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205B1 - 이어폰 플러그 연결 여부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이어폰 플러그 연결 여부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205B1
KR100630205B1 KR1020040000388A KR20040000388A KR100630205B1 KR 100630205 B1 KR100630205 B1 KR 100630205B1 KR 1020040000388 A KR1020040000388 A KR 1020040000388A KR 20040000388 A KR20040000388 A KR 20040000388A KR 100630205 B1 KR100630205 B1 KR 100630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jack
earphone
comparator
resis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1972A (ko
Inventor
신옥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0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205B1/ko
Publication of KR2005007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8Compa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어폰 플러그의 연결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내부저항을 가지는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폰 잭의 연결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일측 단자를 갖는 풀업 저항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이어폰 잭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저항에 연결되는 제1 입력 단자와, 전원 전압이 제1 저항과 제2 저항에 의해 전력 분배되어 제2 저항에 의한 전압이 입력되는 제2 입력단자를 갖는 비교기를 갖는 이어폰 잭 연결 검출부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이어폰 잭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어폰 잭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이어폰 잭과의 오디오 패스를 연결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상기 오디오 패스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이어폰 잭을 보코더와 연결하는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10극, 이어폰 잭, 단말기.

Description

이어폰 플러그 연결 여부 검출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EARPHONE PLUG}
도 1은 종래의 이어폰 플러그 연결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어폰 플러그의 연결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10극 이어폰 잭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이어폰 플러그의 연결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의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플러그의 연결 여부를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0극 이어폰 잭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어폰 플러그의 연결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기술이 계속적으로 발전하고 반도체 제조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보다 경량화, 밀집화, 다기능화되고 있다. 실제로 이동통신 단말 기는 일상생활에서 필수 불가결한 통신기기의 하나가 되었다. 그런데 어떠한 상황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에 들고 통화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고 심지어는 위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에 들고 통화하면서 자동차를 운전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안전하고 편리한 통화를 위하여 외부의 이어폰 마이크 장치(Earphone-Microphone Set)와 접속될 수 있는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는 표준화된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소켓(socket)이다. 통상적인 이어폰 마이크 장치는, 이어폰과 마이크과 플러그를 포함하며, 종래의 플러그는 5개 또는 6개의 단자로 구성되는 이어폰 잭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플러그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소켓 형태의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에 적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어폰 마이크 접속 소켓은 이어폰 마이크 장치의 해당하는 단자들에 각각 접속될 수 있는 내부 접점들과 이어폰 마이크 장치의 삽입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추가적인 내부 접점들을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이어폰 마이크 접속 소켓 내부 회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6극 이어폰 플러그 연결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이어폰 플러그의 미 삽입시 내부 접점 4는 내부 접점 5에 물리적으로 단락되어 있으며, 내부 접점 3은 내부 접점 2에 물리적으로 단락되어 있다. 도 1에서 내부 접점 3,4의 화살표가 각각 내부 접점 5,2에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표기되었다. 이 상태에서는 비교기 입력단자 8로 입력되는 전압에 보다 기준 전압이 크 기 때문에 비교기의 출력단자 9는 하이(High)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로 제공되는 이어폰 플러그 장착신호는 기준 전압에 의하여 하이(High)가 된다. 상기 이어폰 플러그 장착신호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이어폰이 아닌 일반 통화 모드를 유지한다.
또한, 이어폰 마이크 장치의 플러그가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의 소켓에 삽입되면, 그 삽입되는 물리력에 의하여 내부 접점 4는 내부 접점 5로부터 떨어지고 내부 접점 3은 내부 접점 2로부터 떨어져 본체 스피커 및 본체 마이크로의 연결이 끊어지는 한편, 비교기의 입력단자 7에 입력되는 기준전압에 비해 입력단자 8에 걸리는 전압이 높아진다. 따라서, 비교기의 출력단자 9는 로우(Low)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로 제공되는 이어폰 연결신호는 기준 전압에 의하여 로우(Low)가 된다. 상기 이어폰 연결신호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이어폰에 의한 통화 모드가 된다.
즉, 사용자가 이어폰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잭 소켓에 꽂음에 따라 물리적으로 스위칭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여 통화를 원할 경우에는 이어폰을 이어폰 잭 소켓에 꽂을 것인데, 그에 따라 스위치는 이어폰의 물리적 삽입에 의해 스피커의 경로와는 오픈되고, 이어폰의 경로와 연결되게 스위칭된다. 또한, 제어부는 물리적인 스위칭동작을 검출하여 이어폰 통화 모드에 대응된 이득제어를 음성코덱으로 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송수화기의 스피커를 사용하여 통화를 원할 경우에는 스위치는 이어폰의 물리적 삽입이 없기 때문에 이어폰의 경로와는 오픈되고, 스피커의 경로와는 연결된다. 그러면, 제어부는 송수화기 통화 모드에 대응된 이득제어를 음성코덱으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현재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5극이나 6극 이어폰 잭과 같은 경우에는 삽입되는 물리력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스위치를 통해 이어폰의 장착여부를 쉽게 알 수가 있었다.
