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524B1 - 이어폰 플러그 및 충전기 플러그와 공용으로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 연결부를 구비하는 휴대음향 장치 - Google Patents

이어폰 플러그 및 충전기 플러그와 공용으로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 연결부를 구비하는 휴대음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524B1
KR101721524B1 KR1020160001990A KR20160001990A KR101721524B1 KR 101721524 B1 KR101721524 B1 KR 101721524B1 KR 1020160001990 A KR1020160001990 A KR 1020160001990A KR 20160001990 A KR20160001990 A KR 20160001990A KR 101721524 B1 KR101721524 B1 KR 101721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signal
microphone
plu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훈
김세미
김주민
조은숙
Original Assignee
(주)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썬텔 filed Critical (주)썬텔
Priority to KR1020160001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이어폰 플러그 및 충전기 플러그와 공용으로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 연결부를 구비하는 휴대음향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휴대음향 장치는 이어폰 플러그 및 충전기 플러그와 공용으로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 연결부,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이어폰으로 출력하고,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충전기 플러그를 통해 충전 전압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메인 모듈, 및 상기 이어폰 연결부에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되었는지 검출하여,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가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 모듈로 입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어폰 연결부에 상기 충전기 플러그가 접속되었는지를 검출하여 상기 충전 전압이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 모듈로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경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어폰 플러그 및 충전기 플러그와 공용으로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 연결부를 구비하는 휴대음향 장치{Portable Sound Device including Common Earphone Connector for Connecting Charger Plug and Earphone Plug}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휴대음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어폰 플러그 및 충전기 플러그와 공용으로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 연결부를 구비하는 무선 휴대음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통화 및 음악 듣기 등을 위하여 이어폰과 무선 헤드셋이 많이 사용된다.
통상의 이어폰에는 볼륨 조절 버튼 및 통화 버튼이 구비된다.
한편, 통상의 블루투스 헤드셋은 전화 송수신기능과 음악을 듣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통상의 블루투스 헤드셋은 기능 선택을 위한 버튼 및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며 또한, 충전을 위한 USB 커넥터를 구비한다. USB 커넥터는 블루투스 헤드셋의 충전 및 프로그램을 위하여 필수적이지만, USB 커넥터가 차지하는 면적이 비교적 크다. 이에 따라 USB 커넥터로 인하여 무선 헤드셋의 크기가 증가되거나 크기를 감소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어폰과 연결되어 이어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폰 연결부가 장착된 휴대 음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어폰 연결부에 충전기를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을 위한 별도의 USB 커넥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 휴대 음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음향 장치는, 이어폰과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 연결부; 상기 이어폰 연결부에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되었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이어폰의 기능 버튼 입력을 검출하여 버튼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이어폰 연결부에 충전기 플러그가 접속되었는지를 검출하여 충전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경로 제어부; 및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메인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모듈은 상기 버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제어하고,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충전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연결한다.
상기 이어폰 연결부는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와 연결되는 마이크 단자(111); 접지와 연결되는 접지(ground) 단자(112); 상기 이어폰의 오른쪽 스피커와 연결되는 오른쪽 스피커 단자(113); 상기 이어폰의 왼쪽 스피커와 연결되는 왼쪽 스피커 단자(116); 및 상기 오른쪽 스피커 단자(113) 및 왼쪽 스피커 단자(116)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잭 검출 단자(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 제어부는 상기 잭 검출 단자(114)로부터 검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검출 입력 신호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잭 검출기; 상기 마이크 단자로부터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 제1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 바이어스 검출기; 상기 마이크 단자로부터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 제2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 신호 검출기; 및 상기 비교 신호, 상기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버튼 제어 신호 및 상기 충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 신호는 상기 이어폰 연결부에 상기 충전기 플러그 또는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연결되었을 때와 연결되지 않았을 때 서로 다른 값을 가진다.
