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217B1 - 입술연지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입술연지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217B1
KR100633217B1 KR1020000019544A KR20000019544A KR100633217B1 KR 100633217 B1 KR100633217 B1 KR 100633217B1 KR 1020000019544 A KR1020000019544 A KR 1020000019544A KR 20000019544 A KR20000019544 A KR 20000019544A KR 100633217 B1 KR100633217 B1 KR 100633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gloss
isoparaffin
oxy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0743A (ko
Inventor
시노지마사토시
미나미타카시
소야마요시카즈
호소카와킨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687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2353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9309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14648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10020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2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광택을 손상하지 않고, 사용성이 좋고, 또 장기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입술연지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및/또는 옥시산 에스테르와 유동 이소파라핀과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연지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입술연지, 로진 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옥시산에스테르, 유동이소파라핀, 메틸페닐폴리실록산

Description

입술연지용 조성물{COMPOSITION FOR LIPSTICK}
본 발명은 입술연지용 조성물, 특히 그의 장기보존 안정성과 광택 및 사용성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술연지용 조성물에는 왁스 및 각종 액상 유분(油分)이 배합되어 있고, 특히 근년에는 입술연지 도포시에 광택이 요구되기 때문에, 광택을 부여하는 유분으로 라놀린이나 유동 이소파라핀이 범용되고 있다.
그러나, 라놀린류는 산화열화(酸化劣化)에 기인하는 악취의 발생이 확인되고 있고, 특히 입술연지용 조성물은 그의 판매 전후에 걸쳐서 장기간 보존될 가능성이 있고, 게다가 입술이라고 하는 냄새를 느끼기 쉬운 부분에 적용되므로, 악취의 발생은 매우 중대한 문제가 되고 있다.
또, 유동 이소파라핀류는 그 자체가 고점도이므로, 입술연지용 조성물에 배합하면 사용성, 특히 입술연지가 입술에 발리는 상태(이하, "발림성"이라 약칭한다)가 나빠진다고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광택 을 손상하지 않고, 사용성이 좋고, 또 장기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입술연지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이 면밀하게 검토한 결과, 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및/또는 옥시산 에스테르와 유동 이소파라핀을 조합하여 배합함으로써 라놀린과 동등한 광택을 부여하는 기능이 있고, 게다가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을 조합함으로써 광택을 손상하지 않고 사용성이 대폭으로 개선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입술연지용 조성물은 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및/또는 옥시산 에스테르와 유동 이소파라핀과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입술연지용 조성물에 있어서는, 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이 5∼20중량%, 유동 이소파라핀이 10∼30중량%,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이 10∼30중량%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입술연지용 조성물에 있어서는, 옥시산 에스테르가 5∼30중량%, 유동 이소파라핀이 10∼30중량%,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이 10∼30중량%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입술연지용 조성물에 있어서는, 옥시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옥시산이 탄소수 12∼20인 옥시산이고, 알코올이 탄소수 12∼20인 지방족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입술연지용 조성물에 있어서는, 옥시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옥시산이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이고, 지방족 알코올이 2-헵틸운데칸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입술연지용 조성물에 있어서는, 유동 이소파라핀의 평균분자량이 500∼3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은 하기 구조식 을 갖는다.
Figure 112000007383814-pat00001
R : 이소스테아린산 잔기
Figure 112000007383814-pat00002
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의 조성물 중으로의 배합량은 양호한 광택을 얻기 위해서는 5중량% 이상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의 배합량의 상한치는 2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것을 초과하여 배합하여도 광택의 향상이 바람직하지 않을뿐 아니라 발림성의 점에서 좋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의 옥시산에스테르는 옥시산과 지방족 알코올로부터 공지의 수단에 의해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진다. 옥시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옥시산의 예로는 옥시라우릴산, 옥시미리스틴산, 옥시팔미틴산, 옥시스테아린산, 리시놀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올리고머 등이 있다. 이들 중 탄소수 12∼20인 옥시산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20인 옥시산이다. 또, 지방족 알코올로는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이소팔미틸알코올, 2-옥틸도데칸올, 12-히드록시스테아릴알코올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지방족 알코올은 탄소수 12∼20인 지방족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20인 지방족 알코올이다. 특히, 바람직한 옥시산에스테르의 예를 들면,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과 2-헵틸운데칸올의 에스테르이다.
