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159Y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159Y1
KR200226159Y1 KR2020000036419U KR20000036419U KR200226159Y1 KR 200226159 Y1 KR200226159 Y1 KR 200226159Y1 KR 2020000036419 U KR2020000036419 U KR 2020000036419U KR 20000036419 U KR20000036419 U KR 20000036419U KR 200226159 Y1 KR200226159 Y1 KR 200226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ignal
microphone
voice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6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1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159Y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전원과 음성 신호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하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하고, 하나의 연결 잭을 두어 음성 신호와 충전 전원이 하나의 연결 잭을 통하여 모두 입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연결 잭만으로도 이어 마이크 연결과 배터리 충전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고안은 코덱과 충전 회로, 외부 연결 수단, 스위치, 감지 회로, 제어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코덱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충전 회로는 충전용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한다. 외부 연결 수단은 하나의 연결 잭으로 구성되고, 충전용 전원의 입력과 음성 신호의 입출력, 이어 마이크 연결 신호의 입력이 연결 잭을 통해 이루어진다. 스위치는 외부 연결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충전용 전원을 충전 회로에 전달하거나 코덱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외부 연결 수단으로 전달한다. 감지 회로는 외부 연결 수단에 이어 마이크가 연결되면 이를 감지하여 이어 마이크 연결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고, 외부 연결 수단에 전원 어댑터가 연결되면 이를 감지하여 충전 신호를 발생시킨다. 감지 회로에서 이어 마이크 연결 신호가 발생하면 스위치를 제어하여 코덱의 출력단과 외부 연결 수단이 연결되도록 하고, 충전 신호가 발생하면 스위치를 제어하여 외부 연결 수단과 충전 회로가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 회로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장 큰 특징은 이동성(mobility)을 들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이동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배터리(battery)이다. 근래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용량은 커지는 반면에 크기는 갈수록 작아지는 추세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는 충전식이기 때문에 별도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해서 사용한다. 따라서 2∼3일 이상 장거리 여행을 하는 경우에는 이 충전기도 함께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충전 회로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되어 충전기를 휴대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충전회로 내장형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충전 잭이 형성되어 있어서,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12V 어댑터를 이용하여 어디서나 충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충전 회로를 내장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 1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종래의 충전회로 내장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충전 회로 내장형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충전 잭(102)과 이어 마이크 잭(104)의 두 개의 잭이 구비된다. 충전 잭(102)을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충전회로(106)와 제어 회로(108)를 통해 배터리가 충전된다. 충전 회로(106)는 충전 잭(102)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류와 전압을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필요한 규격으로 변환한다. 제어 회로(108)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펄스 코드 변조(PCM)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발생시켜서 코덱(110)으로 출력한다. 코덱(110)은 제어 회로(108)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이어 마이크 잭(104)으로 출력한다. 또 코덱(110)에는 이어 마이크 잭(104)을 통하여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데, 이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도 한다.
이어 마이크 잭(104)은 모두 네 개의 단자를 가지고 있는데, 음성 신호 출력 단자(SPK)와 음성 신호 입력 단자(MIC+), 이어 마이크 감지 단자(MIC-), 접지 단자(GND)가 그것이다. 음성 신호 출력 단자(SPK)는 코덱(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외부 스피커 등으로 출력하기 위한 것이고, 음성 신호 입력 단자(MIC+)는 이어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코덱(110)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 마이크 감지 단자(MIC-)는 이어 마이크 잭(104)에 이어 마이크가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 마이크 감지 단자(MIC-)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는 감지 회로(112)에 전달되며, 감지 회로(112)는 이 신호를 통해 이어 마이크 잭(104)에 이어 마이크가 연결된 것을 감지한다. 감지 회로(112)에서 이어 마이크 연결 상태가 감지되면 이를 제어 회로(108)에 알려서 코덱(110)의 입출력 경로를 이어 마이크 쪽으로 제어하도록 한다.