상기 경로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 단자와 상기 버튼 신호 검출기 사이에 위치하며, 선택적으로 도통되는 마이크 경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모듈은 상기 마이크 경로 스위치가 도통된 경우, 상기 마이크 단자로 입력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상기 마이크 경로 스위치를 통해 수신하여 처리하는 아날로그 입출력부; 상기 아날로그 입출력부(173)에서 처리된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MIC)에 대하여 인코딩(encoding) 및 변조(modul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 및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신호 규격에 맞게 변환하여 안테나(177)를 통해 휴대폰(180)으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PH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PHY는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신호 규격에 따라 역변환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디코딩(decoding) 및 복조(demodul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며, 상기 아날로그 입출력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 중 오른쪽 오디오 신호(Audio_R)는 상기 오른쪽 스피커 단자(113)를 통해 상기 이어폰(200)의 오른쪽 스피커(208)로 출력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 중 왼쪽 오디오 신호(Audio_L)는 상기 왼쪽 스피커 단자(114)를 통해 상기 이어폰(200)의 왼쪽 스피커(209)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모듈은 충전 전압(CHGIN)을 입력받아, 상기 휴대 음향 장치(100)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 및 상기 마이크 단자와 상기 충전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도통되는 충전 경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음향 장치는, 이어폰 플러그 및 충전기 플러그와 공용으로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 연결부;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이어폰으로 출력하고,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충전기 플러그를 통해 충전 전압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메인 모듈; 및 상기 이어폰 연결부에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되었는지 검출하여,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가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 모듈로 입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어폰 연결부에 상기 충전기 플러그가 접속되었는지를 검출하여 상기 충전 전압이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 모듈로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경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경로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 연결부의 오른쪽 스피커 단자(113) 또는 왼쪽 스피커 단자(116)의 신호에 기초하여 플러그가 상기 이어폰 연결부에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잭 검출기; 상기 이어폰 연결부의 마이크 단자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된 플러그가 상기 이어폰 플러그인지 상기 충전기 플러그인지를 검출하기 위한 마이크 바이어스 검출기; 및 상기 접속된 플러그가 상기 이어폰 플러그인 경우, 상기 마이크 단자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어폰의 기능 버튼의 선택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버튼 신호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음향 장치는 이어폰 플러그 및 충전기 플러그와 공용으로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 연결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어폰이 이어폰 연결부에 장착되면, 이어폰의 기능 버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어폰 연결부를 통하여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을 위한 별도의 USB 커넥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충전을 위한 별도의 커넥터가 장착되지 않음에 따라 휴대 음향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음향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음향 장치가 이어폰과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음향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어폰 연결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경로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블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이어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이어폰 연결부에 연결되는 충전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경로 제어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음향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음향 장치가 이어폰과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이어폰의 일 실시예(200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도 1b, 및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음향 장치(100)는 이어폰(200)의 이어폰잭(또는 '이어폰 플러그'라 함)(207)이 결합되는 이어폰 연결부(110)를 포함한다. 휴대 음향 장치(100)는 오디오 신호(예컨대, 음성, 음악 등)을 처리하여 이어폰 연결부(110)에 연결된 이어폰(200)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휴대 음향 장치(100)는 또한, 이어폰 연결부(110)에 연결된 충전기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
휴대 음향 장치(100)는 무선 블루투스 장치, MP3 플레이어, 또는 MP3 플레이어 겸용 무선 블루투스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휴대 음향 장치(100)는 휴대폰(180)과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방식(예컨대,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 음향 장치(100)은 휴대폰(180)으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이어폰(200)의 스피커(208, 209)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음향 장치(100)는 이어폰(200)의 마이크로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휴대폰(18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휴대 음향 장치(100)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음원(예컨대, MP3 파일)을 재생하여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200)의 스피커(208, 209)로 출력할 수 있다.
휴대 음향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음향 장치(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어폰 연결부(1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경로 제어부(130)의 일 실시예(130a)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블록(17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이어폰의 일 실시예(200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이어폰 연결부(110)에 연결되는 충전기(4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휴대 음향 장치(100)는, 이어폰 연결부(110), 경로 제어부(130a), 메인 블록(170) 및 안테나(177)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177)는 생략될 수 있다. 예컨대, 휴대 음향 장치(100)가 MP3 플레이어로 구현되는 경우, 안테나(177)는 생략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부(110)는 이어폰 잭(도 6의 207)이 삽입되는 이어폰잭 접속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부(110)는 마이크 단자(111), 접지(ground) 단자(112), 오른쪽 스피커 단자(113), 왼쪽 스피커 단자(116)를 포함한다. 또한, 이어폰 연결부(110)는 오른쪽잭 검출 단자(114) 및 왼쪽잭 검출 단자(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른쪽잭 검출 단자(114)는 이어폰 연결부(110)에 연결잭(예컨대, 이어폰잭 또는 충전기 잭)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오른쪽 스피커 단자(1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어폰 연결부(110)에 연결잭이 결합되면 오른쪽 스피커 단자(113)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왼쪽잭 검출 단자(115)는 이어폰 연결부(110)에 연결잭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왼쪽 스피커 단자(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어폰 연결부(110)에 이어폰 잭(207)이 결합되면 왼쪽 스피커 단자(116)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어폰 연결부(110)는 오른쪽잭 검출 단자(114) 및 왼쪽잭 검출 단자(115) 중 어느 하나만 구비할 수 있다.
