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464B1 -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 Google Patents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464B1
KR100630464B1 KR1020030086243A KR20030086243A KR100630464B1 KR 100630464 B1 KR100630464 B1 KR 100630464B1 KR 1020030086243 A KR1020030086243 A KR 1020030086243A KR 20030086243 A KR20030086243 A KR 20030086243A KR 100630464 B1 KR100630464 B1 KR 100630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m
drawer
bracket
pi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2709A (ko
Inventor
장명택
Original Assignee
장명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택 filed Critical 장명택
Priority to KR1020030086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464B1/ko
Publication of KR20050052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05C19/12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pivotally mounted around an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식 도어가 도어수용부에 완전하게 닫히며 서랍식 도어가 도어수용부에서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브라켓(100)의 수직부(110, 120)에 장착되는 제 1 핀축(200)에 의해 캠레버(300)가 상기 브라켓(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브라켓(100)의 수직부(110, 120)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제 2 핀축(400)에 의해 캠롤러(500)가 브라켓(100)에 장착되고, 상기 캠롤러(500)가 스프링(600)에 의해 캠레버(300)의 캠형상부(310)에 밀착되고, 서랍식 도어(10)가 도어수용부(20)에 닫힐 때, 도어수용부(20)에 장착된 스톱퍼 돌기(30)가 상기 캠레버(300)의 후크부(320)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Togle hinge for locking a sliding do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글힌지가 서랍식 도어에 장착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토글힌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토글힌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캠레버를 도시한 측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토글힌지의 작동을 순서대로 도시한 작동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글힌지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서랍식 도어가 도어수용부에 완전하게 닫히며 서랍식 도어가 도어수용부에서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랍식 도어의 측면에 장착되어, 서랍식 도어가 도어수용부에서 개폐될 때, 캠레버의 후크부에 도어수용부에 형성된 스톱퍼 돌기가 걸리므로서, 서랍식 도어를 도어수용부에 록킹시키는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78165호(2002년 5월 30일 등록)에 "김치냉장고의 도어 열림 방지구조"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김치냉장고의 도어 열림 방지구조는 마그네트와 마그네틱 센서 작동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함으로서 저장도어가 도어수용부에 완전히 인입되었는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도어수용부에 닫힌 저장도어가 록킹되는 것을 완전하게 보장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랍식 도어의 측면에 부착되어 서랍식 도어가 개폐될 때 도어수용부에 형성된 스톱퍼 돌기가 캠레버의 후크부에 걸리므로서, 서랍식 도어를 도어수용부에 록킹시킬 수 있어, 서랍식 도어가 도어수용부에 완전하게 록킹되고, 도어수용부에 닫힌 서랍식 도어가 자동으로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은 김치냉장고의 서랍식 도어에 본 발명의 토글힌지가 장착되는 예이고, 도 2는 도 1의 토글힌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1)는 "U" 형상의 브라켓(100)이 서 랍식 도어(10)의 측면에 장착되고, 브라켓(100)의 수직부(110, 120)에 장착되는 제 1 핀축(200)에 의해 캠레버(300)가 상기 브라켓(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브라켓(100)의 수직부(110, 120)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제 2 핀축(400)에 의해 캠롤러(500)가 브라켓(100)에 장착되고, 상기 캠롤러(500)가 스프링(600)에 의해 캠레버(300)의 캠형상부(310)에 밀착되고, 서랍식 도어(10)가 도어수용부(20)에 닫힐 때, 도어수용부(20)에 장착된 스톱퍼 돌기(30)가 상기 캠레버(300)의 후크부(320)에 걸리므로서, 서랍식 도어(10)가 도어수용부(20)에 록킹된다.
상기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랍식 도어(10)의 어느 한 측면에 장착되거나, 서랍식 도어(10)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100)은 제 1 수직부(110)의 우측하단과 좌측상단에 형성된 볼트구멍에 체결되는 볼트(111, 113)에 의해 서랍식 도어(10)의 측면에 장착된다.