도 2는 종래의 충전회로 내장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이어 마이크 잭과 충전 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이어 마이크 잭이고, (b)는 충전 잭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어 마이크 잭은 음성 신호 출력 단자(202)와 음성 신호 입력 단자(204), 접지 단자(206)로 구성되며, 각각의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2(b)의 충전 잭은 전원 입력 단자(210)와 접지 단자(20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충전 회로 내장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어 마이크 잭과 충전 잭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에 제한적인 요소가 되며,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원과 음성 신호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하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하고, 하나의 연결 잭을 두어 음성 신호와 충전 전원이 하나의 연결 잭을 통하여 모두 입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연결 잭만으로도 이어 마이크 연결과 배터리 충전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고안은 코덱과 충전 회로, 외부 연결 수단, 스위치, 감지 회로, 제어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코덱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충전 회로는 충전용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한다. 외부 연결 수단은 하나의 연결 잭으로 구성되고, 충전용 전원의 입력과 음성 신호의 입출력, 이어 마이크 연결 신호의 입력이 연결 잭을 공유하여 수행된다. 스위치는 외부 연결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충전용 전원을 충전 회로에 전달하거나 코덱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외부 연결 수단에 전달한다. 감지 회로는 외부 연결 수단에 이어 마이크가 연결되면 이어 마이크 연결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고, 외부 연결 수단에 전원 어댑터가 연결되면 충전 신호를 발생시킨다. 감지 회로에서 이어 마이크 연결 신호가 발생하면 스위치를 제어하여 코덱의 출력단과 외부 연결 수단이 연결되도록 하고, 충전 신호가 발생하면 스위치를 제어하여 외부 연결 수단과 충전 회로가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한다.
도 1은 종래의 충전회로 내장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종래의 충전회로 내장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이어 마이크 잭과 충전 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이어 마이크 잭이고, (b)는 충전 잭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어 마이크/충전 겸용 잭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어 마이크/충전 겸용 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충전 잭
104 : 이어 마이크 잭
106, 306 : 충전 회로
108, 308 : 제어 회로
110, 310 : 코덱
112, 312 : 감지 회로
202 : 스피커 연결부
204 : 마이크 연결부
206, 208, 406 : 접지
210 : 배터리 연결부
304 : 이어 마이크/충전 겸용 잭
314 : 스위치
402 : 배터리/스피커 연결부
404 : 배터리 센스/마이크 연결부
본 고안에 따른 이어 마이크/충전 겸용 잭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어 마이크/충전 겸용 잭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외부 연결 수단인 이어 마이크/충전 겸용 잭(304)이 하나만 구비된다. 이 이어 마이크/충전 겸용 잭(304)을 통하여 전원 전류가 공급되기도 하고, 코덱(310)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가 외부로 출력되기도 한다.
먼저 각 구성 요소의 동작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충전 회로(306)는 스위치(314)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류와 전압을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필요한 규격으로 변환한다.
제어 회로(308)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펄스 코드 변조(PCM)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발생시켜서 코덱(310)으로 출력한다. 코덱(310)은 제어 회로(308)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치(314)로 출력한다. 또 코덱(310)에는 이어 마이크/충전 겸용 잭(304)을 통하여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데, 이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도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어 마이크/충전 겸용 잭(304)은 모두 네 개의 단자를 가지고 있는데, 음성 신호 출력 및 충전 단자(BATT & SPK)와 음성 신호 입력 단자(MIC+), 이어 마이크/충전 감지 단자(MIC-), 접지 단자(GND)가 그것이다. 음성 신호 출력 및 충전 단자(BATT & SPK)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 전류의 입력 경로이기도 하고, 코덱(31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외부 스피커 등으로 출력하는 출력 경로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입출력 분기는 스위치(314)에 의해 이루어진다. 음성 신호 입력 단자(MIC+)는 이어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코덱(310)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 마이크/충전 감지 단자(MIC-)는 이어 마이크 잭(304)에 이어 마이크가 연결되었는지 전원 어댑터가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 마이크/충전 감지 단자(MIC-)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는 감지 회로(312)에 전달되며, 감지 회로(312)는 이 신호를 통해 이어 마이크/충전 겸용 잭(304))에 이어 마이크가 연결되었는지 아니면 전원 어댑터가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한다.