이 옥시산 에스테르의 조성물 중으로의 배합량은 양호한 광택을 얻기 위해서 5중량% 이상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옥시산에스테르의 배합량의 상한치는 3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것을 초과하여 배합하여도 광택의 향상은 바람직하지 않을뿐 아니라 발림성의 점에서 좋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및/또는 옥시산에스테르와 함께 광택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동 이소파라핀은 이소부텐과 n-부텐의 공중합체에 있어서, 말단의 이중결합도 포함하는 수소첨가한 측쇄를 갖는 포화 타입의 장쇄상 탄화수소의 혼합물이다. 중합도는 중합조건을 바꾸는 것으로 다양한 것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 입수의 용이성과 점도 등의 관점에서 평균분자량 500∼3000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고, 특히 1000 부근의 것이 최적이다. 이 유동 이소파라핀의 조성물 중으로의 배합량은 광택을 양호하게 하는데에는 1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유동 이소파라핀의 상한치는 다른 성분과의 상대적 관계 때문에 3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것을 초과하여 배합하면 발림성의 점에서 좋지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입술연지용 조성물의 발림성의 나쁨을 억제하기 위해, 메틸페닐 폴리실록산을 배합하지만, 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메틸페닐 폴리실록산을 10∼30중량%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고, 메틸페닐 폴리실록산의 점도는 5∼100cs가 바람직하다. 10중량% 보다 적으면, 발림성의 점에서 좋지않게 되는 경향이 있고, 30중량%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광택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르게 배합되는 성분으로서 탄화수소계 왁스는 일반적으로 화장료 등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고,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카르나우바납, 칸데릴라납, 폴리에틸렌 왁스, 세레신왁스 등이 있다. 탄화수소계 왁스의 배합량은 유분에 대한 고화력에 따라 다르지만, 입술연지용 조성물 전량 중 0.5∼25중량%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10중량%이다. 0.5중량% 미만이면 보형성이 유지되지 않고, 25중량%를 초과하면 그로스광택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광택을 내는 입술연지용 조성물에는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왁스, 유분, 물, 보습제, 계면활성제, 안료, 수지, 점토광물, 산화방지제, 방부제, 자외산방지제, 향료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합량은 중량%이다. 본 발명자등은 본 발명의 입술연지용 조성물을 검토함에 있어서 각종 시험을 하였다. 실시예에 앞서 그 효과시험방법 및 평가기준에 대하여 설명한다.
[발림성]
전문 패널(15명)에게 각 실시예, 비교예의 입술연지용 조성물(시료)을 사용하게 하고, 관능으로 5단계 평가(총합 평가)하여 그 평균치로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1 : 발림성이 나쁨
2 : 발림성이 약간 나쁨
3 : 발림성이 보통
4 : 발림성이 약간 좋음
5 : 발림성이 좋음
(평가)
◎ : 평가치(평균치) 4.5 이상 5.0 까지
○ : 평가치(평균치) 3.5 이상 4.5 미만
△ : 평가치(평균치) 2.5 이상 3.5 미만
× : 평가치(평균치) 1.5 이상 2.5 미만
×× : 평가치(평균치) 1.0 이상 1.5 미만
[광택]
전문 패널(15명)에게 각 실시예, 비교예의 입술연지용 조성물(시료)을 사용하게 하고, 관능으로 5단계 평가(총합 평가)하여 그 평균치로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1 : 광택이 없음
2 : 광택이 약간 없음
3 : 광택이 보통
4 : 광택이 약간 좋음
5 : 광택이 좋음
(평가)
◎ : 평가치(평균치) 4.5 이상 5.0 까지
○ : 평가치(평균치) 3.5 이상 4.5 미만
△ : 평가치(평균치) 2.5 이상 3.5 미만
× : 평가치(평균치) 1.5 이상 2.5 미만
×× : 평가치(평균치) 1.0 이상 1.5 미만
[냄새]
입술연지용 조성물의 가속 열화(加速劣化) 시험을 실시하여 냄새 평가를 하였다.
또, 가속 열화(加速劣化) 시험은 CDM시험(Conductmetric Determination Method)에 의해 산화 열화(酸化劣化) 유도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행해졌다.
