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270B1 -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270B1
KR100819270B1 KR1020020031180A KR20020031180A KR100819270B1 KR 100819270 B1 KR100819270 B1 KR 100819270B1 KR 1020020031180 A KR1020020031180 A KR 1020020031180A KR 20020031180 A KR20020031180 A KR 20020031180A KR 100819270 B1 KR100819270 B1 KR 100819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erminal
mobile terminal
earphone microphone
ear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3593A (ko
Inventor
이동준
정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1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270B1/ko
Publication of KR20030093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배터리 방전시 외부전원을 사용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전원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어폰 마이크 장치는 이어폰 및 마이크와 연결되는 통상의 제1 플러그 이외에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는 제2 플러그를 추가로 구비하여 서로 다른 휴대 단말기들 간에 전원을 병렬로 연결한다. 또한 이어폰 마이크 장치와 접속될 수 있는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에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는 접점들을 추가하고 외부 전원, 특히 다른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기존의 휴대 단말기 구성을 크게 변경하지 않으면서 배터리 방전시 간편하게 전원을 공급받아 통화를 할 수 있다.
이어폰 마이크 장치, 전원공급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 휴대단말기{EARMICROPHONE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A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도 1은 통상적인 이어폰 마이크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통상적인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폰 마이크 접속 소켓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이어폰 마이크 접속 소켓 내부 회로의 전기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 무선 단말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전원공급이 가능한 이어폰 마이크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전원공급이 가능한 이어폰 마이크 장치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이어폰 마이크 장치에서 전원 및 접지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의 정면도.
도 8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이어폰 마이크 장치에서 전원 및 접지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폰 마이크 접속 소켓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이어폰 마이크 접속 소켓 내부 회로의 전기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터리 방전시 외부전원을 사용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전원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기술이 계속적으로 발전하고 반도체 제조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보다 경량화, 밀집화, 다기능화되고 있다. 실제로 휴대 단말기는 일상생활에서 필수 불가결한 통신기기의 하나가 되었다. 그런데 어떠한 상황에서 휴대 단말기를 손에 들고 통화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고 심지어는 위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를 손에 들고 통화하면서 자동차를 운전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휴대 단말기는 안전하고 편리한 통화를 위하여 외부의 이어폰 마이크 장치(Earphone-Microphone Set)와 접속될 수 있는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는 표준화된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소켓(socket)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이어폰 마이크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이어폰 마이크 장치는 이어폰 7과 마이크 6과 플러그 5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5는 4개의 단자 1,2,3,4로 구성된다. 상기 이어폰 7의 일측은 단자 1에 접속되고 다른 일측은 단자 4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 6의 일측은 단자 2에 접속되고 다른 일측은 단자 3에 접속된다. 상기 플러그 5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소켓 형태의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에 적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통상적인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폰 마이크 접속 소켓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이어폰 마이크 접속 소켓 내부 회로의 전기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마이크 접속 소켓 10은 이어폰 마이크 장치의 해당하는 단자들(도 1의 단자들 1,2,3,4)에 각각 접속될 수 있는 4개의 내부 접점들 11,12,15,16과 이어폰 마이크 장치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추가적인 2개의 내부 접점들 13,14를 가진다.
