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447B1 -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 Google Patents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447B1
KR100627447B1 KR1020030067400A KR20030067400A KR100627447B1 KR 100627447 B1 KR100627447 B1 KR 100627447B1 KR 1020030067400 A KR1020030067400 A KR 1020030067400A KR 20030067400 A KR20030067400 A KR 20030067400A KR 100627447 B1 KR100627447 B1 KR 100627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amera
film
signal
digital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6486A (ko
Inventor
박윤오
Original Assignee
박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오 filed Critical 박윤오
Priority to KR1020030067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447B1/ko
Publication of KR20030086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04Roll-film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카메라의 구성을 변화시키지 않고도 편리하게 이를 디지털 카메라로 활용할 수 있는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으로서, 필름 카메라의 필름 통 수납홈에 수납될 수 있는 본체; 상기 필름 카메라의 수광 프레임(frame)과 뒷두껑 내면 사이의 간격 이하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고, 입사되는 빛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광검출부; 상기 광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센싱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서 처리된 센싱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을 제공한다.
필름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팩, 절전모드, 블루투스

Description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DIGITAL PACK FOR FILM CAMER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이 적용될 수 있는 필름 카메라의 일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이 필름 카메라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의 사시도로서 도 2의 반대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광검출부의 세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의 회로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기록매체로 필름을 사용하는 필름 카메라를 디지털 카메라로 작동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팩에 관한 것이다.
이미 전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있는 필름 카메라는 광학렌즈(optical lens)를 통해 받아들인 빛을 감광 필름(film)에 입사하여, 감광된 필름의 현상, 인화 과정을 통해 영상정보를 기록, 저장, 보관 및 재생하고 있다.
소모성 매체인 필름 대신 반복저장이 가능한 메모리에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디지털 카메라는 최근 널리 시장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는, 광학렌즈(optical lens)를 통해 받아들인 빛을 CCD(전하결합소자; Charge-Coupled Device)소자 또는 CMOS(상보성화합물반도체;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로 이루어진 층에 입사하여, 이들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메모리에 기록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필름 카메라와 디지털 카메라는 그 영상정보 처리방식이 상이함으로 인하여, 전혀 다른 제품으로 구현되어 판매되고 있다. 즉,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뛰어난 광학렌즈 및/또는 필름 카메라를 소유하고 있는 경우라 하여도,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위해서는 새로운 디지털 카메라를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비용의 이중 지출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유지/관리에도 번거로움이 초래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미 널리 보급된 뛰어난 광학 렌즈의 기능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한 채, 사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 보급된 광학 렌즈 및/또는 필름 카메라의 기능을 활용하고자 한 시도가 발견된다. 일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26003호(실용신안등록 제214575호; 실용신안권자:서인성 외 1)를 들 수 있다.