(정의)
시료를 반응용기에 넣고 가열하면서 건조공기를 불어넣는다. 산화에 의해 생성된 휘발성 분해생성물을 수중에 포집하고, 그 유전율이 급격히 변화하는 절곡점까지의 시간을 산화 열화(酸化劣化) 유도시간(Induction Time)으로 하여 구하고, 시료의 산화안정성의 지침으로 하였다.
(방법)
란시매트 E679형(메트롬사 제품)을 사용하여 유지(油脂) 일반시험법 2.2.4.28.2-93(CDM 시험)에 의거하여 측정을 하였다. 측정온도는 120℃, 공기유량 20L/h로 측정하였다.
<평가기준>
○ : 산화유도시간이 48시간 이상
△ : 산화유도시간이 20시간 이상 48시간 미만
× : 산화유도시간이 20시간 미만
종래기술(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배합 조성물)
먼저 하기 표의 종래의 입술연지용 조성물 혹은 광택성분인 라놀린을 종래와 같이 다량 배합한 입술연지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각 시험을 하였다. 비교예 1은 광택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입술연지용 조성물, 비교예 2∼6은 광택성분으로 라놀린을 포함하는 입술연지용 조성물이다.
원료명 비교예 비교예 비교예 비교예 비교예 비교예 1 2 3 4 5 6
세레신 왁스 12 12 12 12 12 12 카르나우바납 1 1 1 1 1 1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라놀린 - 10 10 10 10 10 마카데미아너트유 10 10 10 10 10 10 물이첨가된 로진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 - 10 - - 10 유동이소파라핀 - - - 10 10 1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 - - - 10 - 적색202호 5 5 5 5 5 5
발림성 ○ ○ △ × ○ × 광택 × ◎ ◎ ◎ ○ ◎ 냄새 ○ × × × × ×
유동이소파라핀 : 평균분자량 1000(이하, 특히 표기가 없는한 같다)
상기 결과에서, 광택성분인 라놀린을 배합하지 않은 입술연지용 조성물인 비교예 1은 냄새의 점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광택이 뒤떨어지는 것을 알았다. 이것에 대하여 광택성분인 라놀린을 배합한 비교예 2∼6의 입술연지용 조성물은 광택의 점에서는 우수하지만, 열화(劣化)에 따른 냄새의 점에서 문제가 있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라놀린을 종래와 같이 다량 배합한 입술연지용 조성물은 장기 보존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구성성분(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배합 조성물)
여기서, 본 발명자등은 라놀린 배합을 가능한한 적게 하고, 라놀린과 동등한 그로스 광택이 우수한 입술연지용 조성물을 얻기 위한 검토를 행하였다. 하기 표 2 및 표 3에 그 과정에서 얻은 입술연지용 조성물의 조성과 시험결과를 나타낸다.
원료명 비교예 비교예 비교예 실시예 실시예 7 8 9 1 2
세레신 왁스 12 12 12 12 12 카르나우바납 1 1 1 1 1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마카데미아너트유 10 10 10 10 10 물이 첨가된 로진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10 10 10 10 10 유동이소파라핀 10 10 20 10 2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 - - 10 20 디메틸폴리실록산 - 10 20 - - 적색202호 5 5 5 5 5
발림성 × ○ ○ ○ ◎ 광택 ○ △ △ ○ ◎ 냄새 ○ ○ ○ ○ ○
상기 결과로부터, 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린, 유동 이소파라핀 및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을 모두 포함하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1 및 2의 입술연지용 조성물은 발림성, 광택, 냄새에서모두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 1과 비교하여도 라놀린과 대등한 광택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비교예 7은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을 포함하지 않고, 발림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1 및 2의 구성 중,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을 같은 실리콘계 유분인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 대체한 비교예 8 및 비교예 9는 광택이 뒤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상기 표에는 없지만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대신에 에스테르유 또는 유동파라핀을 사용하여도 마찬가지로 광택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메틸페닐폴리실록산만이 광택을 떨어뜨리지 않고 발림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실리콘계 유분 이외의 성분에 대한 검토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원료명 비교예 비교예 실시예 실시예 시험예 시험예 10 11 3 4 1 2
세레신 왁스 12 12 12 12 12 12 카르나우바납 1 1 1 1 1 1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라놀린 - 5 5 5 - - 마카데미아너트유 10 10 10 10 10 10 물이 첨가된 로진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 - 10 10 10 10 유동이소파라핀 20 - 10 20 20 20 (평균분자량) (1000) (-) (1000) (1000) (2000) (400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10 - 10 20 20 20 적색202호 5 5 5 5 5 5
발림성 △ ○ ○ ◎ ◎ △ 광택 △ × ○ ◎ ◎ ◎ 냄새 ○ ○ ○ ○ ○ ○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필수구성성분에서 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이린산글리세릴의 구성을 제외한 비교예 10의 조성물은 발림성 및 광택에서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또, 상기 표에는 없지만 유동 이소파라핀의 구성을 제외한 조성물에서도 마찬가지로 발림성 및 광택이 불충분하였다.
