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794Y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794Y1
KR200326794Y1 KR20-2003-0018858U KR20030018858U KR200326794Y1 KR 200326794 Y1 KR200326794 Y1 KR 200326794Y1 KR 20030018858 U KR20030018858 U KR 20030018858U KR 200326794 Y1 KR200326794 Y1 KR 200326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speaker
microphone
terminal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8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7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7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이어-마이크 잭에 이어폰이 삽입되면 단말기의 내장 스피커는 전원이 오프되고 외장 마이크로 동작되기 때문에 일반 스피커를 연결하면 마이크가 없어서 통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내장 스피커의 부족한 출력을 보완하여 허용 출력이 높고 음질 특성이 고른 외부 스피커와; 상기 외부 스피커를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잭에 결합하는 스피커 결합 인터페이스와; 상기 스피커 결합 인터페이스의 신호선과 일대일 결합하여 내부 회로와 접속하는 이어-마이크 잭과; 상기 이어-마이크 잭의 이어 감지 단자와 마이크 감지 단자에 어떤 신호가 나타나는지를 판단하여 이어폰, 외부 스피커, 마이크가 단말기에 연결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오디오 신호 전달 경로를 제어하는 연결 감지부로 구성되어 이어-마이크 잭에 일반 외부 스피커를 연결하여 음악 감상용으로 활용하거나 스피커폰으로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연결 장치{EXTERNAL SPEAKER INTERFA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고안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마이크 잭에 일반 외부 스피커를 연결하여 음악 감상용으로 활용하거나 스피커폰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폴더나 플립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는 핸드프리 장치를 연결하여 쓰는 이어-마이크 잭을 구비한다.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연결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의 좌우 스피커 연결 단자와, 이어-마이크 연결을 감지하는 이어 감지 단자와, 외부 마이크 연결 단자와 접지 단자로 구성된 이어-마이크 잭(20)과; 상기 외부 마이크 연결 단자와 연결되는 마이크 신호선과, 상기 좌우 스피커 연결 단자와 연결되는 좌우 스피커 신호선과, 상기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접지 신호선으로 구성된 이어-마이크 플러그를 구비하는 이어-마이크(30)로 구성된다.
이어-마이크 잭(20)에 이어-마이크(30)가 연결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이어 감지 단자(Ear_sense)를 통해 이어-마이크의 삽입을 확인하고 내장 스피커에서 이어-마이크 잭(20)에 연결된 이어-마이크(30)로 음성 입출력을 전환한다.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 중인 상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이어-마이크(30)의 좌우 스피커로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고 이어-마이크(30)의 마이크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잭은 일반 이어폰 잭과 규격이 달라 호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러그 크기를 맞춘다 해도 이어-마이크 잭에 이어폰이 삽입되면 단말기의 내장 스피커는 전원이 오프되고 외장 마이크로 동작되기 때문에 일반 스피커를 연결하면 마이크가 없어서 통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이어-마이크 잭에 일반 스피커가 연결될 때 현 작업 수행에 맞게 내장 마이크의 사용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연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연결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연결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잭에 이어-마이크가 결합됨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잭에 외부 스피커가 결합되어 활용되는 예를 보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이어-마이크 플러그 50 : 이어-마이크 잭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장 스피커의 부족한 출력을 보완하여 허용 출력이 높고 음질 특성이 고른 외부 스피커와; 상기 외부 스피커를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잭에 결합하는 스피커 결합 인터페이스와; 상기 스피커 결합 인터페이스의 신호선과 일대일 결합하여 내부 회로와 접속하는 이어-마이크 잭과; 상기 이어-마이크 잭의 이어 감지 단자와 마이크 감지 단자에 어떤 신호가 나타나는지를 판단하여 이어폰, 외부 스피커, 마이크가 단말기에 연결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오디오 신호 전달 경로를 제어하는 연결 감지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연결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 스피커의 부족한 출력을 보완하여 허용 출력이 높고 음질 특성이 고른 외부 스피커(80)와; 상기 외부 스피커(80)를단말기의 이어-마이크 잭에 결합하는 스피커 결합 인터페이스(70)와; 상기 스피커 결합 인터페이스(70)의 신호선과 일대일 결합하여 내부 회로와 접속하는 이어-마이크 잭(50)과; 상기 이어-마이크 잭(50)의 이어 감지 단자와 마이크 감지 단자에 어떤 신호가 나타나는지를 판단하여 이어폰, 외부 스피커, 마이크가 단말기에 연결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오디오 신호 전달 경로를 제어하는 연결 감지부(60)로 구성된다.