상기 일예의 등록실용신안에서는, 필름 카메라의 뒷두껑을 떼어내고 그 위치에 뒷두껑과 동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착탈식 디지털 어댑터 모듈을 장착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기존 필름 카메라를 활용하여 디지털 카메라를 구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수많은 종류의 뒷두껑 결합방식을 가진 각종의 필름 카메라에 대응하여 각각 종류의 디지털 어댑터 모듈을 생산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즉, 특정한 모델마다 다른 종류의 어댑터 모듈을 생산해야 하므로 생산비용이 매우 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어댑터 모듈을 구입한 이용자에게는, 기존의 필름 카메라의 뒷뚜껑을 떼어내고 어댑터 모듈을 부착해야 하는 어려운 작업을 요구하게 되는 셈이 된다. 더욱이, 어댑터 모듈을 부착한 후, 다시 이 카메라를 필름 카메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시 어댑터 모듈을 해체하고 애초의 뒷두껑을 부착해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 카메라의 구성을 변화시키지 않고도 편리하게 이를 디지털 카메라로 활용할 수 있는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을 제공하는 것 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은,
필름 카메라의 필름 통 수납홈에 수납될 수 있는 본체;
상기 필름 카메라의 수광 프레임(frame)과 뒷두껑 내면 사이의 간격 이하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고, 입사되는 빛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광검출부;
상기 광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센싱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서 처리된 센싱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 메모리, 및 배터리는 상기 본체 내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검출부는,
센서 프레임; 및
상기 센서 프레임에 고정되고, 입사되는 빛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광센서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 프레임은 상기 본체에 가요성 부재를 통해 연결되거나, 그 일부가 상기 본체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은 상기 광센서층을 덮어 보호하는 투명 보호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상기 투명 보호판은 상기 필름 카 메라의 수광 프레임 내부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수광 프레임 내부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디지털 팩의 상기 필름 카메라 장착시 상기 광센서층은 상기 수광 프레임의 종단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 광센서층은 필름 카메라 기종별로 서로 다른 수광프레임의 위치를 수용하도록 충분히 크게 제작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프레임의 상기 수광 프레임측 면에는 상기 수광 프레임과의 접촉을 향상하기 위한 접촉향상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향상부재는, 고무흡착판, 자석, 및 점성고무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센서층이 상기 필름 카메라의 수광 프레임에 맞게 제작될 경우 상기 광검출부는, 상기 수광 프레임의 상하 및 좌우 중 하나 이상의 쌍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광 프레임 내부 공간 쪽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부재는 수광 프레임 바깥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비탈면을 가지는 판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센서층은, CCD소자 층 및 CMOS소자 층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은, 필름 카메라의 필름감김 회전대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대 회전검출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은, 상기 필름 카메라의 뒷두껑의 닫힘을 검출하는 닫힘검출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닫힘검출센서 는, 광검출부에서 돌출된 온/오프 스위치, 상기 뒷두껑에 의하여 광검출부에 인가되는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 및 필름 카메라 내부 공간의 밝기를 검출하는 광센서(photo sensor)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닫힘검출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뒷두껑의 닫힘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광검출부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및 광검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및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검출부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가 판단하는 신호발생 판단단계;
상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그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처리된 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무선송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센서층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기간이 설정시간 이상인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광센서층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기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에, 상 기 신호발생 판단단계의 수행을 중지하는 단계;
상기 필름 카메라의 필름감김 회전대의 회전이 검출될 때까지 상기 신호발생 판단단계의 중지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상기 필름감김 회전대의 회전이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신호발생 판단단계의 수행을 재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이 적용될 수 있는 필름 카메라의 일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이 필름 카메라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카메라(100)는 필름 통(도시하지 않음)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11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필름 통 수납홈(110)의 반대측에는 필름 통으로부터 인출되는 필름을 감기 위한(즉, 전진시키기 위한) 회전대(195)가 설치되어 있다. 필름 카메라(100)의 외부에는 필름 카메라(100)의 셔터(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키기 위한 셔터버튼(180)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회전대(195)를 회전시키기 위해 필름전진 레버(19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납홈(110)과 회전대(195)사이에는 셔터(도시하지 않음) 뒤쪽에 필름이 거치되는 수광 프레임(150)이 형성되어 있다.
반면, 상기 필름 카메라(100)의 뒷두껑(160)에는, 그 내측으로 필름 압착판(170)이 판 스프링(175)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필름 압착판(170)은 판 스프링(175)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데, 판 스프링(175)에 의한 필름압착판(170)의 동작거리는 약3mm 정도 된다.
따라서 필름 카메라(100)는, 통상적인 필름 통 정도 크기의 물체를 상기 수납홈(110)에 수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동작거리 이하의 두께의 평판 형 물체를 상기 수광 프레임(150)과 필름 압착판(170) 사이에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200)은, 그 본체(210)가 필름 카메라의 필름 통 수납홈(110)에 수납될 수 있는 규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입사되는 빛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광검출부(250)가 상기 본체(21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데, 이러한 광검출부(250)는 상기 필름 카메라의 수광 프레임(150)과 뒷두껑(160) 내면 사이의 간격 이하의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200)은, 도 6을 참조로, 상기 광검출부(250)에서 검출되는 센싱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650), 상기 프로세서(650)에서 처리된 센싱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660), 및 상기 프로세서(6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20)를 더 포함하는데, 이들 프로세서(650), 메모리(660), 및 배터리(620)는 상기 본체(210) 내에 수납된다.
