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936B1 -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 Google Patents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936B1
KR100625936B1 KR1020020045825A KR20020045825A KR100625936B1 KR 100625936 B1 KR100625936 B1 KR 100625936B1 KR 1020020045825 A KR1020020045825 A KR 1020020045825A KR 20020045825 A KR20020045825 A KR 20020045825A KR 100625936 B1 KR100625936 B1 KR 100625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weight
delete delete
flame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2308A (ko
Inventor
노자키사이지
Original Assignee
교와 가부시키가이샤
노자키 사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와 가부시키가이샤, 노자키 사이지 filed Critical 교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20045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936B1/ko
Publication of KR20040012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9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24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1/26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by depositing flowable material on a rotating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08K5/30Hydrazones; Semicarbaz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연소후의 잔류회분이 적고, 밀봉강도가 큰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를 제공한다.
우레탄수지 100∼20중량%에 대하여,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0∼80중량%을 배합하고, 1 또는 더욱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선택한 1 또는 2를 배합하여, 전체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제로서 디시안디아미드,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 멜라민시아누레이트로부터 선택한 1 또는 2이상을 5∼80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미량 회분조성물로 성형한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와 이것을 더욱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선택한 1 또는 2를 가한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이다.

Description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Self extinguishing flame retardant}
본 발명은, 방사성물질취급소 등에서 사용하는 자기소화성(自己消火性) 난연(難撚)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연소시에 할로겐계 가스, SO2가스 등의 발생이 없고, 또한,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필터의 막힘을 일으키는 인계(燐系) 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회분(灰分)이 미량으로 취급성이 용이하고, 방사성물질취급소의 바닥면, 기기류, 자재를 두는 장소, 벽면 등을 피복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난연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올레핀계수지 등의 가연성의 합성 수지의 난연화방법에는, 브롬 등의 할로겐계 화합물과 3산화안티몬을 병용하여 배합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소각시에 유독 가스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연성의 비염소계폴리머에 염소계 첨가제를 배합하지 않고,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유기금속화합물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난연성 조성물도 공지이다.
이들 조성물은 소각시에 브롬가스 등의 할로겐가스나, NO2가스나, SO2가스를 발생시키고, 더욱이 회분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3-7767호 공보, 특개평3-15539호 공보, 특개평4-332640호 공보, 특개평 7-164594호 공보에는, 난연제로서 요소를 사용한 조성물이나 필름이 기재되어 있지만, 요소는 극성이 강하고, 열가소성중합체와의 상용성이 나쁘다. 또한 요소는 물에 대한 용해성이 크고, 흡습성이 크기 때문에 응집하여 취급이 어렵다. 또한 132℃에서 용융하여, 분해하기 때문에 가공성이 나쁜 결점이 있다.
특히 방사성 물질을 취급하는 장소, 예를 들면 원자력 발전소나 방사성물질연구소 등에서는, 바닥, 벽, 천장, 칸막이 기기류 등에 방사성물질이 부착하지 않도록, 열가소성 합성수지 필름으로 피복하고 있다. 그리고 일정기간 경과후에 새로운 필름과 교환하여, 제거한 낡은 필름은 소각하고 있다. 그러나, 소각후의 잔류회분에 방사성은 남기 때문에, 회분량이 증가하면, 방사성 회분을 밀봉하는 데 필요한 재료비나 보관 공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소각후의 잔류회분이 적을 것이 요구되며, 동시에, 사용중에 손상하여 바닥 등이 노출하는 경우가 없도록 하는 강도가 필요하다.
