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456B1 -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 - Google Patents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456B1
KR100628456B1 KR1020050017666A KR20050017666A KR100628456B1 KR 100628456 B1 KR100628456 B1 KR 100628456B1 KR 1020050017666 A KR1020050017666 A KR 1020050017666A KR 20050017666 A KR20050017666 A KR 20050017666A KR 100628456 B1 KR100628456 B1 KR 100628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laser beam
mirror
jump
m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519A (ko
Inventor
이상길
박거동
강성철
현병훈
권구철
김태정
이병규
소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Priority to KR1020050017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456B1/ko
Priority to PCT/KR2006/000443 priority patent/WO2006093378A1/en
Publication of KR20060098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은, 공진기로 광학신호를 출력하는 광학펌프와, 상기 공진기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을 소정 위치로 주사하는 갈바노 스캐너를 구비하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학신호가 상기 공진기로 출력한 때로부터 상기 공진기로부터 레이저 빔이 출력될 때 까지의 점프타임에 따른 레이저 빔의 출력의 지연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를 다음 마킹시작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가 다음 마킹 시작점으로 이동되는 상기 점프타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점프타임에 따른 상기 지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광학펌프를 가동하여 상기 공진기로 상기 광학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를 상기 지연시간 대기시키는 단계;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를 구동하며 마킹하는 단계;를 한다.

Description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Method of marking fiber laser marker}
도 1은 일반적인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광학 펌프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서 최초의 레이저 빔이 방출되는 지연시간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파이버 레이저 마커를 사용중 광학 펌프를 오프한 시간인 점프타임에 따른 레이저 빔의 방출의 지연시간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종래의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타이밍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파이버 레이저로 마킹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마킹방법이 적용되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 제어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지연시간 측정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프타임에 따른 지연시간의 측정결과를 플로트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마킹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에 따라 작업물에 마킹을 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마킹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50: 제어부 52: 광학 펌프
54: 공진기 56: 광센서
58: 비교부 60: 미러 구동부
본 발명은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갈바노 스캐너의 구동 및 레이저 빔의 방출 시점을 동기화시키는 마킹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이버 레이저 마커는 레이저 빔으로 문자등을 인쇄하는 장치로서 문자를 영구적으로 인쇄하므로 소형 제품의 로트 번호를 인쇄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산업체 전반에서 소형 부품에 문자를 인쇄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이저 발진기(1)로부터의 레이저 빔은 광통로인 광파이버 (2)를 통해서 레이저 헤드(3)로 이송된다. 레이저 헤드(3)에는 광파이버(2)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평행광으로 변환시키는 콜리메이터(4), 콜리메이터(4)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소정의 파장으로 증폭하는 공진기(5), 상기 공진기(5)에 연결되어서 소정 파장의 광을 상기 공진기(5) 내로 보내는 광학 펌프(10), 상기 공진기(5)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을 소정 위치로 주사하는 갈바노 스캐너(6)의 미러, 상기 갈바노 스캐너(6)의 미러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작업물(8) 상에 동일한 초점거리로 집속하는 f-세타 렌즈(7)를 구비한다. 레이저 헤드(3)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은 작업 테이블(9) 상의 작업물(8)에 조사되어서 문자를 마킹한다.
상기 공진기(5)의 양측에는 미도시된 파이버 브래그 그레이팅이 배치되어서 상기 공진기(5)에서 증폭된 레이저 빔의 특정 파장을 상기 갈바노 스캐너(6)로 보낸다.
상기 광학 펌프(10)는 미도시된 전기신호에 의해서 상기 공진기(5)로 광학 신호를 보낸다. 상기 광학 펌프(10)는 레이저 다이오드일 수 있다. 상기 광학 펌프(10)는 공진기(5)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빔을 온-오프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갈바노 스캐너(6)는 두 개의 미러(x 미러 및 y 미러)와, 상기 각 미러를 구도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갈바노 스캐너(6)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도 1의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광학 펌프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에 따라서 최초의 레이저 빔이 방출되는 지연시간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파수 20 kHz, 듀티 60% 조건에서, 사용하는 파이버 레이 저에 따라서, 동일한 전압에서도 지연시간이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파이버 레이저에서도 입력 전압이 변하면, 지연시간이 변한다.