상기 프로세서(650)는 설정된 프로그램(program)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 취득 방법에서 프로세서(650) 가 수행하여야 할 각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상기 광검출부(250)는 입사되는 빛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광센서층(410)과 상기 광센서층(410)이 고정되는 센서 프레임(260)을 포함한다.
필름 카메라(100)의 필름 통 수납홈(110)과 수광 프레임(150) 사이의 거리가 카메라마다 약간의 편차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보다 다양한 필름 카메라(100)에 적용 가능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팩(200)에서 상기 센서 프레임(260)은 본체(210)와 약간의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센서 프레임(260)은 상기 본체에 가요성 부재(flexible member)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납홈(110)과 수광 프레임(150) 사이의 카메라별 편차는, 광검출부(250)의 광센서층(410)을 필름 카메라(100)의 수광 프레임에 정확히 위치시킨 후, 본체(210)의 수납홈(110) 장착시 본체(210)의 장착 각도를 약간 회전시킴에 의하여 흡수될 수 있다.
혹은, 센서 프레임(260)과 본체(210) 사이의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센서 프레임(260)은 그 일부가 본체(210)에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가요성 부재를 이용하는 전술한 실시예는 전술한 설명만으로 용이하게 그 구성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는 센서 프레임(260)의 일부가 본체(210)에 기구적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특징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팩을 도시하였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프레임(260)의 본체(210)측 종단이 본체(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 거리(d) 전후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필름 카메라의 필름 통 수납홈(110)의 폭은 수납홈(110)과 수광 프레임(150) 사이 거리의 편차에 비해 매우 크므로, 본체(210)의 폭에 의하여 센서 프레임(260)의 전후진 거리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광검출부(250)의 세부구성에 관해 도 5를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V-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검출부(250)의 센서 프레임(260) 상에는 광센서층(4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센서층(410)의 위쪽에는 광센서층(410)을 덮어 보호하는 투명 보호판(420)이 부착된다. 상기 광센서층(410)은 신호선(510)에 의해 본체(210) 내의 프로세서(650)에 연결된다.
상기 투명 보호판(420)은 그 폭(w0)과 높이(h0)가 필름 카메라(100)의 수광 프레임(150)의 폭(w1)과 높이(h1)보다 각각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팩(200)을 필름 카메라(100)에 장착하는 경우에, 투명 보호판(420)은 상기 수광 프레임(150) 내부 공간에 삽입되게 되고 광검출부(250)의 광센서층(410)은 수광 프레임(150)의 종단(즉, 필름 카메라의 초점면(focal plane))에 동일 평면상에 놓이게 된다.
또한, 센서 프레임(260)의 수광 프레임(150) 측에는 수광 프레임(150)과의 접촉을 향상하기 위한 접촉향상부재(475)가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일예로, 상기 접 촉향상부재(475)는 고무흡착판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고무흡착판 외에도, 자석 또는 점성이 뛰어난 고무부재가 상기 접촉향상부재(475)로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검출부(250)에는, 수광 프레임(150)의 좌우쪽과 상하쪽에 각각 쌍으로 배치되고 수광 프레임(150) 내부 공간 쪽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부재(471,472,473,474)가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471,472,473,474)는 광검출부(250)의 광센서층(410)이 수광 프레임(150)에 보다 정확히 정열(align)되기 위한 것으로, 일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 프레임(150) 바깥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비탈면(571,572)을 가지는 판 스프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광검출부(250)가 수광 프레임(150)에 덮여질 때, 즉, 보호판(420)이 수광 프레임(150) 내부 공간에 삽입될 때, 양쪽의 판 스프링(471,472)의 탄성에 의하여 광센서층(410)의 중심은 수광 프레임(150)의 중심에 정확히 정열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가이드 부재(471,472,473,474)가 수광 프레임(150)의 좌우쪽 및 상하쪽에 각각 쌍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수광 프레임(150)의 좌우쪽 또는 상하쪽에 한 쌍의 가이드 부재가 배치된 것으로도 소정의 정열효과는 누릴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광센서층(410)은, 입사되는 빛에 의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임의의 광센서들이 임의의 배열을 가지는 층으로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센서층은 CCD소자들로 이루어진 CCD소자 층, 또는 CMOS소자들로 이루어 진 CMOS소자 층으로 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광센서층(410)의 규격은 대략 폭이 36mm이고 높이가 24mm로 형성된다.
