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373Y1 - 교량등의 방호울타리에 대한 조명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교량등의 방호울타리에 대한 조명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373Y1
KR200212373Y1 KR2020000014011U KR20000014011U KR200212373Y1 KR 200212373 Y1 KR200212373 Y1 KR 200212373Y1 KR 2020000014011 U KR2020000014011 U KR 2020000014011U KR 20000014011 U KR20000014011 U KR 20000014011U KR 200212373 Y1 KR200212373 Y1 KR 200212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ght
fence
bridge
road
fe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호
Original Assignee
정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호 filed Critical 정창호
Priority to KR2020000014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3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373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안전시설인 방호울타리(차량방호울타리, 교량용 보형방호울타리, 보도 및 육교난간, 방호책등)의 상부구조인 상부레일들에 대한 조명표시물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방호울타리의 지주와 지주의 상부를 덮어 주는 난간의 마감부재에 대하여 야간에 자동으로 교대 점멸케한 조명시설을 조합 설치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난간에 있어서 상부마감레일 (역∪형, 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1)에 (2)의 ψ10∼22 내외의 홈⊃형을 형성하고, 자동으로 교대 점멸케한 조명기구(야간자동점멸조명이 내장된 원형호스)(3)의 ψ9∼21내외의 호스를 키워 야간에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시설물의 야간미관 증진에 기여케 할 수 있다.
[색인어]
1. 교량용 방호울타리 : 교량 위에서 차량이 차도로부터 교량 바깥, 보도 등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방호울타리와 보행자와 자전거가 교량바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을 총칭하는 것.
2. 교량용 보형방호울타리 : 방호울타리의 구성 부재의 형식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보와 지주의 구성을 갖는 방호울타리.
3. 난간 : 교량이나 옹벽 위에서 보행자와 자전거가 교량이나 옹벽 바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호울타리의 일종.
4. 조명시설 : 도로 교통의 안전성 증대를 통하여 주. 야간의 도로 이용자가 안전하고, 불안감 없이 통행하고 도로 이용 효율의 향상을 도모 할 수 있는 도로의 부속시설.

Description

교량등의 방호울타리에 대한 조명 설치 구조{.}
방호울타리 상부구조에 조명시설을 조합하여 도로이용자가 안전하고 불안감없이 통행 할 수 있도록 적절한 조명에 의한 운전자의 주의 환경을 확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기능등을 가진다.
특히, 야간에 차량의 운전자가 교량이나 옹벽등의 위험지 선형, 전방의 상황등을 쉽게 인지 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교대 점멸케하는 조명을 제공하여 야간에 경관고조도 하고, 교통사고 미연 예방에 의한 교통안전, 도로이용 효율의 향상과 운전자의 불안감 제거와 피로감소, 보행자의 불안감 제거등의 기능을 통하여 보다 편안하고 안전한 주행여건 제공에 고안의 목적이 있음.
본 고안은 도로안전시설인 방호울타리(차량방호울타리, 교량용 보형방호울타리, 보도 및 육교난간등)의 상부 구조물에 대한 조명 표시물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방호울타리의 지주와 지주의 상부를 덮어 주는 난간의 마감 부재에 대하여 야간자동점멸조명이 내장된 원형 호스를 조합 설치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바다나 강, 하천, 계곡, 고가도로 육교등에 설치하는 차량 및 보행안전시설에 있어서 위험지의 양측이나 편측에 방호울타리 시설을 설치하는 것은 필수적인 설계기준이다.
이것은 인도의 사람이 통행하면서 실족하여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위시해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각종차량이 운전 부주의나 충돌, 사고, 정비불량등의 이유로 도로나 보행시설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를 막아 보고자 하는 데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호울타리를 설치하여도 추락사고가 근절되지 않으므로 보도차도 경계석에 차량방호울타리와 최외측 교량 연석 위에 난간을 이중으로 설치한다거나 하는 노력이 강구 되고 있다.
특히 야간에 있어서는 운전자의 졸음과 야간시야 장애에 의한 운전 미숙으로 인하여 추락등의 사고가 더욱 많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것은 도로포장 및 선행등의 도로시설 향상과 차량의 성능 제고로 고속 주행 중 방호울타리가 잘 식별되지 않는 되서 기인 되기도 하고, 이 방호울타리가 고속 주행시에는 착시현상으로서 일직선으로만 보이기 때문에 잘 식별이 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특히 우천시 야간에는 더욱 더 식별이 되질 않는 실정에 있다.
이런 연유로서 종래 난간지주의 중앙면에 도로 표지병과 유사한 원판형 반사체나, 반사지등을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판형 반사체나 반사지는 지주의 몸통 일부나 상부구조물 일부에 점점이 부착되어 있는 까닭에 반사지와 운전자와의 광학계통이 일치되지 않아 잘 식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현재 교량이나 옹벽위 도로에서 발생하는 각종 차량의 추락 사고는 방호울타리의 위치를 쉽게 식별하지 못함으로써 사전 운전 주의를 게을리 하는 것에 기인하는 요인으로 되어 많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감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방호울타리의 야간안전운행 표시에 대한 제반 결정을 감안한다.
본 고안은 방호울타리 지주 상단을 덮어주는 마감 부재에 대하여 야간자동점멸조명이 내장된 원형호스를 해당 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끼워 야간 내내 명확하고 계속적으로 자동 점멸케 하므로써 항구적인 사고 방지 경보 조명시설 난간으로 제구실을 갖도록 창안 되었다.
본 고안은 방호울타리 상부 마감재 레일부재의 홈⊃형을 사전에 성형하고 이 삽입홈에 야간자동점멸조명이 내장된 원형호스를 조합 고정시키는 것으로 완성되어 있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역∪형과 이와 유사한 상부 마감재 (레일)
2 : 홈⊃형
3 : 야간자동점멸조명이 내장된 원형 호스
4 : 금속재 지주
5 : 5' : 원형, 타원형, 사각형, 역∪형 등의 파이프 형태의 난간 길이 방향 부재
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목적과 과제로 된 본 고안의 제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도이며
제1도는 금속제 지주(4)의 몸체 중간과 상단부위에 끼워 설치되는 지지부재(5)(5')(예컨대 원형, 사각형, 타원형 파이프등)에 대하여 옆부분에 ψ10∼22정도의 조명시설을 끼울수 있는 홈⊃형(2)에 대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위 실시예는 야간자동점멸조명이 내장된 원형호스(3)를 상부 마감재 전체 길이에 대하여 끼워 야간에 운전자가 방호울타리의 위치를 쉽게 식별하여 안전 운전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야간자동점멸 보안등은 20v 110mA 전구 24pcs(길이 10m당)가 상호 점멸 하므로 운전자 및 보행자가 식별이 우수하며, 설치 보수가 용이하고 감전사고예방 및 우천시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제2도는 역∪형 상부마감재(1)의 옆부분에 ψ10∼22정도의 조명시설을 끼울수 있는 홈⊃형(2)에 대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그 홈에 ψ9∼21 야간자동점멸 조명이 내장된 원형호스(3)를 끼워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는 실시예1과 동일함으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의 본 고안으로써 차량이 방호울타리 설치 구간을 통과 할 때 야간자동점멸 조명 시설에 의하여 전체적, 지속적으로 점멸 조명이 되므로써 방호울타리 위치를 먼 위치에서 미리 정확하게 식별되어 운전자가 사전에 조심하여 방어 운전을 하게 함으로써 추락사고에 의한 귀중한 생명과 재산의 피해를 예방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으로써 각종 공공사업 및 민간 발주의 도로안전시설인 방호울타리에 실용적으로 설계 시방 할 수 있으므로 국가적으로 유용한 고안으로써 활용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야간자동점멸조명이 내장된 원형호스가 삽입되는 구조물의 종류나 삽입홈이 규격과 설계 변경등으로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 날 수 없다.