외부 스피커(80)는 이동 통신 단말기(40)의 내장 스피커로는 부족한 출력을 보완하여 허용 출력이 높고 음질이 좋은 특성을 갖는다.
스피커 결합 인터페이스(70)는 상기 외부 스피커(80)를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잭(50)에 결합하는데 사용된다. 이어-마이크 잭(50)은 일반 잭과 다른 규격을 가지므로 중간에 스피커 결합 인터페이스(70)를 사용하여 외부 스피커(80)를 이동 통신 단말기(40)에 연결한다.
스피커 결합 인터페이스(70)는 부도체 재질로 제작된 마이크 신호선과, 상기 좌우 스피커 연결 단자와 연결되는 좌우 스피커 신호선과,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접지 신호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 신호선은 이어-마이크 결합시 외부 마이크의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선이지만 여기서는 사용되지 않는 신호선이므로 부도체 재질로 제작된다.
이외의 좌우 스피커 신호선, 접지 신호선은 외부 스피커에 오디오 사운드를 전달하는 신호선으로 각각 외부 스피커의 각 단자와 일대일 대응하게 연결된다.
이어-마이크 잭은 이어폰의 좌우 스피커 연결 단자와, 이어-마이크 연결을감지하는 이어 감지 단자와, 외부 마이크 연결을 감지하는 마이크 감지 단자와, 외부 마이크 연결 단자와, 접지 단자로 구성된다.
이어 감지 단자는 이어폰, 외부 스피커 등이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단자로 이어폰 또는 외부 스피커가 연결되면 하이 신호를 나타내고 이외에는 로우 신호를 나타낸다. 마이크 감지 단자도 상기 이어 감지 단자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마이크가 연결되면 하이 신호를 나타내고 이외에는 로우 신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마이크가 연결되지 않았으므로 마이크 감지 단자에는 로우 신호가 나타난다.
연결 감지부(60)는 이어 감지 단자와 마이크 감지 단자에 어떤 신호가 나타나는지를 판단하여 이어폰, 외부 스피커, 마이크가 단말기에 연결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이어폰 또는 외부 스피커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면 연결 감지부(60)는 내장 스피커의 동작을 오프하고 상기 이어폰 또는 외부 스피커에 오디오 사운드를 전달한다. 그리고, 외부 마이크가 연결되면 내장 마이크의 동작을 오프하고 외부 마이크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단말기 모뎀에 전달한다.
외부 마이크가 연결되지 않았으면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작업에 따라 내장 마이크를 동작시킬지 아니면 동작을 오프할지를 결정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포트에 이어-마이크가 결합됨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 신호선, 좌우 스피커 신호선, 그리고, 접지 신호선을 갖는 4단자 플러그를 구비하는 이어-마이크(30)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잭(50)에 결합됨을 설명한다.
이어-마이크(30)는 사용자에게 상대방의 음성을 전달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다. 이어-마이크 플러그는 상기 이어-마이크를 이어-마이크 잭에 연결하는데 마이크 신호선(EXT_mic), 좌우 스피커 신호선(EXT_SPK_L/R), 그리고, 접지 신호선(GND)을 갖는다. 각 신호선은 이어-마이크 잭의 마이크 단자(EXT_MIC), 좌우 스피커 단자(EXT_SPK_L/R), 그리고, 접지 단자에 연결된다.
연결 감지부는 이어-마이크 잭의 마이크 감지 단자(Mic_sense)와 이어폰 감지 단자(Ear_sense)에 나타나는 하이 신호를 감지하고 내장 스피커와 내장 마이크의 동작을 오프시키고 오디오 사운드를 이어-마이크(30)로 전달하면서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이어-마이크(30)로부터 입력받는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잭에 외부 스피커가 결합되어 활용되는 예를 보인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스피커(80)가 스피커 결합 인터페이스(70)와 연결되어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잭에 결합되어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외부 스피커의 용도가 달라짐을 설명한다.
