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545B1 - 스탬프 작성 장치 및 그 부속품 - Google Patents

스탬프 작성 장치 및 그 부속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545B1
KR100623545B1 KR1020000016370A KR20000016370A KR100623545B1 KR 100623545 B1 KR100623545 B1 KR 100623545B1 KR 1020000016370 A KR1020000016370 A KR 1020000016370A KR 20000016370 A KR20000016370 A KR 20000016370A KR 100623545 B1 KR100623545 B1 KR 100623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stamp
coating material
hold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1508A (ko
Inventor
오꾸무라다까시
이마마끼데루오
미끼다까시
가쯔노데루요
스기야마고지
아사이나오히또
후와데쯔지
Original Assignee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93103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2389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58195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106829B2/ja
Application filed by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1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02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one or more flat stamping surfaces having fixed im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DAPPARATUS FOR THE MECHANICAL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FOR STEREOTYPE PRINTING; SHAPING ELASTIC OR DEFORMABLE MATERIAL TO FORM PRINTING SURFACES
    • B41D7/00Shaping elastic or deformable material, e.g. rubber, plastics material, to form printing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7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by diffusing deodorants in lavat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탬프 작성 장치는 도장재에 원고 시트를 거쳐서 빛을 조사함으로써 도장을 형성하는 것이다. 스탬프 작성 장치는 원고 시트에 대면하는 소정 위치에 장착 가능하며, 도장재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 부재를 착탈할 수 있는 부착 구멍을 갖는 부속품을 갖추고 있다. 부속품에는 다양한 크기, 형상을 갖는 복수의 홀더 부재를 직접 혹은 보조 부속품을 거쳐서 착탈할 수 있도록 복수의 부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 부속품은 부착 구멍을 원고 시트의 긴 쪽 방향(X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조정 수단과, 부착 구멍을 원고 시트의 짧은 쪽 방향(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조정 수단을 설치하여, 부속품의 부착 구멍의 위치의 미세 조정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탬프 작성 장치 및 부속품에 따르면, 도장재의 면적이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하더라도 대응이 가능하고, 원고 시트와 도장면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간단히 수정할 수 있다.
도장재, 원고 시트, 홀더 부재, 조정 수단, 스탬프 유닛, 부속품, 제판부, 잉크팩, 도장면

Description

스탬프 작성 장치 및 그 부속품 {STAMP MAKING-OUT APPARATUS AND ITS ATTACHMENT}
도1은 스탬프 작성 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2는 스탬프 작성 장치 전체의 단면도.
도3은 제판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4는 원고 시트의 평면도.
도5는 스탬프 유닛의 각 부품의 사시도.
도6은 홀더 부재를 상하 역으로 한 상태의 사시도.
도7은 스탬프 유닛의 잉크팩 미개봉시의 측단면도.
도8은 스탬프 유닛의 잉크팩 개봉시의 측단면도.
도9는 스커트 부재의 측면도.
도10은 홀더 부재의 사시도.
도11은 홀더 부재의 측단면도.
도12는 홀더 부재의 평면도.
도13은 홀더 부재의 하면도.
도14는 부속품 및 보조 부속품 등의 제1 실시 형태의 사시도.
도15는 부속품의 제2 실시 형태의 사시도.
도16은 부속품의 제3 실시 형태의 평면도.
도17은 부속품의 제4 실시 형태의 사시도.
도18은 부속품의 제5 실시 형태의 사시도.
도19는 부속품의 제5 실시 형태의 평면도.
도20은 도19의 1 - 1선 화살표 단면도.
도21은 제6 실시 형태의 부속품의 상면으로부터의 사시도.
도22는 제6 실시 형태의 부속품의 하면으로부터의 사시도.
도23은 도21의 부속품의 2 - 2선 단면도.
도24는 도21의 부속품의 3 - 3선 단면도.
도25는 스탬프 작성 장치의 제판부의 사시도.
도26은 부속품을 거쳐서 홀더 부재를 장착한 경우의 제판부의 단면도.
도27은 원고 시트의 평면도.
도28은 도장재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29는 원고 시트에 대한 도장재의 위치 조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30은 막도장 크기의 스탬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탬프 유닛
3 : 도장재
4 : 홀더 부재
5 : 그립 부재
6 : 잉크팩
8 : 원고 시트
13 : 상부 스커트부
15 : 하부 스커트부
43 : 경사홈
44 : 검출홈
57 : 부속품
62 : 보조 부속품
75 : 밀봉재
76 : 유효 도장면
100 : 스탬프 작성 장치
104 : 인쇄부
106 : 제판부
120 : 발광 유닛
211 : 외부 프레임
본 발명은 스탬프 작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가지 크기나 형상의 도장재를 갖춘 하나 또는 복수의 홀더 부재를 장착 가능한 스탬프 작 성 장치 및 그 부속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손쉽게 스탬프를 작성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스탬프 작성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1-78192호 공보에 기재된 스탬프 작성 장치는 원고 시트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와, 투명판과 광원을 갖춘 발광 유닛과, 투명판 상에 원고 시트를 공급하는 롤러 쌍과, 투명판 상의 원고 시트에 대하여 다공성 수지 부재를 눌러 가압하는 스탬프 셋팅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포지티브 원고와 도장재가 대향하고 또한 양자 사이에 오리지널 필름을 개재시킨 상태로 도장재가 가압되도록, 하단부에 도장재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 부재를 스탬프 제조 장치에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크세논관을 발광시키면, 포지티브 원고를 통해서 빛이 도장재의 하측 층에 조사된다. 이에 따라, 원고의 투명 부분에 대응하여 빛이 조사된 도장재 부분만이 빛에너지 흡수 물질의 발열 작용에 의해서 용융후 고화되기 때문에, 그 부분이 밀봉되어 잉크를 투과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한편, 빛이 조사되지 않아 용융 고화되지 않은 부분의 도장재는 원고의 문자 등에 대응하여 밀봉되지 않고 그대로 잔존하게 된다. 이로써, 소망 패턴의 밀봉부(비인쇄부)와 비밀봉부(인쇄부)가 도장재의 하면에 혼재한 도장이 형성된다. 이 비인쇄부와 인쇄부가 혼재한 부분이 도장재의 유효 도장면으로 되는 것이었다.
그리고, 문자 등의 화상을 스탬프 인쇄할 경우에는, 상기 스탬프 유닛의 스커트 부재를 인쇄 용지상의 소망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그립 부재를 하방으로 눌러 가압한다. 이에 따라, 홀더 부재가 스커트 부재의 안을 하방으로 이동하여 도 장재가 인쇄 용지에 압착되고, 잉크가 도장재의 유효 도장면의 비밀봉부로부터 인쇄 용지에 부착되어 문자 등의 인쇄가 행해지는 것이었다.
그런데, 종래의 스탬프 유닛에 있어서의 홀더 부재, 나아가서 그 도장면은 그 크기(면적)가 원고 시트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영역과 거의 같은 것으로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면적 및 형상(크기)이 한 종류의 것이었다.
