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078B1 -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 - Google Patents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078B1
KR100625078B1 KR1020040020772A KR20040020772A KR100625078B1 KR 100625078 B1 KR100625078 B1 KR 100625078B1 KR 1020040020772 A KR1020040020772 A KR 1020040020772A KR 20040020772 A KR20040020772 A KR 20040020772A KR 100625078 B1 KR100625078 B1 KR 100625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road protection
aesthetics
protection block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5393A (ko
Inventor
윤종화
장기영
김승규
서동관
Original Assignee
윤종화
김승규
장기영
서동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화, 김승규, 장기영, 서동관 filed Critical 윤종화
Priority to KR1020040020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078B1/ko
Publication of KR20050095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A47G23/0233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with a lid, e.g. for a beer glas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도로나 교량에서 교통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방호블록 및 도로방호벽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도로나 교량에 설치되는 방호블록 및 도로방호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조명시설이 설치되어 있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연속적으로 설치하거나 기존 방호벽 사이에 부분적으로 설치하여 투명방호벽체를 형성함으로써 주간에는 차량 운전자 및 탑승자의 시야를 개선시키고, 야간에는 투명방호벽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으로 야간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게 할 뿐 만 아니라 야간 조명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어 미관 향상과 동시에 안전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발명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나 교량에 교통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방호벽에서, 도로 및 교량의 상면에 도로 및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단부; 상기 콘크리트 기단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 다수개가 콘크리트 기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형성되는 투명방호벽체; 및 상기 콘크리트 기단부와 투명방호벽체를 결합하는 결합장치;를 특징적인 구성으로 하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Safety fence system using appearance improving safety block}
도 1은 일반적인 도로교량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의 시공예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의 다른 시공예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의 또 다른 시공예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 미관개선용 방호블록 11 : 조명설치홈
11a : 조명설치공 12 : 연결공
13 : 결합공
100, 100a ,100b : 미관개선용 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
110 : 콘크리트 기단부 120, 120a, 120b : 투명방호벽체
130 : 결합장치 140 : 연결이음장치
150 : 연결장치 200 : 난간형틀
210 : 난간지주
본 발명은 도로나 교량에서 교통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방호블록 및 도로방호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조명시설이 설치되어 있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방호블록을 이용하여 투명방호벽체를 형성함으로써 주간에는 차량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교량 외부의 풍경을 볼 수 있게 조망권을 확보해 주고, 야간에는 투명방호벽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으로 야간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게 할 뿐 만 아니라 야간 조명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어 미관 향상과 동시에 안전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및 교량에는 주행 차량의 운전자 및 탑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폭 방향의 양측 또는 일측에 방호벽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그 일예로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교량의 상판(1)의 양쪽 측면에는 차량이 충돌하여 도로교량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을 보호하기 위해 소정의 높이와 두께를 갖는 방호벽(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방호벽(1a)의 외면은 그대로 도로교량의 측면으로 보이게 된다.
그런데, 통상의 콘크리트 상판(1)에 형성된 방호벽(1a) 역시 콘크리트로 형성되고 그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외면이 그대로 도로교량의 측면으로 노출됨으로써, 도로교량 전체의 미관을 저해하게 된다. 왜냐하면, 콘크리트라는 재질의 특성상 표면이 거칠 수 있으며, 어둡고 무거운 느낌을 주는 회색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시공과정에서 이물질이 많이 묻을 수 있으며, 도로교량의 사용기간 중에 우수에 의하여 방호벽(1a)의 콘크리트에 오물이 묻어 쉽게 더러워질 가능성도 있다.
특히 관광지 등에서는 주위의 풍경과 도로교량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한데, 콘크리트의 회색으로 인하여 도로교량의 방호벽으로부터 느껴지는 도로교량의 모습이 주변 풍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주변의 풍경과 연계시켜 도로교량의 경관을 아름답게 조성하는데 곤란한 경우가 다대하다.
