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540B1 - 음성 출력 채널을 구비한 근접 애플리케이션-음성 표현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출력 채널을 구비한 근접 애플리케이션-음성 표현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540B1
KR100620540B1 KR1019997007579A KR19997007579A KR100620540B1 KR 100620540 B1 KR100620540 B1 KR 100620540B1 KR 1019997007579 A KR1019997007579 A KR 1019997007579A KR 19997007579 A KR19997007579 A KR 19997007579A KR 100620540 B1 KR100620540 B1 KR 100620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voice
speech
item
uni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5520A (ko
Inventor
파블렛에릭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00075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근접 애플리케이션 음성 표현 장치(proximity application-speech presentation device)는 장치 파라미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또한 여러 가지의 다양한 동적인 이벤트 발생을 검출하는 특성을 갖는다. 특히, 상기 여러 개의 동적인 이벤트들은 중첩이나 근접 애플리케이션 음성에 대한 멀티플렉싱을 하기 위하여 각 관련된 음성 표현 아이템들로 변환된다.

Description

음성 출력 채널을 구비한 근접 애플리케이션-음성 표현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 DEVICE FOR OPERATING A PROXIMITY APPLICATION-SPEECH PRESENTATION DEVICE WITH A SPEECH OUTPUT CHANNEL}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열거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타입의 휴대용 배터리 급전형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음성(application-speech)을 표현하기에, 사용자의 귀에 가깝게 위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종종, 이와 같은 사용은 아주 잠깐 동안이며, 이 장치는 대부분의 시간동안 아무 일도 하지 않는 상태로 방치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정보를 신호(signalling)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는 다양한 조건들을 통신할 수 있는 시각 디스플레이(visual display) 장치를 일반적으로 구비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장치를 실제로 이용하여 듣고 있을 때에,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아주 근접하여 위치하여야 할 것이고, 따라서 시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야에서 벗어나게 된다. 특히, 사용자는 동적인 이벤트와 같은 것을 놓치게 된다. 사용자가 특정 이벤트들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음성은 장치의 고유한 동작과는 무관한 내용을 가질 수 있다. 반면에, 시스템 음성(system speech)은 상기 장치의 동작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이러한 동작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미리 프로그램밍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엇보다도, 시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와 같은 표현을 하기가 비효과적이라 할지라도, 동적인 이벤트를 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표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양상의 하나에 따라,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특징부에서 열거한 특징을 갖는다. 자체적으로, 삑 소리와 같은 독특한 오디오 신호 표시를 이벤트 특징에 대한 시각적 표시와 결합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최소한 몇 초 동안 중단해야 하는 것을 수반하며, 이러한 중단은 성가신 것으로 느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와도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장점들은 종속항들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측면 및 장점들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개시와, 특히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도 1은 휴대용 전화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절차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휴대용 전화의 블록도이다. 또한, 비록 본 발명이 특히 휴대용 전화에 사용하기 위해 고안되었지만, 다양한 다른 휴대용 배터리 급전형의 근접(proximity) 애플리케이션-음성 출력 장치가 본 발명에 의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한 예로서, 본 장치는 송신기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수신기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의 구성은 대부분 유럽특허(EP 494 526 B1)에 따라 만들어졌다. 상기 블록도에서, 본 장치(3)는 수신 경로 및 전송 경로를 포함하는데, 둘 다 안테나 스위치(30)에 연결되어 있다. 