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279B1 - 고전압용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전압용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279B1
KR100631279B1 KR1020040117848A KR20040117848A KR100631279B1 KR 100631279 B1 KR100631279 B1 KR 100631279B1 KR 1020040117848 A KR1020040117848 A KR 1020040117848A KR 20040117848 A KR20040117848 A KR 20040117848A KR 100631279 B1 KR100631279 B1 KR 100631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ide film
polycrystalline silicon
source
high volt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8263A (ko
Inventor
신용욱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7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279B1/ko
Priority to JP2005379289A priority patent/JP2006191104A/ja
Priority to DE102005063112A priority patent/DE102005063112B4/de
Priority to US11/320,727 priority patent/US20060148185A1/en
Publication of KR20060078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575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 H01L29/6659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with both lightly doped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nd source and drain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e.g. lightly doped drain [LDD] MOSFET, double diffused drain [DDD] MOS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14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urce or drain structures, e.g. specific source or drain implants or silicided source or drain structures or raised source or drai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64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sidewall spacers, e.g. double spacers, particular spacer material o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33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lightly doped drain or source extension, e.g. LDD MOSFET's; DDD MOSF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고전압용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방법은, (a) 반도체 기판에 게이트 산화막, 다결정 실리콘층 및 실리콘 질화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실리콘 질화막,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 및 상기 게이트 산화막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등방성 에칭 공정을 통해 패터닝하여 질화막 쉐이드 및 다결정 실리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질화막 쉐이드을 이온 주입에 대한 장벽으로 하여 상기 기판에 불순물을 이온 주입함과 아울러 열처리함으로써 이중 확산 구조의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질화막 쉐이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실리콘 질화막을 불순물 주입시 방호막으로 사용함으로써, 스페이스 산화막을 형성하지 않고도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을 이중 확산 드레인 정션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한번의 패턴 공정 및 이온 주입 공정을 통해 안정된 이중 확산 구조의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전압용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High Voltage Transistor}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의 고전압용 CMOS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CMOS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고전압용 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에서의 이중 확산 드레인 정션 구조를 스페이스 산화막을 형성하지 않고 한번의 패턴 공정 및 이온 주입 공정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는 고전압용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집적 회로가 고전압을 사용하는 외부 시스템을 직접 제어하는 경우, 집적 회로 내부에 외부 시스템의 고전압이 직접 걸리는 고전압 제어용 소자가 필요하다. 즉, 높은 브레이크 다운(Brake Down) 전압을 필요로 하는 회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전압용 반도체 소자가 요구된다.
한편,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는 P-채널(Channel)과 N-채널 MOS를 하나의 회로에 동시에 구성하여 단위 트랜지스터의 기능을 발휘하게 한 집적 회로로서 소비 전력이 작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고전압용 C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반도체 소자는 일반적인 CMOS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과 유사하게 제조되는데, 구체적인 제조 방법을 기판에 두개의 웰(Well)을 형성하는 이중 구조 공정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웰 형성 공정을 통하여 기판에 N-웰(12) 및 P-웰(14)을 형성한다. 여기서, PMOS가 형성되는 N-웰(12) 및 NMOS가 형성되는 P-웰(14)은 각각 N형 도펀트(dopant) 및 P형 도펀트를 기판 내에 고에너지 이온 주입을 통하여 주입하고 고온에서 확산시켜 형성한다. 이 때, 고전압용 CMOS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기 위하여는 일반 전압에서 사용하는 CMOS 트랜지스터에서 보다 웰을 깊게 형성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트랜지스터의 정상적인 동작을 위하여 차단화(Isolation) 공정을 거친다. 차단화 공정은 일반적으로 이온 주입과 필드 산화막(Field Oxide; 16)을 형성하는 LOCOS 공정을 통해 진행된다.