상기 브라켓(100)은 제 1 및 제 2 수직부(110, 120)에 제 1 핀축구멍(140 ; 도 2 참조)이 형성되어, 제 1 핀축(200)이 상기 제 1 핀축구멍(140)과 캠레버(300)의 회전축 구멍(330; 도 3 참조)에 끼워지므로서, 캠레버(300)가 상기 제 1 핀축(20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부(110, 120)의 하부에 수평(도 3을 보았을 때)으로 장축을 갖는 타원형의 제 2 핀축구멍(150)이 형성되어, 제 2 핀축(400)이 상기 제 2 핀축구멍(150)과 캠롤러(500)의 축구멍에 끼워지므로서, 캠롤러(500)가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캠 레버(300)가 스톱퍼 돌기(30)에 의해 제 1 핀축(20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될 때( 즉, 캠롤러(500)가 캠 레버(300)의 캠형상부(310)의 노즈부(313)를 통과할 때), 스프링(600)의 탄성력에 의해 캠 레버(300)의 캠형상부(310)에 밀착되도록 지지된 캠롤러(500)가 장공형태의 제 2 핀축구멍(150)을 따라 후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00)은 수평부(130)에 스프링 커버(610)이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 커버(610) 내에 스프링(600)의 일단이 배치되므로서, 상기 스프링(600)의 타단이 캠롤러(5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링 커버(610)는 본딩 방법 용접 방법에 의해 브라켓(100)의 수평부(130)에 장착되거나, 브라켓(100)의 수평부(130)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스프링 커버를 조립식으로 끼울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캠레버(300)는 회전축 구멍(330)의 후방 측면에 캠형상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 구멍(330)의 상부에 후크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캠형상부(310)는 서랍식 도어가 도어수용부에서 개방될 때 캠롤러가 위치되도록 측면 하단부에 제 1 정지홈(311)이 형성되고, 서랍식 도어가 도어수용부에 록킹될 때 캠롤러가 위치되도록 상기 제 1 정지홈(311)의 상부에 제 2 정지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정지홈(311)과 제 2 정지홈(312) 사이에 노즈부(313)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정지홈(312)의 상부에 완충홈(314)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320)는 제 1 핑거(321)보다 제 2 핑거(322)가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핑거(322)가 만곡되어 제 1 핑거(321)와 제 2 핑거(322) 사이에 개구부(323)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323)의 후방에 스톱퍼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32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의 작동을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랍식 도어(10)가 도어수용부(20)에 인입될 때, 초기 상태의 토글힌지(1)는 캠롤러(500)가 캠레버(300)의 캠형상부(310)의 제 1 정지홈(311)에 배치되며, 후크부(320)가 앞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후, 서랍식 도어(10)가 도어수용부(20)에 더 인입되어 닫힐 때, 도 5a와 같이, 서랍식 도어(10)의 측면에 부착된 토글힌지(1)가 화살표(700) 방향으로 이동되므로서, 도어수용부(20)에 고정된 스톱퍼 돌기(30)로 캠레버(300)의 후크부(320)의 개구부(323)가 진행되어, 상기 스톱퍼 돌기(30)에 캠레버(300)의 후크부(320)의 제 2 핑거(322)가 걸리게 된다.
이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살표(710) 방향으로 진행되는 서랍식 도어(10)의 닫히는 힘에 의해 캠레버(300)의 제 2 핑거(322)가 고정된 스톱퍼 돌기(30)와 맞닿아 힘을 받으면, 상기 캠레버(300)가 제 1 핀축(20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톱퍼 돌기(30)가 상기 캠레버(300)의 후크부(320)의 수용홈(324)으로 안내되고, 캠롤러(500)가 캠 레버(300)의 캠형상부(310)의 노즈부(313)를 통과하여, 도 5c의 상태로 진행된다. 이때, 캠롤러(500)가 캠 레버(300)의 캠형상부(310)의 노즈부(313)를 통과할 수 있도록 스프링(600)이 압축되며, 캠롤러(500)가 장공형태의 제 2 핀축구멍(150)을 따라 후퇴된다.
이후, 캠롤러(500)가 캠 레버(300)의 캠형상부(310)의 노즈부(313)를 통과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같이, 캠롤러(500)가 자동으로 노즈부(313)에서 제 2 정지 홈(312)을 통과하여 완충홈(314)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서랍식 도어(10)가 도어수용부(20)에 인입되어 닫힐 때, 서랍식 도어(1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된다.
이후, 도 5d에 도시된 바와같이, 압축된 스프링(600)에 의해 자동으로 캠롤러(500)가 완충홈(314)에서 제 2 정지홈(312)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정지홈(312)에 배치된 캠롤러(500)는 노즈부(313)에 의해 자동으로 제 1 정지홈(311)으로 이동될 수 없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토글힌지(1)의 록킹이 이루어지게 되고, 서랍식 도어(10)가 도어수용부(20)에 닫힌 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되고, 자동으로 상기와 같은 토글힌지(1)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서랍식 도어(10)를 잡아당겨 개방하면, 도 5d의 상태에서 캠레버(300)의 제 1 핑거(321)가 스톱퍼 돌기(30)로부터 힘을 받아 캠레버(3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서, 캠롤러(500)가 도 5b의 반대방향으로 노즈부(313)을 통과하여 도 5a와 같이 제 1 정지홈(311)로 이동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는 서랍식 도어(10)가 도어수용부(20)에 닫힐 때,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캠레버(300)에 완충홈(314)을 형성시키기는 대신에 브라켓(100)의 제 2 핀축구멍(150)의 선단에 하부로 오목홈(511)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캠롤러(500)가 캠 레버(300)의 캠형상부(310)의 노즈부(313)를 통과하면, 캠롤러(500)가 도 5b의 상태에서 도 6으로 진행된다. 즉, 캠롤러(500)가 제 2 정지홈(312)로 이동되고, 제 2 핀축구멍(150)의 오목홈(151)으로 이동되므로서 충격이 완화된다. 이후, 스프링(600)에 의해 캠롤러(500)가 자동으로 도 6의 상 태에서 5d의 상태로 이동된다.