그러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도장면의 면적이나 형상(크기)을 여러 가지로 변경하고 싶은 경우가 있었지만, 이 요망에 부응하지 못했었다. 또한, 원고 시트에 형성되는 도장면 데이타의 화상의 면적이 예를 들어 막도장과 같이 작은 것이면, 원고 시트의 대부분이 사용되지 않은 채로 제판(製版) 후에 해당 원고 시트는 파기되기 때문에, 쓸모 없게 되어 제판 비용도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1 목적은 여러 가지 크기나 형상의 스탬프를 작성 가능한 스탬프 작성 장치 및 그 부속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2 목적은 제판부에서의 도장재의 장착 위치의 미세 조정이 가능한 스탬프 작성 장치 및 그 부속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스탬프 작성 장치는 도장재를 하단부에 보유 지지하는 홀더와, 에너지원을 갖고 상기 도장재에 에너지를 인가하는 에너지 인가 유닛과, 상기 에너지 인가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 되고, 상기 에너지원에 대향하도록 홀더의 도장재를 위치 결정하여 상기 홀더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위치 결정부를 적어도 하나 규정하는 부속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에너지를 인가함으로써 패턴을 도장재에 형성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속품에는 복수의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탬프 작성 장치 또는 부속품에 따르면, 통상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홀더 부재나 복수의 홀더 부재를 하나의 부속품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한번에 복수의 도장면을 동시에 제판할 수 있다. 또한, 원고 시트를 이용하여 제판하는 경우에는 1매의 원고 시트의 제판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작은 크기나 여러 가지 평면으로 보이는 형상의 홀더 부재에도 간단히 제판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탬프 작성 장치는 상기 부속품의 종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속품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 가능한 식별부를 구비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부속품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인가 유닛을 제어하는 에너지 제어 장치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탬프 작성 장치 또는 부속품에 따르면, 부속품에 장착한 홀더 부재의 종류나 크기를 스탬프 작성 장치 본체측으로 일일이 기억시키는 조작을 실행할 필요가 없고, 도장면 크기에 따라서 에너지의 인가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탬프 작성 장치는 상기 부속품의 저면에 투명 지지 시트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탬프 작성 장치 또는 부속품에 따르면, 부속품의 하면에 투명 시트를 설치해 두면, 부착 구멍으로부터 홀더 부재가 부주의하게 낙하하지 않고, 투명 시트가 홀더 부재 하면의 도장면과 원고 시트의 사이에 개재되기 때문에, 단열재로서 기능하여 광조사에 의한 열에너지로써 원고 시트와 도장면이 용착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탬프 작성 장치는 상기 부속품의 상기 위치 결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도장재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보조 부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탬프 작성 장치 또는 부속품에 따르면, 부속품의 부착 구멍에 대하여 보조 부속품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이 보조 부속품에 여러 가지 작은 크기의 홀더 부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면, 이 보조 부속품을 교환하는 것만으로 상기 주된 부속품의 종류를 많게 하는 일 없이 다종류의 홀더 부재를 장착 할 수 있어, 부속품 전체로서의 제조 비용을 저감하고, 또한 부피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의 하면에는 상기 투명 원고 시트를 점착할 수 있는 점착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탬프 작성 장치 또는 부속품에 따르면, 원고 시트의 제판 영역을 부착 구멍에 대하여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지극히 간단히 할 수 있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탬프 작성 장치는 상기 에너지 인가 유닛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기 부속품의 위치를 조정하는 미세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탬프 작성 장치 또는 부속품에 따르면, 원고 시트에의 인쇄 위치의 오차에 의해 원고 데이타 영역(제판 영역)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제판부에의 원고 시트 이동후의 정지 위치가 어긋나더라도, 홀더 부재에 있어서의 유효 도장면 영역 내에 원고 데이타 영역(제판 영역)이 들어가도록 간단히 위치 정렬할 수 있고, 제판 영역과 홀더 부재의 유효 도장면의 영역이 엇갈리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제판 에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미세 조정 수단은 상기 부속품을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 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 조정 수단은 상기 부속품을 상기 제1 수평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2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탬프 작성 장치 또는 부속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장재가 막도장과 같이 작고 원고 시트의 원고와의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더라도, 상기 부착 구멍을 원고 시트의 긴 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조정 수단과 상기 부착 구멍을 원고 시트의 짧은 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조정 수단에 의해, 부착 구멍을 원고 시트에 대하여 이차원적으로 이동시켜, 원고 시트의 원고와 부착 구멍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도장재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 부재가 여러 가지 형상이었다고 해도, 이 홀더 부재에 맞는 부착 구멍을 갖는 부속품을 스탬 프 작성 장치의 소정 위치에 장착하면, 여러 가지 형상의 도장재에 대하여 도장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탬프 작성 장치는 상기 투명 원고 시트를 상기 광원과 부속품 사이에 공급하는 이송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미세 조정 수단은 상기 부속품을 투명 원고 시트의 이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방향 이동 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 원고 시트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짧은 쪽 방향으로 상기 부속품을 이동시키는 가로 방향 이동 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탬프 작성 장치 또는 부속품에 따르면, 외부 프레임의 긴 쪽 방향(원고 시트 반송 방향)으로 제1 슬라이드 부재를 활주 이동시켜 미세 조정하고,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짧은 쪽 방향(원고 시트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슬라이드 부재를 활주 이동시켜 미세 조정하면, 부착 구멍의 위치를 원고 시트의 원고에 대하여 이차원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미세 조정 수단은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고 제1 수평 방향으로 활주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에 설치되고 제2 수평 방향으로 활주하는 제2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외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 조정 수단과,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2 조정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조정 수단은 이동 방향의 한 쪽에 설치된 제1 스프링 부재와, 이동 방향의 다른 쪽에 설치 된 제1 편심 캠과, 상기 편심 캠과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 부재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조정 수단은 이동 방향의 한 쪽에 설치된 제2 스프링 부재와, 이동 방향의 다른 쪽에 설치된 제2 편심 캠과, 상기 편심 캠과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 부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탬프 작성 장치 또는 부속품에 따르면, 이동 방향의 한 쪽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가 슬라이드 부재등을 압박하고, 이동 방향의 다른 쪽에 설치된 캠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가 맞닿음으로써 슬라이드 부재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 캠을 손잡이 부재로 회전시키면, 캠면의 변위량에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가 이동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의 상기 위치 결정부의 주위는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탬프 작성 장치 또는 부속품에 따르면, 부착 구멍 주변의 투명 재료를 통하여 원고 시트의 원고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눈 관찰에 의한 위치 정렬을 하기 쉽게 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의 상기 위치 결정부의 주위에는 위치 결정 마크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탬프 작성 장치 또는 부속품에 따르면, 부착 구멍 주변의 투명 재료를 통해 보이는 원고 시트의 위치 정렬용 기준선과 부착 구멍 주변의 기준선이 맞도록 부착 구멍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의 상기 위치 결정 마 크의 일부는 볼록 렌즈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탬프 작성 장치 또는 부속품에 따르면, 볼록 렌즈를 통해서 원고 시트의 위치 정렬용 기준선 및 부착 구멍 주변의 기준선이 확대되어 보이기 때문에, 기준선끼리 일치시키기가 쉽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은 상기 투명 원고 시트를 고정하여 중심선에 대해 비대상(非對象)으로 형성된 고정부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탬프 작성 장치 또는 부속품에 따르면, 투명 시트의 도장면측에만 실리콘 수지 등을 도포하더라도 비대상 형상의 끼움에 의해 도포면이 도장재측으로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은 스탬프 작성 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2는 스탬프 작성 장치 전체의 단면도, 도3은 제판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4는 원고 시트의 평면도, 도5는 통상 크기의 스탬프 유닛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6은 도장재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 부재의 하면에서 본 사시도, 도7은 잉크팩이 미개봉인 상태의 스탬프 유닛의 측단면도, 도8은 잉크팩 개봉후의 스탬프 유닛의 측단면도, 도14는 부속품의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탬프 작성 장치(100)에 있어서의 합성 수지제 등의 본체 케이스(100a)의 한 쪽으로 치우친 상부에는 컷트 시트로서의 투명한 원고 시트(8)를 다수매 적층시켜 수납한 카세트식의 매거진체(101)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매거진 장착부(102)를 구비한다. 매거진 장착부(102)에 인접하여 원고 시트(8)를 1매씩 손으로 넣기 위한 수동 꽂이 삽입구(103)가 개구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00a) 내에는 상기 원고 시트(8)를 1매씩 인쇄부(104)를 향하여 반송하기 위한 급지부(105)와, 인쇄부(104)에서 인쇄된 원고 시트(8)를 거쳐서 스탬프 유닛(1)에 있어서의 홀더 부재(4)의 하면에 장착된 도장재(3)에 대하여 소정의 도장면을 제판하기 위한 크세논 램프(120a)를 갖는 발광 유닛(120)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제판부(106)를 구비한다.
매거진체(101)의 하면측으로부터 눌러 가압하는 압상(押上) 기구(107)로써 원고 시트(8)는 급지부(105)에 있어서의 인출 롤러(108)에 눌려 가압되고, 회전 구동하는 인출 롤러(108)로써 매거진체(101)로부터 송출된 원고 시트(8)는 가이드판(109)과 부상(浮上) 방지용의 보조 가이드판(110) 사이를 거쳐 인쇄부(104)에 있어서의 잉크 리본(111)과 플라텐 롤러(112) 사이로 통과시키고, 플라텐 롤러(112)로써 간헐 이송되는 동안에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판하여야 할 문자, 화상 등의 제판 데이타(원고 데이타)에 따라서 열 헤드(113)를 작동시키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투명 필름제의 원고 시트(8)의 표면에 스탬프하여야 할 화상(문자를 포함한다)이 인쇄 형성된다. 잉크 리본(111)은 리본 카트리지(114)에 있어서의 기권취측 릴(114a)로부터 상기 열 헤드(113), 플라텐 롤러(112)의 부위를 거쳐서 권취측 릴(114b)로 권취된다.
그 후, 원고 시트(8)는 하류측 이송 가이드부에서의 롤러 쌍(115)을 거쳐서 제판부(106)로 이송된다. 제판부(106)는 도2 및 도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00a)에 있어서의 우측부 상측에는 상기 도장재(3)를 하면측에 고정한 홀더 부재(4)를 전후 좌우로부터 사이에 끼워 장착하는 스탬프 셋팅 유닛(위치 결정 기 구)(116)과, 이 홀더 부재(4)의 하방에서 수납실 내에 대하여 본체 케이스(100a)의 우측면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출입할 수 있는 발광 유닛(1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판부(106)에는 상기 발광 유닛(120)의 상측에 투명한 아크릴 수지판 등의 투광판(119)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투광판(119)의 상면에 위치하는 원고 시트(8)를 향해 상기 홀더 부재(4)의 도장면이 눌려 가압되도록 하는 가압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상기 위치 결정 기구(116)에 구비되어 있다.