이와 같이, 필드 산화막(16)을 형성한 후에는 얇은 산화막을 산화 공정을 통해 성장시킨 후 시간 지연 없이 그 위에 다결정 실리콘을 증착한다. 그 후, 마스크로 패턴을 형성하여 에칭함으로써 게이트 산화막(22a, 22b) 및 게이트 전극(24a, 24b)을 PMOS 영역 및 NMOS 영역에 각각 패터닝한다. 이렇게 형성된 게이트 산화막(22a, 22b) 및 게이트 전극(24a, 24b)을 도 1b에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트랜지스터의 나머지 단자를 형성한다. 즉, N-웰(12) 측에 PMOS 용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먼저 P-웰(14) 영역을 포토레지스트로 마스킹한 후 붕소(B)와 같은 P형 도펀트를 이온 주입 및 열처리함으로써 소스/드레인 영역(26a)을 형성한다. 반대로, P-웰(14) 측에 NMOS용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먼저 N-웰(12) 영역을 포토레지스트로 마스킹한 후 인(P)과 같은 N형 도펀트를 이온 주입 및 열처리함으로써 소스/드레인 영역(26b)을 형성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고전압용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정션(junction)은 고전압에서 동작하게 되므로, 높은 브레이크 다운 전압을 얻기 위하여 이중 확산 드레인 정션(Double Diffusion Drain Juction) 구조로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드레인 영역 하부에 부 불순물을 주입함으로써 드레인과 동일한 도전형의 저농도층을 갖는 구조를 형성한다. 앞에서 설명한 N-웰(12) 및 P-웰(14)에서의 소스/드레인 영역(26a, 26b)의 이온 주입 공정은 부 불순물 주입 공정에 의하게 된다. 즉, 부 불순물 주입 공정을 통해 부 불순물을 주입한 후 열처리 공정에서 주입된 부 불순물을 확산시킬 때 게이트 아래로 많은 불순물이 확산된 저농도층(26a, 26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N-웰(12) 및 P-웰(14)에 각각 저농도층의 소스/드레인 영역(26a, 26b)을 형성한 후에는 고농도층의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고농도층의 확산 영역을 형성하기 전에, 트랜지스터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게이트 전극용 다결정 실리콘(24a, 24b)의 측벽에 스페이스 산화막(28a, 28b)을 형성한다.
도 1c에는 각각의 N-웰(12) 및 P-웰(14)에 저농도층의 소스/드레인 영역(26a, 26b)을 형성한 후 게이트 전극(24a, 24b)의 측벽에 스페이스 산화막(28a, 28b)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1d에는 스페이스 산화막(28a, 28b)을 형성한 후에 고농도층의 소스/드레인 영역(27a, 27b)을 N-웰 및 P-웰 각각에 이온 주입 공정 및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고농도층의 소스/드레인 영역(27a, 27b)은 앞에서 설명한 저농도층의 형성 방법과 유사하게 진행되는데, N-웰(12) 또는 P-웰 중 어느 일방을 포토레지스트로 마스킹한 후에 오픈된 측의 웰에 이온 주입 및 열처리함으로써 형성한다. 고전압용 CMOS 트랜지스터의 경우 정션의 형성 위치가 게이트 전극의 아래에서 얼마나 겹치는가가 상당히 중요한 문제가 되는데, 특별한 경우에는 겹치지 않게 형성하여 고전압에도 트랜지스터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트랜지스터를 보호하고 이를 외부에 연결하기 위한 공정을 진행한다. 즉, 위와 같이 각각의 웰(12, 14)에 트랜지스터 소자를 형성한 후 산화막 또는 BPSG 등의 유전체막을 형성하고, 트랜지스터의 4 단자를 외부에 연결하기 위하여 콘택 형성 공정 및 금속 공정을 통해 기본적인 고전압용 CMOS 트랜지스터를 제조한다.
