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550B1 - 아키텍처와 로직옵션을 정합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아키텍처와 로직옵션을 정합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550B1
KR100628550B1 KR1020037002394A KR20037002394A KR100628550B1 KR 100628550 B1 KR100628550 B1 KR 100628550B1 KR 1020037002394 A KR1020037002394 A KR 1020037002394A KR 20037002394 A KR20037002394 A KR 20037002394A KR 100628550 B1 KR100628550 B1 KR 100628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ata
output
circuit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4890A (ko
Inventor
딘디. 갠스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filed Critical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Publication of KR20030024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15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 G11C7/1045Read-write mode selec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6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 G06F13/167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using bus widt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10Aspects relating to interfaces of memory device to external buses
    • G11C2207/104Embedded memory devices, e.g. memories with a processing device on the same die or ASIC memory desig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직회로를 이용하여 메모리 디바이스의 복수개의 버스 폭 구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로직회로는 복수의 메모리어레이(33,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각기 연결되는 복수의 입출력회로(31, 33)와, 입출력회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속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드레스 선택 데이터 패스를 포함한다. 어드레스 선택 데이터 패스에 전송되는 신호는 복수의 어레이 중 입출력회로를 통해 억세스할 하나의 데이터 패스를 선택한다. 넓은 버스 폭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입출력회로는 데이터 버스라인에 접속된다. 좁은 버스 폭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 입출력회로들 일부가 데이터버스 라인에 접속되며, 복수개의 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는 입출력회로 중 일부를 통해 출력되는데, 메모리어레이 입력에 따른 출력으로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버스, 데이터 패스, 버스 폭

Description

아키텍처와 로직옵션을 정합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ARCHITECTURES WITH LOGIC OPTION}
본 발명은 단일의 반도체칩에 마련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상호 상이한 버스 폭 아키텍처(architecture)를 정합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직옵션회로를 이용하여 메모리 디바이스의 복수의 버스 폭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및 다른 프로세서 시스템을 위한 메모리 서브시스템은, 단일 메모리디바이스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큰 저장용량과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해 공통 버스에 많은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하나 이상의 집적회로 칩이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며, 메모리 디바이스들이 데이터버스와 연결되도록 해준다. 데이터버스는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다른 시스템 장치 예컨데, 프로세서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용이하게 한다.
데이터버스는 통상적으로, 한정된 개수의 데이터 패스로 구성되며, 상기 한정된 개수를 일반적으로 "버스 폭"이라고 칭한다. 대부분의 메모리 서브시스템들에서, 버스 폭은 미리 설정된 고정된 값이며, 이는 메모리 디바이스들의 각각이 상기 미리 설정된 버스 폭의 데이터버스를 사용하여만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집적회로 칩을 설계하여 개발하는 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칩 공급자들은 대개의 경우, 다양한 아키텍처나 구조(configuration)를 갖는 단일의 칩을 설계하여 생산할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설계의 칩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대량 생산되어 사용되어 규모의 경제와, 다른 비용절감 생산기술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칩은, 공정의 종료 후 또는 근방에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형태로 될 것이다.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칩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간에 차이나는 공통 파라메터는 메모리 서브시스템의 데이터버스 폭이다. 일부 전형적인 메모리서브시스템은 18비트의 데이터버스 폭을 사용하고, 다른 것들은 36비트나 72비트까지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형적인 값들은 필수적이지 아니 하며, 어떤 비트수든지 데이터버스 폭에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버스 폭을 갖는 다양한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대량 생산하기 위하여, 칩 공급자들은 대개의 경우 몇몇 버스 폭 구조 중 하나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 및 데이트 수신이 가능한 단일 칩을 설계하여 제조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 칩은, 후속 제조공정에 의해 구조화되는 방법에 따라 72비트 또는 36비트의 버스 폭을 갖는 데이터버스와 접속되도록 설계된다.