접지(ground) 단자(112)는 접지에 연결되고(도 3의 117), 오른쪽 스피커 단자(113)는 메인 블록(170)의 아날로그 입출력부(173)의 오른쪽 오디오 신호(Audio_R)를 출력하는 노드와 연결되고(도 3의 118), 왼쪽 스피커 단자(116)는 메인 블록(170)의 아날로그 입출력부(173)의 왼쪽 오디오 신호(Audio_L)를 출력하는 노드와 연결된다(도 3의 119).
경로 제어부(130a)는 오디오 경로 및 충전 경로를 제어한다. 경로 제어부(130)는 이어폰 연결부(110)에 이어폰 잭(도 6의 207)이 연결되는지, 충전기 잭(도 7의 401)이 연결되는지를 인식하여 경로를 제어한다. 또한, 경로 제어부(130)는 이어폰(200)이 연결된 경우, 이어폰의 기능버튼(도 6의 203, 204,206)의 누름을 인식하여 메인 블록(170)에 버튼 제어신호(BTN_CTR)를 보낸다.
이어폰 연결부(110)에 이어폰 잭(도 6의 207)의 삽입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오른쪽잭 검출 단자(114)와 왼쪽잭 검출 단자(115)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왼쪽잭 검출 단자(115)가 구비된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한다.
왼쪽잭 검출 단자(115)는 이어폰잭(또는 '이어폰 플러그'라고도 함)(207)이 삽입되면, 경로 제어부(130)는 왼쪽잭 검출 단자(115)와 왼쪽 스피커 단자(116)가 연결되어 있을 때와 분리되었을 때 각각에 있어서, 왼쪽잭 검출 단자(115)의 전압이 달라짐을 감지하여, 플러그 삽입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경로 제어부(130)는 잭 검출기(135), 마이크 바이어스 검출기(136), 버튼 신호 검출기(137), 메인 제어기(138), 제어 신호 출력부(139)를 포함한다.
경로 제어부(130)는 또한 마이크 경로 스위치(133), 다수의 저항들(R1~R3) 및 다이오드(D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잭 검출기(135)는 비교기(135)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날로그-투-디지털 변환기(ADC)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다른 회로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비교기(135)는 왼쪽잭 검출 단자(115)로부터 아날로그 입력 신호(이하, 검출 입력 신호)(Detect_L)를 수신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여 비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검출 입력 신호(Detect_L)가 기준값 이하이면, 제1 로직 레벨(0)의 비교 신호를 출력하고, 검출 입력 신호(Detect_L)가 기준값보다 크면 제2 로직 레벨(1)의 비교 신호(CS)를 출력한다. 상기 제 1로직 레벨은 이어폰잭(207)이 이어폰 연결부(110)에 결합되지 않았음을 의미하고, 상기 제 2 로직레벨은 이어폰잭(207)이 이어폰 연결부(110)에 결합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마이크 바이어스 검출기(136) 및 버튼 신호 검출기(137)는 아날로그-투-디지털 변환기(ADC)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1 및 제2 ADC(136, 137)이라 칭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마이크 바이어스 검출기(13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비교기(도 8의 156, 157)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버튼 신호 검출기(137) 역시 다른 회로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ADC(136)는 마이크 단자(131)로부터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에 기초하여 제1 디지털 신호(DC1)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제1 ADC(136)는 마이크 단자(131)에 이어폰 플러그(207)가 연결되었는지, 충전기 플러그(401)가 연결되었는지 또는 플러그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제1 디지털 신호(DC1)를 출력한다.
메인 제어기(138)는 비교 신호(CS)에 따라 이어폰 연결부(110)에 플러그 삽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인 제어기(138)는 또한 제1 ADC(136)로부터 출력되는 제1 디지털 신호(DC1)에 기초하여 삽입된 플러그가 이어폰 플러그(207)인지 충전기 플러그(401)를 판단할 수 있다.
