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155B1 -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 접속을제어하기 위한 회로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 접속을제어하기 위한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155B1
KR100557155B1 KR1019980047904A KR19980047904A KR100557155B1 KR 100557155 B1 KR100557155 B1 KR 100557155B1 KR 1019980047904 A KR1019980047904 A KR 1019980047904A KR 19980047904 A KR19980047904 A KR 19980047904A KR 100557155 B1 KR100557155 B1 KR 100557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earphone
signal
jack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1731A (ko
Inventor
김동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47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155B1/ko
Priority to EP99122154A priority patent/EP0999721A3/en
Priority to US09/436,290 priority patent/US6397087B1/en
Publication of KR20000031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1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8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for a headse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preventing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가, 상기 단말기의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용 증폭기들과 이어폰-마이크로폰용 증폭기들을 내장하며, 소정의 제어를 받아 음성처리경로를 상기 단말기의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용 증폭기들을 통하는 제1경로 혹은 상기 이어폰-마이크로폰용 증폭기들을 통하는 제2경로로 설정하는 보코더와, 상기 단말기의 잭과 상기 이어폰-마이크로폰의 플러그 접속 순간 마이크로폰 신호와 스피커신호가 단락되는 소리로 인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이어폰-마이크로폰용 이어폰 증폭기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잭으로 입력되는 이어폰-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신호를 논리조합하는 제1논리조합수단과, 상기 잭에서 감지되는 전기적 신호와 소정의 기준전압을 비교한 결과를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제1논리조합수단과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논리조합하여 잭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제2논리조합수단과, 통화중 상태에서 상기 잭검출신호에 의해 상기 단말기의 잭에 상기 이어폰-마이크로폰의 플러그가 삽입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보코더로 하여금 상기 음성처리경로를 상기 제1경로에서 상기 제2경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장착되는 이어폰-마이크로폰은 내장형과 외장형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내장형은 통상의 3극형(pole type) 플러그(plug)가 단말기의 잭(jack)에 삽입되는 형태를 갖는다. 외장형은 단말기 하면부에 장착된 인터페이스 커넥터(interface connector)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형태를 갖는다.
도 1a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외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2는 종래의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폰-마이크로폰 잭(100)과 이어폰-마이크로폰의 플러그(200)가 기구적으로 접속되면 이어폰-마이크로폰을 통해 통화를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어폰-마이크로폰 잭은 단말기의 상단부 혹은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어폰-마이크로폰 잭(100)의 내부 핀(pin) 1, 3, 2는 각각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러그(200)의 그라운드(G), 스피커(S), 마이크(M) 단자와 접속된다. 그러므로 이어폰-마이크로폰의 마이크(250)는 단말기의 보코더(130)에 내장된 마이크 증폭기(AMP1)와, 스피커(260)는 스피커 증폭기(AMP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비교기(COM1)는 상기 이어폰-마이크로폰 잭(100)의 내부 핀번호 4에서 감지되는 전기적 신호와 소정의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여 플러그가 잭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잭검출신호(JD1)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잭검출신호(JD1)는 이어폰-마이크로폰에 맞는 크기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초기감지신호이기도 하다.