도 3에서 이어폰 마이크 장치의 미삽입시 내부 접점 13은 내부 접점 12에 물리적으로 단락되어 있으며, 내부 접점 14는 내부 접점 15에 물리적으로 단락되어 있다. 도 3에서 이는 내부 접점 13,14의 화살표가 각각 내부 접점 12,15에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표기되었다. 이때 내부 접점 13,16은 휴대 단말기 본체의 스피커 18과 연결되고 내부 접점 11,14는 휴대 단말기 본체의 마이크 17과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AVcc의 전압 대부분은 비교적 큰 저항(대략적으로 2.2㏀)을 가지는 본체 마이크에 걸리게 되어 내부 접점 14는 로우(LOW)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 서 상기 내부 접점 14의 상태 신호를 게이트 입력(G1)으로 하는 NPN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G1,S1,D1) Q는 오프되고, 상기 트랜지스터 Q의 드레인 출력(D1)으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또는 코덱)로 제공되는 JACK_IN 신호는 Vdd 전압에 의하여 하이(HIGH)가 된다. 상기 JACK_IN 신호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는 이어폰 마이크 장치가 아닌 일반 통화 모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일반 통화 모드란 이어폰 마이크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의 본체 스피커와 본체 마이크를 사용한 통화가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1,2,3,4를 가지는 이어폰 마이크 장치의 플러그 5가 소켓 10에 삽입되면, 그 삽입되는 물리력에 의하여 내부 접점 13은 내부 접점 12로부터 떨어지고 내부 접점 14는 내부 접점 15로부터 떨어져 본체 스피커 및 본체 마이크로의 연결이 끊어지는 한편, 내부 접점 12,16이 단자 1,4를 통해 이어폰 7에 연결되고 내부 접점 11,15가 단자 2,3을 통해 마이크 6에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내부 접점 14와 AVcc 사이의 풀-업 저항 R1에 의하여 내부 접점 14는 하이(HIGH) 상태로 천이된다. 따라서 JACK_IN 신호는 상기 내부 접점 14의 상태 신호를 게이트 입력(G1)으로 하는 NPN 전계효과 트랜지스터(G1,S1,D1)의 드레인(D1)과 소스(S1)를 통해 접지로 연결되어 로우(LOW)가 된다. 상기 JACK_IN 신호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는 이어폰 마이크 장치에 의한 통화 모드가 된다.
한편, 대부분의 휴대 단말기는 그 특성상 휴대가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를 전원공급원으로서 사용하는데, 배터리는 그 종류와 수명에 따라 제한된 용량을 가지며 완전히 방전되면 휴대 단말기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게다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는 그 제조사와 모델에 따라서 모양과 전원 용량이 다양하기 때문에 다른 배터리를 대체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를 위하여 배터리의 종류에 관계없이 충전이 가능한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으나, 사용자의 여건에 따라 충전을 할 수 없는 환경에 접할 때가 많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부득이 일반 공중 전화기를 사용하거나 다른 사람으로부터 휴대 단말기를 빌려 사용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완전 방전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다른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를 통한 통화를 가능하게 하면서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이 가능한 이어폰 마이크 장치에 있어서,
이어폰 및 마이크와,
상기 이어폰 및 상기 마이크와 접속되기 위한 복수의 제1 단자들과, 제1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제1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1 플러그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부를 제2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부와 병렬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제2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3 단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3 단자들은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들에 연결되는 제2 플러그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원공급이 가능한 이어폰 마이크 장치와 접속될 수 있는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마이크 장치는,
이어폰 및 마이크와,
상기 이어폰 및 상기 마이크와 접속되기 위한 복수의 제1 단자들과, 제1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제1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1 플러그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부를 제2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부와 병렬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제2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3 단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3 단자들은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들에 연결되는 제2 플러그로 구성되며,
상기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는,
상기 제1 플러그 또는 상기 제2 플러그와 접속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부의 전원 단자에 접속되는 제1 접점과 상기 전원공급부의 접지 단자에 접속되는 제2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에 상기 제1 플러그 또는 상기 제2 플러그가 접속되면, 상기 제1 접점과 상기 제2 접점은 상기 제1 플러그 또는 상기 제2 플러그를 통해 다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상기 전원공급부로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되는 본 발명은 다른 휴대 단말기의 전원을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통해 휴대 단말기로 공급할 수 있는 이어폰 마이크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핸드폰,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폰, PDA(Personal Data Assistant) 폰 등의 무선 전화기를 들어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과 동작 원리 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표준화된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가지는 모든 종류의 휴대 가능한 장치, 예를 들어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등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 무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메모리부(111)와 키패드(key pad)(112)와 표시부(113)와 무선(Radio Frequency: RF) 처리부(114)와 베이스밴드(baseband) 처리부(115)와 코덱(CODEC: Coder-Decoder)(116)과 연결되는 제어부(110)는 통상적인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음성신호 및 데이터 처리를 하며 이동 무선 단말기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10)로서는 예를 들어 퀄컴사(QUALCOMM, Inc.)의 MSM(Mobile System Modem) 칩(chip)이 사용된다.