메인 제어기(138)는 판단 결과에 따라, 삽입된 플러그가 이어폰 플러그(207)인 경우 이어폰 사용에 맞도록 경로 제어부(130a)를 설정하고, 삽입된 플러그가 충전기 플러그(401)인 경우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경로 제어부(130a)를 설정한다.
예컨대, 이어폰 연결부(110)에 충전기 플러그(401)가 삽입된 경우의 마이크 단자(111)로 입력되는 신호(예컨대, 아날로그 전압)는 이어폰 연결부(110)에 이어폰 플러그(207)가 삽입된 경우 마이크 단자(111)로 입력되는 신호(예컨대, 아날로그 전압)보다 높다.
이에 따라, 메인 제어기(138)는 비교 신호(CS) 및 제1 디지털 신호(DC1)에 따라, 플러그 삽입 여부와 삽입된 플러그가 이어폰 플러그(207)인지 충전기 플러그(401)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기(138)는 비교 신호(CS)가 '1'이고 제1 디지털 신호(DC1)가 특정값(예컨대, 0V에 해당하는 디지털 코드)이라면 이어폰은 삽입되었으나, 마이크가 없는 일반 이어폰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왼쪽잭 검출 단자(115)를 이어폰 플러그 검출용으로 사용하였으나 오른쪽잭 검출 단자(114)를 동일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경로 제어부(130a)의 제어신호 출력부(139)는 메인 제어기(138)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 스위치 제어 신호(MIC_SW_CTRL), 충전 제어 신호(CHG_CTR), 및 버튼 제어 신호(BTN_CTR)를 출력한다.
마이크 경로 스위치(133)는 마이크 스위치 제어 신호(MIC_SW_CTRL)에 응답하여 개폐된다.
충전 경로 스위치(171)는 충전 제어 신호(CHG_CTR)에 응답하여 개폐된다.
버튼 제어 신호(BTN_CTR)는 메인 블록(170)의 베이스밴드 처리부(176)로 입력된다.
이어폰 연결부(110)에 이어폰 플러그(207)가 삽입되면, 경로 제어부(130)는 충전 제어 신호(CHG_CTR)에 의하여 충전 경로 스위치(171)가 오픈(open)되도록 제어하고, 마이크 스위치 제어 신호(MIC_SW_CTRL)에 의하여 마이크 경로 스위치(133)는 클로즈(close 혹은 short)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이어폰 연결부(110)의 마이크 단자(111)의 아날로그 입력 신호(즉, 마이크 단자 신호)가 클로즈된 마이크 경로 스위치(133)을 통하여 제2 ADC(137)로 입력된다. 또한, 마이크 단자 신호는 마이크 경로 스위치(133)을 통하여 메인 블록(170)의 아날로그 입출력부(173)으로도 입력된다.
제2 ADC(137)는 마이크 단자 신호를 제2 디지털 신호(DC2)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어폰 연결부(110)에 이어폰 플러그(207)가 삽입된 경우, 마이크 단자(111)의 신호(예컨대, 전압)는 이어폰(200)의 기능버튼(도 6의 203, 204,206)의 입력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예컨대, 이어폰 연결부(110)에 이어폰 플러그(207)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어폰(200)의 기능버튼(도 6의 203, 204,206) 중 어느 버튼이 선택(누름)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마이크 단자(111)의 전압 레벨이 달라진다.
도 6을 참조하여, 이어폰(200a)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이어폰(200a)은 통상의 4극 이어폰잭(207)을 가지는 이어폰일 수 있다.
이어폰(200a)은 마이크(201), 볼륨 상승 버튼(203), 볼륨하강 버튼(204), 통화 제어 버튼(206), 4극 이어폰 플러그(207), 오른쪽 스피커(208), 왼쪽 스피커(209)를 포함할 수 있다. 4극 이어폰 플러그(207)의 마이크 극(M)은 마이크(201), 볼륨 상승 버튼(203), 볼륨하강 버튼(204), 및 통화 제어 버튼(206)에 연결된다.
이어폰(200a)은 또한, 볼륨 상승 버튼(203)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저항(202), 및 볼륨 하강 버튼(204)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 저항(2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항(202)과 제2 저항(205)의 저항값은 서로 다르다. 따라서, 통화 제어 버튼(206)이 선택(누름)된 경우의 마이크 극(M)의 신호(예컨대, 전압), 볼륨 상승 버튼(203)이 선택된 경우의 마이크 극(M)의 신호(예컨대, 전압) 및 볼륨 하강 버튼(204)이 선택된 경우의 마이크 극(M)의 신호(예컨대, 전압)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제2 ADC(137)는 이어폰(200)의 기능버튼(도 6의 203, 204,206) 중 선택된 버튼에 따라 서로 다른 제2 디지털 신호(DC2)를 출력한다.