도 3은 종래의 외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기 하면부에 장착된 인터페이스 커넥터(140)는 본 이어폰-마이크로폰 접속을 위한 포트(port)(140a, 140b) 외에도 충전기 장착 혹은 차량장착 통화장치(handsfree kit) 혹은 데이터 통신용 포트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140)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러그(230)이 꽂히면 마이크(250)는 단말기의 보코더(130)에 내장된 마이크 증폭기(AMP1)와, 스피커(260)는 스피커 증폭기(AMP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주로 CDMA 방식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사용하는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은 단말기가 통화상태일 때 장착하게 되면 "칙" 하는 잡음을 일으켜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게 한다. 이와 같이 잡음이 발생하는 이유는 장착 순간 이어폰-마이크로폰내의 마이크와 스피커가 순간적으로 단락되기 때문이다. 또한 주로 GSM 방식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사용하는 외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은 휴대시 주머니에 안전하게 넣고 다니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행동에도 다소간 제약이 따르는 불편함이 있었다. 왜냐하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에 비추어볼 때 단말기 대비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꽂히는 플러그가 크기 때문이다. 즉 주머니에 단말기를 넣은 상태에서도 플러그가 주머니 밖으로 길게 나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실수로 바닥에 떨어뜨리거나 착용하고 있더라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상태일 때 장착하더라도 잡음을 일으키지 않으며 휴대가 용이하고 안전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이어폰-마이크로폰 접속 제어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가, 상기 단말기의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용 증폭기들과 이어폰-마이크로폰용 증폭기들을 내장하며, 소정의 제어를 받아 음성처리경로를 상기 단말기의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용 증폭기들을 통하는 제1경로 혹은 상기 이어폰-마이크로폰용 증폭기들을 통하는 제2경로로 설정하는 보코더와, 상기 단말기의 잭과 상기 이어폰-마이크로폰의 플러그 접속 순간 마이크로폰 신호와 스피커신호가 단락되는 소리로 인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이어폰-마이크로폰용 이어폰 증폭기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잭으로 입력되는 이어폰-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신호를 논리조합하는 제1논리조합수단과, 상기 잭에서 감지되는 전기적신호와 소정의 기준전압을 비교한 결과를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제1논리조합수단과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논리조합하여 잭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제2논리조합수단과, 통화중 상태에서 상기 잭검출신호에 의해 상기 단말기의 잭에 상기 이어폰-마이크로폰의 플러그가 삽입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보코더로 하여금 상기 음성처리경로를 상기 제1경로에서 상기 제2경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을 장착하기 위한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도시하지 않음.)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잭(100)과 플러그(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면 보코더(137)로 하여금 음성처리경로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즉, 보코너(137) 내부에서 음성처리경로를 단말기의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용 증폭기들(AMP3, AMP6)을 통하는 제1경로에서 이어폰-마이크로폰(혹은 차량장착 통화장치)용 증폭기들(AMP4, AMP5)을 통하는 제2경로로 전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음성처리경로를 변경한 상태에서, 상기 잭(100)의 2번 핀으로 입력되는 이어폰-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신호는 두 증폭기(AMP8, AMP9)로 이루어진 증폭부를 거쳐 2상(180도 반전)의 신호로 전환된 다음, 보코더(137) 내부의 이어폰-마이크로폰용 마이크로폰 증폭기(AMP5)로 입력된다.
또한 보코더(137) 내부의 이어폰-마티크로폰용 이어폰 증폭기(AMP4)에서 출력된 2상 신호는 차동증폭기(AMP7)를 통하여 단상신호로 변환된 다음, 상기 잭(100)의 3번 핀으로 출력되어 이어폰-마이크로폰의 이어폰을 통해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가청상태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잭(100)에 플러그가 삽입되면 그 상태 검출신호가 중앙처리장치로 전달되는데, 상기 검출신호는 제2앤드게이트(G2)에서 출력되는 신호이다. 상기 제2앤드게이트(G2)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1앤드게이트(G1)와 비교기(COM1)의 출력을 논리곱한 잭검출신호(JD3)이다. 상기 잭검출신호(JD3)는 이어폰-마이크로폰에 맞는 크기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초기감지신호이기도 하다. 상기 비교기(COM1)의 출력은 상기 잭(100)의 내부 핀번호 4에서 감지되는 전기적 신호와 소정의 기준전압(Vref)을 비교한 결과이다. 그리고 상기 제1앤드게이트(G1)의 출력은 보코더(137) 내부의 이어폰-마이크로폰용 증폭기(AMP4)에서 출력된 2상 신호를 단상신호로 변환시킨 신호, 즉 차동증폭기(AMP7)의 출력과 상기 잭(100)의 2번 핀으로 입력되는 이어폰-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신호를 논리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앤드게이트(G1)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잭(100)과 플러그의 접속 순간 이어폰-마이크로폰의 기구적인 구조상 마이크로폰 신호와 스피커신호가 단락되는 소리인 "칙"하는 잡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을 장착하기 위한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단상 입·출력을 요하는 것인 바, 전술한 도 4의 경우처럼 별도의 증폭기를 더 가질 필요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구성과 동작이 같다. 다시 말해서, 상기 도 4의 경우는 2상 입·출력을 요하는 것이기 때문에 세 가지의 증폭기(AMP7∼AMP9)를 더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통화상태일 때 이어폰-마이크로폰을 장착하더라도 잡음을 일으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어폰-마이크로폰 장착상태에서 휴대가 용이하고 안전한 장점도 있다.