칩을 다양하게 구조화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을 통상 "옵션(option)"이라 칭한다. 전형적인 종래의 옵션으로서 "본드(bond)", "비아(via)" 및 "메탈(metal)"옵션을 예시할 수 있다. 본드, 비아 및 메탈 옵션 각각은 메모리 디바이스의 하드웨어적인 배선의 상이한 방법들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특정 로직회로와 데이터 패스를 활성화하여 상기 칩을 상기 선택된 구조에 따라 동작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레이저 옵션은, 36비트의 폭을 갖는 데이터버스와 접속될 때 칩의 메모리 디바이스가 정상 동작하도록 하는 칩 회로의 해당 부분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칩 상의 레이저 퓨즈를 끊어버리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형적인 메탈 옵션은 72비트의 폭을 갖는 데이터버스와 연결되었을 때 칩의 메모리 디바이스가 정상 동작하도록 하는데 충분한 전기적 배선을 형성하기 위해, 칩 상의 특정영역에 소량의 도전성 금속을 증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드, 비아 및 메탈 옵션은 일반적으로 게이트 및/또는 멀티플렉싱 회로를, 데이터출력 속도가 메모리 디바이스의 동작에 매우 중요한 패스에 추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게이트 및/또는 멀티플렉싱 유니트는 통상 속도제한을 가지고 있어, 이들의 사용을 덜 바람직하게 한다. 또한, 본드, 비아 및 메탈 옵션은 대개의 경우, 복원될 수 없는데, 이는 하나의 구조에 사용되도록 한번 결정된 경우, 그 칩은 이후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도록 다시 구조를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군다나, 비아 및 메탈 옵션에는 일반적으로 칩 제조의 마지막 또는 칩 제조에 바로 이어서 구조가 결정되는 것이 요구되어, 구조 옵션에 대한 사용자 재량권을 감소시키고 유연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버스 폭 구조를 언제든지 제공할 수 있고, 구현된 옵션을 용이하게 복원하며, 속도제한을 최소화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옵션을 위한 설계를 개발할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본 발명은 로직회로를 이용하여 메모리 디바이스의 복수의 버스 폭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로직회로는, 사용자에 의해 또는 특정화된 제어로직 회로 및 유용한 버스 폭을 선택하기 위한 데이터 패스를 이용한 메모리시스템에 의해, 유용한 버스 폭 구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변경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특정화된 제어로직 회로는 데이터 패스에 가중되는 어떠한 속도제한이든지 최소화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의 센스 증폭기회로에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복수의 메모리어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각기 연결되는 복수의 입출력회로와, 상기 입출력회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드레스 선택 데이터 패스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메모리어레이 데이터는 희망하는 버스폭에 따라 입출력회로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통해 억세스된다. 넓은 버스 폭 구조의 경우, 각각의 입출력회로의 출력패스는 메모리시스템 데이터버스의 버스라인에 연결된다. 좁은 버스 폭 구조의 경우, 입출력회로의 일부의 출력패스만이 메모리시스템 데이터버스의 버스라인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서는, 로직회로를 제공하되, 제1 데이터 버스 폭은, 제1 선택신호가 어드레스 선택 데이터 패스에 수신될 경우 복수의 입출력회로를 통하여 메모리어레이 데이터에 억세스하도록 사용되고, 제2 데이터 버스 폭은, 제2 선택신호가 어드레스 선택 데이터 패스에 수신될 경우, 복수의 입출력회로를 통한 메모리어레이 데이터에 억세스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서는, 로직회로를 제공하되, 각각의 입출력회로가 하나 이상의 메모리어레이의 데이터를 억세스하기 위한 데이터 패스와, 입출력회로에 의해 억세스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어레이 중 어느 것인 가를 표시하는 선택 로직 유니트를 포함한다. 선택 로직 유니트는, 입출력회로에 의해 하나 이상의 메모리어레이 중 어느 것이 억세스되어야 하는 지에 대한 사용자 또는 시스템 선택을 위한 입력 선택로직 데이터 패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서는, 로직회로를 제공하되, 복수의 입출력회로가 제1 및 제2 입출력회로를 포함하고, 제1입출력회로가 제1메모리어레이의 데이터에 억세스하도록 연결되고, 제2입출력회로가 제2메모리어레이 또는 제1메모리어레이의 데이터에 억세스하도록 연결되며, 제1입출력회로의 입력 선택로직 데이터 패스가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출력데이터를 선택하고, 제2입출력회로의 입력 선택로직 데이터 패스가 제1메모리어레이 또는 제2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출력데이터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선택 데이터 패스에 연결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로직회로를 제공하되, 복수의 입출력회로가 제1입출력회로 및 제2입출력회로를 포함하고, 제1입출력회로가 제1메모리어레이의 데이터에 억세스하도록 연결되고, 제2입출력회로가 제2메모리어레이의 데이터 또는 제1입출력회로를 통하여 제1메모리어레이의 데이터에 억세스하도록 연결되고, 제1입출력회로의 입력 선택로직 데이터 패스가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출력데이터를 선택하고, 제2입출력회로의 입력 선택로직 데이터 패스가 제1메모리어레이 또는 제2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선택 데이터 패스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는 제1입출력회로에 의해 또는 제1입출력회로를 통과한 후 제2입출력회로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입출력회로는 고정된 데이터버스 폭을 갖는 데이터버스에 연결되고, 입출력회로는 고정된 데이터버스 폭에 사용되도록 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의 넓은 버스 폭을 갖는 구조에서, 어드레스 선택 데이터 패스는 제2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제2입출력회로로부터의 출력으로서 선택하고, 제1입출력회로 및 제2입출력회로는 모두 데이터버스에 연결된다. 제2의 좁은 데이터버스 폭을 갖는 구조에서, 어드레스 선택 데이터 패스는 제1메모리어레이 및 제2메모리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제2입출력회로로부터의 출력으로서 선택하고, 단지 제2입출력회로만이 데이터버스에 연결된다.