상기 제어부(110)와 연결되는 상기 메모리부(111)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플래쉬 메모리 (flash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어, 제어부(1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동작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한다.
상기 키패드(112)는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 입력을 상기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13)는 통상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한다.
상기 무선 처리부(114)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RF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수신되는 RF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115)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115)로부터 입력받은 IF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한 베이스밴드 처리부(115)는 상기 제어부(110)와 상기 무선 처리부(114)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I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처리부(114)에 인가하며, 상기 무선 처리부(114)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 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에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와 연결된 상기 코덱(116)은 본체의 마이크 및 스피커 또는 이어폰 마이크의 마이크 및 이어폰에 접속되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부호화(encoding)한 음성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1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PCM 복호화(decoding)한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한다. 만약 외부의 이어폰 마이크 장치가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로 삽입되었을시 상기 코덱(116)은 이를 감지하여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내부의 마이크/스피커에서 외부의 이어폰 마이크 장치로 연결한다. 이는 휴대 단말기가 이어폰 마이크 장치에 의한 통화 모드로 진입하였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도 4에서는 상기 코덱(116)을 상기 제어부(110)와 별도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 상기 코덱(116)은 상기 제어부(110)와 동일한 하나의 칩내에 구현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를 구성하는 모든 전기적인 구성요소들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는 제작사와 모델에 따라서 그 모양과 전원 용량이 조금씩 다르다. 하지만 3.4V 내지 4.2 V의 전압과 600mA 내지 900mA의 전류를 공급받는다면 대부분의 휴대 단말기는 무리없이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와 접속 단자가 일치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전원만 연결된다면 통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규격화된 크기와 모양을 가지는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원공급이 가능한 이어폰 마이크 장치와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이어폰 마이크 장치는 한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에 접속되는 제1 플러그 이외에 다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에 접속되는 제2 플러그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들은 해당 접속되는 휴대 단말기내의 이어폰 마이크 접속의 전원 및 접지 접점과 연결될 수 있는 전원 및 접지 단자를 포함한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에 어떠한 플러그라도 접속되면 휴대 단말기는 이를 이어폰 마이크 장치로 인식하고 이어폰 마이크에 의한 통화 모드로 자동 전환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플러그가 접속되는 휴대 단말기는 이어폰 마이크 장치에 의해 통화가 가능하지만 상기 제2 플러그가 접속되는 휴대 단말기는 통화가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기 위해 상기 제2 플러그는 상기 제1 플러그보다 짧고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내의 전원 및 접지 접점과만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제2 플러그가 삽입되더라도 휴 대 단말기가 이어폰 마이크에 의한 통화 모드로 전환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전원공급이 가능한 이어폰 마이크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도 1과 비교하면 통상의 플러그(5)와 유사하게 이어폰(28) 및 마이크(27)에 연결되는 제1 플러그(20) 이외에 제2 플러그(30)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도 5와 같이 구성되는 이어폰 마이크 장치의 외부 구성은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5에서 상기 이어폰 마이크 장치는 이어폰 28과 마이크 27과 제1 플러그 20과 제2 플러그 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플러그는 통상적인 이어폰 마이크 장치의 플러그 구성인 4개의 단자들 21,22,23,24 이외에 전원 및 접지 용도의 추가적인 2개의 단자들 25,2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플러그는 전원 및 접지 용도의 2개의 단자들 31,32로 구성된다. 상기 이어폰 28의 일측은 단자 21에 접속되고 다른 일측은 단자 24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 27의 일측은 단자 22에 접속되고 다른 일측은 단자 23에 접속된다.