이러한 크기의 광센서층(410)에 의하면, 매우 높은 해상도의 디지털 화상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CMOS계열의 광센서층은 CCD계열의 것에 비하여 비록 전력소모는 적으나 집적도(따라서 해상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집적도가 낮은 것으로 알려진 통상적인 CMOS계열의 광센서층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팩에 의하면 매우 높은 해상도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즉, CMOS의 화소간 거리가 약 8μm 정도인 점을 감안하여, 전술한 광센서층(410)의 폭과 높이에 의하면, 폭 방향으로 약3천 화소 그리고 높이 방향으로 약4천 화소의 배열이 가능하므로, 전체적으로 약 1,200만 화소라는 고해상도 디지털 화상데이터를 손쉽게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전력소비도 작다)
광센서층(410)으로서 CCD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보다 훨씬 높은 해상도의 고해상 화질을 손쉽게 얻을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진인화에 필요한 수백만 화소 정도의 화질을 위해서는 저가의 CCD패널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일반 디지털 카메라에 비해 매우 저렴한 디지털 팩 생산원가를 달성할 수 있다.
24mm*36mm 정도 규격의 CCD 및 CMOS는 이미 시판되고 있어, 이에 관해서는 당업자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팩(200)의 광검출부(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카메라(100)의 필름감김 회전대(195)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대 회전검출센서(430)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광검출부(250)의 센서 프레 임(260)으로부터 상기 회전대(195) 위치까지 돌출된 아암(arm)(270)에 회전대 회전검출센서(430)가 부착된다. 회전대(195)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회전대 회전검출센서(430)는 일예로, 상기 회전대(195) 상의 기어(196)의 회전을 검출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혹은 노트북 컴퓨터의 (마우스 기능용) 터치패드 등과 같이 접촉부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임의의 센서가 상기 회전대 회전검출센서(430)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팩(200)은, 상기 필름 카메라(100)의 뒷두껑(160)의 닫힘을 검출하는 닫힘검출센서(255)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닫힘검출센서(255)는, 일예로, 상기 광검출부(250)에서 돌출된 온/오프 스위치(255)로 한다. 상기 온/오프 스위치(255)는 일예로 뒷두껑(160) 쪽으로 돌출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그 돌출 방향은 필름 카메라(100)의 수광 프레임(150)쪽으로 돌출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뒷두껑(160)이 닫힌 경우에 상기 온/오프 스위치(255)가 작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닫힘검출센서(255)의 보호범위가 전술한 온/오프 스위치(255)에 한정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다양한 실시예의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일예로, 상기 닫힘검출센서(255)는 상기 뒷두껑(160)에 의하여 광검출부에 인가되는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로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압력센서는 상기 광검출부(250)의 상기 온/오프 스위치(255)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닫힘검출센서(255)는 필름 카메라(100) 내부의 밝기를 검출하는 광센서(photo sensor)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온/오프 스위치(255)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디지털 팩(200)에서 뒷두껑(160)이 개방됨에 따라 노출되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팩(200)에서 상기 프로세서(650)는, 상기 닫힘검출센서(255)의 출력값이 상기 뒷두껑(160)의 닫힘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작동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210) 및 광검출부(25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기 메모리(66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가 형성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450)가 