본발명의 이러한 효과 및 다른 효과와 특징들은 이하 참조도면을 통한 상세한 설명에 따라 더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메모리 디바이스의 구조를 선택하기 위한 종래의 옵션 회로의 개략적인 회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요소와 구성방법을 구현한 메모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회로불럭도,
도 3은 도 2의 회로의 일 영역의 개략적인 회로블럭도,
도 4는 도 3의 회로의 일 영역의 개략적인 회로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요소와 구성방법을 구현한 메모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회로블럭도,
도 6은 도 5의 회로의 일 영역의 개략적인 회로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방법과 회로요소를 사용한 프로세서 시스템이고,
도 8은 도 2의 회로의 일 영역의 개략적인 회로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버스 폭 구성의 선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메모리 서브시스템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이머리 출력 데이터 패스 내의 하드웨어적인 배선과 멀티플렉서를 사용하는 하나 또는 또 다른 유용한 버스폭 구조 옵션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옵션 회로(2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옵션 회로(20)는 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출력 데이터 패스에 적어도 하나에 위치한 메모리디바이스내에 마련된다. 도 1은 각기 상이한 두개의 메모리어레이 Array0, Array1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사이에서 메모리 디바이스의 출력을 스위칭하기 위한, 한 쌍의 멀티플렉서(23, 25)와, 출력버퍼(27)와, 인버터(21)를 도시하고 있다. 하드웨어적인 배선의 신호인 X36_address에 기초하여, 멀티플렉서(23, 25)의 출력은, (a) X36_address가 로우(디지털 "0")일 경우 Array0로부터의 데이터와, (b) X36_address가 하이(디지털 "1")일 경우 Array1로부터의 데이터 사이에서 스위치된다. 멀티플렉서(23, 25)로부터의 출력은 X36_address신호에 따라 Array0 또는 Array1의 데이터를 메모리 디바이스에 추가된 데이터버스에 유용하도록 하기 위해 출력버퍼(27)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본드, 비아 또는 메탈 옵션을 갖는 통상적인 메모리 디바이스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두개의 회로가 메모리어레이와 데이터버스 간의 데이터 패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의 두개 회로의 각각은 메모리어레이 Array0와 메모리어레이 Array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의 넓은 버스 폭을 사용하는 메모리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해, 도 1의 제1회로의 X36_address 데이터 패스가 하이(디지털"1")로 하드웨어적으로 배선되고, 도 1의 제2회로의 X36_address 데이터 패스는 로우(디지털"0")로 하드웨어적으로 배선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제2의 좁은 버스 폭을 사용하는 메모리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해, 도 1의 제1회로의 X36_address 데이터 패스는 어느 어레이의 데이터(Array0 또는 Array1의 데이터)의 출력을 원하는가에 따라 하이와 로우로 상호 절환되고, 도 1의 제2회로는 무시되어 데이터버스에 추가되지 아니한다. 이런 하드웨어적인 배선방법은 레이저퓨즈를 단락시키거나(본드 옵션), 금속 연결을 사용하거나(메탈 옵션), 또는 당 분야에 알려진 다른 하드웨어적인 배선기술(예: 비아 옵션)을 사용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제1의 넓은 버스폭 구조는 도 1의 제1회로가 Array1의 데이터를 데이터버스의 제1 영역(예: 제1의 36개 데이터 패스로)으로 전송하도록 하고, 도 1의 제2회로가 Array0의 데이터를 데이터버스의 제2 영역(72개 데이터 패스 또는 비트의 마지막 버스 폭을 위한 제2의 36개 데이터 패스로)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제2의 좁은 버스폭 구조는 도 1의 제1회로가 Array0 및 Array1 양쪽으로부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중신호(multiplexed signal)를 데이터버스(예: 버스의 36개 데이터 패스 또는 비트로만)로 전송하도록 하고, 도 1의 나머지 회로는 사용되지 아니한다.
상술한 예에서, 멀티플렉서(23, 25)는 메모리어레이의 출력 데이터 패스에 구비된다. 상기 멀티플렉서는 그 안에서 데이터 출력의 속도저하를 야기하는데, 예를 들어 메모리 디바이스의 리드(READ)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어레이로부터 출력버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은, 멀티플렉서 회로로 인한 추가적인 딜레이 증가로 증가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옵션 회로와는 반대로, 본 발명은 데이터 패스에 멀티플렉서를 포함하지 아니한다. 대신, 본 발명은 레벨 트랜스레이션 및 센스 증폭 회로에 내장된 제어로직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어로직은 멀티플렉서보다 구현이 간단하고, 출력 데이터 패스의 디레이 증가를 최소화하며, 추가적인 회로요소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시스템에 유연성을 부여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직 회로(30)의 개략적인 회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두 개의 메모리어레이인 Array0(32) 및 Array1(34)과, 두 개의 입출력회로(31, 33)를 가지며, 입출력회로(31, 33)는 각기 마련되는 센스 증폭 및 레벨 트랜스레이션 모듈(36, 42)과, 각각의 선택 로직 유니트(38, 44)를 갖는다. 각각의 입출력회로(31, 33)는 상호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두개의 메모리어레이로 연결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 패스를 포함한다. 그러나, 제2입출력회로(33) 만이 양쪽 메모리어레이 Array0(32) 및 Array1(34)에 모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입출력회로(31)는 메모리어레이 Array0(32)에만 연결되는 반면, 입출력회로(33)은 메모리어레이 Array0(32) 및 Array1(34) 모두에 연결된다. 제1입출력회로(31)의 나머지 입력 데이터 패스는 기준전압(35)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예는 두개의 버스 폭 구조를 지원하는데, 버스 폭은 메모리시스템 데이터버스의 데이터 패스의 개수를 칭한다. 제1의 넓은 폭 버스 구조를 선택하기 위해, X36_address 입력신호는 하이가 된다. 그 다음에, 메모리시스템 데이터버스의 버스라인은 양쪽 입출력회로(31, 33)의 DOout데이터 패스에 연결된다. 제2의 좁은 폭 버스 구조를 선택하기 위해, X36_address 입력신호는 어떤 메모리어레이가 현재 데이터버스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선택되었는가에 좌우하여, 때에 따라 하이와 로우로 상호 절환된다. 그 다음에, 좁은 폭을 갖는 메모리시스템 데이터버스의 버스라인은 제2입출력회로(33)의 DOout데이터 패스에만 연결된다.