메인 제어기(138)는 제2 ADC(137)로부터 출력되는 제2 디지털 신호(DC2)에 기초하여 선택된 기능버튼(도 6의 203, 204,206)을 검출할 수 있다.
메인 제어기(138)는 기능 버튼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 출력부(139)로 하여금 선택된 기능 버튼에 해당하는 버튼 제어 신호(BTN_CTR)를 출력하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 버튼 제어 신호(BTN_CTR)는 복수의 비트들로 구성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버튼 제어 신호(BTN_CTR)는 볼륨 상승 버튼(203)에 해당하는 비트 신호와, 볼륨하강 버튼(204)에 해당하는 비트 신호 및 통화 제어 버튼(206)에 해당하는 비트 신호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볼륨 상승 버튼(203)은 오디오 신호의 볼륨(volume)을 상승(증가)시키기 위한 버튼이고, 볼륨하강 버튼(204)은 오디오 신호의 볼륨(volume)을 하강(감소)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통화 제어 버튼(206)은 전화 받기 및 끊기를 위한 버튼이다.
버튼 제어 신호(BTN_CTR)는 메인 블록(170)의 베이스밴드 처리부(176)로 입력된다.
메인 블록(170)은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이어폰 연결부(110)에 연결된 이어폰(20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인 블록(170)은 아날로그 입출력부(173), 블루투스 PHY(175), 베이스밴드 처리부(176), 및 충전부(174)를 포함한다.
아날로그 입출력부(173)는 마이크 입력 신호(MIC)가 입력되는 노드, 오른쪽 오디오 신호(Audio_R)를 출력하는 노드, 및 왼쪽 오디오 신호(Audio_L)를 출력하는 노드를 가진다.
이어폰 연결부(110)에 이어폰 플러그(207)가 삽입되면, 마이크 단자(111)로 입력되는 음성신호(즉, 마이크 입력 신호)(MIC)가, 아날로그 입출력부(173)로 입력된다.
아날로그 입출력부(173)는 마이크 단자(111)를 통해 입력된 마이크 입력 신호(MIC)를 필터링(flitering), 증폭 등의 전처리(pre-processing)를 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176)로 출력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처리부(176)는 아날로그 입출력부(173)로부터 입력된 마이크 입력 신호(MIC)에 대하여 인코딩(encoding), 변조(modulation) 등의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밴드 처리부(176)는 경로 제어부(130a)의 버튼 제어 신호(BTN_CTR)에 응답하여 마이크 입력 신호(MIC)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처리부(176)에서 처리된 마이크 입력 신호(MIC)는 블루투스 PHY(175)에서 블루투스 신호 규격에 맞게 변환되어 안테나(177)를 통해 휴대폰(180)으로 전송된다.
실시예에 따라, 블루투스 PHY(175) 대신 미리 정해진 오디오 파일 규격(예컨대, MP3 규격)에 따라, 메모리(미도시)로부터 MP3 파일을 읽어들여 처리하는 MP3 처리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실시에에 따라, 블루투스 PHY(175)와 MP3 처리부(미도시)가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휴대폰(180)에서 휴대 음향 장치(100)로 전송된 오디오 신호는 마이크 단자(111)를 통해 입력된 마이크 입력 신호(MIC)와는 반대의 처리 과정을 거친다.
예컨대, 블루투스 PHY(175)는 휴대폰(180)에서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안테나(177)를 통해 수신하고, 블루투스 신호 규격에 따라 역변환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처리부(176)는 블루투스 PHY(175)에서 역변환된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디코딩(decoding), 복조(demodulation) 등의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밴드 처리부(176)는 경로 제어부(130a)의 버튼 제어 신호(BTN_CTR)에 응답하여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이어폰(200a)의 볼륨 상승 버튼(203)에 해당하는 버튼 제어 신호(BTN_CTR)에 응답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176)는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어폰(200a)의 볼륨 하강 버튼(204)에 해당하는 버튼 제어 신호(BTN_CTR)에 응답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176)는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베이스밴드 처리부(176)는 또한, 통화 제어 버튼(206)에 해당하는 버튼 제어 신호(BTN_CTR)에 응답하여, 전화 받기와 끊기를 제어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처리부(176)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는 아날로그 입출력부(173)로 입력될 수 있다. 아날로그 입출력부(173)는 베이스밴드 처리부(176)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오른쪽 스피커 단자(113) 및 왼쪽 스피커 단자(116)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아날로그 입출력부(173)에서 출력되는 오른쪽 오디오 신호(Audio_R)는 오른쪽 스피커 단자(113)를 통해 이어폰(200)의 오른쪽 스피커(208)로 출력된다.
