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206B1 - 시동기용 접촉기 - Google Patents

시동기용 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206B1
KR100622206B1 KR1020007004685A KR20007004685A KR100622206B1 KR 100622206 B1 KR100622206 B1 KR 100622206B1 KR 1020007004685 A KR1020007004685 A KR 1020007004685A KR 20007004685 A KR20007004685 A KR 20007004685A KR 100622206 B1 KR100622206 B1 KR 100622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re
movable magnetic
capping piece
rear end
sta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1632A (ko
Inventor
퀀트릭장-프랑소아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filed Critical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Publication of KR20010031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복귀 스프링(58)이 가동 자기 코어(32)에 부착된 외부 플랜지(56)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근접하고, 가동 자기 코어(32)의 내부 보어(36)가 로드(26)가 코어(38)의 후방 단부(52)를 통과하는 액추에이터 피니언을 작동하기 위한 레버의 커플링 로드(26)를 위한 내부 복귀 스프링(38)에 근접하도록 후방 숄더 표면(42)을 규정하도록 그것의 후방 단부(52)에서 개방되며, 가동 자기 코어(32)에 의해 옮겨지도록 내부 보어(36)의 전방 기부(48)상에 지지될 수 있는 타입의 코일의 보어내에서 가동 자기 코어(32)가 활주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열기관용 시동기 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후방 기부(48)가 내부 코어(36)와 일체형이고, 후방 단부(52)에 부착된 캡핑 피스(54)가 내부 보어(36)의 후방 숄더 표면(42) 및 외부 플랜지(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동기용 접촉기{STARTING SWITCH WITH MOBILE CORE COMPRISING A DIRECTLY MOUNTED CLOSURE CUP}
본 발명은 시동기 접촉기(starter contactor)로 또한 불리는 자동차용 시동기의 엑추에이팅 헤드를 위한 전자기적 액추에이터(actuator)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코일의 보어내에서 축방향의 미끄럼 운동을 위해 장착된 원통형 가동 자기 코어(core)를 감싸는 환형 코일을 포함하며, 가동 자기 코어의 후방 부분이 고정 코일 외측에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가동 자기 코어를 위한 외부 복귀 스프링이 가동 자기 코어의 후방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외부 반경방향의 플랜지(flange)에 대항하여 축방향 결합되어 있고, 가동 자기 코어가 후방 단부에서 개방되어 플랜지의 전방에 배치되고 커플링 로드(coupling rod)를 통과 가능하게 하는 내부 보어를 구비하고, 커플링 로드의 후방 단부는 커플링 로드의 전방 숄더 표면 및 가동 자기 코어의 후방 숄더(shoulder) 표면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장착된 내부 스프링에 의해 보어의 전방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액추에이터 피니언(pinion)을 작동하기 위한 레버에 결합되고, 커플링 로드의 전방 단부가 시동기의 가동 자기 코어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구동되도록 보어의 전방에서 기부 요소상에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형태의 열기관, 특히 자동차 시동기용 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방법에 있어서, 접촉기의 코일의 몸통 주위를 감는 전기 도선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은 코일 내측에서는 실질적으로 축방향이고 코일 외측에서는 자체상에 닫힌 루프 형태인 자속선(lines of force)을 따른다.
공지된 설계에 따르면, 가동 자기 코어는 대체로 단일편의 연철(soft iron)이며, 그 연철은 코일 보어내의 그것의 축방향의 위치에 있을 수 있는 무엇이든지간에 몸통(carcass)과 가동 자기 코어 사이의 자기 플럭스(flux)를 위한 통로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따라서, 자속선은 코일의 중간 근방에서 자체상에 폐쇄되며, 그것은 전자석(electromagnet)의 출력을 증가시키고 코일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게 한다.
통상적으로, 가동 자기 코어는 터닝(turning) 조작에 의해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내부적으로 형성되고 제어봉의 내부 스프링에 대해 근처에 제공하는 가동 자기 코어의 보어의 후방 숄더(shoulder) 표면과 같거나, 가동 자기 코어의 보어의 기부에 형성되고 전방 플레이트(plate)에 수용되도록 배치된 전방 표면과 같은 복잡한 형상을 그 자기 코어가 갖기 때문이며, 이것은 구성 요소가 보어내에 조립된 후에 가동 자기 코어의 보어를 폐쇄시킨다.