본체(210)의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프로세서(65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무선송출하고 외부로부터 무선수신되는 신호를 프로세서(650)에 전달하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670; 도 6 참조)이 상기 본체(210) 내에 설치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팩(200)의 기구적 구성을 위주로 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팩(200)의 회로적 구성에 관해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검출부(250)의 광센서층(410)은 AD컨버터(Analogue-to-Digital Converter)(610)를 통해 본체 내의 프로세서(650)에 연결된다. 상기 프로세서(650)는 광검출부(250)로부터 입력받아 처리한 신호를 저장하도록 메모리(660)에 연결된다. 그리고 본체(210) 내의 배터리(620)로부터 전원 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620)와 프로세서(650) 사이의 연결경로 상에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메인 스위치(215)가 개재되어, 상기 메인 스위치(215)의 조작에 따라 배터리(620)로부터 프로세서(650)로의 전원공급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닫힘검출센서(255)와 상기 회전대 회전검출센서(430)는 각각 프로세서(650)에 연결되어 각 검출신호를 프로세서(65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650)에는 블루투스 모듈(670)과 USB포트(450)가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650)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670)과 USB포트(450)를 통해 외부장치(일예로, 노트북 등 컴퓨터, 디스플레이 장치 등)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팩(200)의 작동은 상기 프로세서(650)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는데, 이러한 프로그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 취득 방법에서 프로세서(650)가 수행하여야 할 각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 취득 방법에 관해 도 7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디지털 팩(200)의 메인 스위치(215)를 수동으로 온(ON) 조작하여 필름 카메라(100) 내에 장착한다(S710).
그리고 뒷두껑(160)을 닫은 때, 상기 닫힘검출센서(255)는 닫힘 상태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S715).
메인 스위치(215)가 온 조작됨에 따라 배터리(620)로부터 프로세서(650)에 전원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프로세서(650)는 닫힘검출센서(255)의 신호를 기초로 뒷두껑(160)이 닫힌 상태인지 판단하게 된다(S720).
만약, 닫힘검출센서(255)의 신호가 뒷두껑(160)이 닫힌 상태가 아님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비록 광검출부(250)의 광센서층(410)는 외부 빛에 노출되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프로세서(650)는 광센서층(410)으로부터의 신호를 무시한다(S725). 따라서, 메인 스위치(215)의 온(ON) 작동 이후 필름 카메라(100)에 디지털 팩(200)을 장착/제거하는 과정에서, 외부 빛에 의하여 무용한 화상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만약, 닫힘검출센서(255)의 신호가 뒷두껑(160)이 닫힌 상태임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650)는 광검출부(25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주기적으로 반복하기 시작한다(S730).
이 때, 사용자가 필름 카메라(100)의 셔터버튼(180)을 작동하면, 필름 카메라(100) 자체의 메커니즘에 의하여 셔터가 동작(S735)하고, 광검출부(250)의 광센서층(410)에는 빛이 입사하게 되어, 광센서층(410)은 입사된 빛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S740).
따라서, 프로세서(650)는 광센서층(410)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가 판단(S745)함으로써 사용자가 필름 카메라(100)를 이용해 촬영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여부 판단(S745)에서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뒷 두껑 닫힘여부 판단단계(S720)로 진행한다. 따라서, 디지털 팩(200)의 사용 중에 필름 카메라(100)의 뒷두껑(160)을 개방한 경우에도, 무용한 화상의 처리 및 저장을 막을 수 있다.
광검출부(250)로부터 신호수신 여부의 주기적인 판단 중에, 프로세서(650)는 상기 광센서층(410)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기간(이하 "신호불수신 기간"이라 한다)이 설정시간(일예로 1분) 이상인가 판단한다(S750).
