 2016-01-13 2021-06-02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口腔用製剤
CN107334783A (zh) * 2016-04-30 2017-11-10 合华生物科技(杭州)有限公司 营养补充和抗蛀牙复合剂产品成分和制备方法
CN106176290A (zh) * 2016-08-05 2016-12-07 四川北极光口腔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专用于牙齿修整的药剂配方
CN109052677A (zh) * 2018-09-08 2018-12-21 河南维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循环水缓蚀阻垢剂及其应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6834B1 (en) 1999-04-19 2001-10-02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Oral care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6834B1 (en) 1999-04-19 2001-10-02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Oral care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552B1 (ko) * 2009-03-13 2015-11-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항동맥경화 및 항당뇨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리피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707611B (en) 2008-10-29
CN101141945A (zh) 2008-03-12
KR20060100752A (ko) 2006-09-21
CN101141945B (zh)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7029B2 (ja) 歯牙美白剤
RU2384326C2 (ru) Композиции гидрогеля с эродируемой подложкой
KR100633682B1 (ko) W/o 에멀젼 타입의 치아 미백제
US4096241A (en) Tooth preparations
RU2440809C2 (ru) Управляемое поверхностное гелеобразование мукоадгезивных полимеров в слизистой оболочке полости рта
JP2007008931A (ja) オーラルケア組成物、用具、および、同組成物および用具の使用法
JP2007515385A (ja) 歯の白色化を維持または向上するための組成物、方法、デバイスおよびキット
AU2002240115A1 (en) Topical oral care compositions
US201302955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protective oral care composition
CN106535867B (zh) 提供无定形磷酸钙的口腔护理制剂系统
AU2007338828B2 (en) Anti-calculus dental composition and methods for using same
AU2003290923A1 (en) Controlled-dissolving polymeric device for the oral cavity
KR101154935B1 (ko) 액정상의 치아 미백제
KR100662203B1 (ko)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
US20120134936A1 (en) Tooth Whitener
KR102182976B1 (ko) 치아 또는 치아 주변 조직 부착용 패치
JP5614020B2 (ja) 歯磨組成物
KR102241995B1 (ko) 치아용 패치의 부착성이 향상된 겔 조성물
JP2007001954A (ja) 歯磨組成物
KR100782709B1 (ko) 액정상 치아 미백제
WO1998017236A1 (fr) Preparations orales contenant du verre cristallise biologiquement actif
JPH11130648A (ja) 口腔用組成物
JPH10218747A (ja) 生体活性ガラス含有口腔用組成物
KR20190048854A (ko) 필름형 치약
JP4656324B2 (ja) 歯牙美白用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