위에서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가 김치냉장고에 적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책상 서랍, 가구서랍 등 여러분야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적용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는 서랍식 도어가 닫힐 때 도어수용부에 형성된 스톱퍼 돌기가 캠레버의 후크부에 걸리므로서, 서랍식 도어를 도어수용부에 록킹시킬 수 있어, 서랍식 도어가 도어수용부에 완전하게 록킹되고, 도어수용부에 닫힌 서랍식 도어가 자동으로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브라켓(100)의 수직부(110, 120)에 장착되는 제 1 핀축(200)에 의해 캠레버(300)가 상기 브라켓(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브라켓(100)의 수직부(110, 120)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제 2 핀축(400)에 의해 캠롤러(500)가 브라켓(100)에 장착되고, 상기 캠롤러(500)가 스프링(600)에 의해 캠레버(300)의 캠형상부(310)에 밀착되고, 서랍식 도어(10)가 도어수용부(20)에 닫힐 때, 도어수용부(20)에 장착된 스톱퍼 돌기(30)가 상기 캠레버(300)의 후크부(320)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0)은 제 1 및 제 2 수직부(110, 120)에 제 1 핀축구멍(140)이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수직부(110, 120)의 하부에 수평으로 장축을 갖는 타원형의 제 2 핀축구멍(150)이 형성되어, 캠 레버(300)가 스톱퍼 돌기(30)에 의해 제 1 핀축(200)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스프링(600)의 탄성력에 의해 캠 레버(300)의 캠형상부(310)에 밀착되도록 지지된 캠롤러(500)가 장공형태의 제 2 핀축구멍(150)을 따라 후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0)은 수평부(130)에 장착되는 스프링 커버(610)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커버(610)는 본딩 방법 또는 용접 방법에 의해 브라켓(100)의 수평부(130)에 장착되거나, 브라켓(100)의 수평부(130)에 형성된 구멍에 조립식으로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레버(300)는 회전축 구멍(330)의 후방 측면에 캠형상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 구멍(330)의 상부에 후크부(3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형상부(310)는 서랍식 도어가 도어수용부에서 개방될 때 캠롤러가 위치되도록 측면 하단부에 제 1 정지홈(311)이 형성되고, 서랍식 도어가 도어수용부에 록킹될 때 캠롤러가 위치되도록 상기 제 1 정지홈(311)의 상부에 제 2 정지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정지홈(311)과 제 2 정지홈(312) 사이에 노즈부(313)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정지홈(312)의 상부에 완충홈(3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320)는 제 1 핑거(321)보다 제 2 핑거(322)가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핑거(322)가 만곡되어 제 1 핑거(321)와 제 2 핑거(322) 사이에 개 구부(323)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323)의 후방에 스톱퍼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3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0)의 제 2 핀축구멍(150)의 선단에 하부로 오목홈(15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KR1020030086243A 2003-12-01 2003-12-01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KR100630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243A KR100630464B1 (ko) 2003-12-01 2003-12-01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243A KR100630464B1 (ko) 2003-12-01 2003-12-01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709A KR20050052709A (ko) 2005-06-07
KR100630464B1 true KR100630464B1 (ko) 2006-10-02

Family

ID=37248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243A KR100630464B1 (ko) 2003-12-01 2003-12-01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4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422B1 (ko) 2003-12-11 2006-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고
KR100578604B1 (ko) * 2003-12-16 2006-05-10 장명택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709A (ko) 2005-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3582B2 (en) Slide rail stopper having anti-opening and self-closing functions
US5845433A (en) Anti-theft device for framed door
US6164098A (en) Frameless glass door lock
KR100630464B1 (ko)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US4702536A (en) Safety device for bureau drawers, cabinet doors and the like
US6254149B1 (en) Live bolt latching and releasing system
JP3740161B1 (ja) 食器棚、家具箪笥等の扉、引き出し用のロック装置。
JP2003027816A (ja) 耐震ロック機能を有する抽斗装置とその耐震ロック方法
JP3105460B2 (ja) ウィング付き収納ボックスのオートロック装置とこの装置を有する家具
KR200267213Y1 (ko) 냉장고의 홈바용 도어
KR0126451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하프도어 개폐장치
KR102027466B1 (ko) 사물함 도어용 힌지 및 이를 포함하는 사물함
JPH09287338A (ja) ウィング付き収納ボックスのオートロック装置
KR200214118Y1 (ko) 캐비넷의 도어 잠금 장치
JP4152901B2 (ja) 地震時ロック機能を有する収納ボックスとこの収納ボックスに用いる地震時ロック装置
JPH0748913Y2 (ja) 錠前装置
JP3078771B2 (ja) 電気錠用錠受
JP4598931B2 (ja) ドア錠
JP2898971B1 (ja) ウィング付き収納ボックスとこれに用いるオートロック装置及びブラケット
KR100192261B1 (ko) 글로브 박스 로킹장치
KR0139452Y1 (ko) 이동식 절첩문의 완충장치
JP2005247175A (ja) 自動車のトランクルーム構造
JP3041307B2 (ja) ウィング付き収納ボックスとこれに用いるオ―トロック装置及びデッドボルト
KR0125012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도어 장치
JP3031839B2 (ja) ウィング付き収納ボックスとそのオートロック装置及び地震時ロック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