외부 스피커(80)는 일반 플러그를 구비하므로 스피커 결합 인터페이스(7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40)의 이어-마이크 잭에 결합된다.
연결 감지부는 마이크 감지 단자에 로우 신호가 나타나고 이어폰 감지 단자에 하이 신호가 나타남을 감지하고 이어-마이크 잭에 외부 스피커(80)가 연결됨을 인지한다.
이동 통신단말기는 마이크 감지 단자에 나타나는 신호를 확인하여 외부 마이크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현재 수행되는 작업에 따라 내장 마이크를 동작시킬지를 결정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음악 파일을 재생할 경우 오디오 사운드 출력은 외부 스피커(80)로 전달되고 내장 마이크의 동작은 오프된다.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외부 스피커(80)로는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고 내장 마이크를 동작시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어-마이크 잭에 일반 외부 스피커를 연결하여 음악 감상용으로 활용하거나 스피커폰으로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장 스피커의 부족한 출력을 보완하여 허용 출력이 높고 음질 특성이 고른 외부 스피커와; 상기 외부 스피커를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잭에 결합하는 스피커 결합 인터페이스와; 상기 스피커 결합 인터페이스의 신호선과 일대일 결합하여 내부 회로와 접속하는 이어-마이크 잭과; 상기 이어-마이크 잭의 이어 감지 단자와 마이크 감지 단자에 어떤 신호가 나타나는지를 판단하여 이어폰, 외부 스피커, 마이크가 단말기에 연결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오디오 신호 전달 경로를 제어하는 연결 감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결합 인터페이스는 외부 마이크와 접속되는 마이크 신호선이 부도체로 제작되어 상기 연결 감지부에서 외부 스피커가 연결되지 않았음을 판단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연결 장치.
KR20-2003-0018858U 2003-06-16 2003-06-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연결 장치 KR200326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858U KR200326794Y1 (ko) 2003-06-16 2003-06-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858U KR200326794Y1 (ko) 2003-06-16 2003-06-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794Y1 true KR200326794Y1 (ko) 2003-09-17

Family

ID=49338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858U KR200326794Y1 (ko) 2003-06-16 2003-06-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7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8776B2 (ja) 送受信機
JP4099520B2 (ja) 移動端末装置及びヘッドセット
US20050282592A1 (en) Hands-free conferen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a wireless telephone
JP2010527541A (ja) 周囲雑音減少機能を備えた通信装置
KR20040018058A (ko) 이어잭 플러그 연결 여부 검출 장치
GB2502983A (en) Electronic host device with flexible interface for accessory connection
JP3398699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2101491A (ja) 音声信号処理装置、及び携帯電話機
KR200326794Y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연결 장치
CN100531448C (zh) 一种移动通信终端专用耳麦装置
KR200218635Y1 (ko) 마이크 입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KR200180377Y1 (ko) 휴대용 오디오 이어폰 겸용 휴대폰의 핸즈프리장치
KR200261461Y1 (ko) 음악감상중에 전화를 받을 수 있는 핸즈프리 장치
KR20035618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음악 기기를 겸용으로 사용하기위한 다기능 이어폰 장치
KR200309139Y1 (ko) 휴대 전화 핸즈프리기능이 내장되고 컴퓨터와 USB Port로연결되는 헤드폰세트
KR200189848Y1 (ko) 컴퓨터용 멀티 커넥터
GB2387979A (en) A connector interface for a mobile phone
KR100454940B1 (ko) 이어 마이크로폰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오디오경로 연결 장치
KR200209082Y1 (ko) 인터넷폰의 입출력 스위칭장치
KR200321466Y1 (ko) 스테레오 이어셋의 휴대전화용 연결모듈
KR200245218Y1 (ko) 인터넷폰스피커
KR200366861Y1 (ko) 핸드 프리용 이어폰
KR200191800Y1 (ko) 이어폰 접속기
JP2002237870A (ja) 通信機の音声入出力装置および通信機
KR200218614Y1 (ko) 오디오 입출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