선택로직 유니트(38, 44)는 각기 입력 선택로직 데이터 패스를 가지고 있다. 선택로직 유니트(44)의 입력 선택로직 데이터 패스는 사용자 또는 시스템 조정 입력신호 X36_address에 연결되고, 선택로직 유니트(38)의 입력 선택로직 데이터 패스는 접지된다(즉, 하드웨어적으로 로우(디지털 "0")로 배선된다). X36_address신호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데이터버스 폭 구조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선택로직 유니트(38, 44)는 단일 입력선택신호를, 유용한 데이터어레이당 1개인 p-채널 트랜지스터들(이하 도 4와 함께 설명됨)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신호로 트랜스레이트(translate)하는 간단한 회로요소(circuit element)를 포함한다. 도 8은 선택로직 유니트(44)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입력 선택로직 데이터 패스가 X36_address에 연결된 선택로직 유니트(44)의 간단한 구현 예를 도시한 것이다. 선택로직 유니트(44)의 출력은 SA0와 SA1이고, 이들은 해당 메모리어레이 데이터가 각각의 입출력회로(31, 33)로부터의 출력으로서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디지털적으로 표시한다. 도 8의 구현 예에서, SA0는 단순히 입력 X36_address신호이고, SA1은 인버터(82)를 통해 전달된 동일한 신호이다. 이러한 구현은 입출력회로(31, 33)로부터의 동시출력에 대해, 오직 하나의 메모리어레이만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출력신호 SA0 및 SA1은 p-채널 트랜지스터(도 4의 p-채널 트랜지스터(78) 참조)의 게이트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입력신호 X36_address가 로우(디지털 "0")일 경우, 출력신호 SA0는 로우(디지털 "0")로 비활성화되고 동시에 출력신호 SA1은 하이(디지털 "1")로 전송된다. 반면에, 입력신호 X36_address가 하이(디지털 "1")일 경우, 출력신호 SA1는 로우(디지털 "0")로 비활성화되고 동시에 출력신호 SA0는 하이(디지털 "1")로 전송된다.
도 3은 센스 증폭 및 레벨 트랜스레이션 모듈(36, 42)의 각각에 포함된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모듈(36, 42)의 입력 데이터 패스는 센스증폭기회로(54)에 연결된 레벨트랜스레이터회로(52)와 연결된다. 간단한 블록 선택 회로(56, 58, 62)는 메모리시스템이 메모리 디바이스의 구동을 명령하였을 경우 출력을 활성화한다. 블록 선택 회로(56, 58, 62)는 블록선택신호가 하이(디지털 "1")로 활성화 되었을 경우 출력 데이터 패스를 활성화며, 이에 따라 메모리어레이 데이터가 센스증폭기회로(54)로 전달되게 한다.
출력데이터 패스 DO 및 /DO는 상호 상이한 신호이며, 이에 따라 DO신호와 그 컴프리먼트 신호인 /DO가 상호 연결될 경우(예를 들어, p-채널 트랜지스터(62)의 게이트가 액티브되지 아니할 경우), 비활성화된다. 블록 선택 신호 및 관련 회로는 데이터신호의 상이한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포함되어 있다.
레벨 트랜스레이터 회로(52)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메모리어레이 Array0(32) 및 Array1(34)의 각각의 데이터버스에 대응되는 복수의 레벨 컨버터(72a - 72d)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레벨컨버터(72a - 72d)는 해당 메모리어레이 데이터 패스로 전송된 데이터를 센스증폭기(54)로 전송하기에 적합한 전압 레벨과, 데이터버스의 최종 출력으로 변환시킨다. 각 레벨 컨버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세 개의 트랜지스터(74, 76, 78)을 포함한다. 블록선택 회로 또한 출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레벨 트랜스레이터 회로(52)에 마련된다.
예를 들어, 레벨 컨버터(72a)에서는, SA0가 로우로 비활성화되면, p-채널 트랜지스터(78)의 게이트가 활성화되고, 이로 인해 Array0(data0)로부터의 데이터가 n-채널 트랜지스터(74, 76)로 전송된다. 동시에 n-채널 트랜지스터(76)의 게이트는 SA0신호의 로우상태로 인해 비활성화되고, 이로 인해 Array0의 데이터 패스는 그라운드와의 연결이 끊어진다. 대신에, Array0(data0)으로부터의 데이터 비트는 n-채널 트랜지스터(74)의 게이트를 제어한다. 이때, n-채널 트랜지스터(74)의 게이트는 Array0 데이터(data0)의 데이터 값(디지털 "0" 또는 "1")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고, 기준전압(73)은 출력 데이터 패스 DO와 접속되거나 단락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선택된 데이터 패스의 데이터는 어레이 출력 데이터 패스의 전압레벨에서 기준전압(73)의 전압레벨로 변환된다. data1의 데이터 패스는 SA1신호에 따라 유사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각각의 레벨컨버터(72a - 72d)는 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출력데이터(예: data0 및 data1)를 변환하기 위해 상기 방법으로 동작한다.
도 2 내지 도 4 및 도 8의 실시예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원하는 버스 폭 구조에 따라 입출력회로(31,33) 모두를 통하거나 입출력회로(33)만을 통하여 메모리어레이 Array0(32) 및 Array1(34)로부터의 데이터출력을 가능케 한다. 입출력회로(33)는 메모리어레이 Array0(32) 및 Array1(34) 모두와 연결되나, 넓은 버스 폭의 구조에서, 오직 Array0(34)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각각의 입출력회로(31, 33)는 입력(예: 하나의 어레이에서 또다른 어레이까지) 사이에서 출력을 스위칭하도록 하는 레벨컨버터(72a-72d)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블록도이다.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메모리어레이 Array0(32)와 Array1(34)와, 입출력회로(31', 33')를 포함한다. 각각의 입출력회로(31', 33')는 단일 메모리어레이와 연결되는 데이터 패스를 갖는다. 예를 들어, 입출력회로(31')는 메모리어레이 Array0(32)와 연결되고, 입출력회로(33')은 메모리어레이 Array1(34)와 연결된다.
입출력회로(31', 33')는 또한 해당 메모리어레이로부터 다른 입출력회로(33', 31')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패스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입출력회로(31', 33')는 데이터 패스 "nextdoin" 및 "tonextdo"를 포함한다. nextdoin 데이터 패스는 다른 입출력회로를 통해 전송된 어레이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 패스이다. tonextdo 데이터 패스는 어레이데이터를 다른 입출력회로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데이터 패스이다.