감지 회로(312)에서 본 고안에 따른 이어 마이크/충전 겸용 잭(304)에 이어 마이크가 연결되었는지 아니면 전원 어댑터가 연결되었는지를 구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어 마이크가 연결되면 이어 마이크/충전 감지 단자(MIC-)를 통하여 소정 주파수의 펄스 신호가 입력된다. 감지 회로(312)는 이 펄스 신호를 통하여 현재 이어 마이크가 연결된 것을 감지하는 것이다. 만약 이 펄스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이어 마이크/충전 겸용 잭(304)에는 전원 어댑터가 연결되거나 아무것도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전원 어댑터가 연결되면 감지회로(312)에서 이를 감지하여 제어 회로(308)에 알림으로서 스위치(314)를 충전 회로(306)쪽으로 연결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이어 마이크/충전 겸용 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어 마이크/충전 겸용 잭은 음성 신호 출력 단자(202)와 음성 신호 입력 단자(204), 접지 단자(206)로 구성되며, 각각의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4(b)의 충전 잭은 전원 입력 단자(210)와 접지 단자(208)로 구성되는데, 음성 신호 출력 및 충전 단자(402)와 음성 신호 입력 단자(404), 이어 마이크/충전 감지 단자(408), 접지 단자(406)가 그것이다. 음성 신호 출력 및 충전 단자(402)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 전류의 입력 경로이기도 하고, 코덱(31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외부 스피커 등으로 출력하는 출력 경로이기도 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원과 음성 신호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하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하고, 하나의 연결 잭을 두어 음성 신호와 충전 전원이 하나의 연결 잭을 통하여 모두 입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연결 잭만으로도 이어 마이크 연결과 배터리 충전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Claims (2)

  1.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과;
    충전용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와;
    하나의 연결 잭으로 구성되고, 상기 충전용 전원의 입력과 음성 신호의 입출력, 이어 마이크 연결 신호의 입력이 상기 연결 잭을 공유하여 수행되는 외부 연결 수단과;
    상기 외부 연결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충전용 전원을 상기 충전 회로에 전달하거나, 상기 코덱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상기 외부 연결 수단에 전달하는 스위치와;
    상기 외부 연결 수단에 이어 마이크가 연결될 때 이어 마이크 연결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외부 연결 수단에 전원 어댑터가 연결될 때 충전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 회로와;
    상기 감지 회로에서 상기 이어 마이크 연결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코덱의 출력단과 상기 외부 연결 수단이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충전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 연결 수단과 상기 충전 회로가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연결 수단은,
    충전용 전원의 입력과 음성 신호의 출력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단자와;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제 2 단자와
    및 이어 마이크 연결 신호가 입력되는 제 3 단자가 하나의 연결 잭에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이동통신 단말기.
KR2020000036419U 2000-12-26 2000-12-26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261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419U KR200226159Y1 (ko) 2000-12-26 2000-12-26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419U KR200226159Y1 (ko) 2000-12-26 2000-12-26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159Y1 true KR200226159Y1 (ko) 2001-06-01

Family

ID=7309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419U KR200226159Y1 (ko) 2000-12-26 2000-12-26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15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466B1 (ko) * 2002-08-20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마이크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KR100819270B1 (ko) * 2002-06-03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 휴대단말기
KR20110037355A (ko) * 2009-10-06 2011-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와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270B1 (ko) * 2002-06-03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 휴대단말기
KR100475466B1 (ko) * 2002-08-20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마이크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KR20110037355A (ko) * 2009-10-06 2011-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와 그 제어 방법
KR101595390B1 (ko) * 2009-10-06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와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0207B (zh) 一种通信控制方法、装置、系统、充电盒及无线耳机
KR100310341B1 (ko) 라디오 겸용 이어폰-마이크 및 그 이어폰-마이크를 이용한전화 통화/라디오 청취 제어 방법
US6947766B2 (en) Multiple functions transmi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060011603A (ko) 전압 분배를 이용한 다기능 이어키 장치 및 그를 이용한무선통신 단말기
US7340284B2 (en) Device for connecting ear-microphone to mobile phone through interface connector thereof
CN109195055B (zh) 一种无线耳机、tws耳机以及蓝牙连接方法
CN210536921U (zh) 一种多功能tws蓝牙耳机音箱
KR200226159Y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3398699B2 (ja) 携帯端末装置
US20100048138A1 (en) Communication device
JPH11502092A (ja) 電気装置の動作モードを識別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の特定の動作モードを識別するための電気装置
WO2008064514A1 (en)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communicating method by the same
CN106652994B (zh) 一种实现主动降噪的终端配件及终端组件
KR101721524B1 (ko) 이어폰 플러그 및 충전기 플러그와 공용으로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 연결부를 구비하는 휴대음향 장치
KR20035618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음악 기기를 겸용으로 사용하기위한 다기능 이어폰 장치
KR100475466B1 (ko) 이어마이크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KR20050040273A (ko) 스피커 분리형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376833Y1 (ko) 휴대용 송수화기 배터리를 이용한 무선전화기 본체 전원공급장치
CN211017626U (zh) 具有切换功能的耳机充电数据线
US8229514B2 (en) DECT wireless hands-fre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10028528A (ko) 휴대용 통신기의 모드 자동 전환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모드 자동 전환 방법
KR200364500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KR200287141Y1 (ko) 듀얼 마이크 이어폰
KR100819270B1 (ko)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 휴대단말기
KR100630205B1 (ko) 이어폰 플러그 연결 여부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