그러나 차후 사용하게 될 10극 이어폰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할 경우, 내부에 스위치가 내장되어 있지 않아 이어폰이 꽂혀 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는 제시되지 않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에는 5극이나 6극 이어폰 잭의 경우에는 내부에 스위치가 내장되어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지의 여부를 간단하게 인지할 수 있었지만, 10극 이어폰 잭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할 경우에는 내부에 스위치가 내장되어 있지 않아 이어폰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지의 여부를 알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10극 이어폰 잭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어폰의 장착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은 내부저항을 가지는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폰의 연결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일측 단자를 갖는 풀업 저항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이어폰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저항에 연결되는 제1 입력 단자와, 전원 전압이 제1 저항과 제2 저항에 의해 전력 분배되어 제2 저항에 의한 전압이 입력되는 제2 입력단자를 갖는 비교기를 갖는 이어폰 잭 연결 검출부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이어폰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어폰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이어폰 잭과의 오디오 패스를 연결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상기 오디오 패스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이어폰 잭을 보코더와 연결하는 스위칭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어폰 플러그의 연결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10극 이어폰 잭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0극 이어폰 잭(204)이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연결되면, 10극 이어폰 잭 연결 검출부(202)가 10극 이어폰 잭(204)이 연결되었음을 검출하여 제어부(200)로 이어폰 잭 연결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스위치부(206)로 이어폰에 의한 통화 모드를 위해 10극 이어폰 잭(204)과 보코더(208)간의 통화패스를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어폰 플러그의 연결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이어폰의 연결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의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10극 이어잭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10극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GRD), 스트레오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4개의 스피크 단자(SPK_LEFT(+), SPK_LEFT(-), SPK_RIGHT(+), SPK_RIGHT(-)), 2개의 마이크 단자(MIC(+), MIC(-))와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신호용으로 3개의 단자를 사용한다.
10극 이어폰 잭(204)은 마이크의 내부 저항 R을 구비하고 있고, 내부 저항 R의 일측이 비교기(300)의 반전 입력단자와 저항 R1의 일측과 연결되고, 내부 저항 R의 타측은 접지된다. 이때 10극 이어폰 잭(204)은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10극 단자들 중 마이크 입력단자를 통해 비교기(300)와 연결된다.
또한, 저항 R1의 타측은 VDD전압과 연결된다. 그리고, 저항 R2의 일측은 VDD전압과 연결되고, 타측은 저항 R3과 비교기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연결된다. 또한, 저항 R3의 일측은 R2 및 비교기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연결되고, 타측은 접지된다.
한편, 비교기(300)의 반전 입력단자에는 VDD전압을 이어폰의 내부저항 R과 저항 R1에 의해 전압이 분배되어 입력되고, 비교기(300)의 비반전 입력단자로는 VDD전압을 저항 R2와 R3에 의해 전압이 분배되어 입력된다. 그러면, 비교기(300)는 10극 이어폰 잭 연결 검출신호를 제어부(200)로 출력하고, 제어부(200)는 비교기(300)로부터 입력되는 이어폰 잭 연결 검출신호에 따라 스위칭부(206)를 제어하여 10극 이어폰 잭(204)와 보코더(208)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한 스위칭부(206)는 MOSFET Q1로 구성된다.
그러면 먼저, 10극 이어폰 잭(204)이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면, 풀 업(Pullup) 저항 R1에 의해 VDD전압 모두가 비교기 반전입력단자로 입력되고, 비교기(300)의 비반전 입력단자로는 VDD전압이 저항 R2 및 R3에 의해 전압분배되어 입력된다. 이에 따라, 비교기(300)에서 하이(High)신호가 출력되어 제어부(200)로 인가된다. 그러면, 제어부(200)는 10극 이어폰 잭(204)이 연결되지 않았음을 인지하고 스위칭부(206)의 MOSFET의 Q1을 턴 오프(Turn-Off)시킨다. 즉, 저항 R1 의 풀업 저항에 의해 비교기(300)의 출력이 하이신호로 제어부(200)에 인가되어 제어부(200)가 이어폰 잭이 연결되지 않았음을 판단한 후 출력단자로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여 MOSFET(Q1)을 턴 오프(Turn off)되도록 한다. 이로써 이어폰이 아닌 일반 통화 모드를 유지한다.