또한, 아날로그 입출력부(173)에서 출력되는 왼쪽 오디오 신호(Audio_L)은 왼쪽 스피커 단자(116)를 통해 이어폰(200)의 왼쪽 스피커(209)로 출력된다.
오른쪽 오디오 신호(Audio_R) 및 왼쪽 오디오 신호(Audio_L)의 출력 경로 (118, 119)에는 필요에 따라 앰프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어폰 연결부(110)에 도 7에 도시된 충전기 플러그(401)이 삽입되면, 이어폰 연결부(110) 및 경로 제어부(130)는 하기와 같이 동작한다.
이어폰 연결부(110)의 오른쪽 스피커 단자(113)와 왼쪽 스피커 단자(116)는 충전기 플러그(401)의 플로팅(Floating)된 단자와 연결되고, 이어폰 연결부(110)의 마이크 단자(111)에는 충전 전압(CHGIN)이 인가된다. 충전 전압(CHGIN)은 휴대 음향 장치(100) 내에 공급되는 어떤 전압보다 높으므로, 경로 제어부(130)의 제1 ADC(136)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기(400)가 삽입되었음을 경로 제어부(130)가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경로 제어부(130)는 충전 경로 스위치(171)를 도통시키고, 마이크 경로 스위치(133)를 단절시킴으로써 높은 충전 전압(CHGIN)이 메인 블록(170)의 아날로그 입출력부(173)로 입력되는 것을 막는다.
한편, 충전 경로 스위치(171)는 도통됨으로써, 마이크 단자(111)를 통해서 입력되는 충전 전압(CHGIN)이 충전 경로 스위치(171)를 통해 메인 블록(170)의 충전부(174)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충전부(174)는 충전 전압(CHGIN)을 입력받아, 휴대 음향 장치(100)의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경로 제어부(130a)의 변형예(130b)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8에 도시된 경로 제어부(130b)의 구성 및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경로 제어부(130a)와 유사하다.
따라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차이점 위주로 기술한다.
경로 제어부(130b)는 제1 내지 제3 비교기(135, 156, 157), 아날로그-투-디지털 변환기(ADC)(137), 메인 제어기(138), 제어 신호 출력부(139)를 포함한다.
도 8의 제1 비교기(135) 및 ADC(137)는 각각 도 4의 비교기(135) 및 제2 ADC(137)과 동일하다. 다만, 도 8의 경로 제어부(130b)에서는 도 4의 제1 ADC(136) 대신에, 두 이상의 비교기(156, 157)이 구비된다.
제2 비교기(156) 및 제3 비교기(157)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동일하다. 그러나, 제2 비교기(156) 및 제3 비교기(157)가 입력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 대상 값이 다르다.
예컨대, 제2 비교기(156)는 마이크 단자(131)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이하, 마이크 단자 신호)를 제1 비교 대상값과 비교하여 제1 비교 신호(CP1)를 출력하고, 제3 비교기(157)는 마이크 단자(131)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이하, 마이크 단자 신호)를 제2 비교 대상값과 비교하여 제2 비교 신호(CP2)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비교 대상값은 제2 비교 대상값 보다 높은 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 단자(131)로 충전 전압이 입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1 비교 신호(CP1)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마이크 단자(131)에 이어폰 플러그의 마이크 극이 연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2 비교 신호(CP2)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비교기(156) 및 제3 비교기(157)는 마이크 단자(131)에 이어폰 플러그(207)가 연결되었는지, 충전기 플러그(401)가 연결되었는지 또는 플러그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조합을 가지는 제1 비교 신호(CP1) 및 제2 비교 신호(CP2)를 출력할 수 있다.
