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118Y1 - 캐비넷의 도어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캐비넷의 도어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118Y1
KR200214118Y1 KR2020000024350U KR20000024350U KR200214118Y1 KR 200214118 Y1 KR200214118 Y1 KR 200214118Y1 KR 2020000024350 U KR2020000024350 U KR 2020000024350U KR 20000024350 U KR20000024350 U KR 20000024350U KR 200214118 Y1 KR200214118 Y1 KR 200214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evice
levers
door
cabine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3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찬식
Original Assignee
금성제어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제어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성제어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43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1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118Y1/ko

Link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비넷의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잠금 장치는 상하, 좌우 패널 및 좌우측 도어를 포함하는 캐비넷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회전성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동 부재; 상기 회동 부재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이동을 수행하는 제1,2레버; 상기 제1,2레버의 일단을 착탈가능하게 구속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동 부재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후크형 자유단을 구비한 체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2레버의 일단을 상기 회동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고정 부재; 상기 1,2레버의 각각의 타단에 구비된 롤러; 상기 상하 패널 내면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롤러가 구름이동을 하거나 이탈되는 삽입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비넷의 도어 잠금 장치{DOOR LOCKING UNIT FOR CABINET}
본 고안은 캐비넷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비넷의 도어를 개폐 및 잠금시키는 도어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캐비넷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캐비넷(10)은 소정의 보관장소를 이룰 수 있도록 좌우 사이드 패널(16)과, 상하 패널(12,14) 등을 구비하여 선방으로 개방된 육면체의 보관장소를 구비한다. 이러한 보관장소에 각종 옷이나 물품 등을 보관하게 된다. 캐비넷(10)의 개방된 선방으로 힌지(H)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좌우측 도어(22,24)가 설치된다. 상기 좌측 도어(22)에는 도어가 닫힌 경우에 열리지 않도록 미 도시된 잠금 장치가 장착된다. 이러한 잠금 장치는 손잡이(S)의 회전여부에 따라서 잠금 상태가 되거나 잠금 해제 상태가 되는 구성이었다. 아울러, 우측 도어(24)에는 좌측 도어(22)에 구비된 잠금 장치의 로커에 의해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도록 미 도시된 걸림턱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캐비넷의 개선된 잠금 장치가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95-22364호(고안의 명칭;개선된 도어 잠금 수단을 가지는 캐비넷)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캐비넷의 도어 개폐 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손잡이를 회전시켜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경우, 레버의 단이 관통 구멍에 정확히 삽입되지 않아 오 동작이 종종 발생하였다. 더욱이, 이러한 오 동작은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기 못하였으며, 오 동작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더욱더 강제적으로 도어에 힘을 가하게 되어 손상되는 문제뿐만 아니라 도어 개폐 시에도 심한 소음현상이 발생하였다. 특히, 잠금 장치의 레버를 지지해주는 별도의 부재가 존재하지 않아 도어 개폐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요인은 캐비넷 잠금 장치의 신뢰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개폐동작에 고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캐비넷의 잠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독립적인 부재를 이용하여 개폐동작의 정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캐비넷의 잠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 좌우 패널 및 좌우측 도어를 포함하는 캐비넷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회전성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동 부재; 상기 회동 부재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이동을 수행하는 제1,2레버; 상기 제1,2레버의 일단을 착탈가능하게 구속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동 부재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후크형 자유단을 구비한 체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2레버의 일단을 상기 회동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고정 부재; 상기 각각의 1,2레버의 각각의 타단에 구비된 롤러 및 상기 상하 패널 내면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롤러가 구름이동을 하거나 이탈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캐비넷의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캐비넷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캐비넷의 도어 잠금 장치의 잠금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캐비넷의 도어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고정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고정 부재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가이드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6b는 측면도이고, 도 6c는 평면도이고, 도 6d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과 가이드 부재가 제1레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캐비넷 12,14: 상하 패널
12a,14a: 삽입홈
22,24: 좌우측 도어 30: 회동부재
31,32: 제1,2레버 33,34: 제1,2고정 부재
330: 연결부 331: 수용부
332: 개구 333: 체결부
334: 자유단 351: 텐션 개구
352: 텐션 돌기 353: 수용 공간