또, 라놀린을 비교적 소량 함유하는 실시예 3및 실시예 4의 조성물에서는 냄새 (장기보존안정성)의 평가에 문제가 없다는 것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라놀린을 5중량% 정도까지 배합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비교예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라놀린을 5중량% 정도 배합한 것이라도, 이 정도에서는 입술연지용 조성물로서의 광택을 부여할 수는 없다.
따라서, 상기 표 2 및 표 3에서, 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과 유동 이소파라핀과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처음으로 발림성, 광택, 냄새에서모두 우수한 입술연지용 조성물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유동 이소파라핀의 평균분자량이 2000인 시험예 1과 4000인 시험예 2의 평가결과에서, 발림성의 점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서의 유동 이소파라핀의 평균분자량은 약 3000까지가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의 배합량(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배합 조성물)
다음에, 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의 배합량의 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원료명 시험예 시험예 시험예 시험예 시험예 시험예 3 4 5 6 7 8
세레신 왁스 12 12 12 12 12 12 카르나우바납 1 1 1 1 1 1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마카데미아너트유 10 10 10 10 10 10 물이 첨가된 로진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5 5 10 20 40 40 유동이소파라핀 5 10 20 10 10 2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5 10 20 20 20 10 적색202호 5 5 5 5 5 5
발림성 ○ ○ ◎ ○ △ △ 광택 △ ○ ◎ ◎ ◎ ◎ 냄새 ○ ○ ○ ○ ○ ○
상기 결과에서, 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의 배합량은 약 5∼20 중량%가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 시험예 7과 시험예 8을 비교하면, 유동 이소파라핀의 배합이 많은 시험예 8이 좋지않은 발림성을 나타냈다. 또, 시험예 3은 유동 이소파라핀 및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의 배합량이 적은 예이지만, 이처럼 다른 성분의 배합이 적으면 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의 배합량이 5중량%이어도 광택 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유동 이소파라핀의 배합량(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배합 조성물)
다음에, 유동 이소파라핀의 배합량의 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원료명 시험예 시험예 시험예 시험예 시험예 9 10 11 12 13
세레신 왁스 12 12 12 12 12 카르나우바납 1 1 1 1 1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마카데미아너트유 10 10 10 10 10 물이 첨가된 로진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5 20 20 20 10 유동이소파라핀 5 10 20 30 4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10 20 20 20 20 적색202호 5 5 5 5 5
발림성 ○ ○ ◎ ○ △ 광택 △ ◎ ◎ ◎ ◎ 냄새 ○ ○ ○ ○ ○
상기 결과에서, 유동 이소파라핀의 배합량이 10중량% 보다 적으면 광택의 점에서 뒤떨어지고, 30중량%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발림성의 점에서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동 이소파라핀의 배합량은 10∼30중량%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메틸페닐 폴리실록산의 배합량(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배합 조성물)
다음에, 메틸페닐 폴리실록산의 배합량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원료명 시험예 시험예 시험예 시험예 시험예 14 15 16 17 18
세레신 왁스 12 12 12 12 12 카르나우바납 1 1 1 1 1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마카데미아너트유 10 10 10 10 10 물이 첨가된 로진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5 10 10 10 10 유동이소파라핀 10 10 20 20 2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5 10 20 30 40 적색202호 5 5 5 5 5
발림성 △ ○ ◎ ○ ○ 광택 ○ ○ ◎ ◎ △ 냄새 ○ ○ ○ ○ ○
상기 결과에서, 메틸페닐 폴리실록산의 배합량이 10 중량%보다 적으면 발림성의 점에서 뒤떨어지고, 30중량%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광택의 점에서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메틸페닐 폴리실록산의 배합량은 10∼30중량%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등은 상기 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옥시산에스테르를 사용하여도 라놀린과 동등한 그로스광택이 우수한 입술연지용 조성물을 얻는다. 이하, 이 입술연지용 조성물의 개발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종래기술(옥시산 에스테르 배합 조성물)
우선, 하기 표 7의 종래의 입술연지용 조성물 혹은 광택성분인 라놀린을 종래와 같이 다량 배합한 입술연지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각 시험을 하였다. 비교예 2는 광택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연지용 조성물이다. 비교예 12, 13은 어느 것도 광택 성분으로 라놀린을 포함하지 않은 입술연지용 조성물이다.
