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013B1 - 냉장고의 해동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013B1
KR100632013B1 KR20040090738A KR20040090738A KR100632013B1 KR 100632013 B1 KR100632013 B1 KR 100632013B1 KR 20040090738 A KR20040090738 A KR 20040090738A KR 20040090738 A KR20040090738 A KR 20040090738A KR 100632013 B1 KR100632013 B1 KR 100632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thawing
food
panel
thaw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9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1504A (ko
Inventor
김세영
김양규
전찬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90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013B1/ko
Publication of KR20060041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해동장치는 냉장고의 내부에 형성되는 별도의 해동실; 상기 해동실에 위치하여 동결식품과 접촉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패널; 및 상기 해동실의 내부에 공기가 가열되도록 하기 위한 팬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냉장고의 내부에 별도의 해동실이 구비되어, 동결식품을 옮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장고의 내부에 적절한 온도 및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신속하고 올바르게 동결식품이 해동되고, 특히 음식물에 가하여지는 열이 다면적으로 음식물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해동과정이 보다 신속하고 올바르게 수행되는 장점이 있다.
냉장고, 해동

Description

냉장고의 해동장치{Thawing apparatus in 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되는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해동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해동실 11, 12 : 패널 13, 14 : 전열판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실에서 동결 보관되는 음식물이 취식 전에, 최적의 상태로 해동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풍미를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냉장고의 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장고는, 음식물이 영상의 저온에서 보관되도록 하는 냉장실과, 음식물이 영하의 저온에서 동결보관되도록 하는 냉동실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의 내부에는 육류, 즉석식품, 및 장기보관식품이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들 냉동실에 보관되는 식품은 사용자가 취식을 할 때 해동된 뒤에 취식된 다.
그러나, 음식물이 냉동실에서 오랫동안 보관되면, 음식물의 수분이 증발되어 음식물의 자체적인 풍미가 떨어지고, 음식물의 조리시에는 표면이 먼저 익고 내부는 익지 아니하니 하기 때문에, 조리된 음식물의 맛은 더욱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동결식품은 동결보관된다는 자체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조리된 뒤에 음식물의 풍미가 극히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동결식품은 조리가 수행되기 전에, 먼저 해동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음식물의 해동과정은 음식물의 내외부가 모두 해동되고, 해동되는 과정이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신속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요인을 감안하여 종래에 적용된 해동방법은, 음식물이 상온에서 외부공기에 의해서 서서히 가열되도록 하거나, 전자레인지 내부에 넣고서 낮은 출력의 고주파가 가하여지도록 하는 것이 적용된 바가 있다.
그러나, 상온에서 동결식품이 서서히 해동되는 과정 중에는, 음식물이 외부와 노출되기 때문에 쉽게 부패되어 취식이 불가능하게 되는 일이 잦다. 그리고, 전자 레인지의 내부에서 고주파에 의해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중에는, 고주파에 의해서 음식물의 표면이 조리가 되어 버려서 음식물의 풍미가 떨어지는 일이 잦다. 또한, 냉동실에서 음식물을 꺼내어서 해동되는 장소로 이동을 해야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은 더욱 증대된다.