또, 근래, 난연제로서 할로겐 함유물질뿐만 아니라 인계(燐系)의 함유물질도 소각시에 필터의 막힘을 일으키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난연성이면서 소각이 가능하고, 소각시에 유해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고, 회분의 발생도 적으며, 필터의 막힘도 생기게 하지 않고, 강도가 강하며, 유연하고 취급성이 좋은 시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1.우레탄수지 100∼20중량%에 대하여,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0∼80 중량%을 배합하고, 전체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제로서 디시안디아미드,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 멜라민시아누레이트로부터 선택한 1 또는 2이상을 5∼80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미량회분조성물로 성형한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2. (a)우레탄수지 100∼30중량%에 대하여, (b)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0∼70중량%와, (c)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선택한 1 또는 2의 합계를 0∼70중량%을 배합하고, 전체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제로서 디시안디아미드,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 멜라민시아누레이트로부터 선택한 1 또는 2이상을 5∼80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미량회분조성물로 성형한,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3.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는 초산비닐함유량이 10∼35중량%, 멜트플로레이트 0.5∼30g/10min의 공중합체인, 상기 1에 기재된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4.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는, 에틸아크릴레이트함유량이 5∼35 중량%, 멜트플로레이트 0.5∼30g/10min의 공중합체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5.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분기(分岐)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10∼0.925,멜트플로레이트 0.2∼20g/10min, 선상(線狀)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10∼0.918, 멜트플로레이트 0.2∼20g/10min)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6.난연제가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에 디시안디아미드와 멜라민시아누레이트를 단독 또는 병용하여 배합한 것인, 상기 1 내지 4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7.난연제가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디시안디아미드와 멜라민시아누레이트가 단독 또는 병용하여 10중량부∼80중량부인, 상기 5에 기재된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8.두께가 20∼1000㎛에서 산소지수가 26이상인, 상기 1 내지 6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9.난연 시이트가 캘린더 로울로 성형된 시이트인, 상기 1 내지 7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10.난연 시이트가 압출성형된 시이트인, 상기 1 내지 7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에서는, 성형에 사용하는 수지가 분체 또는 펠릿 등의 고형의 수지를 사용한다. 수지로서는, 우레탄수지 단독 또는 우레탄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의 혼합물, 혹은 해당 혼합물에,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선택한 1 또는 2를 배합하여 사용한다.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는 성형가공성이 좋다. 그러나, 시이트를 방염성(防炎性)으로 하기 위해서 난연제의 첨가량을 많게 하면 성형가공성이 나빠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의 배합량은 우레탄수지에 대하여, 70중량%이상 배 합하면 방염성이 나빠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10∼70중량% 배합하면 블로킹이 개선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성형가공성이 좋다. 그러나, 시이트를 방염성으로 하기 위해서 난연제의 첨가량을 많게 해야 한다. 첨가량을 많게 하면 성형가공성이 나빠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배합량은 우레탄수지에 대하여, 70중량% 이상 배합하면 방염성이 나빠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10∼70중량%을 배합하면 블로킹이 개선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난연 시이트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캘린더 로울법, T다이압출법, 인플레이션압출법에 의해 성형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수성디스퍼젼수지 및 유기용제용해수지를 사용하여, 난연 시이트를 닥터 나이프 등을 사용한 플로팅 코트법으로 제조할 경우는, 난연성 수지수용액 또는 난연성수지용액을 열가소성수지 필름상에 흘려바르고, 그 후 가열로에서 가열하여, 수분 또는 용제를 휘산(揮散)열처리가공하여 난연 시이트로 하는데 수분 또는 용제의 휘산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 가열로 온도를 높게 하면 난연 시이트에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수성디스퍼젼수지와 유기용제 용해수지의 양자간에는 기포발생의 차는 있지만 양자 모두 생산라인의 속도를 빨리 하는 데에 한도가 있다. 캘린더 로울법, T다이압출법, 인플레이션압출법 등의 압출법으로는, 기포발생은 없고 생산라인의 속도를 빨리 할 수 있어, 생산성이 좋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우레탄수지는 유동개시온도 Tf145∼190℃인 것이 바람직하다. 190℃이상에서는 캘린더 로울성형성이나 압출성형성이 나빠진다. 145℃ 이하에서는, 달라붙는 감이 강하게 되고, 블로킹이 생겨 바람직하지 못하다. 우레탄수지의 예로서는 일본미라크트란주식회사제의 P22M, P25M, P-480RSUI, E785PSPK, E790PSPK, 스미토모바이엘주식회사제의 데스모콜530, 데스모콜540, 데스모콜KA8634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멜트플로레이트 0.5∼30g/10min, 초산비닐함유량 10∼3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멜트플로레이트 0.5g/10min 이하에서는 캘린더 로울성형성이나 압출성형성이 나빠진다. 30g/10min 이상에서는, 달라붙는 감이 생겨, 블로킹이 생긴다. 또한 기계적 강도가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예로서는, 미쓰이듀퐁케미컬주식회사제 에버플렉스 P-2807, 에버플렉스 P-2805, 에버플렉스 P-1405, 에버플렉스 P-1905, 에버플렉스 P-1207, 에버플렉스 EV45LX, 쇼와전공주식회사제 쇼우렉스 FL14-1, 쇼우렉스 EF12-9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는 에틸아크릴레이트함유량이 5∼35중량부, 멜트플로레이트 0.5∼30g/10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멜트플로레이트 0.5g/10min 이하에서는 캘린더 로울성형성이나 압출성형성이 나빠진다. 30g/10min이상이면 끈적거리는 블로킹이 생긴다.