도 5에서, 입출력회로(31', 33')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제1입출력회로(31')의 tonextdo 데이터 패스는 제2입출력회로의 nextdoin 데이터 패스와 연결된다. 이러한 상호 연결은 Array0(32)로부터의 데이터가 제1입출력회로(31')를 통해 제2입출력회로(33')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는, 제2입출력회로(33')가 Array0(32) 또는 Array1(34)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예는 두개의 버스 폭 구조를 가능케 한다. 제1의, 넓은 폭의 버스 구조를 선택하기 위해, X36_address 입력신호가 로우로 제공되고 버스는 양쪽 입출력회로(31', 33')의 DOout데이터 패스에 연결된다. 제2의, 좁은 폭의 버스 구조를 선택하기 위해, X36_address 입력신호는 어떤 메모리어레이가 그 데이터를 데이터버스로 출력할 것인가에 따라, 하이와 로우로 다양하게 변화하고, 버스는 제2입출력회로(33)의 DOout데이터 패스에만 연결된다.
입출력회로(31', 33')의 각각은 상호 동일하게 구성을 가지며 도 6에 도시된 회로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SAshift 데이터 패스는 p-채널 트랜지스터(102, 112)의 게이트와 연결되고, 인버터(106)를 통해 p-채널 트랜지스터(104, 114)의 게이트와 연결된다. 또한, 입출력회로가 구동을 위해 선택될 경우, 출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블록선택회로가 포함된다.
SAshift가 로우(디지털 "0")일 경우, p-채널 트랜지스터(102, 112)는 메모리어레이 데이터 패스 ArrayData를 데이터버스로의 출력을 위한 센스증폭기(54)와 연결한다. 또한, SAshift신호가 하이(디지털 "1")인 경우, 인버터(106)의 출력은 p-채널 트랜지스터(104, 114)가 "nextdoin"데이터 패스를 데이터버스로의 출력을 위한 센스증폭기(54)와 연결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입출력회로(33')의 "nextdoin" 데이터패스는 제1입출력회로(31')의 "tonextdo"데이터 패스와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입출력회로(31', 33')의 "tonextdo"데이터 패스는 ArrayData데이터 패스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입출력회로(33')의 nextdoin데이터 패스는 Array0(32)의 출력 데이터 패스와 연결된다. 제2입출력회로(33)의 SAshift데이터 패스는 X36_Address신호와 연결되기 때문에, 제2입출력회로(33')의 출력은, X36_Address신호가 하이 및 로우 값으로 변동됨에 따라, 메모리어레이 Array0(32) 및 Array1(34)의 출력을 선택한다.
그러나,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출력회로(31')의 "nextdoin"데이터 패스는 기준전압(122)과 연결되고, 이에 따라 제1입출력회로(31')는 메모리어레이들을 선택하는데 사용되지 아니한다. 입출력회로(31')는, 메모리 디바이스가 제1의 넓은 버스 폭 구조를 갖거나(예: Array0(32)의 데이터가 데이터버스에 직접 전달됨), 또는 제2의 좁은 버스 폭 구조를 갖는 경우(예: Array0(32)의 데이터가 제2입출력회로(33')로 전송됨)에도, 메모리어레이 Array0(32)만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방법과 장치에 따른 로직회로와 선택방법을 적용한 프로세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컴퓨터시스템(200)과 같은 프로세서 기반의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중앙처리장치(CPU)(102), 예를 들어, 시스템 버스(222)를 통해 하나 이상의 입출력장치(212, 214, 216)와 통신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시스템버스(222)는 입출력회로(31, 33)와 관련된 메모리 서브시스템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기도 한다. 컴퓨터시스템(200)은 또한 램(RAM: Random Access Memory)(218)과, 롬(ROM: Read Only Memory)(220)을 포함하며, 이 경우의 컴퓨터시스템은 버스(222)를 통해 프로세서(202)와 통신하는,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204), 하드 드라이브(206), 디스플레이(208) 및 씨디(CD)롬 드라이브(210)와 같은 주변장치를 포함한다. 램(218)은 도 2 내지 6 및 8에 따른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여 바람직한 메모리 서브시스템 데이터버스 폭 구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는 로직옵션 선택 회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서, 메모리시스템은 도 2 내지 도 6 및 도 8에 따른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여 바람직한 메모리 서브시스템 데이터버스 폭구조를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로직옵션 선택회로를 가진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메모리시스템 내에서, 복수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모듈로 마련된다. 바람직한 구조로는, 메모리시스템이 복수의 메모리 모듈들을 포함하며, 이 메모리 모듈들은 도 2 내지 도 6 및 도 8에 따른 로직옵션 선택 회로가 구성된 복수의 메모리 디바이스를 각각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일 실시 예로서 구현되어 설명 및 도시된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과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대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오직 첨부된 청구범위의 요지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74)

  1. 복수의 데이터버스 폭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메모리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는 로직회로에 있어서,
    복수의 메모리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며 제1 및 제2버스 폭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는 제어로직회로; 및
    메모리어레이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스 증폭기 회로 사이에 구비된 레벨 트랜스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메모리어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센스 증폭기 회로로 전달될 때 상기 제어로직회로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직회로.