도 3은 파이버 레이저 마커를 사용중 광학 펌프(10)를 오프한 시간인 점프타임에 따른 레이저 빔의 방출의 지연시간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점프타임은, 파이버 레이저 마커로 소정의 포인트들을 연속적으로 인쇄한 후, 다음 위치로 레이저 빔을 이동시킬 때, 광학 펌프(10)로부터의 광학신호를 오프하는 시간을 가리킨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하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 및 점프타임에 따라서 지연시간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일반적인 타이밍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레이저 마킹 중(t0-t1 기간)에 전기신호로 광학 펌프(10)를 작동시키면, 광학신호는 상기 전기신호에 동기되어서 출력된다. 도 4에서는 전기신호가 펄스 웨이브인 것을 보여주고 있다. 광학신호는 파이버 레이저의 공진기(5)로 입력된다. 이와 동시에 갈바노 스캐너(6)의 미러를 이동시키면서 마킹을 하게 된다.
이어서, t1에서, 다음 포인트로 미러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점프타임이 발생된다. 먼저, 갈바노 스캐너(6)의 미러를 움직이기 전에 미러를 안정화한다. 이 안정화 시간은 제1 점프 딜레이(JD1 = t2 - t1)이다. 이어서, 스캐너의 미러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캐너의 미러를 안정화시킨다. 이때의 안정화 시간은 제2 점프 딜레이(JD2 = t4 - t3)이다. 제2 점프 딜레이가 경과되면, 갈바노 스캐너(6)는 마킹준비가 완료된다. 즉 시간 t4에서 마킹준비가 된다.
한편, 갈바노 스캐너(6)의 마킹준비가 되었을 때(t4), 광학 신호를 공진기(5)로 출력하면, 점프타임(t4-t1)에 따른 시간 지연이 발생된다. 즉, 시간지연은 t5-t4 가된다. 따라서, 상기 시간지연 동안 레이저 빔은 방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스캐너 미러의 이동시간(t4-t1)은 일정하지만, 파이버 레이저의 지연시간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마킹시 문자가 마킹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될 수 있다.
도 5는 파이버 레이저로 마킹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라인을 마킹한 후, 다음 라인을 인쇄시 갈바노 스캐너(6)의 미러는 구동되는 데 레이저 빔이 방출되지 않아서 마킹이 되지 않은 부분이 발생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점프타임에 따른 레이저 빔의 지연시간을 고려한 마킹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 방법은:
공진기로 광학신호를 출력하는 광학펌프와, 상기 공진기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을 소정 위치로 주사하는 갈바노 스캐너를 구비하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학신호가 상기 공진기로 출력한 때로부터 상기 공진기로부터 레이저 빔이 출력될 때 까지의 점프타임에 따른 레이저 빔의 출력의 지연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를 다음 마킹시작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가 다음 마킹 시작점으로 이동되는 상기 점프타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점프타임에 따른 상기 지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광학펌프를 가동하여 상기 공진기로 상기 광학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를 상기 지연시간 대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를 구동하며 마킹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의 구동과 함께 상기 지연시간동안 지연된 상기 레이저빔이 동기되어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연시간 측정단계는:
상기 공진기로부터의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위치에 레이저 빔 검출장치를 배치하는 단계;
n 개의 점프타임을 정하는 단계;
상기 점프타임 경과시 마다 광학신호를 상기 공진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빔 검출장치로 상기 레이저 빔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빔이 검출된 때 및 상기 광학신호를 송신한 때 사이의 지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지연시간 측정단계는,
측정된 점프타임에 따른 상기 지연시간으로 룩업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을 포함하며,
상기 지연시간 계산단계는, 상기 룩업테이블을 조회하는 단계이다.