제판이 끝난 원고 시트(8)는 소망에 따라, 구동하는 배출 롤러 쌍(121)을 거쳐서 배출구(122)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원고 시트(8)의 구성에 관해서 상술하면, 원고 시트(8)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투명한 합성 수지제 필름(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베이스 시트(실시예에서는 두께를 100㎛로 한다)의 한 쪽 면(표면) 전체에는 수상층(受像層)을 도포 형성하고, 또한 베이스 시트의 긴 쪽 방향의 좌우 양측 모서리를 따라서 스트라이프층을 인쇄에 의해 형성한다. 수상층은 인쇄부(5)에서의 인쇄시에 잉크 리본(111)에 의한 잉크가 접착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극성이 매우 낮고 화학 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그 베이스 시트의 표면에 무기 산화제를 도포한 다음에 고형 바인더로서 고리화 고무, 셸락, 로진 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유도체,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도포한 것이다. 원고 시트(8)의 표면의 선단부측 부위에는 매거진체(101)로의 삽입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잉크층에 의한 표지(8d)가 실시되어 있는 한편, 원고 시트(8)의 측면 모서리의 스트라이프층(8c1, 8c2)은 급지부(105)로부터 인쇄부(104)까지의 반송 경로 중에 배치된 감지 센서로써 감지하여, 반송되어 오는 원고 시트(8)의 소정의 인쇄 영역의 시작 단부가 상기 열 헤드(113)의 부위에 위치하도록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 후, 인쇄 작업이 실행되고, 롤러 쌍(115)에 인계된 원고 시트(8)는 제판부(106)로 이송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스탬프 유닛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5 내지 도8에 도시한 통상의 크기의 스탬프 유닛(1)은 전술한 원고 시트(8)의 표면적의 대략 60% 내지 80%의 제판 영역에 대응하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도장면을 갖는 것이며, 후술하는 작은 크기의 도장면(홀더 부재) 혹은 평면에서 보아 둥근형, 삼각형 등의 다른 형상의 도장면(홀더 부재)의 것과 구성은 동일하므로, 대표적으로 상기 통상 크기의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스탬프 유닛(1)은 스탬프 인쇄시에 스탬프 유닛(1) 전체를 지지하는 스커트 부재(2)와, 스커트 부재(2)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그 하단부에 열 압력에 의해 도장재(3)가 보유 지지된 홀더 부재(4)와, 홀더 부재(4)에 끼워 맞추어져 연결되고 스탬프 인쇄시에 홀더 부재(4)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도장재(3)를 인쇄 용지(도시하지 않음)에 압박하기 위한 그립 부재(5)와, 불사용시에 홀더 부재(4)의 도장재(3)의 전체를 덮어 보호하기 위한 캡 부재(56)를 구비하고 있다.
또, 홀더 부재(4)의 잉크팩 수납부(22)에는 필름재로부터 형성된 주머니형의 팩 내에 잉크가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잉크팩(6)을 수납 가능하다.
잉크팩(6)에는 도장재(3)에 있어서 저장 가능한 잉크량과 거의 같은 양의 잉 크가 주머니 가득 차 있다. 그리고, 잉크팩(6)과 그립 부재(5)의 저면 사이에는 두꺼운 종이판(37)이 배치된다. 상기 필름재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이 단독으로 혹은 이들을 두 종류 이상 맞붙인 것이 사용되고 있다.
다음에, 도5와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면서 스탬프 유닛(1)의 스커트 부재(2)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커트 부재(2)는 내벽(11)과 그 외측에서 내벽(11)과 일체로 형성된 외벽(12)을 갖는 상부 스커트부(13)와, 외벽(12)에 연속하여 약간 넓게 펼쳐지도록 형성된 외벽(14)을 갖는 하부 스커트부(15)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그들의 내부에는 홀더 부재(4)가 하방으로부터 끼워질 수 있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삽입 관통 구멍(10)을 갖고 있으며, 상기 내벽(11)으로써 홀더 부재(4)를 상하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스커트부(13)의 양단부면(좌우 단부면)의 내벽(11)의 상방 위치에는 홀더 부재(4)를 삽입 관통 구멍(10) 내에서 항상 상방으로 압박하도록 비틀림 스프링(16)의 한 쪽 단부를 걸어 고정하는 스프링 걸림 고정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또, 스프링 걸림 고정부(17)의 경사 하방 위치에는 비틀림 스프링(16)의 코일부가 외부에서 삽입되어 코일부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반달형의 위치 결정 돌기(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벽(11)의 대략 중앙 위치에는 홀더 부재(4)의 양단부면에 형성된 경사 돌기(35)(후술함)를 상하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면서 끼워 삽입하는 수직 홈(19)이 형성되어 있다. 또, 수직 홈(19)과 위치 결정 돌기(18) 사이에는 비틀림 스프링(16)이 하단부면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움직 이는 것을 규제하여 비틀림 스프링(16)과 경사 돌기(35)의 하단부와의 걸림 고정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비틀림 스프링(16)이 삽입되는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스프링 어긋남 억제 부재(9)가 설치되어 있다(도9 참조).
하부 스커트부(15)는 스탬프 인쇄시에 인쇄 용지 상에 적재되어 스탬프 유닛(1) 전체를 인쇄 용지(도시하지 않음) 위에서 지지하는 것이며, 하부 스커트부(15)를 구성하는 외벽(14)의 네 구석의 하단부 위치에는 외벽(14)의 하단부 모서리를 인쇄 용지의 지면으로부터 이격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돌기(20)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하부 스커트부(15)에 있어서의 외벽(14)의 4면 중앙 위치에는 스탬프 인쇄 방향을 나타내는 하향 화살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홀더 부재(4)에 대해서 도5, 도6, 도7, 도10 내지 도13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0은 홀더 부재(4)의 사시도, 도11은 홀더 부재(4)의 측단면도, 도12는 평면도, 도13은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홀더 부재(4)는 스커트 부재(2)의 상부 스커트부(13)와 하부 스커트부(15)의 각각의 형상에 맞추어서 상부 홀더부(30) 및 하부 홀더부(31)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홀더부(30)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통형체를 구성하는 주위벽(32)을 갖고, 주위벽(32)에 있어서의 전방측벽 및 후방측벽의 상부에는 3개의 가로로 긴 형상의 오목홈(33)이 수평 방향으로 정렬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3개의 오목홈(33) 사이에는 주위벽(32)의 벽면에서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는 쐐기형의 규제 돌기(3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 각 오목홈(33)에는 그립 부재(5)의 리브 걸림 고정 홈(도시하지 않음)이 끼워 맞추어지고, 이에 따라 홀더 부재(4)와 그립 부재(5)가 고정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규제 돌기(34)는 스탬프 인쇄시에 홀더 부재(4)를 하방으로 이동할 때에, 스커트 부재(2)에 있어서의 상부 스커트부(13)의 외벽(12)의 상측 모서리에 맞닿아 홀더 부재(4)의 하방 이동량을 규제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부 홀더부(30)의 주위벽(32)의 양단부면(도11의 좌우 양단부)에는 주위벽(32)의 벽면에서 외측 하방으로 향해서 돌출하도록 경사진 쐐기형의 경사 돌기(3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 돌기(35)는 스커트 부재(2)의 하측으로부터 홀더 부재(4)를 삽입할 때에 상부 스커트부(13)의 수직홈(19) 내에서 상하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고, 또한 경사 돌기(35)의 하단부에는 비틀림 스프링(16)의 다른 쪽 우측 단부가 걸려 고정된다. 이로써, 홀더 부재(4)는 경사 돌기(35)와 수직홈(19)의 협동에 의해 스커트 부재(2)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고, 또한 비틀림 스프링(16)의 일단부가 상부 스커트부(13)의 스프링 걸림 고정부(17)의 하단부에 걸려 고정되며, 또 타단부가 경사 돌기(35)의 하단부에 걸려 고정되는 것에 기초하여, 홀더 부재(4)는 스커트 부재(2) 내에서 항상 상방으로 압박되게 된다.
홀더 부재(4)의 상부 홀더부(30)의 주위벽(32)에 둘러싸인 대략 직방체 영역인 잉크팩 수납부(22)는 그 저면(23)이 평탄면으로 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하부 홀더부(31)에 연통하는 잉크 공급 구멍(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잉크 공급 구멍(24)에는 잉크팩(6)을 절단 개봉하기 위한 절단 리브(25)가 저면(23)보다도 약간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잉크팩 수납부(22)의 내벽면에는 홀더 부재(4)의 상단부로부터 후술하는 지 지 기둥(27)(도13 참조)의 저면에까지 도달하는 긴 구멍 형상의 4개의 잉크 보충 구멍(26)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잉크 보충 구멍(26)은 잉크팩(6)에 의해 공급된 잉크의 도장재(3)에 있어서의 저장량이 적어진 때에, 사용자에 의해 잉크팩(6)을 이용하는 일 없이 예비적으로 잉크를 보급할 때에 사용된다. 이 때, 잉크는 그립 부재(5)를 제거한 상태에서 잉크 보충 구멍(26)으로부터 주입된다.