또한, 기계적 강도가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의 예로서는, 미쓰이듀퐁 케미컬주식회사제 EVAFLEX-EEA A-701, EVAFLEX-EEA A-702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는 분기저밀도 폴리에틸렌(밀 도 0.910∼0.925, 멜트플로레이트 0.2∼20g/10min), 선상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10∼0.918, 멜트플로레이트 0.2∼20g/10min)가 바람직하다. 분기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선상저밀도 폴리에틸렌에서는 선상저밀도 폴리에틸렌쪽이 파단강도, 파단신장도가 크고 바람직하다. 멜트플로레이트 0.2g/10min이하에서는 캘린더 로울가공성이나 압출성이 나빠진다. 멜트플로레이트 20g/10min 이상에서는 기계적 강도가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선상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예로서는, NUC폴리에틸렌 DFDJ-6775(일본유니카주식회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수지 단독 또는 우레탄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양자의 사용비율은 우레탄수지 100∼20중량%에 대하여,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0∼80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우레탄수지 80∼ 20중량%에 대하여,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20∼80중량%이다.
우레탄수지 단독인 경우는 방염성이 양호하다. 그러나, 택크가 있다. 난 연제를 5중량부 이상 첨가하여 난연 시이트를 와인더에 감을 경우, 공정지, 태프터를 사용하여 일단 감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감아 바꿀 때, 공정지, 태프터 등을 제거하여 종이관에 감는 것에 의해, 블로킹을 일으키지 않고 제품으로 할 수 있다.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는 성형가공성이 좋다. 그러나, 시이트를 방염성으로 하기 위해서 난연제의 첨가량을 많게 해야 한다. 첨가량을 많게 하면 성형가공성이 나빠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의 배합을 우레탄수지에, 80중량%이상 배합하면 방염성이 나빠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에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혼 합하여 사용한다.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는 성형가공성이 좋다. 그러나, 시이트를 방염성으로 하기 위해서 난연제의 첨가량을 많게 해야 한다. 그러나 첨가량을 많게 하면 성형가공성이 나빠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의 배합량은 우레탄수지에 대하여, 70중량%이상 배합하면 방염성이 나빠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10∼70중량% 배합하면 블로킹이 개선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성형가공성이 좋다. 그러나, 시이트를 방염성으로 하기 위해서 난연제의 첨가량을 많게 해야 한다. 첨가량을 많게 하면 성형가공성이 나빠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배합량은 우레탄수지에 대하여, 70중량%이상 배합하면 방염성이 나빠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10∼70중량%을 배합하면 블로킹이 개선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난연제로서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의 화학식은,
[화학식1]
Figure 112002025118845-pat00001
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융점 257℃, 비중 1.5이다.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는 캘린더 로울가공이나 압출성형가공하는 경우의 수지에의 분산성을 고려하면, 평균입자지름 30㎛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지름이 20㎛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는 블로킹 방지효과가 크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난연제로서 적합하다.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의 예로서, 오오쓰카화학주식회사제 KBH-30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난연제로서 디시안디아미드를 사용할 수가 있다. 디시안디아미드의 화학식은,
[화학식2]
Figure 112002025118845-pat00002
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융점 209℃, 회분 0.03중량%이하, 비중 1.4이다.
디시안디아미드는 캘린더 로울가공이나 압출성형가공하는 경우의 수지에의 분산성을 생각하면, 평균입자지름 30㎛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입자지름이 2O㎛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디시안디아미드는 일반적으로는 평균입자지름 100∼200㎛인 것이 많지만, 이것을 분쇄하여 평균입자지름이 30㎛ 이하로서 사용한다. 디시안디아미드의 예로서 일본카바이드공업주식회사제 데시안데아미드, 저팬에폭시레진주식회사제의 에피큐어-DICY 7A를 들 수 있다.