이러한 형태는 대량 생산의 상황에서 구성 요소의 제조에 많은 비용이 들게 한다.
공지된 설계에 있어서, 우선, 외부 플랜지(flange)를 포함하는 캡핑 피스(capping piece)를 가동 자기 코어의 후방 면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그 외부 플랜지는 가동 자기 코어의 프로파일을 단순화하는 방법으로 부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가 가동 자기 코어를 부분적으로 단순화한다 하더라도, 이러한 설계는 가동 자기 코어의 보어의 후방 숄더 표면 및 폐쇄부 플레이트를 수용할 수 있는 전방 표면을 터닝 조작과 다른 어떤 방법에 의해 제조하게 하지 못하게 하며, 가동 자기 코어의 제조는 여전히 고가이고, 외부 플랜지는 터닝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형태를 갖지 못하여 부착 구성 요소가 되야만 하고, 바람직하게는 부착 구성 요소가 된다.
발명의 요약
가동 자기 코어의 프로파일을 단순화하고, 압출과 같이 보다 저가의 다른 제조 방법을 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단순화된 가동 자기 코어의 보어의 후방 숄더 표면 및 단순화된 보어의 기부의 폐쇄부를 포함하는 가동 자기 코어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은 코일의 보어내에서 축방향의 미끄럼 운동을 위해 장착된 원통형 가동 자기 코어를 감싸는 환형의 코일을 포함하는 열기관, 특히 자동차 시동기용 접촉기로서, 가동 자기 코어의 후방 부분이 고정 코일 외측에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가동 자기 코어를 위한 외부 복귀 스프링이 가동 자기 코어의 후방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외부 반경방향의 플랜지에 대항하여 축방향 결합되어 있고, 가동 자기 코어가 후방 단부에서 개방되어 플랜지의 전방에 배치되고 커플링 로드를 통과 가능하게 하는 내부 보어를 구비하며, 커플링 로드의 후방 단부는 커플링 로드의 전방 숄더 표면 및 가동 자기 코어의 후방 숄더 표면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압축하도록 장착된 내부 스프링에 의해 보어의 전방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액추에이터 피니언을 작동하기 위한 레버에 결합되고, 커플링 로드의 전방 단부가 시동기의 가동 자기 코어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구동되도록 보어의 전방에서 기부 요소상에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형태의, 상기 시동기용 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어의 전방 기부 요소가 가동 자기 코어의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가동 자기 코어의 후방 단부에 부착된 캡핑 피스가 가동 자기 코어의 보어의 후방 숄더 표면 및 외부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 외부 플랜지는 캡핑 피스(capping piece)의 후방 단부에 배치되며, 가동 자기 코어의 보어의 숄더 표면은 그것을 관통하는 커플링 로드의 통로용으로 관통되고 코어의 몸체의 후방 단부면에 대항하여 축방향 전방방향으로 접한 상태에 있는 캡핑 피스의 전방 기부 요소를 구성하며,
- 캡핑 피스의 몸체의 외경이 가동 자기 코어의 몸체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여서 캡핑 피스가 상기 가동 자기 코어의 몸체의 후방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며,
- 캡핑 피스의 전방 기부가 가동 자기 코어의 몸체의 후방 단부에 용접되며,
- 캡핑 피스가 캡핑 피스의 전방 기부를 넘어 전방방향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가동 자기 코어의 외주면에 면하는 적어도 2개의 아암을 구비하며,
- 아암이 그것의 전방 단부에서 가동 자기 코어의 축선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후방으로 굽혀진 굴곡부(bend)를 포함하며,
- 아암이 캡핑 피스의 전방 기부에서 외부로 절단되고, 직각 후방으로 굽혀지며,
- 캡핑 피스가 가동 자기 코어의 몸체의 후방 단부의 소재의 축방향 전복(upsetting)에 의해 가동 자기 코어상에 시임(seam)되어 가동 자기 코어의 몸체의 후방 단부와 아암내의 굴곡부 사이에 축방향으로 위치된 외주면 비드(bead)를 형성하도록 하고, 그것에 의해 아암이 축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며,
- 아암의 굴곡부가 가동 자기 코어의 몸체의 외주면내에 형성된 홈내에 반경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부착되며,