이와 같은, 고전압용 CMOS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에서는, 이중 확산 드레인 정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저농도층의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26a, 26b)의 형성 공정, 스페이스 산화막(28a, 28b)의 형성 공정, 고농도층의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27a, 27b)의 형성 공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그에 따라 수율 저하가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을 이중 확산 드레인 정션 구조로 형성할 때 실리콘 질화막을 그 아래에 형성된 다결정 실리콘 게이트 전극 보다 큰 폭으로 형성하여 불순물 주입시 방호막으로 사용함으로써 한번의 패턴 공정 및 이온 주입 공정을 통해 안정된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하여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페이스 산화막을 형성하지 않고도 이중 확산 드레인 정션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다결정 실리콘 게이트 전극의 폭을 종래의 트랜지스터에서의 다결정 실리콘 게이트 전극의 폭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는 고전압 CMOS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하여, 고전압용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의 크기 및 트랜지스터의 크기에 대한 설계상의 자유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게이트 전극에 대한 마스크를 크게 제작하여도 되므로 제조 비용의 측면에서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a) 반도체 기판에 게이트 산화막, 다결정 실리콘층 및 실리콘 질화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실리콘 질화막,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 및 상기 게이트 산화막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등방성 에칭 공정을 통해 패터닝하여 질화막 쉐이드 및 다결정 실리콘 게 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질화막 쉐이드을 이온 주입에 대한 장벽으로 하여 상기 기판에 불순물을 이온 주입함과 아울러 열처리함으로써 이중 확산 구조의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질화막 쉐이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실리콘 질화막을 불순물 주입시 방호막으로 사용함으로써, 스페이스 산화막을 형성하지 않고도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을 이중 확산 드레인 정션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한번의 패턴 공정 및 이온 주입 공정을 통해 안정된 이중 확산 구조의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CMOS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반도체 기판 상에 두개의 웰을 형성하는 방법은 종래의 방법과 유사하다. 즉,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웰 형성 공정을 통하여 기판에 N-웰(12) 및 P-웰(14)을 형성한다. 여기서, PMOS가 형성되는 N-웰(12) 및 NMOS가 형성되는 P-웰(14)은 각각 N형 도펀트(dopant) 및 P형 도펀트를 기판 내에 고에너지 이온 주입을 통하여 주입하고 고온에서 확산시켜 형성한다. 이 때, 고전압용 CMOS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기 위하여는 일반 전압에서 사용하는 CMOS 트랜지스터에서 보다 웰을 깊게 형성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트랜지스터의 정상적인 동작을 위하여 LOCOS 공정을 통해 필드 산화막(Field Oxide; 16)을 형성한다.(도 2a 참조)
그 후, 트랜지스터의 스위치로 사용할 게이트의 절연막인 게이트 산화막을 산화 공정을 통해 형성하고, 그 위에 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간 지연 없이 게이트용 다결정 실리콘을 증착한다. 다결정 실리콘을 증착한 후에는 그 위에 실 리콘 질화막을 형성한다. 여기의 실리콘 질화막은 후에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불순물 주입을 선택적으로 막는 방호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실리콘 질화막을 다결정 실리콘층 위에 형성하기 전에 산화막을 형성한다. 여기의 산화막은 질화막이 다결정 실리콘층에 대하여 스트레스를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버퍼층으로 기능한다.
이와 같이 다결정 실리콘층 위에 실리콘 질화막(또는 버퍼층 및 실리콘 질화막)을 차례로 형성한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에칭 공정을 통하여 게이트 산화막, 다결정 실리콘, 실리콘 질화막(또는 버퍼층 및 실리콘 질화막)을 패터닝한다.
이 때, 게이트 전극으로 사용할 다결정 실리콘의 패턴의 폭은 일반적인 게이트 전극의 폭의 두배만큼 크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후에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페이스 산화막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이 다결정 실리콘 게이트의 폭을 보다 크게 형성하여도 종래의 트랜지스터와 동일한 크기로 제조할 수 있다.