발명은 난연제로서 멜라민시아누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멜라민시아누레이트의 화학식은
[화학식3]
Figure 112002025118845-pat00003
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융점 250℃(300℃ 부근에서 승화개시) 비중1.68이다.
멜라민시아누레이트는 캘린더 로울가공이나 압출성형가공할 경우 수지에의 분산성을 생각하면, 평균입자지름 3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입자지름이 20㎛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멜라민시아누레이트의 예로서, 닛산화학공업주식회사제 MC-610, MC-410등을 들 수 있다.
난연제 디시아민디아미드,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 멜라민시아누레이트중의 어느 1종 이상을 우레탄수지 단독 또는 우레탄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혼합체에 혼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8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부 첨가한다. 첨가량이 5중량부이하이면, 방염성이 나쁘고, 난연 시이트를 감아 돌릴 때 블로킹이 생기기 쉽다. 80중량부 이상에서는 압출성형성이 나빠져, 난연 시이트의 기계적 강도가 나빠진다.
난연제는 단품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면 상승효과가 있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난연제의 혼합물로서는,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에 멜라민시아누레이트와 디시안디아미드를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멜라민시아누레이트와 디시안디아미드를 단독 또는 병용하여 10중량부∼80중량부 사용하면 방염성의 향상효과가 발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난연 시이트는 두께가 20㎛ 이하에서는 기계적 강도가 작아지고, 취급성이 나빠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1000㎛ 이상에서는 방염성이 나빠지고, 감촉이 딱딱하게 되어 취급성이 나쁜 난연 시이트가 된다.
자기소화성, 난연성을 나타내는 산소지수는 26이상이다. 26이하이면, 자기소화성, 난연성이 불충분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난연 시이트를 성형할 경우, 슬립제, 윤활제, 안정제, 가소제, 또한 안료, 염료,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산화방지제, 커플링제, 미생물 방지제 등을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 시이트를 캘린더 로울가공이나 압출성형가공하기 위해서는 우레탄수지,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또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난연제로서 디시안디아미드,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 멜라민시아누레이트의 적어도 1종 및 기타 상기 조제를 헨셀 믹서, 벤버리 믹서, 로울 니더, 가압 니더, 3중 로울, 2축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가열혼련하여 난연성 수지혼합 물을 만들고, 이것을 직접 또는 다시 펠릿화하고, 이것을 캘린더 로울가공이나 인플레이션압출법, T다이압출법 등으로 난연시이트를 성형가공한다.
[실시예]
실시예1
우레탄수지로서 E-785PSPK(Tf 173℃, 일본미라크트란주식회사제) 70중량%를 사용하고, 여기에,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로서 에버플렉스 P-1905(멜트플로레이트 2.5g/10min, 초산비닐함유량 19중량% 미쓰이듀퐁케미컬주식회사제) 30중량%를 사용하고, 난연제로서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 KBH-30(평균입자지름 5㎛, 오오쓰카화학주식회사제) 30중량부를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윤활제로서 헥스트 왁스 OP(헥스트사제) 1.5중량부, 자외선흡수제로서 치누핀 327(치바가이기사제) 0.5중량부, 산화방지제로서 일가녹스 1010(치바가이기사제) 0.5중량부, 내광제로서 아덴가스타프 LA-77(아사히덴카공업주식회사제) 0.5중량부를 가하여, 벤버리 믹서로 150℃ 10분간 혼합하여, 난연수지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 난연수지 혼합물을 온도 170℃의 14인치 혼련 롤로 7분간 혼련하고, 이것을 연속하여 온도 170℃, 180℃의 역 L형 캘린더 로울로 보내어 시이트화한 후, 한 면에 공정지를 부착 로울로 냉각하여 150㎛의 난연 시이트를 와인더로 감아 돌렸다. 이 난연 시이트를 감아 바꿀 때 공정지를 제거하였다. 이 난연 시이트에 대한 성능을 측정한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 1에 있어서 우레탄수지 E-785PSPK(Tf 173℃, 일본미라크트란주식회사제) 100중량%를 사용하였다.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버플렉스 P-1905는 사용하지 않았다. 난연제로서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 KBH-30를 70중량부 사용하였다. 기타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난연수지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해당 난연수지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캘린더 로울 성형하여 두께 500㎛의 난연 시이트를 와인더로 감아 돌린 후, 바꾸어 감아, 공정지를 제거하여 난연 시이트를 얻었다.