- 캡핑 피스가 상기 가동 자기 코어의 외주면의 소재의 축방향 전복에 의해 가동 자기 코어상에 시임되고, 이것은 아암내에 형성된 면하는 구멍내로 반경방향 외향의 흐름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보고 이해함으로써 도출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촉기를 포함하는 시동기의 축방향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캡핑 피스를 그상에 용접한 가동 자기 코어의 축방향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캡핑 피스를 그상에 시임한 가동 자기 코어의 축방향의 단면도,
도 4는 도 3으로부터 취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캡핑 피스를 축방향 배면도,
도 5는 도 4의 캡핑 피스의 축방향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캡핑 피스를 삽입에 의해 그상에 부착한 가동 자기 코어의 축방향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캡핑 피스를 그상에 시임한 가동 자기 코어를 도시한 것으로 도 9의 7-7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8은 가동 자기 코어상의 캡핑 피스의 아암의 체결을 대표하는 것으로 도 7의 F8부의 상세도,
도 9는 도 10의 9-9 선상에서 취한 도면으로 도 7에 도시된 캡핑 피스의 축방향의 배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캡핑 피스로서 도 9의 10-10 선상에서 위한 축방향의 단면도
하기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서로 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자동차용 연소 엔진(도시되지 않음)용 시동기(10)를 도시하고 있다. 시동기(10)는 샤프트(16)의 하나의 단부상에 미끄럼 운동하도록 장착되는 액추에이터 피니언(14)(pinion)이 그내에 배치된 케이싱(12)으로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샤프트(16)는 시동기(10)의 전기 모터(18)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액추에이터 피니언(14)의 미끄럼 운동은 수평의 기하학적 축선(X-X) 근처에 케이싱(12)내에 선회(pivot)하는 레버(lever) 또는 포크(fork)(20)에 의해 유발된다.
제어 레버(20)의 자유 하부 단부(22)는 액추에이터 피니언(14)을 구동하기 위한 요소(24)로 작용하는 동시에, 그것의 자유 상부 단부(25)는 시동기(10)의 상부 부분에 배치된 전자기적 접촉기(30)의 부분인 커플링 로드(coupling rod)(26)에 연결된다.
공지된 설계에 따른면, 접촉기(30)는 가동 자기 코어(32)를 포함하며, 이 가동 자기 코어(32)의 변위는 레버(20)의 선회 운동의 축선(X-X)에 직각으로 수평 축선(Y-Y)을 따르는 환형 코일(34)에 의해 제어된다.
가동 자기 코어(32)는 대체로 중공(hollow) 환형의 원통형 형상인 구성 요소이며, 그것의 외부 원통형 표면에 의해 미끄럼 운동을 안내하고, 커플링 로드(26) 및 헬리컬 압축 스프링(helical compression spring)(38)은 그것의 내부 보어(36)내에 수용된다.
스프링(38)의 후방 단부(40)는 가동 자기 코어(32)의 내부 보어(36)의 후방 숄더 표면(42)에 대항하여 지지하는 동시에, 스프링(38)의 전방 단부(44)는 커플링 로드(26)의 자유 전방 단부에 배치된 헤드(46)에 의해 지탱되는 커플링 로드(26)의 전방 숄더 표면에 대항하여 지지한다.
게다가, 커플링 로드(26)는 내부 보어(36)를 폐쇄하는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디스크를 구성하는 전방 기부 요소상에 그것의 헤드(46)를 관통하여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플레이트는 가동 자기 코어(32)의 원통형 안착부(50)내에 시임되고, 커플링 로드(26)는 가동 자기 코어(32) 및 환형 코일(34)로 구성된 전자석의 발동 작용(actuation) 또는 이완 작용 동안에 가동 자기 코어(32)에 의해 축선(X-X)을 따라 후방을 향하여 직선 운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후방 환형의 숄더 표면(42)은 가동 자기 코어(32)의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후방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고정 환형 코일(34)의 외부로 돌출된 가동 자기 코어(32)의 후방 단부(52)는 가동 자기 코어(32)의 후방 단부(52)상에 시임된 부착 캡핑 피스(54)를 포함하고, 그것의 외주면에서 외향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외부 복귀 스프링(58)을 위해 근접함으로써 기능하기에 적합한 외부 플랜지(56)를 포함하며, 그 스프링(58)은 도 1에 도시된 그것의 후방 또는 받침(rest) 위치를 향하여 가동 자기 코어(32)를 치우치게 한다. 이러한 연결에 있어서, 스프링(58)은 외부 플랜지(56)와 접촉기(30)의 몸통(31) 사이에서 지지함으로써 후방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가동 자기 코어(32)를 가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며, 그내에 신규한 부착 캡핑 피스(54)는 가동 자기 코어(32)의 후방 단부(52)에 배치된다.