원료명 비교예 비교예 비교예 2 12 13
세레신 왁스 12 12 12 카르나우바납 1 1 1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to 100 to 100 to 100 라놀린 10 - - 마카데미아너트유 10 10 10 2-헥실데실·12-히드록시옥타데카노에이트 - - 10 유동이소파라핀 - 10 - 메틸페닐폴리실록산 - - 10 디메틸폴리실록산 - - - 적색202호 5 5 5
발림성 ○ × × 광택 ◎ ○ ○ 냄새 × ○ ○
유동이소파라핀 : 평균분자량 1000(이하, 특히 표기가 없는한 같다)
표 7의 결과에서, 광택 성분인 라놀린을 배합한 입술연지용 조성물인 비교예 2는 광택과 사용성의 개선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냄새의 점에서는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유동 이소파라핀을 배합한 비교예 12의 입술연지용 조성물은 열화(劣化)에 따라 냄새의 점에서는 우수하지만 광택이 완전하지 않아 사용성에 문제가 있다. 유동 이소파라핀에 옥시산에스테르를 병용한 비교예 13은 사용성의 점에서 전과 다름이 없이 문제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성성분(옥시산 에스테르 배합 조성물)
그래서, 본 발명자등은 라놀린의 배합을 가능한한 적게 하고, 라놀린과 동등한 그로스광택이 우수한 입술연지용 조성물을 얻기 위한 검토를 하였다. 하기 표 8에 그 과정에서 얻은 입술연지용 조성물의 조성과 시험결과를 나타낸다.
원료명 비교예 실시예 14 5
세레신 왁스 12 12 카르나우바납 1 1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to 100 to 100 마카데미아너트유 10 10 2-헥실데실·12-히드록시옥타데카노에이트 10 10 유동이소파라핀 10 1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 10 디메틸폴리실록산 10 - 적색202호 5 5
발림성 ○ ○ 광택 △ ○ 냄새 ○ ○
표 8의 결과에서, 옥시산 에스테르, 유동 이소파라핀 및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모두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5의 입술연지 조성물은 발림성, 광택, 냄새에서모두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5의 구성중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을 같은 실리콘계 유분인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 바꾼 비교예 14는 광택의 점에서 뒤떨어졌다. 또, 표 8에는 없으나 에스테르유, 유동 파라핀을 사용하여도 광택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메틸페닐폴리실록산만이 광택을 떨어뜨리지 않고 발림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옥시산 에스테르의 배합량(옥시산 에스테르 배합 조성물)
다음에, 옥시산 에스테르의 배합량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원료명 시험예 시험예 시험예 시험예 시험예 19 20 21 22 23
세레신 왁스 12 12 12 12 12 카르나우바납 1 1 1 1 1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라놀린 - - - - - 마카데미아너트유 10 10 10 10 10 2-헥실데실·12-히드록시옥타데카노에이트 5 10 20 30 40 유동이소파라핀 10 10 10 10 1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10 10 10 10 10 디메틸폴리실록산 - - - - - 적색202호 5 5 5 5 5
발림성 ○ ◎ ◎ ◎ △ 광택 ○ ○ ◎ ◎ ◎ 냄새 ○ ○ ○ ○ ○
표 9의 결과에서, 옥시산 에스테르의 배합량은 약 5∼30중량%가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유동 이소파라핀의 배합량(옥시산 에스테르 배합 조성물)
다음에, 유동 이소파라핀의 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원료명 시험예 시험예 시험예 시험예 시험예 24 25 26 27 28
세레신 왁스 12 12 12 12 12 카르나우바납 1 1 1 1 1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마카데미아너트유 10 10 10 10 10 2-헥실데실·12-히드록시옥타데카노에이트 10 10 10 10 10 유동이소파라핀 5 10 20 30 4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10 10 10 10 10 디메틸폴리실록산 - - - - - 적색202호 5 5 5 5 5
발림성 ○ ○ ◎ ◎ △ 광택 △ ○ ◎ ◎ ◎ 냄새 ○ ○ ○ ○ ○
표 10의 결과에서, 유동 이소파라핀의 배합량이 10중량%보다 적으면 광택의 점에서 뒤떨어지고, 30중량%를 초과하여 배합되면 발림성의 점에서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동 이소파라핀의 배합량은 10∼30중량%가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메틸페닐 폴리실록산의 배합량(옥시산 에스테르 배합 조성물)
다음에 메틸페닐 폴리실록산의 배합량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낸다.