해당 난연 시이트에 대한 성능을 측정한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우레탄수지 E-785 PSPK 90중량%, 에버플렉스 P-19O5를 1O중량% 사용하였다. 난연제로서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 KBH-30를 10중량부 사용하였다. 기타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난연수지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해당 난연수지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캘린더 로울 성형하여 두께 100㎛의 난연 시이트를 와인더로 감아 돌린 후, 바꾸어 감아, 공정지를 제거하여 난연 시이트를 얻었다.
해당 난연 시이트에 대한 성능을 측정한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 1에서 우레탄수지 E-785 PSPK 대신에 P22M(Tf 155℃, 일본미라크트란주식회사제) 80중량%,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버플렉스 P-1905 대신에, P-2805(멜트플로레이트 6g/10min, 초산비닐함유량 28중량% 미쓰이듀퐁케미컬주식회사제) 20중량%를 사용하였다.
난연제로서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의 첨가량을 20중량부로 하였다. 기타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난연수지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해당 난연수지혼합물을 조립기(造粒機)에 의해 펠릿으로 하였다.
해당 펠릿을 압출기(Ø50mm, L/D:24/1, CR, 3.0, 일본제강소주식회사제)를 사용하여, 다이 갭 0.3mm, 압출기온도 150℃, 160℃, 170℃, 다이 온도 175℃, 압출스피드 30m/min에서 T다이압출성형에 의해 두께 50㎛의 난연 시이트를 성형하여, 공정지를 시이트의 한 면에 부착 냉각 로울로 냉각하여 난연 시이트를 와인더로 감아 돌렸다. 해당 난연 시이트를 감아 바꿀 때, 공정지를 제거하였다.
해당 난연 시이트에 대한 성능을 측정한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 1에 있어서, 난연제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KBH-30 (평균입자지름 5㎛, 오오쓰카화학주식회사제)의 첨가량 30중량부를 3중량부로 하였다.
기타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난연수지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해당 난연수지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캘린더 로울 성형하여 두께 150㎛의 난연 시이트를 와인더에 감아 돌린 후, 바꾸어 감아, 공정지를 제거하여 난연 시이트를 얻었다. 산소지수가 낮고 자기소화성이 불량이다.
해당 난연시이트에 대한 성능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난연제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KBH-30(평균입자지름 5㎛, 오오쓰카화학주식회사제)의 첨가량 30중량부를 90중량부로 하였다.
기타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난연수지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해당 난연수지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캘린더 로울 성형하여 두께 150㎛의 난연 시이트를 성형하여 사용하였지만, 시이트의 제막성이 나쁘고, 시이트의 두께에 불균일이 생겨 두께가 일정한 난연 시이트를 와인더에 감아 돌릴 수 없었다. 바꾸어 감아, 공정지를 제거하고 난연 시이트를 얻었다.
해당 난연 시이트에 대한 성능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우레탄수지 E-785 PSPK의 첨가량 70중량%를 10중량%로 하였다.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버플렉스 P-1905의 첨가량 30중량%를 90중량%로 하였다. 난연제는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 KBH-30의 첨가량 30중량부를 40중량부로 하였다.
기타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난연수지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해당 난연수지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캘린더 로울 성형하여 두께 150㎛의 난연 시이트를 와인더에 감아 돌린 후, 바꾸어 감아, 공정지를 제거하여 난연 시이트를 얻었다. 산소지수가 낮고 자기소화성이 불량이다.
해당 난연 시이트에 대한 성능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P-1905는 사용하지 않고,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버플렉스 EV45-LX(멜트플로레이트 2.5g/10min, 초산비닐 함유량 46중량%) 30중량%를 사용하였다.
기타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난연수지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해당 난연수지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캘린더 로울 성형하여 두께 150㎛의 난연 시이트를 와인더에 감아 돌린 후, 바꾸어 감아, 공정지를 제거하고 난연 시이트를 얻었다.
이 난연 시이트는 감촉은 부드럽고, 달라붙는 감이 있어, 블로킹의 발생이 보였다. 그 때문에 공정지를 제거한 후, 해당 난연 시이트를 해반(解反)하고자 하였지만 블로킹 때문에, 해반성이 실시예 1보다 뒤떨어졌다. 이것은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의 초산비닐함유량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이다.