  2. 복수의 데이터버스 폭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메모리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는 로직회로에 있어서,
    복수의 메모리어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각각 연결되고, 복수의 데이터버스 폭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입출력회로;
    상기 입출력회로의 데이터 패스에 구비된 레벨 트랜스레이터; 및
    상기 제1 및 제2버스 폭 구조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회로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버스 폭 구조에서, 상기 제1입출력회로가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2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제2버스 폭 구조에서, 상기 제1입출력회로는 데이터를 출력하지 아니하고 상기 제2입출력회로는 상기 제1및 제2 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직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1 및 제 2 버스 폭 구조 중 하나를 사용하도록 설정하기 위해, 어드레스 신호를 전달하는 어드레스 선택 데이터 패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직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컨트롤신호는,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1 및 제2 버스폭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상기 회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직회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2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일 선택값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상기 신호는,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 및 제2메모리어레이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선택값들 간에 스위치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직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선택값은, 상기 로직회로가 제1의 넓은 데이터버스 폭을 가지는 제1데이터버스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에 사용되고, 상기 스위칭 선택값은, 상기 로직회로가 제2의 좁은 데이터버스 폭을 가지는 제2데이터버스에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직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버스 폭은 상기 제2데이터버스 폭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직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배의 정수값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직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버스 폭은 72비트이고 상기 제2데이터버스 폭은 36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직회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출력회로는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입출력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어레이 양자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직회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출력회로는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입출력회로는 상기 제2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와, 상기 제1입출력회로를 통한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직회로.
  12. 삭제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입출력회로는 버스 라인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센스증폭기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직회로.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회로의 각각은, 상기 입출력회로의 출력을 제1 및 제2 데이터입력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스위치하는 회로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직회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요소는 상기 어드레스 입력 데이터 패스에 수신된 선택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직회로.
  16. 삭제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트랜스레이터는, n-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해당 어레이 데이터 입력 패스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연결된 p-채널 트랜지스터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레벨 컨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n-채널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및 제 2 메모리어레이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변환된 데이터를 해당 입출력회로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센스 증폭기에 기준전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직회로.
  18. 삭제
  19. 설정 가능한 버스 폭 구조를 갖는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메모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는,
    복수의 메모리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며 제1 및 제2버스 폭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는 제어로직회로; 및
    메모리어레이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스 증폭기 회로 사이에 구비된 레벨 트랜스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메모리어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센스 증폭기 회로로 전달될 때 상기 제어로직회로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20. 설정 가능한 버스 폭 구조를 갖는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메모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는,
    복수의 메모리어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각각 연결되고, 복수의 데이터버스 폭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입출력회로;
    상기 입출력회로의 데이터 패스에 구비된 레벨 트랜스레이터; 및
    상기 제1 및 제2버스 폭 구조에서 상기 제1및 제2 입출력회로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버스 폭 구조에서, 상기 제1입출력회로가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2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제2버스 폭 구조에서, 상기 제1입출력회로가 데이터를 출력하지 아니 하고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는 하나의 메모리모듈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해당되는 복수의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상기 메모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1 및 제2 버스 폭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도록 설정하기 위해, 어드레스 신호가 전달되는 어드레스 선택 데이터 패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25. 제 20 항에 있어서,
    컨트롤신호는,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1 및 제2 버스폭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상기 회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2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일 선택값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상기 신호는,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 및 제2메모리어레이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선택값들 간에 스위치되게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선택값은, 상기 로직회로가 제1의 넓은 데이터버스 폭을 가지는 제1데이터버스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에 사용되고, 상기 스위칭 선택값은, 상기 로직회로가 제2의 좁은 데이터버스 폭을 가지는 제2데이터버스에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버스 폭은 상기 제2데이터버스 폭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배의 정수값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버스 폭은 72비트이고 상기 제2데이터버스 폭은 36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3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출력회로는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입출력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어레이 양자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3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출력회로는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입출력회로는 상기 제2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와, 상기 제1입출력회로를 통한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33. 삭제
  3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회로의 각각은 버스 라인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센스 증폭기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3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회로의 각각은, 상기 입출력회로의 출력을 제1 및 제2 데이터입력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스위치하는 회로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요소는 상기 어드레스 입력 데이터 패스에 수신된 선택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37. 삭제
  38.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트랜스레이터는, n-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해당 어레이 데이터 입력 패스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연결된 p-채널 트랜지스터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레벨 컨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n-채널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및 제 2 메모리어레이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변환된 데이터를 해당 입출력회로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센스증폭기에 기준전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39. 삭제
  40. 프로세서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버스시스템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는 메모리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시스템은 버스폭 구조의 설정이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는;
    복수의 메모리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며 제1 및 제2버스 폭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는 제어로직회로; 및
    메모리어레이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스 증폭기 회로 사이에 구비된 레벨 트랜스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메모리어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센스 증폭기 회로로 전달될 때 상기 제어로직회로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시스템.
  41. 프로세서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버스시스템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는 메모리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시스템은 버스폭 구조의 설정이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는;
    복수의 메모리어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각각 연결되고, 복수의 데이터버스 폭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입출력회로;
    상기 입출력회로의 데이터 패스에 구비된 레벨 트랜스레이터; 및
    상기 제1 및 제2버스폭 구조에서 상기 제1및 제2 입출력회로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버스폭구조에서, 상기 제1입출력회로가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2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제2버스 폭 구조에서, 상기 제1입출력회로가 데이터를 출력하지 아니 하고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시스템.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1 및 제2 버스 폭 구조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도록 설정하기 위해, 어드레스 신호가 전달되는 어드레스 선택 데이터 패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시스템.