원료명 시험예 시험예 시험예 시험예 시험예 29 30 31 32 33
세레신 왁스 12 12 12 12 12 카르나우바납 1 1 1 1 1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라놀린 - - - - - 마카데미아너트유 10 10 10 10 10 2-헥실데실·12-히드록시옥타데카노에이트 10 10 10 10 10 유동이소파라핀 10 10 10 10 1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5 10 20 30 40 디메틸폴리실록산 - - - - - 적색202호 5 5 5 5 5
발림성 △ ◎ ◎ ◎ ◎ 광택 ○ ○ ○ ○ △ 냄새 ○ ○ ○ ○ ○
표 11 결과에서, 메틸페닐 폴리실록산의 배합량이 10중량%보다 적으면 발림성의 점에서 뒤떨어지고, 30중량%를 초과하여 배합되면 광택의 점에서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메틸페닐 폴리실록산의 배합량은 10∼30중량%가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옥시산 에스테르의 종류(옥시산 에스테르 배합 조성물)
다음에 옥시산 에스테르의 종류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낸다.
원료명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6 7 8 9 10
세레신 왁스 12 12 12 12 12 카르나우바납 1 1 1 1 1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마카데미아너트유 10 10 10 10 10 이소라우릴옥시미리스테이트 10 - - - - 2-헥실데실·옥시에이코사노에이트 - 10 - - - 2-헵틸운데실·12-히드록시옥타데카노에이트 - - 10 - - 2-옥틸도데실·12-히드록시옥타데카노에이트 - - - 10 - * 옥시산에스테르 A - - - - 10 유동이소파라핀 10 10 10 10 1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10 10 10 10 10 적색202호 5 5 5 5 5
발림성 ○ ○ ○ ○ ○ 광택 ○ ○ ○ ○ ○ 냄새 ○ ○ ○ ○ ○
(* 옥시산에스테르A는 12-히드록시산의 올리고머와 12-히드록시 스테아릴 알코올의 에스테르이다)
표 12의 결과에서, 실시예 6∼10의 어느 옥시산 에스테르도 발림성, 광택, 냄새에서 모두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술연지용 조성물은 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및/또는 옥시산 에스테르와, 유동 이소파라핀과, 메틸페닐 폴리실록산을 포함함으로서, 광택을 잃지 않고, 사용성이 좋고, 또한 장기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입술연지용 조성물로 할 수 있다.

Claims (6)

  1. 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및/또는 옥시산 에스테르와, 유동 이소파라핀과,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연지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물이 첨가된 로진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이 5∼20중량%, 유동 이소파라핀이 10∼30중량%,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이 10∼30중량%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연지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옥시산 에스테르가 5∼30중량%, 유동 이소파라핀이 10∼30중량%,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이 10∼30중량%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연지용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옥시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옥시산이 탄소수 12∼20인 옥시산이고, 알코올이 탄소수 12∼20인 지방족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연지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옥시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옥시산이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이고, 지방족 알코올이 2-헵틸운데칸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연지용 조성물.
  6. 제 3 항에 있어서, 유동 이소파라핀의 평균분자량이 500∼3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연지용 조성물.