한편, 10극 이어폰 잭(204)이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연결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면, 저항 R1과 10극 이어폰 잭(204)의 마이크의 내부 저항 R에 의해 VDD전압이 전압 분배되어 내부저항 R과 저항 R1의 접점에 의한 전압이 비교기(300) 반전 입력단자로 입력된다. 또한, 비교기(300)의 비반전 입력단자로 VDD전압이 저항 R2 및 R3에 의해 전압 분배되어 R2 및 R3의 접점에 의한 전압이 입력된다. 즉, 비교기(300)는 내부저항 R과 저항 R3 값에 따라 출력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10극 이어폰 잭(204)이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연결됨을 인지하기 위해서는 저항 R3 값이 내부저항 R 값보다 커야한다. 이와 같이 저항 R3 값이 내부저항 R 값보다 크게 되면, 비교기(300)의 비반전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전압이 반전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전압보다 크기 때문에 로우(Low) 신호를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200)는 10극 이어폰 잭(204)이 연결됨을 인지하고 스위칭부(206)의 MOSFET의 Q1을 턴 온(Turn-On)시킨다. 즉, 이어폰의 마이크의 내부 저항 R로 인해 비교기(300)의 입력 저항값이 떨어지게 되고, 비교기(300)는 로우 신호를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이어폰이 연결됨을 판단한 후 MOSFET(Q1)을 턴 온(Turn On)하여 10극 이어폰 잭(204)의 마이크 신호를 보코더(208)과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어폰의 마이크 내부저항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교기 입력 저항값이 떨어져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따라 이어폰이 연결됨을 판단하고, 풀 업 저항에 의한 비교기의 검출신호에 따라 이어폰이 연결되지 않았음을 판단하여 오디오 패스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10극 이어잭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어폰이 꽂혀 있는지를 판단하여 오디오 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내부저항을 가지는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폰 잭의 연결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일측 단자를 갖는 풀업 저항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이어폰 잭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저항에 연결되는 제1 입력 단자와, 전원 전압이 제1 저항과 제2 저항에 의해 전력 분배되어 제2 저항에 의한 전압이 입력되는 제2 입력단자를 갖는 비교기를 갖는 이어폰 잭 연결 검출부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이어폰 잭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어폰 잭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이어폰 잭과의 오디오 패스를 연결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상기 오디오 패스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이어폰 잭을 보코더와 연결하는 스위칭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연결여부 검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잭 연결 검출부는, 상기 풀업 저항에 의해 전원전압이 모두 상기 비교기 제1 입력 단자로 입력되면, 상기 비교기에서 하이신호 가 상기 제어부로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연결여부 검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에서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이어폰 잭이 연결되지 않았음을 인지하고 상기 스위칭부를 턴 오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연결여부 검출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MOSFET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연결여부 검출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잭 연결 검출부는, 상기 내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상기 비교기 제1 입력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비교기의 제2 입력단자로 제 2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입력되면, 상기 비교기에서 로우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연결여부 검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에서 로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이어폰 잭이 연결됨을 인지하고 상기 스위칭부를 턴 온시켜 상기 이어폰 잭과 상기 보코더를 연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연결여부 검출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항값이 상기 내부 저항값보다 큼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연결여부 검출장치.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잭은 10극 이어폰 잭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폰 잭 연결 여부 검출장치.
KR1020040000388A 2004-01-05 2004-01-05 이어폰 플러그 연결 여부 검출장치 KR100630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388A KR100630205B1 (ko) 2004-01-05 2004-01-05 이어폰 플러그 연결 여부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388A KR100630205B1 (ko) 2004-01-05 2004-01-05 이어폰 플러그 연결 여부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972A KR20050071972A (ko) 2005-07-08
KR100630205B1 true KR100630205B1 (ko) 2006-09-29

Family

ID=3726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388A KR100630205B1 (ko) 2004-01-05 2004-01-05 이어폰 플러그 연결 여부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2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1723A (zh) * 2016-04-28 2016-11-16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耳机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耳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972A (ko) 200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9874B2 (en) Audio I O headset plug and plug detection circuitry
JP4191192B2 (ja) 携帯端末、携帯端末におけるオーディオ機器の判別方法
KR100506283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이용한이어-마이크로폰 연결 장치
JP5161153B2 (ja) オーディオ・デバイスの認識装置および携帯式コンピュータ
KR101941509B1 (ko) 이어잭 오인식 방지 장치 및 방법
JP5895403B2 (ja) 被充電機器及び電子機器セット
EP2950552B1 (en) Earphone and method for automatic selection of earphone remote control circuits
JP2013066149A (ja) 携帯端末、イヤホン識別プログラムおよびイヤホン識別方法
KR20070022442A (ko) 이어폰 삽입 순간의 팝업 노이즈 차단 기능을 가진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0205B1 (ko) 이어폰 플러그 연결 여부 검출장치
KR10055715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 접속을제어하기 위한 회로
KR20160033490A (ko) 4극 오디오 플러그-잭 커넥터 방식 액세서리 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KR100475466B1 (ko) 이어마이크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JP2005191651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CN212324133U (zh) 一种电子设备
KR100303306B1 (ko) 헤드셋 제어 장치
KR100819270B1 (ko)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 휴대단말기
KR20035618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음악 기기를 겸용으로 사용하기위한 다기능 이어폰 장치
US8229514B2 (en) DECT wireless hands-fre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108045B1 (ko) 이동식 단말기의 부품 파손 방지 장치
KR100322049B1 (ko) 시분할다중접속방식 휴대단말기의 내장형 이어폰 장치
KR200326794Y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연결 장치
KR100258218B1 (ko) 플러그 접속장치 및 방법
JP3896314B2 (ja) 無線通信機
KR1006175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티티와이 사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