상기되는 여러 문제점을 감안하여, 동결식품이 신속하게 해동되면서 음식물의 풍미가 떨어지지 않게하는 새로운 해동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냉장고의 내부에 별도의 해동실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냉장고의 내부에 적절한 온도 및 환경이 조성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올바르게 동결식품이 해동되도록 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음식물에 가하여지는 열이 다면적으로 음식물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해동과정이 보다 신속하고 올바르게 수행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해동장치는 냉장고의 내부에 형성되는 별도의 해동실; 상기 해동실에 위치하여 동결식품과 접촉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패널; 및 상기 해동실의 내부에 공기가 가열되도록 하기 위한 팬이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냉장고의 해동장치는 냉장실의 내부에 형성되는 별도의 해동실; 상기 해동실에 위치하여 동결식품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 상기 패널과 연결되는 유로; 및 상기 유로를 통하여 액체가 흐르도록 하는 펌프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냉장고의 해동장치에 의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동결된 음식물의 취식시에 음식물의 풍미가 좋아지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 가 더욱 증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안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가 변경, 추가, 삭제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되는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냉장고에는 냉장고 본체(1)와, 상기 냉장고 본체(1)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냉장실(2) 및 냉동실(3)과, 상기 냉장실(2) 및 냉동실(3)의 전면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음식물이 취출가능하도록 하는 냉장실 도어(4) 및 냉동실 도어(5)가 포함된다. 또한, 해동되는 식품이 보관되는 해동실(6)이 냉장실의 일측에 놓이고, 상기 해동실(6)이 개방되도록 하는 해동실 손잡이(7)가 해동실(6)의 전면에 더 형성된다.
상기 해동실(6)에는 냉동실에 넣어져 있던 동결 음식물이 음식물의 취식전에 일시 보관되어 음식물이 해동되도록 하는 장소이다. 그리고, 상기 해동실(6)에는 소정의 열원이 더 형성되어 있어, 음식물이 급속하게 해동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 본체(1)의 후방 하측에 형성되는 기계실(8)과, 상기 기계실(8) 내부에 수용되는 펌프(17)와, 상기 기계실(8)의 전방에 형성되는 해동실(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해동실(6)의 내부에는 동결식품이 수용되기 위하여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제 1 패널(11)와 제 2 패널(12)이 놓이고, 상기 패널(11)(12)은 해 동실 측벽에 고정되는 소정의 위치 가이드(21)에 의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패널(11)(12)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은, 제 2 패널(12)과 제 1 패널(11)의 사이 공간에 동결식품이 놓인 뒤에, 동결식품에 상기 패널(11)(12)이 모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전도에 의해서 동결식품으로 열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패널(11)(12)은 상기 위치 가이드(21)에 의해서 측면이 지지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위치 가이드(21)에 수평방향으로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패널(11)(12)의 측단부가 걸려서 패널(11)(12)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그러한 구성으로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패널(11)(12)이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을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11)(12)에서 음식물과 닿는 안쪽 측면에는, 넓은 면에 걸쳐서 열이 신속하게 패널(11)(12)에서 동결식품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전열판(13)(14)이 넓게 형성된다. 상기 전열판(13)(14)은 금속판을 재질로 하여 패널(11)(12)의 열이 신속하게 전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재질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열판(13)(14)의 내측면에는 센서(22)(23)가 돌출되어 음식물의 온도가 측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패널(11)(12)의 내부에는 다수의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펌프(17)에서 가압된 물이 패널(11)(12)의 내부로 유입/유출되도록 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펌프(17)의 유출단에 고정되는 고온유로(19)와, 펌프(17)의 유입단에 고정되는 저온유로(20)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유 로(19)에는 액체가열히터(18)가 부설되어 고온유로(19)의 내부를 유동하는 액체가 가열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온유로(19)는 두 갈래로 분기되어 어느 한 갈래는 제 1 패널(11)로 유입되고, 다른 한 갈래는 제 2 패널(12)로 유입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저온유로(20)도 각각의 패널(11)(12)로부터 연장된 뒤에 합쳐져서 펌프(17)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고온유로(19) 및 저온유로(20)는 패널(11)(12)에 소정 부분이 연결되어 액체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에 그 일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19)(20)는 상기 패널(11)(12)이 상하로 움직이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위하여 플렉시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널(11)(12)이 냉장고 본체(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유로(19)(20)와 패널(11)(12) 사이의 접면에 별도의 실링구조가 요구되지 않지만, 만약, 상기 패널(11)(12)이 해동실(6)의 내부면에 고정되어 있다면, 상기 유로(19)(20)의 삽입이 자유로우면서 액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구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해동실(6)의 상측부에는 해동실(6) 내부의 공기가 전체적으로 가열되어 대류열이 발생되는 소정의 가열수단이 형성되는데, 상세하게는, 팬(15)과 상기 팬(15)으로 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데워지도록 하는 공기가열히터(16)가 각각 형성된다.