KR1020000019544A 1999-04-14 2000-04-14 입술연지용 조성물 KR1006332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687999A JP4235309B2 (ja) 1999-04-14 1999-04-14 口紅組成物
JP?11-106879 1999-04-14
JP29309199A JP2001114648A (ja) 1999-10-15 1999-10-15 口紅用組成物
JP?11-293091 1999-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743A KR20010020743A (ko) 2001-03-15
KR100633217B1 true KR100633217B1 (ko) 2006-10-11

Family

ID=2644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544A KR100633217B1 (ko) 1999-04-14 2000-04-14 입술연지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25996B1 (ko)
EP (1) EP1044674B1 (ko)
KR (1) KR100633217B1 (ko)
CN (1) CN1152662C (ko)
DE (1) DE60044696D1 (ko)
TW (1) TW5182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5338A1 (en) * 2003-03-06 2004-09-09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 ester and a pasty compound
EP1661549A1 (en) * 2004-11-04 2006-05-31 L'oreal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EP1743626A1 (fr) * 2005-07-13 2007-01-17 L'Oréal Composition de maquillage de la peau comprenant une résine
ES2530853T3 (es) * 2005-07-13 2015-03-06 Oreal Composición de maquillaje de labios de alta resistencia que comprende una resina de bajo peso molecular
EP1745770A1 (fr) * 2005-07-13 2007-01-24 L'Oréal Produit cosmétique bicouche, ses utilisations et kit de maquillage contenant ce produit
FR2909874B1 (fr) * 2006-12-19 2009-02-13 Oreal Composition de maquillage de la peau comprenant une resine, un copolymere bloc, un corps gras solide, exemple d'huile volatile
FR2909875B1 (fr) * 2006-12-19 2009-02-06 Oreal Composition de maquillage de la peau comprenant une resine, un copolymere bloc et un corps gras solide
EP1935400B1 (fr) * 2006-12-19 2013-09-04 L'Oréal Composition de maquillage de la peau comprenant une résine, un copolymère bloc, un corps gras solide, exempte d'huile volatile
FR2946876B1 (fr) 2009-06-19 2011-07-29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 maquillage et/ou de soin comprenant une resine tackifiante, et une association d'huiles particulier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1729B2 (ja) * 1987-06-23 1997-12-17 株式会社資生堂 固型状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791093B2 (ja) * 1989-04-03 1998-08-27 鐘紡株式会社 固形化粧料
JP3162817B2 (ja) * 1992-08-06 2001-05-08 カネボウ株式会社 口紅組成物
JPH09235210A (ja) * 1996-02-29 1997-09-09 Shiseido Co Ltd 固形化粧料
JP3497335B2 (ja) * 1996-11-12 2004-02-16 株式会社資生堂 口紅用組成物
JP2001114648A (ja) * 1999-10-15 2001-04-24 Shiseido Co Ltd 口紅用組成物
JP4235309B2 (ja) * 1999-04-14 2009-03-11 株式会社資生堂 口紅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44696D1 (de) 2010-09-02
US6325996B1 (en) 2001-12-04
EP1044674A2 (en) 2000-10-18
CN1152662C (zh) 2004-06-09
EP1044674B1 (en) 2010-07-21
KR20010020743A (ko) 2001-03-15
TW518231B (en) 2003-01-21
EP1044674A3 (en) 2002-10-23
CN1273085A (zh)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6784B (zh) 唇用固形化妝料
RU2540906C2 (ru)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губ
KR100633217B1 (ko) 입술연지용 조성물
JP2791093B2 (ja) 固形化粧料
CN109044893A (zh) 一种固体油包水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20002576A (ko) 입술용 화장료
JP5154757B2 (ja) ペンシル状化粧料
KR100678431B1 (ko) 고형 화장료
JP4235309B2 (ja) 口紅組成物
TWI432224B (zh) 唇用化粧料
JP2001114648A (ja) 口紅用組成物
JP4786399B2 (ja) 非固形口唇化粧料
JP5237195B2 (ja) 油性固形化粧料
JP2005132729A (ja) 化粧料
KR20190002997A (ko) 매트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2592B1 (ko) 유화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3098655B2 (ja) 油性唇用組成物
JP3213869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WO2010068903A2 (en) Volumizing smudge resistant mascara composition
JP2005154315A (ja) エアゾール型毛髪化粧料
KR20180002929A (ko)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05247739A (ja) 化粧料
KR19990069366A (ko) 립스틱 조성물
KR20240058273A (ko) 휘발성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리퀴드 립 글로스 화장료 조성물
WO2010068891A2 (en) Lengthening mascara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