도 2b에는 상술한 공정을 통해 형성된 게이트 산화막(22a, 22b), 다결정 실리콘 게이트 전극(24a, 24b), 버퍼 산화막(23a, 23b) 및 실리콘 질화막(25a, 25b)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위와 같은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등방성(Isotropic) 에칭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습식 에칭 공정에 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실리콘 질화막의 하부에서 아래쪽으로 에칭되는 양과 측면쪽으로 에칭되는 양이 균일하게 유지되면서 에칭이 되도록 한다. 등방성 에칭을 이용하면, 실리 콘 질화막은 다결정 실리콘 게이트 전극(24a, 24b)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다결정 실리콘 게이트 전극(24a, 24b) 위에 갓 모양의 질화막 쉐이드(25a, 25b)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고전압 CMOS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불순물 주입 공정을 실시한다. 여기의 불순물 주입 공정은 N-웰(12) 및 P-웰(14) 중 어느 하나의 웰 영역을 포토레지스트로 마스킹한 후에 오픈된 측의 웰 영역에 해당하는 불순물을 이온 주입 및 열처리를 통해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도 2c에는 질화막 쉐이드(25a, 25b)를 방호벽으로 사용하여 불순물을 이온 주입 및 열처리함으로써 각각의 웰(12, 14)에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불순물의 이온 주입 공정에서, 주입되는 불순물이 게이트 패턴에서 갓 모양으로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질화막 쉐이드(25a, 25b)로 인하여 게이트에서 멀리 떨어져서 주입된다. 이렇게 질화막 쉐이드(25a, 25b)로 인해 게이트(24a, 24b)로부터 머리 떨어져서 주입된 불순물은 고농도층의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27a, 27b)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불순물은 질화막 쉐이드(25a, 25b)를 통과하여 주입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당량의 불순물이 질화막 쉐이드(25a, 25b)로 차단된다. 따라서 게이트 전극(24a, 24b)의 근처에서는 질화막 쉐이드(25a, 25b)로 인하여 소량의 불순물이 주입되는데, 이렇게 주입된 소량의 불순물은 웰에 깊게 주입되지 않으므로 저농도층의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26a, 26b)을 형성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중 확산 드레인 정션을 형성하기 위하여 부 불순물 주입 공정, 스페이스 산화막 형성 공정 및 주 불순물 주입 공정 등을 행하여야 했고, 이를 위해 패터닝 공정, 산화물 형성 공정, 이온 주입 공정, 열처리 공정 등을 여러 번 행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스페이스 산화막을 형성하지 않고도 안정된 이중 확산 드레인 정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결정 실리콘 게이트 전극(24a, 24b) 위에 형성된 질화막 쉐이드(25a, 25b) 및 버퍼 산화막(23a, 23b)을 제거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습식 에칭에 의하여도 무방하다. 이렇게 형성된 스페이스 산화막이 없는 다결정 실리콘 게이트 전극을 도 2d에 도시하였다.
한편, 보다 안정된 이중 확산 구조의 소스/드레인 정션을 형성하기 위하여, 질화막 쉐이드의 제거 후에 추가적인 불순물 주입 공정을 더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에너지가 약한 이온 주입 공정을 통하여 소스/드레인 영역에 불순물을 주입하면 게이트 전극으로 사용하는 다결정 실리콘의 하부에서 안전하게 겹쳐있는 정션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후의 공정은 종래와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즉, 트랜지스터의 보호를 위하여 절연막을 형성한 다음에 트랜지스터의 각 단자를 외부로 연결하기 위하여 컨택 공정 및 금속 공정 등을 실시함으로써 반도체 소자를 완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을 이중 확산 드레인 정션 구조로 형성함에 있어서, 실리콘 질화막을 다결정 실리콘 게이트 위에 추가로 형성하고 이 를 불순물 주입시 방호막으로 사용함으로써, 한번의 패턴 공정 및 이온 주입 공정을 통해 안정된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을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에 형성된 실리콘 질화막의 패턴 크기를 조절하여 게이트 전극과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이 중첩되는 영역에서의 불순물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트랜지스터를 열화시키는 원인인 핫 캐리어 효과(Hot Carrier Effect)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페이스 산화막을 형성하지 않고도 이중 확산 드레인 정션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다결정 실리콘 게이트 전극의 폭을 종래의 트랜지스터에서의 다결정 실리콘 게이트 전극의 폭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고전압용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의 크기 및 트랜지스터의 크기에 대한 설계상의 자유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게이트 전극에 대한 마스크를 크게 제작하여도 되므로 제조 비용의 측면에서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a) 반도체 기판에 게이트 산화막, 다결정 실리콘층 및 실리콘 질화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실리콘 질화막,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 및 상기 게이트 산화막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에칭 공정을 통해 패터닝하여 질화막 쉐이드 및 다결정 실리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되, 상기 질화막 쉐이드의 패턴 폭을 상기 다결정 실리콘 게이트 전극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질화막 쉐이드을 이온 주입에 대한 장벽으로 하여 상기 기판에 불순물을 이온 주입함과 아울러 열처리함으로써 이중 확산 구조의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질화막 쉐이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용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 및 상기 실리콘 질화막 사이에 버퍼 산화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용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전압용 트랜지스터.