또 기존의 도로 및 교량의 방호벽은 전술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방호벽이외에도 금속형틀의 난간으로 이루어져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형틀의 난간은 차량 충돌 시 쉽게 파손되고 유지보수비가 고가이어서 비경제적이며, 난간틀과 난간틀 사이에 오픈된 부분이 존재함으로 방음, 방풍, 및 낙하물 차단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기존의 도로 및 교량의 방호벽은 야간 운전 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 고 안전운전을 유도하기 위하여 도로방호벽의 표면에 야광도료를 입히거나 야광표시등이 장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도로방호벽에 입혀진 야광도료는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퇴색하게 되고, 야광표시등 역시 차량 충돌이나 풍화작용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유도하고자 하던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게 되며 도로 주변의 미관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면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유지관리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러한 유지관리는 작업 시 차량의 소통을 방해하게 되어 교통의 혼잡을 야기하게 되는 불편함을 끼치게 되며, 유지관리 작업에도 막대한 비용과 인력이 투입되게 됨으로 경제성이 떨어진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내부에 조명시설이 설치되어 있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방호블록을 이용하여 도로의 방호벽을 형성함으로써 주간에는 차량 운전자 및 탑승자의 교량 외부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조망권을 확보시키고, 야간에는 투명방호벽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으로 야간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게 할 뿐 만 아니라 야간 조명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어 미관 향상과 동시에 안전운전을 가능하게 하며, 유지관리가 용이한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은 도로나 교량에서 교통안전을 위해 도로 및 교량의 상면에 설치되는 방호블록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조명시설이 설치되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하여 도로나 교량의 교통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방호벽에서, 도로 및 교량의 상면에 도로 및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단부; 상기 콘크리트 기단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 다수개가 콘크리트 기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형성되는 투명방호벽체; 및 상기 콘크리트 기단부와 투명방호벽체를 결합하는 결합장치;를 포함하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는 내부에 조명시설이 설치되어 있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연속적으로 설치하거나 기존 방호벽 사이에 부분적으로 설치하여 투명방호벽체를 형성함으로써 주간에는 차량 운전자 및 탑승자의 시야를 개선시키고, 야간에는 투명방호벽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으로 야간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게 할 뿐 만 아니라 야간 조명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어 미관 향상과 동시에 안전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사항들 이외에 본 발명이 가지는 또 다른 기술적 특징들 및 장점들은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에게 더욱 확실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100)의 시공예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100a)의 다른 시공예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100b)의 또 다른 시공예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 10a)은 도로나 교량에서 교통안전을 위해 도로 및 교량의 상면에 설치되는 방호블록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 10a)은 일정한 단면과 내구성을 갖는 플라스틱, 폴리그라스, 강화유리와 같은 유리합성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FRP 썬라이트와 폴리카보네이트(P.C)를 들 수 있다. FRP 썬라이트는 유리섬유와 불포화 폴리에스테 르수지를 3:7 비율로 만든 강화 플라스틱 제품으로, 특수수지를 사용하여 투과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뛰어나며 채색이 되어 있을 경우 쉽게 변색되지 않는다.
또 폴리카보네이트(P.C)는 플라스틱 분야에서 가장 발전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만들어진 건축자재로서 금이 가고 깨지기 쉬운 종래의 유리나 플라스틱의 단점을 완전히 보완한 것이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P.C)는 판유리의 250배, 아크릴의 30배 이상의 충격강도를 지니고 있어 영하 40도에서 강한 충격을 주어도 깨지지 않을 정도의 탁월한 내충격성을 가지고 있고, 곡면 가공뿐만 아니라 몰드를 이용한 성형이 가능하며, 절단 및 HOLE 가공 시 일반 공구를 사용함으로 시공이 매우 편리하여 시공성이 높다. 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P.C)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으로 유리와 동일한 수준의 투명도를 갖추고 있으며 표면광택이 우수하고 외관이 미려하다.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 10a)은 차량 충돌 시 그 충격에 견디며 쉽게 파손되지 않아 교통안전시설물로써의 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되며, 투과성이 우수하고 소정의 투명도를 갖고 있는 유리합성체나 합성수지로 제작됨으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 10a)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이 외부로 투시되어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게 되며 야간에는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어 안전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때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 10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난간형틀(200) 및 난간지주(210)에 내측설치될 때에는 패널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미관개 선용 도로방호블록(10, 10a)의 형상은 제작현장 및 시공현장의 상황에 따라 선택되어 선 제작된다.