가동 자기 코어(32)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가동 자기 코어와 실질적으로 다르며, 가동 자기 코어(32)의 내부 보어(36)는 가동 자기 코어(32)의 후방 단부에서 개방되고 전방 단부에서 차폐된다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내부 보어(36)의 전방 기부(48)는 종래의 기술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부착 디스크를 더 이상 구성하지 않으나, 가동 자기 코어(32)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부착 캡핑 피스(54)의 관상(tubular) 몸체는 가동 자기 코어(32)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외부 플랜지(56)를 그것의 후방 단부에 포함한다.
내부 보어(36)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후방 환형의 내부 면을 더 이상 구비하지 않으나, 가동 자기 코어(32)의 자유 환형의 후방 단부(52)내에 개방된다.
가동 자기 코어(32)의 내부 보어(36)의 반경방향 후방 숄더는 캡핑 피스(54)의 전방 기부 요소(62)로 구성되며, 그 기부 부분은 커플링 로드(26)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중앙 구멍(60)을 구비하고, 이것은 커플링 로드(26)의 후방 단부가 작동 레버(20)의 단부(25)로 옮겨질 때에 커플링 로드(26)가 축방향 및 수직방향의 변위를 실행하게 한다.
내부 보어(36)내에 면하여 내향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캡핑 피스(54)의 전방 기부 요소(62)의 중앙 부분은, 커플링 로드(26)를 위한 내부 복귀 스프링(38)을 지탱하는 환형의 후방 숄더 표면(42)을 규정한다.
그러므로, 가동 자기 코어(32)를 위한 외부 복귀 스프링(38)이 결합되는 외부 플랜지(56)와, 커플링 로드(26)를 위한 내부 복귀 스프링이 결합되는 환상 후방 숄더 표면(42)을 구비하는 캡핑 피스(54)가 존재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캡핑 피스(54)는 그것의 전방 기부 요소(62)의 외주면의 영역에서 가동 자기 코어(32)의 후방 단부(52)에 용접된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캡핑 피스(54)의 전방 기부 요소(62)는 가동 자기 코어(32)의 후방 단부(52)에 스폿(spot) 용접 또는 접착 결합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도 3은 캡핑 피스(54)가 가동 자기 코어(32)의 후방 단부(52)에 시임되는 제 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캡핑 피스(54)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일반적인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캡핑 피스(54)의 관상의 몸체는 가동 자기 코어(32)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으며, 바람직하게는 일정 간격으로 원주방향으로 멀리 이격된 3개의 아암(64)을 포함하며, 이 아암은 가동 자기 코어(32)의 외주면에 인접하여 있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전방방향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아암(64)은 그것의 기능이 가동 자기 코어(32)의 몸체상에 캡핑 피스(54)를 위한 중심설정을 제공하는 것인 굴곡부(68)를 그것의 전방 단부에서 포함한다.
예를 들면, 캡핑 피스(54)는 유리하게 스탬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캡핑 피스(54)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캡핑 피스(54)부터 형성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그것의 전방 기부 요소(62)내에 3개의 평평한 반경방향의 돌기(lugs)가 외부로 스탬핑되며, 이러한 돌기는 전방 기부 요소(62)에 축방향으로(Y-Y) 직각 후방으로 계속하여 굽혀져서 전방방향 축방향으로 연장된 아암(64)을 구성하도록 한다.
조립 동안에, 캡핑 피스(64)의 전방 기부 요소(62)가 가동 자기 코어(32)의 후방 단부(52)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근접할 때까지 캡핑 피스(54)는 가동 자기 코어(32)의 후방 단부(52)상에 끼워맞춤된다. 바람직하게, 가동 자기 코어(32)의 후방 단부(52)는 캡핑 피스(54)를 위한 축방향 전방방향으로 근접하여 구성한다.