KR1020040117848A 2004-12-31 2004-12-31 고전압용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100631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848A KR100631279B1 (ko) 2004-12-31 2004-12-31 고전압용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JP2005379289A JP2006191104A (ja) 2004-12-31 2005-12-28 高電圧用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DE102005063112A DE102005063112B4 (de) 2004-12-31 2005-12-30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ochspannungstransistors und damit hergestellter Hochspannungstransistorr
US11/320,727 US20060148185A1 (en) 2004-12-31 2005-12-30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voltage transis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848A KR100631279B1 (ko) 2004-12-31 2004-12-31 고전압용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263A KR20060078263A (ko) 2006-07-05
KR100631279B1 true KR100631279B1 (ko) 2006-10-02

Family

ID=3664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848A KR100631279B1 (ko) 2004-12-31 2004-12-31 고전압용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148185A1 (ko)
JP (1) JP2006191104A (ko)
KR (1) KR100631279B1 (ko)
DE (1) DE10200506311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46877A (zh) * 2013-11-28 2014-03-19 上海华力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双应力薄膜的制造方法
US11183429B2 (en) 2019-03-25 2021-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forming a gate insulating material layer on a protection layer and removing the gate insulation material layer and the protection layer on the first reg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8058A (en) * 1972-08-17 1974-04-30 Bell Telephone Labor Inc Fabrication of mesa diode with channel guard
US3823352A (en) * 1972-12-13 1974-07-09 Bell Telephone Labor Inc Field effect transistor structures and methods
US4198250A (en) * 1979-02-05 1980-04-15 Intel Corporation Shadow masking process for forming source and drain region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and like regions
JPS56146246A (en) * 1980-04-14 1981-11-13 Toshiba Corp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4330931A (en) * 1981-02-03 1982-05-25 Intel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metal plated regions and lines in MOS circuits
EP0061855B1 (en) * 1981-03-20 1985-08-14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4569698A (en) * 1982-02-25 1986-02-11 Raytheon Company Method of forming isolated device regions by selective successive etching of composite masking layers and semiconductor material prior to ion implantation
US4584027A (en) * 1984-11-07 1986-04-22 Ncr Corporation Twin well single mask CMOS process
JPS6281727A (ja) * 1985-10-05 1987-04-15 Fujitsu Ltd 埋込型素子分離溝の形成方法
US4701423A (en) * 1985-12-20 1987-10-20 Ncr Corporation Totally self-aligned CMOS process
US4669178A (en) * 1986-05-23 1987-06-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a self-aligned low resistance path in semiconductor devices
US5650343A (en) * 1995-06-07 1997-07-22 Advanced Micro Devices, Inc. Self-aligned implant energy modulation for shallow source drain extension formation
JP3283187B2 (ja) * 1996-07-12 2002-05-20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288246B2 (ja) * 1997-03-24 2002-06-0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362033B1 (en) * 1999-12-14 2002-03-26 Infineon Technologies Ag Self-aligned LDD formation with one-step implantation for transistor formation
US7221021B2 (en) * 2004-06-25 2007-05-2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of forming high voltage devices with retrograde w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48185A1 (en) 2006-07-06
JP2006191104A (ja) 2006-07-20
KR20060078263A (ko) 2006-07-05
DE102005063112B4 (de) 2009-09-24
DE102005063112A1 (de)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3963A (en) Method of forming self-aligned twin tub CMOS devices
US4435896A (en) Method for fabricating complementary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s
US6514810B1 (en) Buried channel PMOS transistor in dual gate CMOS with reduced masking steps
EP0104233A4 (en) METHOD FOR FORMING COMPLEMENTARY INTEGRATED CIRCUIT DEVICES.
US2002008182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narrow channel width effect
US8232158B2 (en) Compensated isolated p-well DENMOS devices
EP1026738B1 (en) Novel mixed voltage CMOS process for high reliability and high performance core and I/O transistors with reduced mask steps
US2002001764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6583013B1 (en) Method for forming a mixed voltage circuit having complementary devices
US6586296B1 (en) Method of doping wells, channels, and gates of dual gate CMOS technology with reduced number of masks
JP4501183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710194B1 (ko) 고전압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US7053451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mpurity region under isolation region
KR100631279B1 (ko) 고전압용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US7560779B2 (en) Method for forming a mixed voltage circuit having complementary devices
KR100840659B1 (ko) 디이모스 소자의 제조 방법
KR19990069745A (ko) 씨모스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146121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10066327A (ko) 듀얼 게이트전극 제조방법
KR10110075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264211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KR100674647B1 (ko) 고전압용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JP2953915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192470B1 (ko) 씨엠오에스 인버터 구조 및 제조방법
KR20010004934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