또한,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 부재(4)의 하부 홀더부(31)에는 길이가 수mm인 다수의 원기둥 형상의 지지 기둥(27)이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 기둥(27)은 하부 홀더부(31)의 하단부로부터 약간 들어간 위치로써 홀더 부재(4)에 보유 지지된 도장재(3)와 접촉하는 위치에까지 연신하고 있으며, 지지 기둥(27)의 저면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 하부 홀더부(31)는 상부 홀더부(30)로부터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주위벽(32)보다 외측에서 훨씬 큰 주위벽(38)을 갖는다. 또한, 스커트 부재(2) 및 홀더 부재(4)는 ABS 수지, 폴리아세탈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PC 수지 등의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향으로 뾰족한 절단 리브(25)는 그립 부재(5)를 내리 눌렀을 때에, 두꺼운 종이판(37)과의 사이에서 잉크팩(6)을 사이에 끼워 가압하고, 잉크팩(6)을 파단하여 개봉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잉크팩(6)의 개봉을 확실하게 행하도록 절단 리브(25)의 양 모서리부는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하부 홀더부(31)를 구성하는 주위벽의 긴 쪽 벽의 외측에는 그 대략 중앙 위치에서 내측을 향하여 경사홈(43)이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경사홈(43)의 양측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검출홈(4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경사홈(43)은 스탬프 작성 장치(100)를 사용하여 도장재(3)로부터 도장을 형성할 때에 홀더 부재(4)를 스탬프 작성 장치(100)에 있어서의 제판부(106)의 소정 위치에 장착하기 위한 홈이다. 이 때, 경사홈(43)은 그 양측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탬프 작성 장치(100)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기구와 홀더 부재(4)의 위치 관계가 다소 어긋난 경우에 있어서도, 위치 결정 기구의 위치 결정 부재와 경사면과의 캠작용에 의거하여 홀더 부재(4)는 위치 결정 부재가 경사홈(43)의 중앙 위치에 접촉하도록 이동되게 된다. 이로써, 홀더 부재(4)는 스탬프 작성 장치(100)의 소정 제판 위치에 장착된다.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 개구 상자형의 그립 부재(5)의 상면에는 상기와 같이 도장재(3)에 형성한 스탬프 내용을 표시하는 라벨 등을 첨부하기 위한 라벨 첨부부(50)가 형성되어 있다. 또, 그립 부재(5)의 내부에 있어서, 그 상부벽 하면으로부터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 부재(4)의 상부 홀더부(30)의 주위벽(32) 내에 끼워 삽입되는 끼움 삽입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끼움 삽입부(51)는 두꺼운 종이판(37)을 거쳐서 홀더 부재(4) 내에 배치된 잉크팩(6)을 하향으로 눌러 가압하는 작용이나, 홀더 부재(2)를 스커트 부재(2)에 대하여 내리 누르는 작용을 한다.
그립 부재(5)의 내면에 돌출하는 리브 중, 직사각형의 긴변의 내측에 있는 리브에 있어서의 하단부 근방에는 리브 걸림 고정 홈(도시하지 않음)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리브 걸림 고정 홈은 상기 홀더 부재(4)에 있어서의 주위벽(32)의 외면 상부에 형성된 각 오목홈(33)에 끼워지고, 이에 따라 홀더 부재(4)와 그립 부재(5)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그립 부재(5)의 내벽면에는 복수개의 리브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브 중에서 직사각형의 짧은 변의 내측에 있는 것에는 계단부(55)가 형성되어 있는(도8 참조). 계단부(55)는 도장재(3)에 의한 인쇄가 가능한 정도로 홀더 부재(4)를 스커트 부재(2) 내에서 하방으로 미끄럼 이동시켰을 때, 스커트 부재(2)의 직사각형의 삽입 관통 구멍(10)을 형성하는 내벽(11)의 짧은 변의 상단부에 맞닿아 홀더 부재(4)를 인쇄에 충분한 정도 이상으로 미끄럼 이동시키지 않게 되어 있다.
도5 내지 도8에 있어서, 홀더 부재(4)의 하단부에 보유 지지되는 도장재(3)는 예를 들어 기공율 90% 정도의 폴리비닐포르말인 두께 3㎜의 경질 다공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측층(71)과, 상측층(71)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두께 2㎜의 경질 다공성 수지인 중간층(72)과, 예를 들어 카본블랙 등의 흑색의 빛에너지 흡수 물질을 분산시킨 기공율 65% 정도의 우레탄계 수지인 연질 다공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하측층(73)의 3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층(72)과 하측층(73)은 격자점형으로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서 상호 고정되어 있지만, 상측층(71)과 중간층(72)은 인위적으로 접착되어 있지 않은 자유로운 상태이다.
도장재(3)에 있어서의 하측층(73)은 제판에 의해 도장면이 형성되어, 스탬프시에는 인쇄 용지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다.
상측층(71)에는 상하 관통하는 슬릿(74)이 적절한 간격으로 복수개 천공 설 치되어 있다(도5 참조). 이 슬릿(74)은 잉크 공급 구멍(24)으로부터 공급되어 상측층(71) 상에 퍼진 잉크가 슬릿(74)을 통하여 신속히 중간층(72)에 도달하여, 그 표면에 잉크가 퍼져 침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슬릿(74)에 대신하여 직경 1 내지 2mm의 단면 원형의 관통 구멍을 다수개 천공 설치해도 좋다.
또, 도장재(3)의 하측층(73)의 주위 모서리와 홀더 부재(4)의 하단부 모서리는 열 압력에 의해 변형되고, 하측층(73)의 주위 모서리가 경사면에 형성되는 동시에 홀더 부재(4)의 하단부 모서리가 하측층(73)의 주위 모서리의 단부를 걸도록 억지로 찌부러뜨려 밀봉되어 있다. 또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장재(3)의 하측층(73)의 경사진 주위 모서리는 기공이 축합(縮合) 반응에 의해 실온에서 고무 형상으로 경화하는 액상 실리콘 고무 등의 밀봉재(75)로 폐쇄되어 있어, 잉크가 누출하지 않게 되어 있다. 이 경우, 도장재의 하측층(73)의 주위 모서리의 밀봉재(75)가 도포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유효 도장면(76)으로서의 도장이 형성되게 된다. 또, 도장재(3)의 하측층(73) 및 중간층(72)을 절단날로써 소정 크기로 재단할 때에는 상기 절단날을 가열함으로써 하측층(73) 및 중간층(72)의 양 주위 모서리면만을 열 밀봉하여 기공을 폐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검출홈(44)은 그 설치 갯수 및 형성 위치가 홀더 부재(4)의 크기에 따라서 변경되어 있고, 스탬프 작성 장치(100)의 위치 결정 기구(116) 내에 설치된 홈 센서(45)(도14 참조)와의 협동에 의해 홀더 부재(4)의 크기를 특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 주위벽(38)의 한 벽면에 있어서의 경사홈(43) 및 검출홈(44)의 형성 위치는 다른 벽면에 있어서의 경사홈(43), 검출홈(44)의 형성 위치와 회전 대칭 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홀더 부재(4)를 스탬프 작성 장치(100)의 위치 결정 기구(116)에 의한 소정 제판 위치에 장착할 때에, 전방벽과 후방벽을 역전하여 장착한 경우에 있어서도 도장재(3)의 제판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에, 도장재에 인쇄 가능한 도장을 형성하는 공정의 일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스탬프 작성 장치(100) 내에서 컷트 시트형의 투명 필름[원고 시트(8)]을 반송하면서 열 헤드(113) 및 전사 리본을 거쳐서 문자, 화상을 투명 필름에 인쇄하여 포지티브 원고를 작성한다. 또, 이 포지티브 원고를 나중에 소정 제판 위치에 장착되는 홀더 부재(4)와 도장재(3)의 하측층(73)이 대향하도록 투광판(119) 상의 소정 위치까지 반송한다.
다음에, 홀더 부재(4)를 스탬프 작성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소정 제판 위치에 장착한다. 이때, 하부 홀더부(31)에 형성된 경사홈(43)의 경사면과 위치 결정 기구(116)의 위치 결정 부재의 캠 작용에 기초하여, 홀더 부재(4)는 스탬프 작성 장치(100)의 소정 제판 위치에 장착된다. 또한, 각 검출홈(44)과 위치 결정 기구 내에 설치된 홈 센서와의 협동에 의해, 홀더 부재(4)의 크기가 특정된다.
이 상태에서, 크세논관을 발광시키면 포지티브 원고를 통해서 빛이 도장재(3)의 하측층(73)에 조사된다. 이로써, 원고의 투명 부분에 대응하여 빛이 조사된 하측층(73)의 일부분만이 흑색의 빛흡수재의 발열 작용에 의해서 용융된 후 고화되어 밀봉된다. 한편, 용융 고화되지 않은 부분의 도장재(3)의 하측층(73)은 원고의 문자 등에 대응하여 그대로 잔존하게 된다. 이로써, 도장재(3)의 하면에 밀봉부와 비밀봉부가 혼재한 유효 도장면을 갖는 도장이 형성되는 것이다.