게다가, 캡핑 피스(54)는 외향 반경방향으로 변형될 수 없도록 외부방향으로 동시에 지탱된다. 다음에, 도 4에 특히 잘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시임 공구는 아암(64)이 외부로 스탬핑될 때에 자유롭게 남겨진 공간에서 캡핑 피스(54)의 내부내로 축선(Y-Y)을 따라 축방향으로 관통하며, 공구는 가동 자기 코어(32)의 단부(52)를 가압하여 가동 자기 코어(32)의 소재내의 축방향의 비드(bead)(66)를 캡핑 피스(54)의 아암(64)에 면하게 형성시키도록 하고, 이것은 가동 자기 코어(32)에 대하여 후방방향의 축방향 운동에 대항하여 캡핑 피스(54)의 아암을 지탱한다. 또한, 캡핑 피스(54)는 가동 자기 코어(32)의 후방 단부(52)상에 결합시에 그것의 전방 기부 요소(62)를 통하여 전방방향의 축방향 운동에 대항하여 지탱하여 가동 자기 코어(32)에 강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도 6은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며, 그내에 캡핑 피스(54)는 시임되지 않으나, 가동 자기 코어(32)의 후방 단부(52)상에 강제 삽입에 의해 부착된다. 캡핑 피스(54)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캡핑 피스(54)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일정 간격으로 원주방향으로 멀리 이격되고 가동 자기 코어(32)의 외주면과의 접촉부내로 전방방향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아암(64)이 제공된다. 아암(64)은 가동 자기 코어(32)의 축선(Y-Y)을 향하여 반경방향 후방으로 굽혀진 굴곡부(68)를 그것의 전방 단부에 포함하며, 이것은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 자기 코어(32)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부 반경방향 홈(70)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도 6에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동 자기 코어(32)상의 캡핑 피스(54)의 조립 동안에, 캡핑 피스(54)는 외부방향으로 아암(64)을 순간적으로 변형시키면서 가동 자기 코어(32)상에 축방향으로 나사 결합되고, 그후에 캡핑 피스(54)의 아암(64)의 굴곡부(68)가 가동 자기 코어(32)의 홈(70)내로 관통하며, 그에 따라 축방향의 운동에 대항하여 지탱하도록 보장하고, 동시에 캡핑 피스(54)의 전방 기부 요소(62)는 가동 자기 코어(32)의 후방 단부(52)와 접촉부내로 들어와서 캡핑 피스(54)의 축방향의 고정을 완전하게 하고 가동 자기 코어(32)에 대하여 캡핑 피스(54)의 정밀한 축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캡핑 피스(54)가 가동 자기 코어(32)에 지지되는 2개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축방향의 아암(64)을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핑 피스(54)는 2개의 아암(64)을 구비하며, 그 아암(64)은 전방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축선(Y-Y)에 직각인 횡단 평면내에서 실질적으로 원호(circular arc)의 형상을 갖는다. 각 아암(64)은 동일한 횡단 평면에 위치된 2개의 구멍(71)을 구비하며, 그 구멍은 시임 조작 동안에 가동 자기 코어(32)의 몸체와 협력하도록 배치되어 가동 자기 코어(32)에 대하여 운동에 대항하여 캡핑 피스(54)를 동작하지 못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캡핑 피스(54)는 프레스 성형된 구성 요소일 수 있거나, 스탬핑 또는 굴곡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아암(64)은 캡핑 피스(54)의 전방 기부 요소(62)내에서 미리 절단된 다음에 그 전방 기부 요소(62)에 직각 후방으로 굽혀져서 캡핑 피스(54)가 일단 가동 자기 코어(32)상에 제자리를 잡으면 아암(64)이 전방방향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가동 자기 코어(32)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한다.
가동 자기 코어(32)상에 캡핑 피스(54)를 조립하는 동안에, 캡핑 피스(54)는 그것의 전방 기부 요소(62)가 가동 자기 코어(32)의 후방 단부(52)상에 근접할 때까지 가동 자기 코어(32)를 지나 나사 결합된다.