상기 제1 플러그의 단자 25와 상기 제2 플러그의 단자 31은 상호간에 연결되어 전원(VCC) 단자로 이용되고 상기 제1 플러그의 단자 26과 상기 제2 플러그의 단자 32는 상호간에 연결되어 접지(GND) 단자로 이용된다. 상기 제1 플러그 20과 상기 제2 플러그 30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소켓 형태의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플러그의 단자 24와 제 플러그의 단자 33은 는 링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단자들 25,26,31,32는 해당하는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내의 해당하는 내부 접점들에 접속되어 전원을 전달한다.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이어폰 마이크 장치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제2 플러그 30은 몸체 33을 중심으로 하여 제1 플러그 2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 33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링 형태의 단자 33의 양측에 구비된 단자 31,32를 가진다. 상기 이어폰 마이크 장치가 전원공급 용도가 아닌 통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2 플러그 30은 합성수지 재질의 별도 커버(도시하지 않음)로 덮여져 있으며 필요시 상기 커버를 들어올려 전원공급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러그 20이 한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플러그 30이 다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에 삽입되면 상기 두 휴대 단말기들의 배터리가 병렬 접속된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이어폰 마이크 장치에서 전원 및 접지 단자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플러그를 정면에서 보인 것이고, 도 8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이어폰 마이크 장치에서 전원 및 접지 단자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플러그를 측면에서 보인 것이다.
상기 도 7 및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24,33은 링 형태로 구성되고 그 양측에 절연체 40으로 분리되어 있는 전원 용도의 단자 25,31과 접지 용도의 단자 26,32가 형성되어 있다. 식별번호 41은 상기 전원 용도의 단자 25,31과 상기 접지 용도의 단자 26,32가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의 해당 내부 접점들에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단자들 24,33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 홀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폰 마이크 접속 소켓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이어폰 마이크 접속 소켓 내부회로의 전기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마이크 접속 소켓 5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마이크 장치 플러그의 해당하는 단자들(도 5의 단자들 21,22,23,24,25,26 또는 단자들 31,32)에 각각 접속될 수 있는 6개의 내부 접점들 51,52,55,56,57,58과 플러그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추가적인 2개의 내부 접점들 53,54를 가진다. 휴대 단말기 내부에서 상기 내부 접점 57은 배터리의 전원단자(VCC)에 연결되며, 상기 내부 접점 58은 배터리의 접지단자(GND)에 연결되어 있다.
도 10에서, 어떠한 플러그도 삽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 내부 접점 53은 내부 접점 52에 물리적으로 단락되어 있으며 내부 접점 54는 내부 접점 55에 물리적으로 단락되어 있다. 이때 내부 접점 53,56은 휴대 단말기 본체의 스피커 62와 연결되고 내부 접점 51,54는 휴대 단말기 본체의 마이크 61과 연결된다. 도 10에서 이는 내부 접점 53,54의 화살표가 각각 내부 접점 52,55에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표시되었다.
이 경우, AVcc의 전압 대부분은 비교적 큰 저항(대략적으로 2.2㏀)을 가지는 본체 마이크 61에 걸리게 되어 내부 접점 54는 로우(LOW)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내부 접점 54의 상태 신호를 게이트 입력(G1)으로 하는 NPN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G1,S1,D1) Q는 오프되고, 상기 트랜지스터 Q의 드레인 출력(D1)으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또는 코덱)로 제공되는 JACK_IN 신호는 Vdd 전압과 풀-업 저항 R3에 의하여 하이(HIGH)가 된다. 상기 JACK_IN 신호 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는 이어폰 마이크 장치가 아닌 일반 통화 모드를 유지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31,32를 가지는 이어폰 마이크 장치의 제2 플러그 30이 소켓 50에 삽입되면, 상기 제2 플러그 30은 상기 제1 플러그 20보다 짧기 때문에 내부 접점 53,54는 여전히 내부 접점 52,55에 물리적으로 단락되어 있고, 따라서 휴대 단말기는 이어폰 마이크 장치가 아닌 일반 통화 모드를 여전히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플러그 20의 접점 31은 내부 접점 57을 통해 휴대 단말기 배터리의 전원에 연결되고, 접점 32는 내부 접점 58을 통해 배터리의 접지에 연결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21,22,23,24,25,26을 가지는 이어폰 마이크 장치의 제1 플러그 20이 소켓 50에 삽입된 경우, 그 삽입되는 물리력에 의하여 내부 접점 52,53과 54,55가 각각 서로간에 떨어져 본체 스피커 62 및 본체 마이크 61로의 연결이 끊어진다.