통상 크기의 홀더 부재(4)는 상기 제판부(106)에 있어서의 투광판(119) 상에서 원고 시트(8)에 직접 도장면을 중첩하는 등 하여 얹어 놓아, 크세논 램프(120a)로부터의 빛에너지를 조사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통상 크기보다도 작은 크기로써, 사각형, 정방형, 둥근형 등의 다른 형상의 홀더 부재(60a, 60b, 60c, 등)에 있어서의 도장면(도시하지 않지만,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 정방형, 둥근형임)에 제판하는 경우, 상기 통상 크기의 홀더 부재(4)와 거의 동일하고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블럭 형상의 부속품(57)을 준비한다. 상기 부속품(57)은 적절한 경질의 합성 수지재로써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속품(57)에는 상기 각 홀더 부재(60a, 60b)의 하부 홀더부(31)가 끼워질 수 있는 평면에서 보아 사각 형상의 부착 구멍(59a, 59b), 혹은 보조 부속품(62)이 끼워질 수 있는 부착 구멍(59c)이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부속품(57)의 하면에는 각 부착 구멍(59a, 59b, 59c)에 끼워 넣어진 홀더 부재(60a, 60b) 혹은 보조 부속품(62)의 부착 구멍(59d)에 끼워진 홀더 부재(60c)가 낙하하지 않고, 각 도장면이 접촉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투명 시트(61)를 접착제 혹은 감압 접착제 등으로 착탈 가능하게 가접착하여 설치해 둔다. 빛에너지를 조사한 경우에 원고 시트(8)측의 잉크 부분(예를 들어 흑색)의 부위에 열에너지가 축적되는 경우가 있다. 원고 시트(8)와 상기 하측층(73)의 도장면이 직접 밀접하고 있으면, 상기 열에너지로써 상기 도장면의 기공이 폐쇄될 수 있도록 용융한 후 고화할 때, 원고 시트(8)가 도장면으로부터 박리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투명 시트(61)를 일종의 단열 재로서 원고 시트(8)와 도장면 사이에 개재 삽입하는 것이다. 이 투명 시트(61)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합성 수지 필름재로써, 20㎛ 내지 2mm 정도가 적합하다.
또, 부속품(57)의 긴 쪽 방향 일측면에는 상기 통상 크기의 홀더 부재(4)의 경우와 같이, 부속품(57)의 위치 결정을 위한 경사홈(43)이나 부속품(57)의 종류를 검지하기 위한 검출홈(44)을 함몰 형성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속품(57)에 복수의 부착 구멍(59a, 59b, 59c, 등)을 형성해 두면, 작은 크기로 여러 가지의 평면에서 본 형상의 도장면을 갖는 홀더 부재(60a, 60b, 60c, 등)를 복수개 동시에 제판할 수 있게 된다. 또, 부착 구멍으로서는 정방형 혹은 사각형 이외에 원형이나 삼각형, 사다리꼴 등을 설치하더라도 좋다. 게다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속품(57)에 있어서의 정방형 혹은 사각형의 부착 구멍(59a, 59b, 59c)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부속품(62)을 끼워 넣도록 하는 경우, 형성하는 부착 구멍(59d)의 형상이나 크기를 여러 가지로 변경한 보조 부속품(62)을 다종류 준비해 두면, 주된 부속품(57)에 형성하는 부착 구멍의 크기나 형상의 종류가 적더라도 다종류에 걸친 크기, 형상의 홀더 부재에 대응시킬 수 있어, 부피가 커지지 않고 또한 부속품 전체로서의 제조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도15에 도시한 실시 형태는 부속품(57)에 하나만의 부착 구멍(59e)을 천공 설치하여 형성한 경우이며, 이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에서 보아 삼각형의 홀더 부재(60e)를 상기 부착 구멍(59e)에 끼워 넣는다. 또한, 이 홀더 부재(60e)가 하 방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부속품(57)의 하면에 투명 시트(61)가 설치되어 있다. 또, 홀더 부재(60e)의 하부 홀더부(31)의 외면에 크기(형상의 종류를 포함한다)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제1 크기 검출부(전기 신호 도통부)(63)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부착 구멍(59e)의 내주면에 상기 제1 크기 검출부(63)와 접촉 가능한 전기 신호 입력부(64)를 설치한다. 이 전기 신호 입력부(64)는 부속품(57)의 외면에 함몰 형성된 검출홈(44) 내의 제2 크기 검출부(전기 신호 도통부)(65)에 도선으로 접속한다.
이 부속품(57)의 부착 구멍(59e)에 대응하는 형상의 홀더 부재(60e)를 끼워 넣어 상기 제판부(106)에 장착한 경우는, 해당 제판부(106)에 설치한 전기 용량 감지형의 크기 검출기(도시하지 않음)로써 제2 크기 검출부(65)을 거쳐서 상기 제1 크기 검출부(63)를 감지하여 상기 홀더 부재(60e)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게 되어, 홀더 부재 나아가서는 도장면의 크기, 종별을 간단히 검출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16에 도시한 실시 형태는 상기 부속품(57)에 있어서의 복수의 부착 구멍(59a, 59b, 59c)의 각각 내주면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전기 신호 입력부(64)를 설치하고, 부속품(57)의 외면의 각 검출홈(44)내의 제2 크기 검출부(65)에 도체 접속하여, 복수의 다른 크기의 홀더 부재의 존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7에 도시한 실시 형태는 각종(크기)의 홀더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끼워 넣은 부착 구멍(59f)을 갖는 부속품(57)의 하면에 원고 시트(8)를 직접 가접착시키는 형태이며, 부속품(57)의 하면에 점착 수단으로서의 미소 점착(감압 접착) 테이프 또는 미소 점착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착부(66)를 복수 부위에 설치하여, 상기 원고 시트(8)를 소정 치수로 가위로 절취하여 붙이는 것이다. 이 때,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고 시트(8)에 있어서의 소정 크기(형상)의 각 제판 영역(67)(그 내부에는 제판하여야 할 문자, 화상 등의 원고 데이타가 인쇄되어 있지만 도시하지 않음)을 포위하고, 또한 상기 부착 구멍(59f)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형상으로 괘선(68)을 그려 놓는다. 위치 미세 조정 수단을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괘선(68)이 부착 구멍(59f)의 내주에 위치하도록 위치 조절하여, 제판시에 상기 유효 도장면(76)의 영역내에 제판 영역(67)이 자리잡도록 원고 시트(8)를 부속품(57)에 대하여 몇번이라도 고쳐 발라 위치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18 내지 도20은 원고 시트(8)의 원고 데이타 영역인 제판 영역과 홀더 부재(4)의 유효 도장면의 영역이 엇갈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위치 미세 조정 수단(90)의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외부 프레임(91)은 상기 통상 크기의 홀더 부재(4)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외측 면적·형상이며, 상기 외부 프레임(91)에 있어서의 Y 방향[예를 들어 원고 시트(8)의 반송 방향]의 전후방 단부에는 상기 원고 시트(8)[혹은 투명 시트(61)]의 표면에 접촉하는 한쌍의 다리부(91a)(도18에는 한 쪽만 도시함)를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한쌍의 다리부(91a) 사이에는 상기 Y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Y축 가이드 막대(92, 92)를 고정한다. 이 한쌍의 Y축 가이드 막대(92, 92)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 가설된 중간 프레임(93)의 내부 직경부에는 X 방향(상기 Y 방향과 평면에서 보아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X 축 가이드 막대(94, 94)를 고정하고, 이 한쌍의 X축 가이드 막대(94, 94)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내측 블럭(95)을 장착 가설한다.
그리고, 이 내측 블럭(95)에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중앙부에 홀더 부재(60)의 상부 홀더부(30)를 끼워넣을 수 있는 부착 구멍(59g)이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편 등의 고정 수단(96)으로써 상기 홀더 부재(60)가 부주의하게 탈락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외부 프레임(91)의 내부 직경부에는 상기 중간 프레임(93)을 상기 Y 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Y 방향 구동 수단(97)으로서의 미끄럼 접촉 고무 롤러(97a)를 브래킷(97b)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미끄럼 접촉 고무 롤러(97a)의 원주면을 중간 프레임(93)의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세로 측면에 눌러 가압시킨다. 미끄럼 접촉 고무 롤러(97a)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축에 부착된 손잡이(97c)의 회전 조작으로써, 상기 중간 프레임(93)을 상기 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의 미세 조정을 행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중간 프레임(93)의 내부 직경부에는 X 방향 구동 수단(98)으로서의 미끄럼 접촉 고무 롤러(98a)를 브래킷(98b)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미끄럼 접촉 고무 롤러(98a)의 원주면을 내측 블럭(95)의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세로 측면에 눌러 가압시킨다. 미끄럼 접촉 고무 롤러(98a)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축에 부착된 손잡이(98c)의 회전 조작으로써, 상기 내측 블럭(95)을 X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하고, 이동 위치의 미세 조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원고 시트(8)에의 인쇄 위치의 오차에 의해 원고 데이타 영역(제판 영역)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제판부(106)로의 원고 시트(8)의 이동 후의 정지 위치가 어긋나더라도, 상기 내측 블럭(95)의 부착 구멍(59g)에 장착된 홀더 부재(60)에 있어서의 유효 도장면 영역 내에 원고 데이타 영역(제판 영역)이 들어가도록 간단히 위치 정렬할 수 있고, 제판 영역과 홀더 부재(60)의 유효 도장면 영역이 엇갈리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제판 에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개량,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원고 시트(8)의 제판 영역의 위치와 홀더 부재(4)의 유효 도장면 영역의 위치를 미세 조정 가능하게 한 제6 실시 형태의 부속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21은 제6 실시 형태의 부속품의 상면으로부터의 사시도, 도22는 제6 실시 형태의 부속품의 하면으로부터의 사시도, 도23은 도1의 부속품의 2-2선 단면도, 도24는 도21의 부속품의 3-3선 단면도이다.