또한 상기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 10a)은 내부에 조명시설이 설치될 수 있다. 내부에 조명시설을 설치하기 위해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 10a)은 상부 일단에 조명설치홈(11)이 더 형성되거나 상기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 10a)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조명설치공(11a)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조명설치홈(11) 및 조명설치공(11a)에는 전원으로 태양건전지 또는 전기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 10a)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은 도로 설치 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 10a)을 통과하여 빛이 투시되게 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며, 시선을 유도하여 안전운전을 가능케 하고, 더욱이 야간에는 미려한 야경효과까지 발휘하여 미관 향상을 극대화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 10a)은 도로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조명시설의 역할까지 수행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에는 시공 시 콘크리트 기단부(11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장치(130)가 설치되는 결합공(13)이 형성되어 있고, 투명방호벽체(120)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의 상호결속을 위한 후술되는 연결장치(150)가 설치되는 연결공(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 10a)은 다양한 색상으로 채색이 가능하여 기존의 콘크리트 재질의 회색 일색이었던 방호벽과는 달리 다양한 색상으로 도로 주변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야간 조명 시에는 더욱 더 화려하고 다양한 조명색상으로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다채로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100, 100a, 100b)는 도로나 교량에 교통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방호벽에서, 도로 및 교량의 상면에 도로 및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단부(110); 상기 콘크리트 기단부(1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 10a) 다수개가 콘크리트 기단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형성되는 투명방호벽체(120, 120a, 120b); 및 상기 콘크리트 기단부(110)와 투명방호벽체(120, 120a, 120b)를 결합하는 결합장치(13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100, 100a)는 상기 투명방호벽체(120, 120a)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0) 상호간을 결속하는 연결장치(150) 및 상기 투명방호벽체(120, 120a)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투명방호벽체(120, 120a)가 콘크리트 기단부(110)에서 낙하되지 않도록 투명방호벽체(120, 120a)와 콘크리트 기단부(110)를 연결하는 연결이음장치(140)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 3a 내지 도 3c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100, 100a, 100b)의 시공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후술되는 시공예에서는 도로교량의 방호벽을 시공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100)는 도로교량의 상면 폭 방향 양측에 도로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콘크리트 기단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기단부(110) 상부에 미리 제작된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이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투명방호벽체(120)를 이룬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기단부(100)와 투명방호벽체(120)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0)의 결합공(13)을 통해 설치되는 체결볼트 및 체결앵커와 같은 결합장치(130)로 용이하게 상호결합되어 일체화를 이루며 차량 충돌 시 설치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투명방호벽체(12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철선이나 앵커와 같은 연결이음장치(140)로 한번 더 연결되어 결속됨으로써, 콘크리트 기단부(110)와 투명방호벽체(120)의 견고한 이음이 가능하게 되며 차량 충돌 시 방호벽 낙하로 인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정된 구조를 이룬다.
또한 상기 투명방호벽체(120)를 이루는 다수개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은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의 연결공(12)을 통해 설치되는 결합볼트와 같은 연결장치(150)로 상호결속됨으로써 차량 충돌 시 충격분산효과를 가지게 되어 더욱 더 안정된 구조를 이룬다.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100)의 콘크리트 기단부(110)는 도로교량의 슬래브와 직접 연결되어 형성되고 콘크리트 기단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투명방호벽체(120)의 지지부가 됨으로, 차량 충돌 시 투명방호벽체(120)가 설치 위치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방호벽체(120)는 콘크리트 기단부(110)의 상부에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이 콘크리트 기단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방호벽체(120)를 이루는 것으로써, 기존의 회색 일색의 콘크리트 방호벽과는 달리 차량 운전자 및 탑승자의 시야를 개선시켜 주며, 도로 주변 경관과 어울리는 방호벽체(1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투명방호벽체(120)를 이루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에는 다양한 색상이 채색될 수 있어 도로방호벽의 심미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방호벽체(120)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에 형성된 조명설치홈(11) 및 조명설치공(11a)에 태양건전지 또는 전기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야간 운전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게 하고 시선을 유도하면서 안전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 조명설치가 되어 있는 투명방호벽체(120)는 야간에 야경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어 차량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다채로운 미감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100)에서 상기 투명방호벽체(120)는 각각의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개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이 연속설치되어 형성되는 것임으로, 투명방호벽체(120)의 일부가 훼손되었을 경우 훼손된 부분의 도로방호블록(10) 부분만 교체하면 됨으로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적이다.