이러한 판단(S750)에 따라, 신호불수신 기간이 상기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에 프로세서(650)는 상기 신호발생여부 판단(S745)의 주기적 반복을 중지한다(S755). 그리고 상기 회전대 회전검출센서(430)를 통해 필름 카메라(100)의 회전대(195)의 회전이 검출될 때까지 대기(S760)한 후, 회전대(195)의 작동이 검출된 때에는 상기 뒷두껑 닫힘 판단단계(S720)로 진행한다.
따라서, 설정시간 이상 이용자가 촬영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디지털 팩(200)은 소위 절전모드로 진입하여 그 소모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절전모드의 해제를 위해서는, 수동 카메라인 경우 이용자는 필름전진 레버(190)의 조작을 통해, 자동 카메라인 경우에는 셔터버튼(180)을 조작함에 따라 (따라서 자동 카메라는 셔터동작 후 회전대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절전모드를 손쉽게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에서 구현되고 있는 절전모드의 기능을 필름 카메라와 디지털 팩을 이용한 디지털 화상데이터 취득시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신호불수신 기간 판단단계(S750)에서, 신호불수신 기간이 설정기간 미 만인 경우에는, 상기 뒷두껑 닫힘 판단단계(S720)로 진행한다.
상기 신호발생여부 판단(S745)에서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프로세서(650)는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S770). 상기 수신신호의 처리과정(S770)은, 수신 신호의 화상데이터로서 저장을 위한 데이터 재배열, 화상데이터의 명암 및/또는 콘트라스트 조정, 기타 당업자에게 자명한 임의의 신호처리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프로세서(650)는 처리된 디지털 화상데이터를 메모리(660)에 저장한다 (S775).
또한, 프로세서(650)는 상기 처리된 디지털 화상데이터를 블루투스 모듈 (670)을 통해 외부로 송신한다(S780). 따라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670)과 무선신호를 호환할 수 있는 대응되는 블루투스 모듈을 장착한 외부 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 이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팩(200)을 필름 카메라(100)로부터 탈거한 후에 USB포트(450)를 통해 상기 메모리(660)에 저장된 화상데이터를 인출하는 등의 과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광센서층(410)의 제원이 수광 프레임(150)의 내부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특징을 구비하지 아니하여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의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에 관하여 도 8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80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것과 많은 특징들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하에서 특히 설명되지 아니한 특징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일예로, 도 1 내지 도 3, 도 6 및 도 7, 그리고 이러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특징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800)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의 사시도로서, 도 2의 반대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800)에 의하면, 광센서층(810)이 필름 카메라(100)의 수광 프레임(150)을 덮을 수 있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의 광센서층(410)은 수광 프레임(150) 면적보다 작게 형성된 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광센서층(810)이 수광 프레임(150)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센서층(810)의 규격은, 필름 카메라(100)의 기종별로 보일 수 있는 수광 프레임(150)의 위치상의 편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폭(w2)은 36mm 보다 넓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광센서층(810)은, 필름 카메라(100)의 수광 프레임(150)의 양단이 가질 수 있는 분포를 포괄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광센서층(810)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한 값으로 자명하게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필름 카메라(100)의 필름 통 수납홈(110)과 수광 프레임(150) 사이 의 거리가 카메라마다 약간의 편차를 보일 수 있으나, 이러한 편차는 광센서층(810)이 넓게 형성됨으로써, 카메라 별로 보일 수 있는 편차를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광센서층(810)의 높이(h2)는 24mm 혹은 그보다 약간 상회하는 정도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800)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전술한 가이드 부재(471,472,473,474)는 설치되지 아니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800)에 의하면, 센서 프레임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필름 카메라(100)에서 입사되는 빛을 모두 화상데이터화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는, 렌즈, 셔터 등 카메라의 기본적인 기구적 장치를 구비해야 할 뿐 아니라, 주밍(zooming), 자동 노출조정, 자동 초점조정 등 부대기능을 위해서는 이를 위한 기구적/전자적 장치를 모두 구비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팩에 의하면, 필름 카메라에서 이미 제공되는 대부분 의 기능을 그대로 활용하여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되므로, 효율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름 카메라의 넓은 화상표현면적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고해상도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필름 카메라의 대구경 렌즈를 활용하게 되므로, 빛의 입사량이 충분하여, 정밀하고 밝은 화상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필름 카메라를 디지털 카메라로 변형사용하는 데 있어 사용자에게 주는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디지털 팩의 삽입/제거 만에 의해 동일한 카메라를 필름 카메라와 디지털 카메라로 병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세서, 메모리, 배터리 등 주요부가 본체 내에 수납됨으로써, 필름 카메라의 수광 프레임과 뒷두껑 사이에 배치되는 광검출부의 두께를 얇게 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광검출부를 구성하는 센서 프레임이 본체에 가요성 부재를 통해 연결되거나, 센서 프레임의 일부가 본체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본체와 광검출부가 서로 상대 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필름 카메라의 필름통 수납홈과 수광 프레임 사이 거리의 편차에 대응 가능하다.