상기 레이저 빔 검출장치는 포토 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프타임은, 상기 스캐너의 미러를 안정화시키는 제1 점프 딜레이와, 상기 미러를 소정의 위치로 회전시키는 시간과, 상기 미러를 안정화시키는 제2 점프 딜레이를 합한 시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 방법은:
공진기로 광학신호를 출력하는 광학펌프와, 상기 공진기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을 소정 위치로 주사하는 갈바노 스캐너를 구비하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학신호가 상기 공진기로 출력한 때로부터 상기 공진기로부터 레이저 빔이 출력될 때 까지의 점프타임에 따른 레이저 빔의 출력의 지연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를 다음 마킹시작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가 다음 마킹 시작점으로 이동되는 상기 점프타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점프타임에 따른 상기 지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광학펌프를 상기 지연시간 보다 소정의 제1시간 적은 펄스가속시간 동 안 가동하는 단계;
상기 점프타임 경과시 상기 광학펌프를 가동하고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를 구동하면서 마킹을 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의 구동과 함께 상기 레이저 빔이 동기되어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마킹방법이 적용되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 제어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며, 도 1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50)는 광학 펌프(10)로 전기적 신호를 보낸다. 광학 펌프(52)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파이버 레이저의 공진기(54)로 광학신호를 출력한다. 공진기(54)에서는 레이저 매질(laser medium)에서 레이저 빔이 증폭되어서 레이저 빔을 출력한다. 레이저 헤드(3) 내에 설치하거나 또는 작업물(8)이 배치되는 작업대(9)에 설치된 광센서(56)는 상기 공진기(54)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을 검출한다. 상기 광센서(56)는 레이저 빔의 검출신호를 비교부(58)로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50)는 광학 펌프(52)로 상기 전기신호를 출력시 비교부(58)로 상기 전기신호를 동시에 출력한다. 비교부(58)는 제어부(5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와, 광센서(56)로부터의 광검출 신호 사이의 지연시간을 계산하여 제어부(50)로 출력한다. 제어부(50)는 상기 지연시간을 고려하여 갈바노 스캐너(6)의 미러 구동부(60)를 제 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지연시간 측정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공진기(54)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위치에 광센서(56), 예컨대 포토 다이오드를 배치한다(제101 단계). 광센서(56)를 작업대(9) 위에 배치할 수 있다. 파이버 레이저에 인가되는 전압, 주파수, 듀티비는 작업대상물에 따라 고유의 기술로 정한다.
측정할 복수의 점프타임을 정한다(제102 단계). 예컨대, 지연시간이 수렴되는 시간을 n 등분하여, 순차적으로 점프타임을 증가시킨다. 이때, 수렴하는 지연시간은 도 4를 참조하면, 4700 ~ 5000 ㎲ 일 수 있다.
반복수(icount)의 초기치를 "1" 로 한다(제103 단계).
소정의 시간 동안, 파이버 레이저로부터 레이저 빔을 방출시킨 후, 미리 정해진 점프타임 경과후, 제어부(50)는 광학 펌프(52)로 전기신호를 출력한다(제104 단계). 광학 펌프(52)는 상기 전기신호에 따라서 광학 신호를 공진기(54)의 레이저 매질(laser medium)에 출력한다. 제어부(50)는 연속파(continuous wave) 또는 펄스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광학 펌프(52)는 입력된 전기신호의 형태에 따른다. 이때 제어부(50)는 비교부(58)로 전기신호를 함께 출력한다.
광센서(56)는 공진기(54)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빔을 검출한다(제105 단계). 이어서 검출신호를 비교부(58)로 출력한다.
비교부(58)는 제어부(50)에서 전기신호를 광학 펌프(52)로 출력한 때부터 레 이저 빔 검출신호가 입력될 때 까지의 시간을 지연시간으로 하여 제어부(50)로 출력한다(제106 단계).
반복수(icount)가 n+1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제107 단계).