메인 제어기(138)는 제1 비교 신호(CP1) 및 제2 비교 신호(CP2)에 기초하여 삽입된 플러그가 이어폰 플러그(207)인지 충전기 플러그(401)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기(138)는 제1 비교 신호(CP1) 및 제2 비교 신호(CP2)에 기초하여 삽입된 플러그가 3극 이어폰 플러그인지 4극 이어폰 플러그(207)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제2 비교기(156) 및 제3 비교기(157)가 구비되나, 사용되는 비교기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을 위한 별도의 커넥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즉, 이어폰잭을 연결하는 이어폰 연결부(110)를 통하여 통상의 충전기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의 블루투스 헤드셋에서 충전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장착되어 있던 USB커넥터가 필요 없다. 이에 따라 휴대 음향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음향 장치는 표준 휴대폰용 이어폰의 기능키를 인식하여 동작함으로써, 사용자는 이어폰의 기능키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휴대 음향 장치(100)
이어폰 연결부(110)
마이크 단자(111),
접지(ground) 단자(112),
오른쪽 스피커 단자(113),
오른쪽잭 검출 단자(114)
왼쪽잭 검출 단자(115)
왼쪽 스피커 단자(116)
경로 제어부: 130, 130a, 130b
메인 블록(170)
안테나(177)
이어폰(200, 200a)

Claims (10)

  1. 휴대폰과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 음향 장치에 있어서,
    이어폰과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 연결부;
    상기 이어폰 연결부에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되었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이어폰의 기능 버튼 입력을 검출하여 버튼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이어폰 연결부에 충전기 플러그가 접속되었는지를 검출하여 충전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경로 제어부; 및
    상기 이어폰 연결부에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된 경우,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메인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모듈은 상기 버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제어하고,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충전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연결하며,
    상기 메인 모듈은
    상기 이어폰 연결부에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된 경우,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마이크 경로 스위치를 통해 수신하여 처리하는 아날로그 입출력부;
    상기 아날로그 입출력부에서 처리된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에 대하여 인코딩(encoding) 및 변조(modul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 및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신호 규격에 맞게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상기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PHY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PHY는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신호 규격에 따라 역변환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디코딩(decoding) 및 복조(demodul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며,
    상기 아날로그 입출력부는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이어폰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휴대 음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연결부는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와 연결되는 마이크 단자
    접지와 연결되는 접지(ground) 단자;
    상기 이어폰의 오른쪽 스피커와 연결되는 오른쪽 스피커 단자;
    상기 이어폰의 왼쪽 스피커와 연결되는 왼쪽 스피커 단자; 및
    상기 오른쪽 스피커 단자 및 왼쪽 스피커 단자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잭 검출 단자를 포함하는 휴대 음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제어부는
    상기 잭 검출 단자로부터 검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검출 입력 신호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잭 검출기;
    상기 마이크 단자로부터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 제1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 바이어스 검출기;
    상기 마이크 단자로부터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 제2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 신호 검출기; 및
    상기 비교 신호, 상기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버튼 제어 신호 및 상기 충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신호는 상기 이어폰 연결부에 상기 충전기 플러그 또는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연결되었을 때와 연결되지 않았을 때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휴대 음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경로 스위치는
    상기 마이크 단자와 상기 버튼 신호 검출기 사이에 위치하며, 선택적으로 도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음향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는,
    상기 버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휴대 음향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듈은
    충전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휴대 음향 장치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 및
    상기 마이크 단자와 상기 충전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도통되는 충전 경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휴대 음향 장치.
  8. 휴대폰과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 음향 장치에 있어서,
    이어폰 플러그 및 충전기 플러그와 공용으로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 연결부;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이어폰으로 출력하고,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충전기 플러그를 통해 충전 전압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메인 모듈; 및
    상기 이어폰 연결부에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되었는지 검출하여,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가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 모듈로 입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어폰 연결부에 상기 충전기 플러그가 접속되었는지를 검출하여 상기 충전 전압이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 모듈로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경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모듈은
    상기 이어폰 연결부에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된 경우,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를 마이크 경로 스위치를 통해 수신하여 처리하는 아날로그 입출력부;
    상기 아날로그 입출력부에서 처리된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에 대하여 인코딩(encoding) 및 변조(modul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 및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신호 규격에 맞게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상기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PHY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PHY는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신호 규격에 따라 역변환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디코딩(decoding) 및 복조(demodul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며,
    상기 아날로그 입출력부는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이어폰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휴대 음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의 오른쪽 스피커 단자 또는 왼쪽 스피커 단자의 신호에 기초하여 플러그가 상기 이어폰 연결부에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잭 검출기;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 단자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된 플러그가 상기 이어폰 플러그인지 상기 충전기 플러그인지를 검출하기 위한 마이크 바이어스 검출기; 및
    상기 접속된 플러그가 상기 이어폰 플러그인 경우, 상기 마이크 단자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어폰의 기능 버튼의 선택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버튼 신호 검출기를 포함하는 휴대 음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듈은
    충전 전압(CHGIN)을 입력받아, 상기 휴대 음향 장치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 및
    상기 마이크 단자와 상기 충전부 사이에 위치하며, 충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도통되는 충전 경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휴대 음향 장치.