이 경우, 내부 접점 54와 AVcc 사이의 풀-업 저항 R1에 의하여 내부 접점 34는 하이(HIGH) 상태로 천이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접점 34의 상태 신호를 게이트 입력(G1)으로 하는 NPN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Q가 도통된다. 상기 트랜지스터 Q의 소스(S1)는 접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트랜지스터 Q의 드레인 출력(D1)으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또는 코덱)으로 제공되는 JACK_IN 신호는 로우(LOW)가 된다. 상기 JACK_IN 신호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는 이어폰 마이크 장치에 의한 통화 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플러그 20의 접점 25는 내부 접점 57을 통해 휴대 단말기 배터리의 전원에 연결되고, 접점 26은 내부 접점 58을 통해 배터리 의 접지에 연결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마이크 장치를 이용하여 두 휴대 단말기들의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는 경우, 배터리에 용량이 추가될 뿐 전압은 크게 올라가지 않아서 과전압으로 인한 휴대 단말기의 회로 손상은 거의 없게 된다. 게다가 병렬 연결이므로 전원을 빌려주는 휴대 단말기 측에서도 전압이 크게 떨어지지 않게 되어 전원을 빌려주는 동안에도 대기상태의 유지 및 통화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외부 전원을 빌어 쓸 수 있으며 동시에 이어폰과 마이크를 사용한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마이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배터리 방전시 부득이하게 통화를 해야 할 때 타인의 휴대 단말기를 빌리지 않고도 통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이어폰 마이크 장치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자신의 휴대 단말기로 통화할 수 있으므로 통화료 등에 부담을 가지지 않고 비교적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Earmicrophone Apparatus)에 있어서,
    이어폰(Earphone) 및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상기 이어폰 및 마이크로폰과 연결된 복수의 제1단자들과, 제1휴대단말기의 이어마이크로폰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제1휴대단말기의 전원공급부에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제2단자들을 포함하는 제1플러그(Plug)와,
    상기 제2단자들과 병렬로 연결되며, 제2휴대단말기의 이어마이크로폰 접속부를 통해 제2휴대단말기의 전원공급부에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제3단자들을 포함하는 제2플러그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들이,
    상기 제1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되는 제1 전원단자 및 제1 접지단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단자들이,
    상기 제2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부에 접속되는 제2 전원단자 및 제2 접지단자이며, 상기 제2 전원단자가 상기 제1 전원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지단자는 상기 제1 접지단자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러그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로폰 접속부에 삽입될 시에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를 일반 통화 모드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러그가,
    상기 제1 플러그보다 짧은 길이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러그가,
    상기 제1플러그가 위치하는 상기 이어마이크로폰 장치의 도선 말단의 반대편 말단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7. 제 1 항의 이어마이크로폰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공급부의 전원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제1플러그 또는 상기 제2플러그와 접속하기 위한 제1접점과, 상기 전원공급부의 접지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제1플러그 또는 상기 제2플러그와 접속하기 위한 제2접점을 포함하는 이어마이크로폰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마이크로폰 접속부에 상기 제1플러그 또는 상기 제2플러그가 접속되면, 상기 제1접점 및 제2접점이 상기 접속된 제1플러그 또는 제2플러그를 통해 다른 휴대단말기와 접속되며, 상기 다른 휴대단말기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상기 전원공급부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로폰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휴대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마이크로폰 접속부가,
    상기 제1플러그가 접속되었을시 상기 휴대단말기를 상기 이어마이크로폰 장치에 의한 통화 모드로 유지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제2플러그가 접속되었을 시 상기 휴대단말기를 일반 통화 모드로 유지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로폰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휴대단말기.