도21에 있어서, 도면 부호 201은 부속품, 4는 홀더 부재, 8은 원고 시트이다. 도시예에서는, 원고 시트(8)에 대면하는 소정 위치에 부속품(201)이 장착되고, 둥근형으로 직경 1Omm의 막도장 크기의 홀더 부재(4)가 부속품(201)의 부착 구멍(218)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부속품(201)은 외부 프레임(211)과, 제1 슬라이드 부재(212)와, 제2 슬라이 드 부재(2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외부 프레임(211)은 통상 크기의 스탬프 유닛의 홀더 부재와 동일한 외측 면적 및 외측 형상를 갖고, 스탬프 작성 장치(100)의 소정 위치에 장착 가능하다.
제1 슬라이드 부재(212)는 외부 프레임(211)에 긴 쪽 방향, 즉 원고 시트(8)의 긴 쪽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끼워 넣은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 부재로 되어 있다.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211)의 상측의 안내부(214)와, 외부 프레임(211)의 하측의 안내부(215)에 의해서 외부 프레임(211)의 긴 쪽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다. 제1 슬라이드 부재(212)의 저면(216)은 외부 프레임(211)의 저면(217)과 동일한 평면 상에 있다.
제2 슬라이드 부재(213)는 제1 슬라이드 부재(212)의 짧은 쪽 방향, 즉 원고 시트(8)의 짧은 쪽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끼워 넣은 상자 형상이다. 제2 슬라이드 부재(213)는 상기 상자 형상의 중앙에 막도장 크기의 소형 홀더 부재(4)를 착탈하기 위한 부착 구멍(218)을 갖는다. 이 부착 구멍(218)은 상기 상자 형상의 저면에 설치한 구멍의 주위에 원통을 세워 형성된다. 제2 슬라이드 부재(213)는 그 전체가 투명한 플라스틱 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부착 구멍(218)의 주변이 투명하기 때문에, 홀더 부재(4)를 부착 구멍(218)에 삽입한 상태로 하면, 홀더 부재(4)의 주위의 원고 시트(8)가 들여다 보인다.
도23 및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드 부재(213)는 제1 슬라이드 부재(212)에 설치된 내향 오목부(219, 220)에 의해서 외부 프레임(211) 및 제1 슬라이드 부재(212)의 짧은 쪽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다. 제2 슬라이드 부재(213)의 저면(221)은 제1 슬라이드 부재(212)의 저면(216) 및 외부 프레임(211)의 저면(217)과 동일한 평면 상에 있다.
도21로 돌아가서, 외부 프레임(211)과 제1 슬라이드 부재(212)의 사이에 원고 시트(8)의 긴 쪽 방향(도면의 X 방향)으로 부착 구멍(218)을 이동시키는 제1 조정 수단(222)이 설치되고, 제1 슬라이드 부재(212)와 제2 슬라이드 부재(213)의 사이에 원고 시트(8)의 짧은 쪽 방향(도면의 Y 방향)으로 부착 구멍(218)을 이동시키는 제2 조정 수단(223)이 설치된다. 여기서, 긴 쪽 방향과 짧은 쪽 방향은 도시한 바와 같이 직교하고 있다.
제1 조정 수단(222)은 스프링 부재(224)와, 편심 캠(225)과, 편심 캠(225)을 회전시키는 손잡이 부재(226)로 이루어져 있다. 스프링 부재(224)는 외부 프레임(211)과 제1 슬라이드 부재(212) 사이에 개재하는 へ자형의 판스프링이며, 제1 슬라이드 부재(212)를 활주 방향의 한 쪽에 대하여 압박하고 있다. 편심 캠(225)은 외부 프레임(2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227)에 설치되어 있다. 축(227)은 판스프링(224)이 접하는 벽과 대향하는 벽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캠면은 제1 슬라이드 부재(212)의 외벽에 접하고 있다. 손잡이 부재(226)는 축(227)의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 부재(226)를 손가락끝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편심 캠(225)의 편심량에 따라서 제1 슬라이드 부재(212)가 원고 시트(8)의 긴 쪽 방향으로 약간 왕복 이동한다.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 부재(26)는 외부 프레임(11)의 외형속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 부재(226)가 부속품(201)의 장착에 있어서 방해되지 않고, 장 착후의 손잡이 부재(226)의 조작도 편안히 할 수 있다.
제2 조정 수단(223)은 스프링 부재(229)와, 편심 캠(230)과, 편심 캠(230)을 회전시키는 손잡이 부재(231)로 이루어지고, 제1 조정 수단(22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229)는 제1 슬라이드 부재(212)와 제2 슬라이드 부재(213)의 사이에 개재하는 へ자형의 판스프링이며, 제2 슬라이드 부재(213)를 활주 방향의 한 쪽에 대하여 압박하고 있다. 편심 캠(230)은 제1 슬라이드 부재(2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232)에 설치되고, 회전과 동시에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대소(大小)로 변화하는 계란형 캠이며, 활주 방향의 다른 쪽을 향해 변위한다. 손잡이 부재(231)는 축(232)의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 부재(231)를 손가락끝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편심 캠(230)의 편심량에 따라서 제2 슬라이드 부재(213)가 원고 시트(8)의 짧은 쪽 방향으로 약간 왕복 이동한다.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 부재(231)는 외부 프레임(211)의 외형 속에 들어가는 동시에, 부착 구멍(218)에 걸리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손잡이 부재(231)가 부속품(201)의 장착에 방해되지 않고, 홀더 부재(4)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손잡이 부재(226)의 조작도 편안히 할 수 있다.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제2 슬라이드 부재(213)의 이면(221)에 부착 구멍(218)의 중심에 대하여 외부 프레임(211)[원고 시트(8)]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35a)과 외부 프레임(11)[원고 시트(8)]의 짧은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235b)이 위치 정렬을 위해 십자형으로 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기준선(235a, 235b)은 투명한 제2 슬라이드 부재(213)의 바닥으로부터 투과해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선(235a, 235b)의 상측의 판부재가 팽창되어 볼록 렌즈(236, 236)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준선(235a, 235b)의 일부를 포함한 볼록 렌즈(236, 236)를 형성함으로써, 원고 시트(8)에 형성되어 있는 기준선(8e, 8f)(도27 참조)에 대한 상기 기준선(235a, 235b)의 일치 부분을 확대하여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구멍(218)을 포함하는 제2 슬라이드 부재(213)의 저면(221)에 투명 시트(61)가 배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슬라이드 부재(212)의 저면(216)의 네 구석에 끼움부(237, 238, 239, 240)가 형성되어 있다. 끼움부(237, 238, 239)는 투명 시트(61)의 직각인 코너(61a)가 들어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끼움부(240)는 투명 시트(61)의 절결(61b)이 들어가는 경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끼움부(237 내지 240)의 형상을 제2 슬라이드 부재(213)의 긴 쪽 방향 또는 짧은 쪽 방향에 대하여 비대상 형상으로 하고, 마찬가지로 투명 시트(61)의 네 구석도 그 긴 쪽 방향 또는 짧은 쪽 방향에 대하여 비대상 형상으로 하면, 투명 시트(61)를 끼워 넣을 때에 그 표리 양면이 일률적에 결정된다. 이 투명 시트(61)는 부착 구멍(218)에 장착되는 홀더 부재(4)의 낙하를 방지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원고 시트(8)와 도장재(3)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그 때문에 도장재(3)측에만 실리콘 도포가 실시되어 있다.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판부(106)는 스탬프 유닛(U)의 홀더 부재(5)에 대한 위치 결정 기구(116)와, 가압 기구(117)와, 발광 유닛(120)과, 투명판(11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투명판(119)은 투명한 아크릴 수지판 등으로 형성되고, 화상이 인쇄 형성된 원고 시트(8)가 장착되는 다이 시이트로 되어 있다. 발광 유닛(120)은 투명판(119)의 하방에 있는 수납실 내에 대하여 본체 케이스(100a)의 우측면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출입할 수 있다.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기구(116)는 직사각형 형상의 홀더 부재(5)의 짧은 쪽 방향에 한쌍이 설치된 협지 부재(131, 132)를 갖고 있다. 협지 부재(131, 132)는 투명판(119)의 중앙선을 향하여 활주 이동하도록 압박되고, 양 부재(131, 132)가 상기 중앙선을 향하여 동기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협지 부재(131, 132)의 한 쪽에 직사각형 형상의 홀더 부재(5)의 긴 쪽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해서, 도시되지 않은 삼각 돌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위치 결정 기구(116)에 의해, 직사각형 형상의 홀더 부재(5)가 제판부(106)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다.
가압 수단(117)은 가압판(133)이 부착된 상부 덮개(134)를 본체 케이스(100a)의 한 쪽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부 덮개(134)에 상부 전방 덮개(135)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상부 전방 덮개(135)를 본체 케이스(100a)의 다른 쪽에 설치된 바아(136)에 걸어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가압 수단(117)에 의해, 상부 덮개(134)를 폐쇄하고 상부 전방 덮개(135)를 눌러 넣으면 가압판(133)을 거쳐서 직사각형 형상의 홀더 부재(5)에 소정의 가압력이 작용한다.