설명된 바와 같은 냉장고의 해동장치의 동작 내지 작용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해동실(7)을 열어서 상기 패널(11)(12)의 사이 간격부에 동결식품을 놓고, 패널(11)(12)의 상하위치를 조절하여 패널(11)(12)의 내측면에 동결식품이 접촉되도록 한다. 그리고, 해동실(7)을 닫고서 해동실의 동작이 시작된다.
한편, 본 발명의 해동장치에는 해동실 내부의 전체 공기가 가열되어 대류현상에 의해서 열이 전달되도록 하는 대류가열부와, 동결식품과 접촉하여 전도열이 동결식품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도가열부가 각각 형성된다. 결국, 동결식품으로 전달되는 열은 두 가지 방법에 의해서 각각 전달되기 때문에, 음식물은 보다 신속하게 해동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대류가열부는 공기가열히터(16)와, 상기 공기가열히터(16)의 전방에 형성되는 팬(15)이 포함된다. 상기 공기가열히터(16)와 팬(15)이 동작되면, 히터(16)에서 발생되는 열이 팬(15)에 의해서 해동실(6)의 내부 전체공간에 공기로써 널리 퍼지기 때문에, 해동실(6) 내부의 전체공간이 가열되고 동결식품의 외부와 접촉하는 모든 부분이 신속하게 해동된다.
상세하게, 상기 전도가열부는 동결식품이 놓이는 패널(11)(12)과, 상기 패널(11)(12)에 유입/유출되는 물이 가열되도록 하는 액체가열히터(18)가 포함된다. 그러므로, 상기 펌프(17)가 동작되고, 펌프(17)에 의해서 가압된 물이 상기 액체가열히터(18)를 통과하면서 데워진 뒤에, 고온유로(19)를 통하여 상기 패널(11)(12)로 유입된다. 그리고, 패널(11)(12)은 동결식품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물의 열은 패널(11)(12)을 통하여 동결식품으로 전달되어 동결식품이 해동된다.
또한, 상기 패널(11)(12)과 음식물이 접하는 패널(11)(12)의 내측면에는 전열판(13)(1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의 열은 전열판(13)(14)의 넒은 공간에 걸쳐서 넓게 퍼지게 된다. 그러므로, 음식물과 패널(11)(12)이 닿는 전체 면에서 음식물이 해동될 뿐만 아니라, 상기 패널(11)(12)중에서 음식물이 직접 닿지 아니하는 부분에서도 물로 냉기가 신속하게 흡수될 수 있다. 이는 동결식품은 단단한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해동 초기에 패널(11)(12)의 넓은 부분에 음식물이 닿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와 같이, 동결식품이 닿지 아니하는 패널(11)(12) 부분에서도 냉기가 패널(11)(12)측으로 신속하게 흡수되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액체가열히터(18)에 의해서 고온유로(19)로 공급되는 열이 가열되기 때문에, 패널(11)(12)은 신속하게 고온환경으로 조성될 수 있다. 물론, 펌프(17)의 자체적인 열도 고온유로(19)를 통하여 패널(11)(12)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11)(12)에는 센서(22)(23)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22)(23)에 의해서 음식물의 온도가 직접 감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음식물의 온도에 따라서 공기가열히터(16)와 액체가열히터(18)와 펌프(17)의 제어상태가 결정되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22)(23)는 대류가열부와 전도가열부에 가하여지는 열량이 조절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동결식품의 온도가 측정되도록 함으로써, 해동의 종료시점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해동실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물이 데워지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만 차이가 있다.
상세하게, 상기 액체가열히터(18)를 대신하여 저수부(30)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30)에는 동결식품에 의해서 냉각된 물이 모여져서 펌프(17)로 공급되는 작 용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부(30)에 담겨져 있는 물은, 상기 기계실(8)의 내부 압축기 및 응축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데워질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히터가 필요하지 않다.