또한, 광검출부에 포함된 광센서층이 필름 카메라의 초점면(focal plane)에 위치됨으로써 정밀한 화상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광검출부가 수광 프레임에 확실히 접촉 및 고정됨으로써, 촬영중 충격 등에 의하여도 정밀한 화상촬영이 가능하다.
그리고 다양한 필름 카메라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수광 프레임의 제원상 편차에 대하여도,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광검출부의 수광 프레임에의 정확한 정열이 가능하다.
필름 카메라의 필름감김 회전대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대 회전검출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소위 절전모드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름 카메라의 뒷두껑의 닫힘을 검출하는 닫힘검출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불필요한 화상의 촬영을 막을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데이터의 활용성이 향상되고, 아울러, 이러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블루투스 모듈이 포함됨으로써, 화상 촬영 즉시 외부의 표시장치에 송신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팩을 이용한 화상데이터 취득 방법에 의하면, 필름 카메라의 동작버튼에 의해 동작하는 필름 카메라의 셔터가 동작하고, 따라서 셔터가 열린 동안 입사되는 빛에 의한 광검출부의 신호를 검출하여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디지털 팩은 입사되는 빛이 검출되는 경우에 한해 자동 구동되게 되므로 사용자는 필름 카메라의 모든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필름 카메라의 내부에 삽입된 디지털 팩을 이용함에서도 소위 절전모드의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절전모드의 해제여부를 필름감김 회전대의 회전을 기초로 판단함으로써, 필름 카메라가 자동 카메라인가 수 동 카메라인가 여부에 무관하게 사용자의 재사용요구를 간단히 그리고 정확히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1)

  1. (정정)셔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셔터버튼이 구비되고, b필름 카메라의 필름 통 수납홈에 수납될 수 있는 본체;
    상기 필름 카메라의 수광 프레임(frame)과 뒷두껑 내면 사이의 간격 이하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셔터버튼의 조작에 따른 셔터의 동작에 따라 입사되는 빛에 의해 전기신호를 자동 발생하는 광검출부;
    상기 필름 카메라의 뒷두껑의 닫힘을 검출하는 닫힘검출센서;
    상기 광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센싱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서 처리된 센싱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닫힘검출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뒷두껑의 닫힘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광검출부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2.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 메모리, 및 배터리는 상기 본체 내에 수납되는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3. 제1항에서,
    상기 광검출부는,
    센서 프레임;
    상기 센서 프레임에 고정되고, 입사되는 빛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광센서층;을 포함하는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4. 제3항에서,
    상기 센서 프레임은 상기 본체에 가요성 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5. 제3항에서,
    상기 센서 프레임은 그 일부가 상기 본체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6. 제3항에서,
    상기 광센서층을 덮어 보호하는 투명 보호판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보호판은 상기 필름 카메라의 수광 프레임 내부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수광 프레임 내부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디지털 팩의 상기 필름 카메라 장착시 상기 광센서층은 상기 수광 프레임의 종단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7. 제3항에서,
    상기 광센서층은, 상기 수광 프레임의 내부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8. 제3항에서,
    상기 센서 프레임의 상기 수광 프레임측 면에는 상기 수광 프레임과의 접촉을 향상하기 위한 접촉향상부재가 설치된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9. 제8항에서,
    상기 접촉향상부재는, 고무흡착판, 자석, 및 점성고무 중 어느 하나인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10. 제3항에서,
    상기 광검출부는, 상기 수광 프레임의 상하 및 좌우 중 하나 이상의 쌍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광 프레임 내부 공간 쪽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11. 제10항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수광 프레임 바깥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비탈면을 가지는 판 스프링인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12. (정정)제3항에서,
    상기 광센서층은, CMOS소자 층인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13. 삭제
  14. (정정)제1항에서,
    상기 닫힘검출센서는, 광검출부에서 돌출된 온/오프 스위치, 상기 뒷두껑에 의하여 광검출부에 인가되는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 및 필름 카메라 내부 공간의 밝기를 검출하는 광센서(photo sensor) 중 어느 하나인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15. 삭제