상기 위치 결정 기구(116)에 의해 투명판(119)의 상면에 위치하는 원고 시트(8)의 소정 위치에 직사각형 형상의 홀더 부재(5)를 장착하고, 가압 수단(117) 에 의해 직사각형 형상의 홀더 부재(5)의 도장재(3)가 원고 시트(8)를 향하여 가압되어, 발광 유닛(120)을 작동시키면, 도장재(3)에 대한 제판이 행하여진다. 제판이 완료된 원고 시트(8)는 소망에 의해, 구동하는 배출 롤러 쌍(121)을 거쳐서 배출구(122)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제판이 끝난 직사각형 형상의 홀더 부재(5)는 가압 수단(117)을 열어 취출할 수 있다.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제판부(106)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홀더 부재(5) 대신에, 부속품(201)을 장착할 수 있다. 부속품(201)은 예를 들어 막도장 크기와 같이 작은 도장재(3)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 부재(4)를 착탈할 수 있는 부착 구멍(218)을 갖는다. 이 부속품(201)의 외형은 전형적인 직사각형 형상의 홀더 부재(5)와 동일하며, 상기 위치 결정 기구(116)에 의해 스탬프 작성 장치(100)의 원고 시트(8)에 대면하는 소정 위치에 장착 가능하다.
도27의 원고 시트(8)는 중앙에 막도장 크기의 화상(8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화상(8a)의 주위에는 원고 시트(8)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8e)과, 원고 시트(8)의 짧은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8f)이 동시에 인쇄되어 있다. 이 기준선(8e, 8f)은 두개의 굵은선으로 되어 있다. 이 두개의 굵은선 사이에 부속품(201)측의 기준선(235)을 위치시키면, 원고 시트(8)와 부속품(201)의 부착 구멍(218)의 위치 정렬을 할 수가 있다.
도28은 막도장 크기의 도장재(3)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 부재(4)의 주요부의 분해도이다. 홀더 부재(4)는 잉크 흡수체(250)을 거쳐서 도장재(3)를 보유 지지한다. 홀더 부재(4)의 바닥측은 주위벽(255)의 내부에 중공 원통형의 원통벽(256) 및 십자형으로 배치된 판 형상의 지지 기둥(257)을 갖고, 원통벽(256)과 지지 기둥(257) 사이는 공동으로 되어 있다. 또한, 홀더 부재(4)의 저부 중앙에는 돌기(258)가 설치되고, 후술하는 잉크 흡수체(250)의 오목부(253)와 결합한다. 홀더 부재(4)와 잉크 흡수체(250)는 돌기(258)와 오목부(253)의 결합에 의해 위치 결정되고, 주위벽(255)의 외주측으로부터 원통벽(256)의 내주측에 이르는 폭과 동일한 폭으로 부착된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접착된다.
도장재(3)는 저면이 편평한 짧은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도장재(3)는 예를 들어 카본 블랙 등의 빛에너지 흡수성 물질을 분산시켜 함유시킨 기공율 65% 정도의 폴리우레탄 등의 우레탄계 수지인 연질 다공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두께 1.2mm이다. 잉크 흡수체(250)는 예를 들어 기공율 90% 정도의 폴리비닐포르말로 이루어지는 두께 3㎜의 경질 다공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 잉크 흡수체(250)는 원주 부분에 4분할하여 접착제(251)가 도포되고, 원주 부분 내에도 점 형태로 산재하는 접착제(251)가 도포되어 있다. 원주 부분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비도포 부분(252)은 공기의 배출용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장재(3)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중량 비율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계 발포 수지의 경우, 그 수지에 대해 통상 0.1중량%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15중량% 이다. 또, 도장재(3)에 있어서 카본 블랙 대신에 사용되는 빛에너지 흡수성 물질로서는 염화 구리, 브롬화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장재(3)는 우레탄계 수지 이외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또는 고무계 수지를 주원료로 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어서, 도21, 도22 및 도29 등에 의해 상술한 구성의 스탬프 작성 장치(100)에 부속품(1)을 장착하고 부속품(201)의 부착 구멍(218)에 도장재(3)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 부재(4)를 삽입하여 막도장 크기의 도장을 형성하는 순서를 이하에 의해 설명한다.
우선, 도22에 있어서, 부속품(201)의 제1 슬라이드 부재(212)의 저면에 투명 시트(61)를 끼워 넣는다. 이 때, 제1 슬라이드 부재(212)의 끼움부(237 내지 240)가 긴 쪽 방향 또는 짧은 쪽 방향에 대하여 비대상 형상으로 되어 있다. 투명 시트(61)도 상기 끼움부(237 내지 240)와 합쳐져 긴 쪽 방향 또는 짧은 쪽 방향에 대하여 비대상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실리콘 도포가 실시된 면이 반드시 도장재(3)를 향하도록 끼워진다.
이 부속품(201)의 준비와 병행하여, 도26의 스탬프 작성 장치(100)를 조작하여 원고 시트(8)를 작성하고, 이 원고 시트(8)가 제판부(106)의 투명 시트(61)의 바로 위의 소정 위치에 이송된 상태로 해 놓는다. 도25와 같이, 제판부(106)의 덮개(134, 135)를 개방하고, 도시된 스탬프 유닛(U) 대신에 부속품(201)을 장착한다. 이 때, 도21과 같이 부속품(201)의 부착 구멍(218)에는 도장재(3)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 부재(4)가 삽입되어 있다.
그런데, 원고 시트(8)의 이송 어긋남 등에 의해 원고 시트(8)의 화상(8a)이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가 도29에 도시된다. 제2 슬라이드 부재(213)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8a)이 도시되지 않은 홀더 부재(4)의 부착 구멍(218)으로의 삽입에 의해서 보이지 않더라도 굵은선 두개로 이루어지는 기준선(8e, 8f)이 보인다. 한편, 제2 슬라이드 부재(213)에도 기준선(235a, 235b)이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원고 시트(8)와 부착 구멍(218)과의 어긋남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다.
손잡이 부재(226)를 돌려, 제1 슬라이드 부재(212)가 외부 프레임(211)에 대하여 원고 시트(8)의 긴 쪽 방향(도시의 X 방향)으로 미소하게 이동됨으로써, 제2 슬라이드 부재(213)의 기준선(235b)의 위치를 원고 시트(8)의 기준선(8f)에 일치시킨다. 이어서, 손잡이 부재(231)를 돌려, 제2 슬라이드 부재(213)가 제1 슬라이드 부재(212)에 대하여 원고 시트(8)의 짧은 쪽 방향(도시의 Y 방향)으로 미소하게 이동됨으로써, 제2 슬라이드 부재(213)의 기준선(235a)의 위치를 원고 시트(8)의 기준선(8e)에 일치시킨다. 이러한 손잡이 부재(226, 231)의 조작에 의해, 원고 시트(8)의 화상(8a)이 홀더 부재(4)가 삽입되는 부착 구멍(218)의 중앙에 위치한다. 이 때, 제2 슬라이드 부재(13)의 기준선(235a, 235b)의 상측이 볼록 렌즈(236)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준선(8e)과 기준선(235a) 및 기준선(8f)과 기준선(235b)의 일치 부분이 확대되어 있고,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부속품(201)의 부착 구멍(218)의 위치 정렬이 된 후, 도25의 제판부(106)의 덮개(134, 135)를 닫으면, 도26과 같이 부속품(201)의 부착 구멍(218)에 삽입된 도장재(3)에 홀더 부재(4)을 거쳐서 소정의 가압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탬프 작성 장치(100)의 발광 유닛(120)을 작동시켜, 도장재(3)에 원고 시트(8)의 화상(8a)에 상당하는 도장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도장재(3) 및 홀더 부재(4)는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 은 원통형의 스탬프(301)에 조립된다. 스탬프(301)는 하단부에 도장재(3) 및 잉크 흡수체(250)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 부재(4)와, 스탬프(301) 전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파지부로 되는 서브 홀더(302)와, 서브 홀더(302) 내에 배치되어 홀더 부재(4)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스테인레스제의 스커트(304)와, 홀더 부재(4)에 끼워 맞추어져 연결되고 인쇄시에 홀더 부재(4)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도장재(3)를 인쇄 용지(도시하지 않음)에 압박하기 위한 폴리브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하,「PBT」라 함) 수지제의 상단부가 폐쇄된 원통형의 그립(305)과, 도장재(3)를 덮어 보호하기 위한 PBT 수지제의 덮개(306)와, 서브 홀더(302)와 그립(305)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장식용의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지는 링(307)과, 홀더 부재(4)에 대한 캡(309)을 구비하고 있다.