그 외의 부분은 원 실시예에 적용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해동장치는 동결식품이 전도 및 대류에 의해서 가열 해동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내부로의 열전도가 보다 빨라진다. 그리고, 동결식품의 내부에 열이 신속하게 전달되기 때문에 음식물 자체의 풍미도 유지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의 내부에 별도의 해동실이 구비되어, 동결식품을 옮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장고의 내부에 적절한 온도 및 환경이 조성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올바르게 동결식품이 해동되고, 특히 음식물에 가하여지는 열이 다면적으로 음식물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해동과정이 보다 신속하고 올바르게 수행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냉장고의 내부에 형성되는 별도의 해동실;
    상기 해동실에 위치하여 동결식품과 접촉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패널;
    상기 패널의 내부에 형성되어 액체가 유동되는 유로;
    상기 해동실의 내부에 공기가 가열되도록 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해동실의 내부로 분산시키는 팬이 포함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
  2. 냉장실의 내부에 형성되는 별도의 해동실;
    상기 해동실에 위치하여 동결식품과 접촉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패널;
    상기 패널의 내부에 형성되어 액체가 유동되는 유로; 및
    상기 유로를 통하여 액체가 흐르도록 하는 펌프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내측면에서 상기 동결식품과 접촉되는 면에는 열전도도가 높은 전열판이 형성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이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해동실의 일측에 형성되는 위치 가이드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내측면에는 음식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위치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동결식품의 상하에 형성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유출단은 상기 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펌프의 유입단은 저수부 에 연결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과 상기 유로 사이의 접면에 별도의 실링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유로의 삽입이 자유로우면서 액체의 누설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
KR20040090738A 2004-11-09 2004-11-09 냉장고의 해동장치 KR100632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90738A KR100632013B1 (ko) 2004-11-09 2004-11-09 냉장고의 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90738A KR100632013B1 (ko) 2004-11-09 2004-11-09 냉장고의 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504A KR20060041504A (ko) 2006-05-12
KR100632013B1 true KR100632013B1 (ko) 2006-10-04

Family

ID=3714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90738A KR100632013B1 (ko) 2004-11-09 2004-11-09 냉장고의 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0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2852A (ja) * 1999-09-09 2001-03-30 Sharp Corp 解凍室付冷蔵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2852A (ja) * 1999-09-09 2001-03-30 Sharp Corp 解凍室付冷蔵庫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1108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504A (ko) 200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0439B2 (ja) 温度制御された貯蔵ユニット
KR100725494B1 (ko) 보조저장실을 갖는 냉장고
US432639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awing frozen food
KR100701955B1 (ko) 냉장고의 해동실유닛 제어방법
US20190120540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a siphon in the condensate drain
EP3673207B1 (en) An oven comprising a cooling unit
JP4562763B2 (ja) 冷蔵庫
KR100632013B1 (ko) 냉장고의 해동장치
JP3933659B2 (ja) 冷蔵庫
JP4033888B2 (ja) 冷蔵庫
CN113208419A (zh) 烹饪装置
JP2008002760A (ja) 冷蔵庫
KR100632015B1 (ko) 냉장고의 해동장치
KR100700761B1 (ko) 냉장고의 해동장치
KR100700778B1 (ko) 냉장고의 해동장치 및 해동방법
JP2004097068A (ja) 冷凍生地を用いたパンの調理装置
KR100600779B1 (ko) 냉장고의 해동유닛 및 해동실
JP4502998B2 (ja) 冷蔵庫
JP7253992B2 (ja) 加熱調理器
KR100700772B1 (ko) 냉장고의 해동장치 및 해동방법
KR100632012B1 (ko) 냉장고의 해동장치
CN215738373U (zh) 烹饪装置
JP7012139B2 (ja) 冷蔵庫
JP7117271B2 (ja) 加熱調理器
JP2007032851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