Claims (1)

  1. 도로안전시설인 방호울타리에 있어서 상부마감레일(1, 5, 5' ; 원형, 사각형, 타원형, 역∪형등)에 홈⊃형(2)을 구조물 길이방향으로 전체적으로 형성하고 이 홈⊃형(2)에 꼭 끼워지는 야간자동점멸조명이 내장된 원형호스(3)를 길이 방향으로 끼워 고정시키므로써 방호울타리를 먼 위치에서 자동으로 쉽게 식별하여 안전 운전을 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울타리의 상부 구조물에 대한 야간자동점멸조명이 내장된 시설의 설치 구조.
KR2020000014011U 2000-05-17 2000-05-17 교량등의 방호울타리에 대한 조명 설치 구조 KR200212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011U KR200212373Y1 (ko) 2000-05-17 2000-05-17 교량등의 방호울타리에 대한 조명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011U KR200212373Y1 (ko) 2000-05-17 2000-05-17 교량등의 방호울타리에 대한 조명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373Y1 true KR200212373Y1 (ko) 2001-02-15

Family

ID=7305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011U KR200212373Y1 (ko) 2000-05-17 2000-05-17 교량등의 방호울타리에 대한 조명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3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071A (ko) * 2017-02-03 2019-10-02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내부 하우징이 있는 구조 케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071A (ko) * 2017-02-03 2019-10-02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내부 하우징이 있는 구조 케이블
KR102617758B1 (ko) 2017-02-03 2023-12-26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내부 하우징이 있는 구조 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6821C1 (ru) Пешеходный переход
KR200212373Y1 (ko) 교량등의 방호울타리에 대한 조명 설치 구조
KR101166683B1 (ko) 야간 통행의 안전성과 친환경이 고려된 난간
KR200426985Y1 (ko) 도로교통안전용 반사판
KR100981466B1 (ko) 도로 표면에 설치한 신호등에 의한 교통 제어 방법
KR200432405Y1 (ko) 보조신호등램프가 설치된 보행자신호등
KR101031632B1 (ko) 횡단보도용 조명등이 결합된 신호등 지주장치
KR200332866Y1 (ko) 난간, 조형물, 안내판 및 광고판에 조명의 조합에 대한설치구조
KR200299276Y1 (ko) 볼라드
KR101184093B1 (ko) 1차로 전용 차량의 차로 변경 시스템
CN111519553A (zh) 用于城市高架桥下交叉路口的交通引导系统及方法
KR101071375B1 (ko) 시설물용 플레이트
KR20110085169A (ko)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led 볼라드
KR200149133Y1 (ko) 교량상부 구조물에 대한 반사 표시물의 설치구조
KR200325223Y1 (ko) 횡단보도용 수신호기
JP7091288B2 (ja) 信号の無い一本道の横断歩道路面信号機。
KR102563624B1 (ko) 험프식 과속방지겸용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 방법
JP4182478B2 (ja) 交差点照明装置
KR960007191Y1 (ko) 이중 조명등이 설치된 보도측 난간
KR100964549B1 (ko) 자동차도로용 운전자 위험 인식매트
KR20230168255A (ko) 교통 사고 방지 시스템
KR100705392B1 (ko) 황색차선이 표시된 차선침범 방지턱
KR200174063Y1 (ko) 도로변 가드레일 발광구조(Road guardrail radiation structure)
NL2020468B1 (nl) Geleiderail, in het bijzonder een vangrail.
KR200473162Y1 (ko) 주주와 이를 이용한 야간운전자 안전을 위한 도로시설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