도 1a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을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외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 장착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외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 장착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을 장착하기 위한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을 장착하기 위한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Claims (3)

  1.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용 증폭기들과 이어폰-마이크로폰용 증폭기들을 내장하며, 소정의 제어를 받아 음성처리경로를 상기 단말기의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용 증폭기들을 통하는 제1경로 혹은 상기 이어폰-마이크로폰용 증폭기들을 통하는 제2경로로 설정하는 보코더와,
    상기 단말기의 잭과 상기 이어폰-마이크로폰의 플러그 접속 순간 마이크로폰 신호와 스피커신호가 단락되는 소리로 인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이어폰-마이크로폰용 이어폰 증폭기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잭으로 입력되는 이어폰-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신호를 논리조합하는 제1논리조합수단과,
    상기 잭에서 감지되는 전기적 신호와 소정의 기준전압을 비교한 결과를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제1논리조합수단과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논리조합하여 잭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제2논리조합수단과,
    통화중 상태에서 상기 잭검출신호에 의해 상기 단말기의 잭에 상기 이어폰-마이크로폰의 플러그가 삽입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보코더로 하여금 상기 음성처리경로를 상기 제1경로에서 상기 제2경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코더의 이어폰-마이크로폰용 이어폰 증폭기에서 출력된 2상 신호를 단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잭에 전달하는 차동증폭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3. 제1항 혹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잭을 통해 상기 이어폰-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2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보코더의 이어폰-마이크로폰용 마이크로폰 증폭기에 전달하는 증폭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1019980047904A 1998-11-07 1998-11-07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 접속을제어하기 위한 회로 KR100557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904A KR100557155B1 (ko) 1998-11-07 1998-11-07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 접속을제어하기 위한 회로
EP99122154A EP0999721A3 (en) 1998-11-07 1999-11-05 Device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built-in type ear-microphone for portable radio terminal
US09/436,290 US6397087B1 (en) 1998-11-07 1999-11-08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of a built-in type ear-microphone for portable radio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904A KR100557155B1 (ko) 1998-11-07 1998-11-07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 접속을제어하기 위한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731A KR20000031731A (ko) 2000-06-05
KR100557155B1 true KR100557155B1 (ko) 2006-06-07

Family

ID=19557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904A KR100557155B1 (ko) 1998-11-07 1998-11-07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 접속을제어하기 위한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1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644B1 (ko) * 2004-01-06 2007-03-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오디오 경로 변환 장치 및 방법
KR100827305B1 (ko) * 2006-08-23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N113503902A (zh) * 2021-05-12 2021-10-15 四川物可智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传感器可靠接入检测指示电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5946A (en) * 1979-05-16 1981-06-30 Mitch Manina Electrical connecting plug
US5522738A (en) * 1994-09-18 1996-06-04 Thomas E. Dorn Electrical connector jack
JPH08288899A (ja) * 1995-04-11 1996-11-01 Saitama Nippon Denki Kk 携帯電話機
KR19980042355U (ko) * 1996-12-24 1998-09-25 배순훈 헤드폰 삽입시 muting 회로
KR19990043317A (ko) * 1997-11-29 1999-06-15 윤종용 잡음이 없는 폰잭을 갖는 컴퓨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5946A (en) * 1979-05-16 1981-06-30 Mitch Manina Electrical connecting plug
US5522738A (en) * 1994-09-18 1996-06-04 Thomas E. Dorn Electrical connector jack
JPH08288899A (ja) * 1995-04-11 1996-11-01 Saitama Nippon Denki Kk 携帯電話機
KR19980042355U (ko) * 1996-12-24 1998-09-25 배순훈 헤드폰 삽입시 muting 회로
KR19990043317A (ko) * 1997-11-29 1999-06-15 윤종용 잡음이 없는 폰잭을 갖는 컴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731A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99721A2 (en) Device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built-in type ear-microphone for portable radio terminal
KR101607899B1 (ko) 감소된 크로스토크 잡음을 가진 집적 헤드셋 스위치를 위한 방법 및 장치
EP0606996B1 (en) Transmitter-receiver
US8111841B2 (en) Audio input/output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input/output functions
US9099967B2 (en) Increasing ground noise rejection in audio systems
US8064613B1 (en) Electret microphone detection using a current source
US7340284B2 (en) Device for connecting ear-microphone to mobile phone through interface connector thereof
KR2011004035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어폰 인식 회로 장치
JP2002152365A (ja) 移動端末装置及びヘッドセット
KR20070022442A (ko) 이어폰 삽입 순간의 팝업 노이즈 차단 기능을 가진이동통신 단말기
KR10055715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 접속을제어하기 위한 회로
KR100630205B1 (ko) 이어폰 플러그 연결 여부 검출장치
KR100454940B1 (ko) 이어 마이크로폰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오디오경로 연결 장치
KR200364672Y1 (ko) 이어폰 접속단자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KR200226159Y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93812B1 (ko) 리모콘 스위치 증가장치 및 방법
CN212324133U (zh) 一种电子设备
KR200309139Y1 (ko) 휴대 전화 핸즈프리기능이 내장되고 컴퓨터와 USB Port로연결되는 헤드폰세트
KR200218635Y1 (ko) 마이크 입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JP3878884B2 (ja) ジャック回路、これを利用する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電話機
KR100258218B1 (ko) 플러그 접속장치 및 방법
KR200298949Y1 (ko) 다중 접속이 가능한 핸드프리 어댑터
KR100322049B1 (ko) 시분할다중접속방식 휴대단말기의 내장형 이어폰 장치
KR20010019637A (ko) 헤드셋 제어 장치
KR200359332Y1 (ko) 전화기용 핸즈프리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