KR1020160001990A 2016-01-07 2016-01-07 이어폰 플러그 및 충전기 플러그와 공용으로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 연결부를 구비하는 휴대음향 장치 KR101721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990A KR101721524B1 (ko) 2016-01-07 2016-01-07 이어폰 플러그 및 충전기 플러그와 공용으로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 연결부를 구비하는 휴대음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990A KR101721524B1 (ko) 2016-01-07 2016-01-07 이어폰 플러그 및 충전기 플러그와 공용으로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 연결부를 구비하는 휴대음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524B1 true KR101721524B1 (ko) 2017-03-30

Family

ID=5850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990A KR101721524B1 (ko) 2016-01-07 2016-01-07 이어폰 플러그 및 충전기 플러그와 공용으로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 연결부를 구비하는 휴대음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5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6803A (zh) * 2017-11-03 2019-05-14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耳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2287A (ko) * 2008-11-10 2010-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별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외부 장치 운용 시스템
KR20120105198A (ko) * 2011-03-15 2012-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시스템
KR20130031009A (ko) * 2011-09-20 2013-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어폰의 제어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40030425A (ko) * 2012-08-29 201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접속 인터페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와 단말기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2287A (ko) * 2008-11-10 2010-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별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외부 장치 운용 시스템
KR20120105198A (ko) * 2011-03-15 2012-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시스템
KR20130031009A (ko) * 2011-09-20 2013-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어폰의 제어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40030425A (ko) * 2012-08-29 201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접속 인터페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와 단말기 운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6803A (zh) * 2017-11-03 2019-05-14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耳机
CN109756803B (zh) * 2017-11-03 2024-02-27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耳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9096B2 (en) Electronic device and external equipment with configurable audio path circuitry
US7623667B2 (en) Electronic device accessory with ultrasonic tone generator
US9485580B1 (en) Headset with microphone and wired remote control
US20120300962A1 (en) Solar Powered Wireless Bluetooth Stereo Speaker With connectivity To MP3 Player
CN107770663B (zh) 一种入耳式无线耳机及其自动充电和开关机的实现方法
KR101122767B1 (ko) 보청기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CN109068209A (zh) 蓝牙耳机、充电盒、蓝牙耳机组件及其交互方法
CN101277323A (zh) 用于移动通信设备的多按钮控制耳机
EP3133834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upplying power to active noise cancelling earphone
WO2018076628A1 (zh) 一种usb接口电路、终端、耳机电路及耳机、存储介质
CN202750144U (zh) 一种对讲手机
KR101721524B1 (ko) 이어폰 플러그 및 충전기 플러그와 공용으로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 연결부를 구비하는 휴대음향 장치
CN113411703B (zh) 音频播放方法以及耳机盒、无线耳机和耳机套件
CN101510904A (zh) 一种手机扩音器及其实现方法
CN105933816A (zh) 无线耳机及其播放方法和装置、耳机数据线以及播放设备
CN1304215A (zh) 用于无线电接收机单声道和立体声操作的方法和装置
CN102026419A (zh) 电子装置与系统及其辨识电子配件及控制电子装置的方法
US20100048138A1 (en) Communication device
US11163519B2 (en) Multipurpose bluetooth interface and controller
KR101609194B1 (ko) 4극 오디오 플러그-잭 커넥터 방식 액세서리 장치 및 전원공급방법과 호스트 장치
WO2013098974A1 (ja) 携帯型音声再生装置
CN212486756U (zh) 一种有线/无线二合一耳机
CN102348000A (zh) 一种设有调频信号发射模块的手机保护套及其系统
KR100475466B1 (ko) 이어마이크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CN106714030B (zh) 耳机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