도 3b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100a)의 다른 시공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시공예는 도로교량의 방호벽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콘크리트 기단부(110)와 투명방호벽체(120a)는 전술된 시공예에서와 동일한 것임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100a)는 상기와 같이 도로교량의 상면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기단부(110) 상부에 다수개의 콘크리트 방호벽(1a)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방호벽(1a)과 방호벽(1a) 사이에 상기와 같은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0)이 설치되어 투명방호벽체(120a)를 이룬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기단부(110)와 투명방호벽체(120a)는 전술된 시공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체결볼트나 체결앵커와 같은 결합장치(130)로 상호결합되고, 투명방호벽체(120a)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기단부(110)와 투명방호벽체(120)를 한번 더 이음해주는 연결이음장치(140)로 더욱 더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루게 되며 차량 충돌 시 방호벽 낙하로 인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정된 구조를 이룬다.
또 상기 콘크리트 방호벽(1a)과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0)은 결합볼트와 같은 연결장치(150)로 상호결속되어 투명방호벽체(120a)를 이룸으로써 차량 충돌 시 충격분산효과를 가지게 되어 더욱 더 안전한 구조를 이룬다.
또 이러한 도로방호벽구조(100a)는 전술된 시공예와 같은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0)으로만 이루어진 투명방호벽체(120)의 도로방호벽구조(100)보다 차량 충돌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며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미관 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100a)는 도로의 미관을 개선하고, 야간운전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게 하며 시선을 유도하여 안전운전을 가능케할 뿐 만 아니라 교통안전시설물로써의 역할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c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100b)의 또 다른 시공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시공예는 도로교량의 방호벽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교량의 상면 폭 방향 양측에 콘크리트 기단부(110)를 형성하고, 그 상부에 난간형틀(200) 및 난간지주(210)를 설치한다. 이때 난간지주(210)와 연결된 난간형틀(200)의 난간틀과 난간틀 사이의 오픈된 부분에는 상기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a)을 내측설치하여 투명방호벽체(120b)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a)은 난간형틀(200)에 용이하게 내측설치되기 위해 패널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 상기 난간형틀(200) 및 난간지주(210)에 내측설치되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a)은 고정용 앵글 및 고정볼트 등으로 조립되어 난간형틀(200)과 일체화되고, 전술된 바와 같이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a)과 난간형틀(200) 및 난간지주(210)로 이루어지는 상기 투명방호벽체(120b)는 전술된 바와 같은 체결볼트 및 체결앵커와 같은 결합장치(130)로 콘크리트 기단부(110)와 상호결합된다. 또한 난간형틀(200)을 고정하는 난간지주(210) 역시 콘크리트 기단부(110)과 체결볼트 및 체결앵커 등과 같은 결합장치(130)로 결합되어 콘크리트 기단부(110)와 일체화를 이룸으로써, 궁극적으로 상기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100b)를 이루는 모든 요소들이 상호연결되어 차량 충돌 시 그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안정된 구조를 이룬다.
또 이러한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100b)는 차량 충돌 시에 난간형틀(200) 및 난간지주(210)가 충격하중을 부담하게 되어 차량의 안전을 확보하고 교통안전시설물로써의 충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투명방호벽체(120b)로 인해 기존의 금속 난간형틀로 이루어진 도로방호벽에서 기대할 수 없었던 방음, 방풍, 및 낙하물 차단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되고, 도로 주변경관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은 투명방호벽체(120b)는 조명설치홈(11) 및 조명설치공(11a)에 조명시설이 설치되어 있어 야간 운전 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시선을 유도하면서 안전운전을 가능케 한다.