제 107 단계에서, 반복수(icount)가 n+1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103 단계를 수행한다. 제107 단계에서 반복수(icount)가 n+1 인 것으로 판단되면, 점프타임에 따른 시간지연 측정을 종료한다. 제어부(50)는 점프타임에 따른 시간지연을 룩업테이블(look-up table)로 저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프타임에 따른 지연시간의 측정결과를 플로트한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가로축은 점프타임이며, 세로축은 지연시간을 나타낸다. 점프타임이 길어짐에 따라서, 지연시간도 길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측정하지 않은 점프타임에 대해서는 내사법(interpolation)으로 계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의 플로우차트이며, 도 10은 마킹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레이저 마킹 중(t0 - t1 기간)에 전기신호로 광학 펌프(52)를 작동시키면, 광학신호는 상기 전기신호에 동기되어서 출력된다. 광학신호는 파이버 레이저의 공진기(54)로 입력되어서 거의 동시에 레이저 빔을 방출한다. 레이저 빔의 방출과 동시에 갈바노 스캐너(6)의 미러를 이동시키면서 마킹을 하게 된다. 시간 t0 ~ t1 은 마킹구간을 나타낸다. 시간 t1에서, 다음 마킹위치로 갈바노 스캐너(6)의 미러를 이동시킨다(제201 단계). 시간 t1에서, 다음 마킹 포인 트로 미러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점프타임이 발생된다. 먼저, 갈바노 스캐너(6)의 미러를 움직이기 전에 미러를 안정화한다. 이 안정화 시간은 제1 점프 딜레이(JD1 = t2 - t1)이다. 이어서, 스캐너의 미러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캐너의 미러를 다시 안정화시킨다. 이때의 안정화 시간은 제2 점프 딜레이(JD2 = t4 - t3)이다. 제2 점프 딜레이가 경과되면, 갈바노 스캐너(6)는 마킹준비가 완료된다. 즉 시간 t4에서 마킹준비가 완료된다.
갈바노 스캐너(6)의 미러가 마킹위치로 이동되면, 파이버 레이저를 다시 작동하기 전의 오프 타임, 즉 점프타임(t4-t1)을 계산한다(제202 단계).
점프타임에 따른 레이저 빔의 지연시간을 미리 계산한 룩업테이블로부터 정한다(제203 단계). 상기 지연시간(TD)은 도 10에서, TD = t5 - t4 가 된다. 이 때 내삽법을 사용하여 측정되지 않은 점프타임에 대한 지연시간을 구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펌프(52)를 가동한다(제204 단계).
상기 지연시간 대기후, 스캐너를 가동하면, 동시에 파이버 레이저로부터 레이저 빔이 방출된다(제205 단계). 따라서, 스캐너의 동작과 레이저 빔의 방출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에 따라 작업물에 마킹을 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점프타임 후, 다시 마킹시 초기 마킹부분도 정확하게 마킹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점프타임에도 불구하고 스캐너 미러의 구동과 레이저 빔의 방출이 동기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의 플 로우차트이며, 도 13은 마킹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시간 t0 ~ t1 은 마킹구간을 나타낸다. 시간 t1에서, 다음 마킹위치로 갈바노 스캐너(6)의 미러를 이동시킨다(제301 단계). 시간 t1에서, 다음 마킹 포인트로 미러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점프타임이 발생된다. 먼저, 갈바노 스캐너(6)의 미러를 움직이기 전에 미러를 안정화한다. 이 안정화 시간은 제1 점프 딜레이(JD1 = t2 - t1)이다. 이어서, 스캐너의 미러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캐너의 미러를 다시 안정화시킨다. 이때의 안정화 시간은 제2 점프 딜레이(JD2 = t4 - t3)이다. 제2 점프 딜레이가 경과되면, 갈바노 스캐너(6)는 마킹준비가 완료된다. 즉 시간 t4에서 마킹준비가 완료된다. 갈바노 스캐너(6)의 미러를 다음 마킹 시작점으로 이동한다(제301 단계).