  43. 제 41 항에 있어서,
    컨트롤신호는,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1 및 제2 버스폭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상기 회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시스템.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2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일 선택값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상기 신호는,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 및 제2메모리어레이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선택값들 간에 스위치되게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시스템.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선택값은, 상기 로직회로가 제1의 넓은 데이터버스 폭을 가지는 제1데이터버스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에 사용되고, 상기 스위칭 선택값은, 상기 로직회로가 제2의 좁은 데이터버스 폭을 가지는 제2데이터버스에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시스템.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버스 폭은 상기 제2데이터버스 폭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시스템.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배의 정수값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시스템.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버스 폭은 72비트이고 상기 제2데이터버스 폭은 36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시스템.
  49.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출력회로는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입출력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어레이 양자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시스템.
  50.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출력회로는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입출력회로는 상기 제2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와, 상기 제1입출력회로를 통한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시스템.
  51. 삭제
  5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회로의 각각은 버스 라인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센스증폭기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시스템.
  5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회로의 각각은, 상기 입출력회로의 출력을 제1 및 제2 데이터입력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스위치하는 회로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시스템.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요소는 상기 어드레스 입력 데이터 패스에 수신된 선택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시스템.
  55. 삭제
  56.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트랜스레이터는, n-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해당 어레이 데이터 입력 패스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연결된 p-채널 트랜지스터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레벨 컨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n-채널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및 제 2 메모리어레이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변환된 데이터를 해당 입출력회로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센스증폭기에 기준전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프로세서 시스템.
  57. 삭제
  58. 복수개의 데이터버스 폭 구조를 갖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버스 폭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복수의 메모리어레이부터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선택적인 출력은, 상기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메모리어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센스 증폭기 회로로 전달되는 경우, 제어로직회로를 사용하여 구현되고, 상기 제어로직회로에 포함된 레벨 트랜스레이터는 상이한 입력신호를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스 증폭기 회로에 공급하고,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스 증폭기 회로는 출력 데이터 패스에 상이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운용방법.
  59. 복수개의 데이터버스 폭 구조를 갖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스 증폭기 회로에 상이한 입력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스 증폭기 회로가 출력 데이터 패스에 상이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제1버스 폭 구조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제1입출력회로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2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제2입출력회로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제2버스 폭 구조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어레이 중 선택된 하나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제2입출력회로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입출력회로에 연결된 어드레스 선택 데이터 패스에 컨트롤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버스 폭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도록 상기 제2입출력회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운용방법.
  60. 삭제
  61.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신호는,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2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일 선택값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상기 신호는,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 및 제2메모리어레이 중 선택된 하나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선택값들 사이에서 스위치되게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운용방법.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선택값은, 상기 로직회로가 제1의 넓은 데이터버스 폭을 가지는 제1데이터버스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에 사용되고, 상기 스위칭 선택값은, 상기 로직회로가 제2의 좁은 데이터버스 폭을 가지는 제2데이터버스에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운용방법.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버스 폭은 상기 제2데이터버스 폭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운용방법.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배의 정수값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운용방법.
  65.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버스 폭은 72비트이고 상기 제2데이터버스 폭은 36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운용방법.
  66.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출력회로는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입출력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어레이 양자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운용방법.
  67.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출력회로는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입출력회로는 상기 제2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와, 상기 제1입출력회로를 통한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운용방법.
  68.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회로의 각각은, 상기 입출력회로의 출력을 제1 및 제2 데이터입력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스위치하는 회로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운용방법.
  69.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요소는 상기 어드레스 선택 데이터 패스에 수신된 선택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운용방법.
  70.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출력회로에 의해 수신된 상기 선택값은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의 출력을 표시하기 위해 하드웨어적으로 배선되고, 상기 제2입출력회로에 의해 수신된 상기 선택값은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 또는 상기 제2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의 출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운용방법.
  71. 설정 가능한 폭 구조를 갖는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메모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는,
    복수의 메모리어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연결되고, 제1 및 제2 데이터버스 폭 구조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입출력회로;
    상기 제1 및 제2버스폭 구조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회로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로서, 상기 제1버스폭구조에서, 상기 제1입출력회로가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2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제2버스 폭 구조에서, 상기 제1입출력회로가 데이터를 출력하지 아니하고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회로; 및
    어드레스 입력데이터 패스에 입력된 선택값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버스 폭 구조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회로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요소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회로는 상호연결되어 상기 제2 버스 폭 구조에서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가 상기 제1 입출력회로를 거쳐 상기 제2 입출력회로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72.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요소는 상기 선택값을 반전시키기 위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값은 어레이 데이터 입력 패스를 센스 증폭기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반전된 선택값은 통과어레이 데이터 패스를, 해당 입출력회로의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어레이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상기 센스 증폭기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시스템.
  73. 프로세서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버스시스템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메모리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시스템은 버스폭 구조의 설정이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는,
    복수의 메모리어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각각 연결되고, 제1 및 제2 데이터버스 폭 구조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입출력회로;
    상기 제1 및 제2버스폭 구조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회로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로서, 상기 제1버스폭구조에서, 상기 제1입출력회로가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2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제2버스 폭 구조에서, 상기 제1입출력회로가 데이터를 출력하지 아니하고 상기 제2입출력회로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회로; 및
    어드레스 입력데이터 패스에 입력된 선택값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버스 폭 구조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회로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요소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회로는 상호연결되어 상기 제2 버스 폭 구조에서 상기 제1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가 상기 제1 입출력회로를 거쳐 상기 제2 입출력회로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시스템.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요소는 상기 선택값을 반전시키기 위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값은 어레이 데이터 입력 패스를 센스 증폭기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반전된 선택값은 통과어레이 데이터 패스를,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어레이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데이터를 해당 입출력회로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상기 센스 증폭기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시스템.