R: 롤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상적인 캐비넷(10)은 도 1에 보여진 것처럼 선방으로 개방된 육면체형 보관장소를 구비할 수 있도록 좌우측 패널(16), 상하 패널(12,14) 등을 포함하며, 한 쌍의 힌지 수단(H)에 의해 회동하는 좌우측 도어(22,24)를 구비한다. 상기 좌우측 도어(22,24)는 잠금 장치에 의해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상태가 된다.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잠금 장치는 좌측 도어 또는 우측 도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도어(도 2, 도 3에는 자측 도어에 잠금 장치가 설치된 것이 도시됨)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손잡이(S)와, 상기 손잡이(S)와 동축으로 선택된 도어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손잡이(S)의 회전에 따라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동 부재(30)와, 상기 회동 부재(30)의 소정의 위치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회동 부재(30)의 회전에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2레버(31,32)와, 상하부 패널(12,14)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제1,2레버(31,32)의 일단이 놓일 경우에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삽입홈(12a,14a)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삽입홈(12a,14a)은 소정의 깊이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더욱이, 상기 제1,2레버(31,32)의 일단은 도어의 개폐동작 시에 삽입홈(12a,14a)의 바닥을 구르기 위한 롤링 수단(R)이 구비된다. 상기 롤링 수단(R)은 삽입홈(12a,14a)의 바닥면과의 접촉 또는 구름운동 시의 소음을 고려하여 탄성을 구비한 플라스틱 재질의 롤러나 러버 재질의 롤러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롤러(R)의 회전축은 손잡이(S)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잠금 장치는 상기 제1,2레버(31,32)의 타단이 회동 부재(3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기 위하여 제1,2고정 부재(33,34)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2고정 부재(33,34)는 회동 부재(30)와 제1,2레버(31,32)의 타단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 구성요소로서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도어를 닫기 위하여 먼저 손잡이(S)를 화살표①방향(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동 부재(3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이동을 하고, 이어서 상기 각각의 제1,2레버(31,32)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화살표②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 각각의 제1,2레버(31,32)의 일단에 구비된 롤러(R)는 상하 패널(12,14)에 각각 구비된 삽입홈(12a14a)의 바닥면을 구르면서 놓이게 된다. 물론, 상기 롤러(R)가 어느 정도 충격을 흡수한다. 이때, 상기 롤러(R) 또는 롤러(R)를 포함하는 제1,2레버의 일부와 삽입홈(12a14a)이 결합된 상태가 되어 도어는 잠금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롤러(R) 또는 롤러(R)를 포함하는 제1,2레버의 일부가 삽입홈에 의해 구속되어 도어(22)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겨진 도어를 열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잡이(S)를 화살표③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동 부재(3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이동을 하고, 이어서 상기 각각의 제1,2레버 부재(31,32)는 서로 가까워지려는 방향(화살표④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이동하여 도 2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롤러(R)는 삽입홈에서 완전히 이탈하게 되고, 도어의 구속이 해제되어 잠금 해제상태가 된다.
도 4a, 도 4b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제1,2레버의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회동 부재에 장착시키는 제1,2고정 부재(33,34)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각각의 제1,2고정 부재(33,34)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각각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고정 부재(33)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고정 부재(33)는 제1레버의 타단이 삽입되기 위한 연결부(330)와, 상기 연결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회동 부재에 장착되는 체결부(333)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330)는 원통형의 수용부(331)와, 적어도 하나이상의 개구(332)를 구비한다. 상기 개구(332)는 제1레버의 타단의 착탈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체결부(333)는 회동 부재에 삽입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회동 부재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구속되도록 후크형 자유단(334)을 구비한다. 상기 체결부(333)는 단순한 삽입동작으로 회동 부재에 구멍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5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상기 제1,2레버의 이동을 지지함과 아울러 안내하기 위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구비되는 가이드 부재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과 가이드 부재는 잠금 장치에 선택적으로 소정위치에 장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36)은 금속 재질로서, 제1,2레버을 지지하기 위한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36)은 마주보는 자유단을 구비하며, 상기 자유단은 각각 장공(361)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장공(361)은 가이드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이며, 가이드 부재가 삽입된 경우에 가이드 부재의 회전이 방지된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제1,2레버가 관통되어 직선 이동을 안전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35)는 상기 브라켓의 구멍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삽입방식으로 브라켓(36)에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35)는 텐션 개구(351)와, 상기 텐션 개구(351)에 구비된 텐션 돌기(352)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절구형의 수용 공간(353)을 구비한다. 상기 절구형 수용 공간(353)의 네크부는 적어도 제1,2레버의 직경 크기보다 크게 구성되어야 한다. 즉, 상기 수용 공간(353)의 네크부의 직경 크기는 상기 제1,2레버의 직선이동에 간섭을 받지 않을 정도의 직경크기를 가지게 구성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브라켓(36)과 가이드 부재(35)가 제1레버(31)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36)과 가이드 부재(35)는 적어도 한군데 이상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잠금 장치는 도어의 개폐동작에 신뢰성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달성하였다. 더욱이, 도어의 개폐동작 시에 소음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원할한 개폐동작이 구현되었다.