또, 도21에 도시한 제1 조정 수단(222) 및 제2 조정 수단(223)은 이동 방향의 한 쪽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224, 229)와, 이동 방향의 다른 쪽에 설치된 편심 캠(225, 230)과, 편심 캠(225, 230)을 회전시키는 손잡이 부재(226, 231)를 갖는 것에 한정하되 않고, X-Y의 이차원 평면에 대하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구라면 여러 가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조정 수단(222) 및 제2 조정 수단(223)의 적어도 한 쪽을 스프링 부재(224, 229)와, 편심 캠(225, 230)과, 손잡이 부재(226, 231)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21의 제2 슬라이드 부재(213)는 전체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2 슬라이드 부재(213)를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하고, 홀더 부재(4)를 삽입하지 않은 상태의 부착 구멍(218)을 통해서 원고 시트(8)의 화상(8a)의 위치를 확인하여 위치 정렬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탬프 작성 장치 및 그 부속품에 의하면 여러 가지 크기나 형상의 스탬프를 작성할 수 있는 동시에, 제판부에서의 도장재의 장착 위치의 미세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38)

  1. 에너지를 인가함으로써 패턴을 도장재에 형성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에 있어서, 도장재를 하단부에 보유 지지하는 홀더와, 에너지원을 갖고 상기 도장재에 에너지를 인가하는 에너지 인가 유닛과, 상기 에너지 인가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에너지원에 대향하도록 홀더의 도장재를 위치 결정하여 상기 홀더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위치 결정부를 적어도 하나 규정하는 부속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부속품을 관통하는 개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인가 유닛은 빛에너지를 상기 도장재에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한 발광 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은 복수의 위치 결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의 종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 가능한 식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부속품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인가 유닛을 제어하는 에너지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부속품 사이에 배치된 투명 부재 상에 화상을 갖는 투명 원고 시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의 저면에는 투명 지지 시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의 상기 위치 결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도장재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보조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의 하면에는 상기 투명 원고 시트를 점착할 수 있는 점착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인가 유닛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기 부속품의 위치를 조정하는 미세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부속품 사이에 배치된 투명 부재 상에 화상을 갖는 투명 원고 시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원고 시트를 상기 광원과 부속품 사이에 공급하는 이송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미세 조정 수단은 상기 부속품을 투명 원고 시트의 이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방향 이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원고 시트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짧은 쪽 방향으로 상기 부속품을 이동시키는 가로 방향 이동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조정 수단은 상기 부속품을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조정 수단은 상기 부속품을 상기 제1 수평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2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조정 수단은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고 제1 수평 방향으로 활주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에 설치되고 제2 수평 방향으로 활주하는 제2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외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 조정 수단과,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2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 수단은 이동 방향의 한 쪽에 설치된 제1 스프링 부재와, 이동 방향의 다른 쪽에 설치된 제1 편심 캠과, 상기 편심 캠과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정 수단은 이동 방향의 한 쪽에 설치된 제2 스프링 부재와, 이동 방향의 다른 쪽에 설치된 제2 편심 캠과, 상기 편심 캠과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의 상기 위치 결정부의 주위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의 상기 위치 결정부의 주위에는 위치 결정 마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의 상기 위치 결정 마크의 일부가 볼록 렌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은 상기 투명 원고 시트를 고정하여 중심선에 대해 비대상으로 형성된 고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
  25. 하단부에 도장재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와 광원을 갖춘 에너지 인가 유닛을 구비하고, 에너지를 인가함으로써 도장재에 패턴을 형성하는 스탬프 작성 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부속품으로서, 상기 에너지 인가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에너지원에 대향하도록 홀더의 도장재를 위치 결정하여 상기 홀더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위치 결정부를 적어도 하나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26. 제25항에 있어서,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부속품을 관통하는 개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27. 제25항에 있어서, 복수의 위치 결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 작성 장치에 의해 검출 가능한 식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의 상기 위치 결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도장재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보조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인가 유닛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기 위치 결정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미세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조정 수단은 상기 부속품을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조정 수단은 상기 부속품을 상기 제1 수평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2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조정 수단은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고 제1 수평 방향으로 활주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에 설치되고 제2 수평 방향으로 활주하는 제2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외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 조정 수단과,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2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 수단은 이동 방향의 한 쪽에 설치된 제1 스프링 부재와, 이동 방향의 다른 쪽에 설치된 제1 편심 캠과, 상기 편심 캠과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정 수단은 이동 방향의 한 쪽에 설치된 제2 스프링 부재와, 이동 방향의 다른 쪽에 설치된 제2 편심 캠과, 상기 편심 캠과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3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의 상기 위치 결정부의 주위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의 상기 위치 결정부의 주위에는 위치 결정 마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의 상기 위치 결정 마크의 일부가 볼록 렌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KR1020000016370A 1999-03-31 2000-03-30 스탬프 작성 장치 및 그 부속품 KR100623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093103 1999-03-31
JP09310399A JP4238947B2 (ja) 1999-03-31 1999-03-31 スタンプ作成装置
JP25819599A JP4106829B2 (ja) 1999-09-13 1999-09-13 アタッチメント
JP99-258195 1999-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508A KR20000071508A (ko) 2000-11-25
KR100623545B1 true KR100623545B1 (ko) 2006-09-13

Family

ID=2643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370A KR100623545B1 (ko) 1999-03-31 2000-03-30 스탬프 작성 장치 및 그 부속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460456B1 (ko)
KR (1) KR100623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2649B1 (en) * 1999-09-28 2004-05-11 Alexander C. Wall Methods for providing custom rubber stamps
US7166395B2 (en) * 2002-05-16 2007-01-23 M&R Marking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of processing stamps
US7273009B2 (en) * 2003-01-03 2007-09-25 M&R Marking Systems, Inc. Marking structures for hand stamps
US7337719B2 (en) * 2003-09-19 2008-03-04 M&R Marking Systems, Inc. Hand stamp marking structure for printing multiple inks
KR100436769B1 (ko) * 2003-11-20 2004-06-24 주식회사 이고 다수장 내역서/증명서 발급장치
US8701556B2 (en) * 2009-08-28 2014-04-22 Sun Same Enterprises Co., Ltd. Handheld stamp assembly
JP5846175B2 (ja) * 2013-09-20 2016-01-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面製版装置、印面材サイズ検出方法、媒体ホルダおよび媒体ホルダ製造方法
JP5900444B2 (ja) * 2013-09-20 2016-04-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面製版装置、印面材寸法検出方法、媒体ホルダおよび媒体ホルダ製造方法
JP5885082B2 (ja) * 2013-10-09 2016-03-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面形成装置及び印面形成方法
JP6369685B2 (ja) * 2014-10-30 2018-08-08 シヤチハタ株式会社 印面加工装置及び印面加工方法
US10029396B2 (en) * 2014-10-30 2018-07-24 Shachihata Inc. Seal carving apparatus and thermal carving machine
CN104589816B (zh) * 2014-11-25 2017-02-22 深圳市神州通行科技有限公司 电子印章及使用该电子印章进行身份识别的方法及装置
KR102166072B1 (ko) * 2019-08-16 2020-10-15 정갑수 가변형 핫스탬핑 장치
CN112060788B (zh) * 2020-09-21 2022-05-17 徐伟 一种证件盖章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2874A1 (en) * 1995-01-24 1996-08-01 Humal Leo Henn A method for the selective closing of the pores of the surface of thermo-plastic porous material
JPH08300784A (ja) * 1995-05-11 1996-11-19 Seiko Epson Corp 分離型スタンプ作成用ユニットおよびスタンプ作成装置
EP0798114A2 (en) * 1996-03-26 1997-10-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A stamp producing device
JPH09309257A (ja) * 1996-05-21 1997-12-02 Brother Ind Ltd スタンプ作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087A (ja) * 1995-03-30 1996-12-10 Seiko Epson Corp スタンプ素材およびスタンプ素材用パッケージ
JPH10119403A (ja) * 1996-08-30 1998-05-12 Seiko Epson Corp スタンプ素材およびスタンプ素材のセット治具
JP3651203B2 (ja) 1997-08-29 2005-05-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スタンプ製造装置
JPH11277711A (ja) * 1998-03-30 1999-10-12 Brother Ind Ltd スタンプ作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2874A1 (en) * 1995-01-24 1996-08-01 Humal Leo Henn A method for the selective closing of the pores of the surface of thermo-plastic porous material
JPH08300784A (ja) * 1995-05-11 1996-11-19 Seiko Epson Corp 分離型スタンプ作成用ユニットおよびスタンプ作成装置
EP0798114A2 (en) * 1996-03-26 1997-10-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A stamp producing device
JPH09309257A (ja) * 1996-05-21 1997-12-02 Brother Ind Ltd スタンプ作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508A (ko) 2000-11-25
US6460456B1 (en) 200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545B1 (ko) 스탬프 작성 장치 및 그 부속품
US5771803A (en) Tape cassette housing thermally perforatable stencil paper
EP0934832B1 (en) Stamp unit
US5899142A (en) Stamp apparatus with ink dispersing device
EP0718111B1 (en) Stamp assembly and stamp unit including the stamp assembly and a perforation device
JP3885348B2 (ja) 印判製造装置
JP4238947B2 (ja) スタンプ作成装置
US6229556B1 (en) Printer and method of using same to print on thermoplastic medium
EP0655342A1 (en) Stamp device employing a heat sensitive stencil paper and a perforation process therefor
US6112662A (en) Stamp unit
US6341561B1 (en) Stamp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amp unit
JP4106829B2 (ja) アタッチメント
US7077063B2 (en) Stackable hand stamp
JP4292831B2 (ja) スタンプユニット
JP3750337B2 (ja) スタンプユニット
US6295926B1 (en) Plate-making sheet and plate-making sheet printing device
JP2000280590A (ja) スタンプユニット
JP2000280591A (ja) スタンプユニットにおける印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0990534B1 (en) Stamp unit
JP3887935B2 (ja) スタンプユニット
JP4003312B2 (ja) スタンプユニット
JP2004216744A (ja) スタンプユニット
JP3829456B2 (ja) スタンプユニット及びスタンプユニットへのインク供給方法
JPH10250204A (ja) スタンプ装置
JPH10147048A (ja) スタ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