KR1020037002394A 2000-08-18 2001-08-16 아키텍처와 로직옵션을 정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28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640,740 2000-08-18
US09/640,740 US6725316B1 (en) 2000-08-18 2000-08-18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architectures with logic option
PCT/US2001/025499 WO2002017081A1 (en) 2000-08-18 2001-08-16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architectures with logic op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890A KR20030024890A (ko) 2003-03-26
KR100628550B1 true KR100628550B1 (ko) 2006-09-26

Family

ID=2456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394A KR100628550B1 (ko) 2000-08-18 2001-08-16 아키텍처와 로직옵션을 정합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25316B1 (ko)
JP (1) JP4226898B2 (ko)
KR (1) KR100628550B1 (ko)
AU (1) AU2001283374A1 (ko)
WO (1) WO20020170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7533B2 (en) * 2000-11-29 2004-04-27 Fujitsu Limited Semiconductor apparatus having a large-size bus connection
US20030088799A1 (en) * 2001-11-05 2003-05-08 Bodas Devadatta V.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on of electrical component temperature and power consumption rate through bus width reconfiguration
JP2003208399A (ja) * 2002-01-15 2003-07-25 Hitachi Ltd データ処理装置
PE20040015A1 (es) * 2002-03-26 2004-01-29 Derhsing Lai Novedoso chip de circuitos integrados para ensayos biologicos
US6882590B2 (en) * 2003-01-29 2005-04-19 Micron Technology, Inc. Multiple configuration multiple chip memory device and method
US7280428B2 (en) 2004-09-30 2007-10-09 Rambus Inc. Multi-column addressing mode memory system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
US8595459B2 (en) 2004-11-29 2013-11-26 Rambus Inc. Micro-threaded memory
US20070094436A1 (en) * 2005-10-20 2007-04-26 Keown William F Jr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management in PCI express system
KR20070105779A (ko) * 2006-04-27 2007-10-31 엠텍비젼 주식회사 프로세스 기능을 갖는 메모리 장치 및 그 프로세스 방법
US20070260841A1 (en) 2006-05-02 2007-11-08 Hampel Craig E Memory module with reduced access granularity
KR100782594B1 (ko) 2006-07-14 2007-12-06 엠텍비젼 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기능을 구비한 메모리 장치
KR100805836B1 (ko) * 2006-07-26 200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버스 폭 설정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버스 폭 설정방법
US9268719B2 (en) 2011-08-05 2016-02-23 Rambus Inc. Memory signal buffers and modules supporting variable access granularity
US9037948B2 (en) 2013-03-13 2015-05-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rror correction for memory systems
US20160092383A1 (en) * 2014-09-26 2016-03-31 Kuljit S. Bains Common die implementation for memory devices
JP6230588B2 (ja) * 2015-12-25 2017-11-1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7305A (en) * 1982-06-30 1987-05-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ircuits for accessing a variable width data bus with a variable width data field
EP0299697B1 (en) 1987-07-15 1993-09-29 Hitachi,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5165037A (en) * 1988-09-09 1992-11-17 Compaq Computer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transferring of different widths of data using two different sets of address control signals
US5262990A (en) * 1991-07-12 1993-11-16 Intel Corporation Memory device having selectable number of output pins
JP2836321B2 (ja) * 1991-11-05 1998-12-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US5293381A (en) * 1992-03-27 1994-03-08 Advanced Micro Devices Byte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5504875A (en) 1993-03-17 1996-04-02 Intel Corporation Nonvolatile memory with a programmable output of selectable width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nonvolatile memory to switch between different output widths
US5991196A (en) 1997-12-16 1999-11-23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Reprogrammable memory device with variable page size
US6463031B1 (en) * 1998-12-03 2002-10-08 Nokia Mobile Phones Limited Rate determination technique that utilizes modified cumulative metrics to orthogonalize the rates
US6049501A (en) 1998-12-14 2000-04-11 Motorola, Inc. Memory data bus architecture and method of configuring multi-wide word memor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25316B1 (en) 2004-04-20
AU2001283374A1 (en) 2002-03-04
KR20030024890A (ko) 2003-03-26
WO2002017081A1 (en) 2002-02-28
JP2004517382A (ja) 2004-06-10
JP4226898B2 (ja)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550B1 (ko) 아키텍처와 로직옵션을 정합하는 방법 및 장치
US5625780A (en) Programmable backplane for buffering and routing bi-directional signals between terminals of printed circuit boards
US6810513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grammable interconnect array with configurable multiplexer
US8107311B2 (en) Software programmable multiple function integrated circuit module
US67923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ependent output driver calibration
US5949982A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switch protoco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53861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polarity and output type in a programmable logic device
JP2000201066A (ja)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デバイス構造
JPH05100850A (ja) パイプライン処理装置
US6847576B2 (en) Layout structures of data input/output pads and peripheral circuits of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US6557070B1 (en) Scalable crossbar switch
US6492853B1 (en) Master/slave method for a ZQ-circuitry in multiple die devices
JP3661979B2 (ja) 出力ドライバを共有する並列ビットテスト回路とこれを用いた並列ビットテスト方法、及びその半導体メモリ装置
KR880003326A (ko) 다방향 데이타 억세서 가능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970051297A (ko) 메모리 회로의 평행 출력 버퍼
KR10040031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회로
US5867053A (en) Multiplexed output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6633179B1 (en) Bidirectional signal control circuit
US715169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3167839A (ja) 半導体メモリ装置
KR100585117B1 (ko)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EP0929042B1 (en) Bus controller in a data processor
KR100745053B1 (ko) 출력 구동 회로
US6292013B1 (en) Column redundancy scheme for bus-matching fifos
US7463544B1 (en) Device programmable to operate as a multiplexer, demultiplexer, or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