  16. 제1항에서,
    상기 본체 및 광검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17. 제16항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및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18. (정정)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은 필름 카메라의 필름감김 회전대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대 회전검출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검출부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가 판단하는 신호발생 판단단계;
    상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그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광센서층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기간이 설정시간 이상인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광센서층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기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신호발생 판단단계의 수행을 중지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 카메라의 필름감김 회전대의 회전이 검출될 때까지 상기 신호발생 판단단계의 중지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필름감김 회전대의 회전이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신호발생 판단단계의 수행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19.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검출부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가 판단하는 신호발생 판단단계;
    상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그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20. 제19항에서,
    상기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은 제17항에 의한 디지털 팩으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처리된 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무선송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21. 삭제
KR1020030067400A 2003-09-29 2003-09-29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KR100627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400A KR100627447B1 (ko) 2003-09-29 2003-09-29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400A KR100627447B1 (ko) 2003-09-29 2003-09-29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486A KR20030086486A (ko) 2003-11-10
KR100627447B1 true KR100627447B1 (ko) 2006-09-22

Family

ID=32388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400A KR100627447B1 (ko) 2003-09-29 2003-09-29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4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06216B2 (ja) * 2019-10-23 2023-07-11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撮像機器、及び撮像装置
CN114877842B (zh) * 2022-04-27 2023-12-05 翼存(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胶卷的实时计量装置及其计量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486A (ko) 200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8527B1 (en) Camera body and imaging device
US6256063B1 (en)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and electronic still camera
US8294816B2 (en) Imaging apparatus containing lens mount without mirror box
TWI356964B (ko)
US20040201745A1 (en) Camera using a memory card with an integrated electronic imager for digital capture
JP5165110B2 (ja) 撮像装置
KR100627447B1 (ko) 필름 카메라용 디지털 팩
JPH10322575A (ja) 液晶モニタ付きビデオカメラ
JP2007312197A (ja) ライブビュー可能なカメラ
JP4474035B2 (ja) 撮像装置
JP4548924B2 (ja) 撮像装置
JP3482391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H11282071A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7312198A (ja) ライブビュー可能なカメラ
JPH02101874A (ja) フィルム・スチルビデオ兼用カメラ
JP2011257697A (ja) 電子機器
CN100357825C (zh) 具有激光指引功能以及可利用激光取景的图像拾取装置
JPH10173971A (ja) デジタルカメラ
JP3780041B2 (ja) 電子機器、情報処理装置、電子機器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5064365A (ja) 電子機器
JP2003244491A (ja) ムービー付きスチルカメラ
JP3486297B2 (ja) 電子現像型カメラ
JP2013041304A (ja) 撮像装置
JPH08321987A (ja) 撮像装置
JPS61251381A (ja) 電子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