해당 난연 시이트에 대한 성능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06032003716-pat00004
삭제
[표 2]
삭제
Figure 112006032003716-pat00005
(주)
1. 표중의 회분 「<0.1」은 「0.1」보다 적은 것을 나타낸다.
2. 표중의 인장강도의 단위 B 및 C는 「kgf/15mm」이다.
3. 여러 가지 성능의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1)산소지수 JIS K 7210
지지방법의 구분: B-1호
(2)인장시험 JIS Z 1702
(3)회분시료의 적량을 백금도가니에 채취하고, 열판상에서 탄화한 후, 전기로에 넣어 85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탄화시키고, 그 잔분을 회분의 중량으로 하였다.
(4)블로킹
블로킹 : 없음 ○
블로킹 : 약간 있음 △
블로킹 : 있음 ×
(5)성형가공성
시이트의 두께 : 불균일 없음 ○
시이트의 두께 : 뷸균일 약간 있음 △
시이트의 두께 : 불균일 있음 ×
본 발명의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는 산소지수가 양호하고 자기소화성이 있으며, 더욱이 사용후에 소각할 수 있어, 유해가스를 발생시키지 않고, 회분의 발생도 적고, 필터의 막힘도 생기지 않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7)

  1. 우레탄수지 100∼20중량%에 대하여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0∼80중량%를 배합하고, 전체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제로서 히드라조디카르본아미드를 5∼80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우레탄수지는 유동개시온도가 Tf145∼190℃이며,
    상기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는 초산비닐함유량이 10∼35중량%, 멜트플로레이트가 0.5∼30g/10min인 미량 회분조성물로 성형한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두께가 20∼1000㎛이고 산소지수가 26 이상인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난연 시이트가 캘린더 로울로 성형된 시이트인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난연 시이트가 압출성형된 시이트인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20045825A 2002-08-02 2002-08-02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KR100625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825A KR100625936B1 (ko) 2002-08-02 2002-08-02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825A KR100625936B1 (ko) 2002-08-02 2002-08-02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308A KR20040012308A (ko) 2004-02-11
KR100625936B1 true KR100625936B1 (ko) 2006-09-20

Family

ID=3732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825A KR100625936B1 (ko) 2002-08-02 2002-08-02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9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79609C1 (ru) * 2011-10-07 2013-04-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Чуваш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И.Н. Ульянова"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крытий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7567A (ja) * 1999-08-04 2001-02-20 Kyowa Co Ltd 自己消火性難燃シート
JP2001049053A (ja) * 1999-08-06 2001-02-20 Dainippon Ink & Chem Inc 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7567A (ja) * 1999-08-04 2001-02-20 Kyowa Co Ltd 自己消火性難燃シート
JP2001049053A (ja) * 1999-08-06 2001-02-20 Dainippon Ink & Chem Inc 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308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86268A1 (en) Fire Resistant Thermoplastic or Thermoset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tumescent Specialty Chemical
JP5191125B2 (ja) シリコーンオイル被覆難燃剤、該難燃剤を用いた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CA2771074C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comprising intumescent flame retardants and non-phosphorous-based flame retardant synergists
EP2915845B1 (en) Polyolefin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JP5503071B1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成形品及び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20125366A (ja) 難燃性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
WO2022131284A1 (ja) 難燃剤組成物、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KR20110069592A (ko) 폴리카보네이트 난연 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 난연 필름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난연 필름
JP200425678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625936B1 (ko) 자기소화성 난연시이트
JP2007056150A (ja)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JP3955765B2 (ja) カラーマスターバッチ組成物、それを用いた着色難燃性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2006282718A (ja) 自己消火性発泡難燃シート
JP5418509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樹脂シート、樹脂成形品
JP2007009000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3527894B2 (ja) 自己消火性難燃シート
JP2004067744A (ja) 自己消火性難燃シート
JP6865568B2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H01146946A (ja) 防鼠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WO1999029776A1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JP2006225505A (ja) 自己消火性発泡難燃シート
JPH0419777B2 (ko)
JP2003246894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2005060676A (ja) 複合難燃剤およびそれを配合してな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622550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