캡핑 피스(54)는 적절한 지그(jig)로 가동 자기 코어의 외주면에 유지되어 부착 작업 동안에 변형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 다음에, 캡핑 피스(54)의 공동(concavity) 내에, 즉 아암(64)을 절단한 간극 내에, 시밍(seaming) 공구를 삽입하여, 가동 자기 코어(32)의 후방 단부(52)를 가압하되, 도 8의 상세 도면으로 도시된 방법으로 가동 자기 코어(32)의 재료가 반경방향 외향으로 이동하여 캡핑 피스(54)의 구멍(71) 내로 관통하게 되어, 가동 자기 코어가 후방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접촉기(30)의 다양한 가동 자기 코어는 생산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10)

  1. 환형 코일(34)의 보어 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도록 장착된 원통형 가동 자기 코어(32)를 감싸는 환형 코일(34)을 포함하는 열기관, 특히 자동차 시동기(10)용 접촉기(30)로서,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의 후방 부분이 고정된 상기 환형 코일(34) 외측에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용 외부 복귀 스프링(58)이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의 후방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외부 반경방향의 외부 플랜지(56)에 대항하여 축방향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가 상기 후방 단부(52)에서 개방되어 상기 외부 플랜지(56)의 전방에 배치되며 커플링 로드(26)를 통과 가능하게 하는 내부 보어(36)를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 로드(26)의 후방 단부는 상기 커플링 로드(26)의 전방 숄더 표면 및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의 후방 숄더 표면(42)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장착된 내부 스프링(38)에 의해 상기 내부 보어(36)의 전방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액추에이터 피니언(14)을 작동하기 위한 레버(20)에 결합되며, 상기 커플링 로드(26)의 전방 단부가 상기 시동기(10)의 가동 자기 코어(32)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내부 보어(36)의 전방에서 기부 요소(48)상에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형태의, 시동기(10)용 접촉기(30)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어(36)의 상기 전방 기부 요소(48)가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의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의 후방 단부(52)에 부착된 캡핑 피스(54)가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의 내부 보어(36)의 후방 숄더 표면(42)과, 상기 외부 플랜지(5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기용 접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외부 플랜지(56)는 상기 캡핑 피스(54)의 후방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의 보어의 상기 숄더 표면(42)은 상기 캡핑 피스(54)의 전방 기부 요소(62)를 구성하고, 상기 캡핑 피스(54)는, 상기 커플링 로드(26)의 통과를 위해 관통되어 있고 또 상기 코어의 몸체의 후방 단부면에 축방향 전방으로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기용 접촉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 피스(54)의 몸체의 외경이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의 몸체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여서, 상기 캡핑 피스(54)가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의 몸체의 후방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기용 접촉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 피스(54)의 전방 기부 요소(62)가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의 몸체의 후방 단부(52)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기용 접촉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 피스(54)가 상기 캡핑 피스(54)의 전방 기부 요소(62)를 넘어 전방방향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의 외주면에 면하는 적어도 2개의 아암(6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기용 접촉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64)이 그것의 전방 단부에서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의 축선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후방으로 굽혀진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기용 접촉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64)이 상기 캡핑 피스(54)의 전방 기부 요소(62)에서 외부로 절단되고, 후방 직각으로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기용 접촉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 피스(54)가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의 몸체의 후방 단부(52)의 소재의 축방향 가압에 의해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상에 시임되어,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의 몸체의 후방 단부(52)와 상기 아암(64)내의 상기 굴곡부(68) 사이에 축방향으로 위치된 외주면 비드(66)를 형성하도록 하고, 그것에 의해 아암(64)이 축방향으로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기용 접촉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64)의 상기 굴곡부(68)가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의 몸체의 외주면내에 형성된 홈(70)내에 반경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기용 접촉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 피스(54)가,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의 외주면의 재료의 축방향 가압에 의해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상에 시임(seam)되고, 상기 외주면의 재료의 축방향 가압에 의해서, 상기 가동 자기 코어(32)의 재료가 상기 아암(64)내에 형성된 구멍(71) 내로 반경방향 외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기용 접촉기.