이때, 갈바노 스캐너(6)의 미러를 다음 마킹 위치로 이동하여 다음 마킹을 할 때 까지의 스캐너 이동시간(t4 - t1)을 계산한다(제302 단계).
상기 이동시간을 점프타임으로 하여, 지연시간을 미리 계산한 룩업테이블에 조회하여 점프타임에 따른 지연시간을 구한다(제303 단계).
상기 이동시간 중에, 상기 지연시간(t4-t1) 보다 적은 시간의 펄스 가속시간(Pulse accelation: PA)(t7-t6) 동안 광학 펌프(52)를 가동시키고, 정지한다(제304 단계). 이때, 파이버 레이저로부터 레이저 빔이 방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펄스 가속시간이 끝나는 시간은 상기 지연시간이 완료되는 시점(t4)에서 소정시간, 예컨대 모듈레이션 주파수의 한 주기 시간을 뺀 시간(t7)이 된다.
상기 점프타임(t4 - t1)이 경과시, 다시 광학 펌프(52)를 가동하면서 마킹을 한다(제305 단계). 이때, 파이버 레이저로부터 레이저 빔이 지연시간 없이 방출되며, 스캐너도 가동상태에 있으므로 스캐너와 레이저 빔의 구동은 동기된다. 따라서, 마킹이 원활히 이루어진다. 또한, 제2 실시예와 비교해 볼 때, 스캐너의 지연시간(도 10의 TD)없이 마킹을 할 수 있으므로 마킹 시간이 단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에 따르면, 광학 펌프를 사용하여 공진기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빔의 지연시간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지연시간을 고려하여 갈바노 스캐너를 구동하면서 레이저 빔을 조사하기 때문에 레이저 마킹 과정에서 마킹이 실행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공진기로 광학신호를 출력하는 광학펌프와, 상기 공진기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을 소정 위치로 주사하는 갈바노 스캐너를 구비하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학신호가 상기 공진기로 출력한 때로부터 상기 공진기로부터 레이저 빔이 출력될 때 까지의 점프타임에 따른 레이저 빔의 출력의 지연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를 다음 마킹시작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가 다음 마킹 시작점으로 이동되는 상기 점프타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점프타임에 따른 상기 지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광학펌프를 가동하여 상기 공진기로 상기 광학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를 상기 지연시간 대기시키는 단계;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를 구동하며 마킹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의 구동과 함께 상기 지연시간동안 지연된 상기 레이저빔이 동기되어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 측정단계는:
    상기 공진기로부터의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위치에 레이저 빔 검출장치를 배치하는 단계;
    n 개의 점프타임을 정하는 단계;
    상기 점프타임 경과시 마다 광학신호를 상기 공진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빔 검출장치로 상기 레이저 빔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빔이 검출된 때 및 상기 광학신호를 송신한 때 사이의 지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 측정단계는,
    측정된 점프타임에 따른 상기 지연시간으로 룩업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을 포함하며,
    상기 지연시간 계산단계는, 상기 룩업테이블을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검출장치는 포토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프타임은, 상기 스캐너의 미러를 안정화시키는 제1 점프 딜레이와, 상기 미러를 소정의 위치로 회전시키는 시간과, 상기 미러를 안정화시키는 제2 점프 딜레이를 합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
  6. 공진기로 광학신호를 출력하는 광학펌프와, 상기 공진기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을 소정 위치로 주사하는 갈바노 스캐너를 구비하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학신호가 상기 공진기로 출력한 때로부터 상기 공진기로부터 레이저 빔이 출력될 때 까지의 점프타임에 따른 레이저 빔의 출력의 지연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를 다음 마킹시작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가 다음 마킹 시작점으로 이동되는 상기 점프타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점프타임에 따른 상기 지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광학펌프를 상기 지연시간 보다 소정의 제1시간 적은 펄스가속시간 동안 가동하는 단계;
    상기 점프타임 경과시 상기 광학펌프를 가동하고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를 구동하면서 마킹을 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갈바노 스캐너의 미러의 구동과 함께 상기 레이저 빔이 동기되어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 측정단계는:
    상기 공진기로부터의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위치에 레이저 빔 검출장치를 배치하는 단계;
    n 개의 점프타임을 정하는 단계;
    상기 점프타임 경과시 마다 광학신호를 상기 공진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빔 검출장치로 상기 레이저 빔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빔이 검출된 때 및 상기 광학신호를 송신한 때 사이의 지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 측정단계는,
    측정된 점프타임에 따른 상기 지연시간으로 룩업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을 포함하며,
    상기 지연시간 계산단계는, 상기 룩업테이블을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검출장치는 포토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점프타임은, 상기 스캐너의 미러를 안정화시키는 제1 점프 딜레이와, 상기 미러를 소정의 위치로 회전시키는 시간과, 상기 미러를 안정화시키는 제2 점프 딜레이를 합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
KR1020050017666A 2005-03-03 2005-03-03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 KR100628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666A KR100628456B1 (ko) 2005-03-03 2005-03-03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
PCT/KR2006/000443 WO2006093378A1 (en) 2005-03-03 2006-02-07 Marking method of fiber laser mar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666A KR100628456B1 (ko) 2005-03-03 2005-03-03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519A KR20060098519A (ko) 2006-09-19
KR100628456B1 true KR100628456B1 (ko) 2006-09-28

Family

ID=3694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666A KR100628456B1 (ko) 2005-03-03 2005-03-03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8456B1 (ko)
WO (1) WO20060933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0008B1 (en) * 2011-09-20 2016-03-22 Nlight Photonics Corporation Laser marking method and system
CN106921107B (zh) 2015-12-28 2019-04-19 恩耐公司 来自皮秒光纤激光器的完全可控突发成形的个体脉冲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1270B2 (ja) * 1993-04-30 1998-10-1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鋼板へのレーザマーキング方法
JP2000052069A (ja) * 1998-08-12 2000-02-22 Fuji Electric Co Ltd レーザマーキング装置の起動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228717B2 (ja) * 1999-02-03 2001-11-12 サンクス株式会社 レーザマー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519A (ko) 2006-09-19
WO2006093378A1 (en) 200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7962B1 (en) Laser beam processing apparatus
JP4628455B2 (ja) レーザーマーキングシステムおよびエネルギー制御方法
JP6305270B2 (ja) レーザ加工装置及びワーキングディスタンス測定方法
JP5354969B2 (ja) ファイバレーザ加工方法及びファイバレーザ加工装置
JP6234296B2 (ja) レーザ加工装置及びレーザ加工方法
JP6340852B2 (ja) 距離測定装置、移動体及び距離測定方法
JP6050607B2 (ja) レーザ加工装置及びレーザ出力校正方法
KR100628456B1 (ko) 파이버 레이저 마커의 마킹방법
JP2009066625A (ja) レーザマーキング装置
JP2009082942A (ja) レーザ加工装置
JP4664718B2 (ja) レーザ加工装置及びその出力制御方法
JP2015153917A (ja) レーザ加工装置
JP4356817B2 (ja) レーザ照射装置及びレーザ照射方法
KR100817821B1 (ko) 레이저 마킹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레이저 마킹방법
JP2007185786A5 (ko)
JP5995767B2 (ja) レーザ加工装置及びレーザ加工方法
KR20080084225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098604B2 (ja) レーザマーカ及びパラメータ設定方法
JP6199224B2 (ja) レーザ加工装置及びレーザ加工方法
JP2019076919A (ja) レーザ加工機の制御装置、レーザ加工方法、及びレーザ加工機
JP2001300746A (ja) レーザマーキング装置
WO2013054445A1 (ja) レーザ加工制御装置およびレーザ加工制御方法
JP2005246392A (ja) レーザ加工装置及び加工方法
JP2011007936A (ja) 表示装置
JP4993986B2 (ja) レーザ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