Claims (4)

  1. 상하, 좌우 패널 및 좌우측 도어를 포함하는 캐비넷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회전성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동 부재;
    상기 회동 부재의 소정의 위치에 각각 대칭으로 고정되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이동을 수행하는 제1,2레버;
    상기 각각의 제1,2레버의 일단을 착탈가능하게 구속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동 부재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후크형 자유단을 구비한 체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제1,2레버의 일단을 상기 회동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고정 부재;
    상기 1,2레버의 각각의 타단에 구비된 롤러;
    상기 상하 패널 내면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롤러가 구름이동을 하거나 이탈되는 삽입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의 도어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1,2레버를 지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을 구비한 브라켓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의 잠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장공에 각각 삽입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의 잠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절구형의 수용공간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의 잠금 장치.
KR2020000024350U 2000-08-28 2000-08-28 캐비넷의 도어 잠금 장치 KR200214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350U KR200214118Y1 (ko) 2000-08-28 2000-08-28 캐비넷의 도어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350U KR200214118Y1 (ko) 2000-08-28 2000-08-28 캐비넷의 도어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118Y1 true KR200214118Y1 (ko) 2001-02-15

Family

ID=7308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350U KR200214118Y1 (ko) 2000-08-28 2000-08-28 캐비넷의 도어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1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449U (ko) * 2015-07-24 2017-02-02 정영화 도어록 패킹형 고정수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449U (ko) * 2015-07-24 2017-02-02 정영화 도어록 패킹형 고정수단
KR200485543Y1 (ko) * 2015-07-24 2018-01-25 정영화 도어록 패킹형 고정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6663B2 (en) Drawer lock mechanism
EP2006478B1 (en) Lid device opened at both sides and center console box
US7001001B1 (en) Cabinet
KR200214118Y1 (ko) 캐비넷의 도어 잠금 장치
KR20200085583A (ko) 차량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래치 구조
KR101722709B1 (ko) 건축용 안전 창문구조
JP3141305B2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US6419287B1 (en) Fastening mechanism for a cover, door or the like
KR200267213Y1 (ko) 냉장고의 홈바용 도어
JP4358396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
KR102618779B1 (ko) 도어용 비상 개방장치
KR100630464B1 (ko)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KR200175572Y1 (ko) 궤적형 도어아웃사이드핸들
JP3560883B2 (ja) 扉開閉機構
KR960005577Y1 (ko) 자동차의 트렁크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
JPH0744703Y2 (ja) 扉係止装置
JPH0128206Y2 (ko)
KR200378678Y1 (ko) 잠금장치를 갖는 출입문
JP4011416B2 (ja) 戸当り
KR200150745Y1 (ko) 버스 선반의 도어잠금장치
KR0119867Y1 (ko) 매립형 손잡이 겸 자물쇠
JP2824562B2 (ja) 合成樹脂製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JPH045664Y2 (ko)
JPH0516373Y2 (ko)
KR20050076520A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