KR1020007004685A 1998-09-03 1999-09-03 시동기용 접촉기 KR100622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11122 1998-09-03
FR9811122A FR2783090B1 (fr) 1998-09-03 1998-09-03 Contacteur de demarreur a noyau mobile comportant une coupelle rapportee de fermeture
PCT/FR1999/002101 WO2000014759A1 (fr) 1998-09-03 1999-09-03 Contacteur de demarreur a noyau mobile comportant une coupelle rapportee de ferme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632A KR20010031632A (ko) 2001-04-16
KR100622206B1 true KR100622206B1 (ko) 2006-09-07

Family

ID=953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685A KR100622206B1 (ko) 1998-09-03 1999-09-03 시동기용 접촉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07454B1 (ko)
EP (1) EP1029335B1 (ko)
JP (1) JP4376462B2 (ko)
KR (1) KR100622206B1 (ko)
BR (1) BR9906986B1 (ko)
DE (1) DE69928072T2 (ko)
ES (1) ES2249912T3 (ko)
FR (1) FR2783090B1 (ko)
WO (1) WO20000147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73087B1 (fr) 2000-12-21 2011-10-05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Machine electrique a ensemble porte-balais et procede d'assemblage d'une machine electrique pourvue d'un tel ensemble
JP2003208840A (ja) * 2002-01-10 2003-07-25 Denso Corp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
GB2433234A (en) * 2005-12-08 2007-06-20 Autoliv Dev A mounting arrangement for an airbag
FR2959364B1 (fr) 2010-04-27 2014-10-31 Valeo Equip Electr Moteur Ensemble porte-balais pour machine electrique, telle qu'un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cassette associee, et machine electrique pourvue d'un tel ensemb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221714U1 (de) * 1982-07-30 1982-09-2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lektromagnetischer Schalter, insbesondere für Andrehvorrichtungen von Brennkraftmaschinen
FR2567586B1 (fr) * 1984-07-10 1986-12-19 Paris & Du Rhone Commande d'engrenement du pignon du lanceur pour demarreur de moteur a combustion interne.
FR2629521B1 (ko) * 1988-04-01 1994-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IT1261588B (it) * 1993-09-14 1996-05-23 Magneti Marelli Spa Dispositivo elettromagnetico di comando per un motore elettrico d'avviamento per motori a combustione interna.
JPH08129948A (ja) * 1994-10-28 1996-05-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タータ用マグネットスイッチ
US5563563A (en) * 1995-12-04 1996-10-08 Ford Motor Company Solenoid with an improved contact design and a system utilizing the soleno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29335A1 (fr) 2000-08-23
ES2249912T3 (es) 2006-04-01
DE69928072D1 (de) 2005-12-08
DE69928072T2 (de) 2006-07-20
WO2000014759A1 (fr) 2000-03-16
EP1029335B1 (fr) 2005-11-02
US6307454B1 (en) 2001-10-23
JP4376462B2 (ja) 2009-12-02
FR2783090A1 (fr) 2000-03-10
FR2783090B1 (fr) 2000-10-13
BR9906986A (pt) 2000-09-26
JP2002524689A (ja) 2002-08-06
KR20010031632A (ko) 2001-04-16
BR9906986B1 (pt) 201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0731A (en) Electromagnetic fuel injec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5892422A (en) Motor vehicle starter contactor incorporating an auxiliary control relay
US20090206966A1 (en)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switch for starter
US5683151A (en) Hydraulic unit for traction-controlled motor vehicle brake systems
JPH10106420A (ja) 自動車のスタータ用コンタクタ
US5909067A (en) Motor vehicle starter contactor incorporating an auxiliary control relay
JPH07167337A (ja) 電磁操作弁
KR100336028B1 (ko) 차량의 슬립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유압장치
KR100622206B1 (ko) 시동기용 접촉기
EP2930734B1 (en) Electromagnetic switch,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vehicle engine
US7375606B2 (en) Electromagnetic contractor for controlling an electric starter
JP2005201413A (ja) 電磁弁
US20050279957A1 (en) Solenoid valv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inding method between iron-based material and aluminum-based member
JP5200149B2 (ja) スタータ用マグネット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US6281770B1 (en) Starting switch comprising a fixed magnetic core in several parts
KR100618753B1 (ko) 동축엔진시동장치
JP4627114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2002228038A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2006183754A (ja) 電磁弁
JP3023828B2 (ja) 電磁式燃料噴射弁
JP6721268B2 (ja) 燃料噴射弁
JP2000046221A (ja) 電磁弁装置
EP1469191B1 (en) Valve assembly
JP2023094028A (ja) ソレノイドの製造方法、ソレノイド製造用工具、およびソレノイド
JPH03273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