KR1020020031180A 2002-06-03 2002-06-03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 휴대단말기 KR100819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180A KR100819270B1 (ko) 2002-06-03 2002-06-03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180A KR100819270B1 (ko) 2002-06-03 2002-06-03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593A KR20030093593A (ko) 2003-12-11
KR100819270B1 true KR100819270B1 (ko) 2008-04-02

Family

ID=3238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180A KR100819270B1 (ko) 2002-06-03 2002-06-03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2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6138B (zh) * 2012-10-15 2014-10-22 东莞华贝电子科技有限公司 供电切换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293A (ja) * 1994-02-18 1995-08-29 Daini Denden Kk 移動通信機のバッテリ充電方式
JPH11103336A (ja) * 1997-09-26 1999-04-13 Naporekkusu:Kk 携帯電話機用電源
KR200180262Y1 (ko) * 1999-11-03 2000-05-01 주식회사한백티엔씨 이어폰 3극짹을 통한 전원 공급 기능을 가진 무선통신단말기
KR200216044Y1 (ko) * 1999-08-13 2001-03-15 김정욱 전기기기용 잭 또는 콘센트 일체형 코드조립품
KR200226159Y1 (ko) * 2000-12-26 2001-06-01 엘지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293A (ja) * 1994-02-18 1995-08-29 Daini Denden Kk 移動通信機のバッテリ充電方式
JPH11103336A (ja) * 1997-09-26 1999-04-13 Naporekkusu:Kk 携帯電話機用電源
KR200216044Y1 (ko) * 1999-08-13 2001-03-15 김정욱 전기기기용 잭 또는 콘센트 일체형 코드조립품
KR200180262Y1 (ko) * 1999-11-03 2000-05-01 주식회사한백티엔씨 이어폰 3극짹을 통한 전원 공급 기능을 가진 무선통신단말기
KR200226159Y1 (ko) * 2000-12-26 2001-06-01 엘지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593A (ko)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0261B1 (ko)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US10659874B2 (en) Audio I O headset plug and plug detection circuitry
US6509659B1 (en) Cable or module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7493148B2 (en) Battery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apparatus using an ear-microphone jack
US20090128090A1 (en) Portable charger for consumer electronic devices
US7305253B2 (en) Combination audio/charger jack
US20060068857A1 (en) Hybrid mobile headset
US6947766B2 (en) Multiple functions transmi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US20030060243A1 (en) Cable or module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9069538B2 (en) Preventing dark current flow in a mobile terminal
CN101826364A (zh) 便携式媒体播放器
KR20060121975A (ko) 단일 라인상에 비휘발성 메모리 및 서미스터를 갖는 배터리회로
EP2950552B1 (en) Earphone and method for automatic selection of earphone remote control circuits
US6586967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data signal output at voltage level of the device coupled thereto
US6526294B1 (en) Automatic control circuit for enabling and disabling the supply voltage in a short range wireless device
JP4221665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819270B1 (ko)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 휴대단말기
KR20070010638A (ko) 이어 마이크 잭 및 파워 잭 혼용 장치
KR200364500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KR200226159Y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0205B1 (ko) 이어폰 플러그 연결 여부 검출장치
KR20040103201A (ko) 다기능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신방법
KR100475466B1 (ko) 이어마이크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US20240176574A1 (en) Audio switch with turn-off helper for digital interface
CN112448432A (zh) 电池装置及应用所述电池装置的充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