또 상기와 같은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100b)에서 상기 투명방호벽체(120b)는 패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도로방호블록(10b)임으로 전술된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100, 10a)의 투명방호벽체(120, 120a)보다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고, 투명방호벽체(120b)의 훼손 시 훼손된 부분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10a)만 교체하면 됨으로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투입 비용 및 인력이 적어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는 일정한 단면과 강도를 가지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하여 투명방호벽체를 형성함으로써 교통안전시설물로써의 역할은 충분히 수행하면서 도로 주변 경관을 향상시키고 차량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조망권을 확보해 주며, 도로 경관의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는 내부에 조명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야간 운전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게 하고 시선을 유도하면서 안전운전을 가능하게 하고, 조명으로 인한 다채로운 야경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도로나 교량의 교통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방호벽에서,
    도로 및 교량의 상면에 도로 및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단부;
    상기 콘크리트 기단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 다수개가 콘크리트 기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형성되는 투명방호벽체; 및
    상기 콘크리트 기단부와 투명방호벽체를 결합하는 결합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은,
    도로나 교량에서 교통안전을 위해 도로 및 교량의 상면에 설치되는 방호블록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조명시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은 유리합성체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
  3. 제1항에서,
    상기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은 상부 일단에 조명설치홈이 더 형성되거나, 방호블록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조명설치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투명방호벽체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 상호간을 결속하는 연결장치 및 상기 투명방호벽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투명방호벽체가 콘크리트 기단부에서 낙하되지 않도록 투명방호벽체와 콘크리트 기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이음장치를 더 포함하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
  5.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콘크리트 기단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콘크리트 방호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방호벽과 콘크리트 방호벽 사이에 상기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이 설치되어 투명방호벽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
  6.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콘크리트 기단부 상부에 설치되는 난간형틀 및 난간지주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은 패널형상으로, 난간형틀 및 난간지주 내에 내측설치되어 투명방호벽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
  7. 삭제
KR1020040020772A 2004-03-26 2004-03-26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 KR100625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772A KR100625078B1 (ko) 2004-03-26 2004-03-26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772A KR100625078B1 (ko) 2004-03-26 2004-03-26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393A KR20050095393A (ko) 2005-09-29
KR100625078B1 true KR100625078B1 (ko) 2006-09-20

Family

ID=3727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772A KR100625078B1 (ko) 2004-03-26 2004-03-26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0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054B1 (ko) 2006-12-19 2013-07-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도로용 방호 울타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202B1 (ko) * 2019-08-20 2019-12-18 (주)글로벌에스텍 도로 방호블록 연결기구
CN114703750A (zh) * 2022-02-11 2022-07-05 江苏河海建设有限公司 一种小型桥梁施工用桥面浇筑后防护装置及其防护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054B1 (ko) 2006-12-19 2013-07-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도로용 방호 울타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393A (ko)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5078B1 (ko) 미관개선용 도로방호블록을 이용한 도로방호벽구조
CN202831782U (zh) 木塑围栏的连接结构
KR101166683B1 (ko) 야간 통행의 안전성과 친환경이 고려된 난간
CN209066347U (zh) 一种混凝土防撞护栏附着结构的锚固装置
KR200436308Y1 (ko) 차광 및 차선 유도 기능을 가진 교통 안전 난간
KR200391860Y1 (ko) 가드레일용 차광판 고정브래킷
KR100435048B1 (ko) 난간의 일체형 합성수지 연결구
KR101732779B1 (ko) 방향조절이 가능한 난간대를 갖는 안전 난간
CN201236523Y (zh) 一种道路明洞结构
KR200430471Y1 (ko) 사슬을 장착한 차선규제 가이드박스
KR200234138Y1 (ko) 난간의 난간대 조립구조
KR200447905Y1 (ko) 자전거 도로 표시용 차량 규제 블럭
KR101253593B1 (ko) 경계석
KR20090001128A (ko) 가드레일에서 분리 조립이 가능한 커버판
KR100972597B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도로 안전시설물
KR100919996B1 (ko) 와이어로프가 내장된 난간
KR200212373Y1 (ko) 교량등의 방호울타리에 대한 조명 설치 구조
CN209873646U (zh) 一种市政工程用道路防护栏
KR100533053B1 (ko) 가드레일 겸용 난간
KR101256872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336513Y1 (ko) 무늬판을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방호용 난간 지주
JP3032522U (ja) 歩車道境界ブロック
JP2833991B2 (ja) 道路柵
KR0125805B1 (ko) 폐타이어의 이용방법
KR200228748Y1 (ko)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