수신 경로는 직렬 연결된 동조가능 필터(31), 혼합기(32), 스위치-가능 IF_필터(33), 검출기(34), TDMA 제어기(35), 변조기(38), 오프셋 발진기(39), 혼합기(40), 및 전력 증폭기(41)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42)는 전화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되었다. 특정 주파수 채널로 동조시키기 위하여 신시사이저(43)를 제어하고, TDMA 제어기(35)를 제어하고, 키패드(22)를 스캐닝하며, 시각 표시 장치(21)를 제어하는 것과 같은 여러 기존 특징은 여기에서는 더 이상 상세하게 논의하지 않는데, 이 기능 자체가 당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비휘발성 메모리부(45)와 휘발성 메모리부(46)를 포함하는 메모리(44)는 마이크로프로세서(42)에 연결되어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부(45)는 전화 기능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본 장치는 본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교환가능 배터리(51)에 상호 연결된 전력 리드선(48, 49)을 포함한다. 함축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42)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만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장치는 마이크(27)와 스피커(37)를 포함한다. 휴대용 전화에서, 스피커는 소리가 작고 마이크는 저감도라서, 결과적으로 통화중에, 본 장치는 사용자 머리로부터 최대로 몇 센티미터 내에 위치되어야만 한다. 이 장치의 케이스(housing)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차의 흐름도이다. 개시 블록(60)에서, 상기 배터리를 연결하거나 파워-온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 애플리케이션은 개시된다. 특히, 개시는, 사용자가 전화를 거는 것과 같은 한 개 이상의 조작 기능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또는 애플리케이션 음성이 원리적으로 출력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상태로 이 장치가 진입할 때 작동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음성은 실제 전화 통화 또는 해당 장치 내에서 또는 원격의 자동 응답기에 녹음된 음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사실상, 이 장치를 통해 가까운 거리에서 들어야만 하는 경우가 아닌 다른 상황에서, 상기 시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황을 덜 혼란스럽게 하거나 덜 방해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이벤트들을 신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요구된다면, 음성 아이템의 출력은 시각 디스플레이와 병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블록(62)에서, 본 장치는 프로그래밍 버튼을 작동시키는 것과 같은 것을 통해, 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의 음성으로 장치를 프로그래밍하기를 원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만약 사용자가 음성 아이템이 하나도 녹음될 필요가 없거나 또는 더 이상 녹음될 필요가 없다고 신호하면(예), 본 장치는 블록(68)으로 빠져나간다. 녹음은 블록(64, 66)에서 실행된다. 블록(64)에서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장치의 매뉴얼에서 지정된 이벤트 집합 중의 하나에 할당된 특정 코드를 입력한다. 블록(66)에서,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련하여 출력될 음성 아이템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녹음된다. 특히,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압축된 형태로서 상기 음성을 저장하는 소위 플래쉬 메모리이다. 압축은 여러 알려진 절차 중 하나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프로그래밍은 장점이라고 간주되는데, 그 이유는 그렇게 하지 않으면 다른 메시지의 수에 언어 수를 곱한 것이 메모리의 용량에 무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중 두 개의 블록들로 구성되는 루프는 원리적으로 무제한적인 횟수로 순환할 수 있다. 간략하게 하기 위하여, 메시지의 삭제 및/또는 겹쳐쓰기(overwriting)에 대한 절차는 생략하기로 한다.
삭제
블록(62)을 빠져 나온 후에, 상기 장치의 전화 걸기 동작은 블록(68)에 의해 표현되었다. 원래 상기 전화 걸기 동작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 상술하지 않기로 한다. 특정 통화를 완료하고 나면, 본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흐름도를 빠져나와 블록(60)으로의 다음 진입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통화 종료는 이러한 진입을 자동으로 개시할 수 있다. 통화중에, 본 장치는 사전에 지정된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블록(70)을 통해 순환을 할 수 있다. 만약에 특정 이벤트에 관련된 코드가 수신되었다면, 블록(72)에서 음성 저장 메모리가 이벤트 코드로부터 즉시로 유추되는 어드레스로서 주소지정된다. 그 다음으로, 블록(74)에서, 실제 전화 통화에 의하여 생성된 애플리케이션-음성은 몇 dB과 같은 소정의 양만큼 감쇄된다. 블록(76)에서, 해당 이벤트에 관련된 음성 아이템이 하나라도 존재한다면, 그 음성 아이템은 바로 이 순간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음성에 중첩되어 출력된다. 블록(78)에서, 전화 통화와 관련되어 출력된 애플리케이션 음성은 최대 볼륨으로 다시 시작되며, 방금 신호된 이벤트와 관련하여 소정의 적절한 대책을 취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달려있다.
필요하다면, 관련 사운드가 전화 통화의 상대방 측으로 전송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국부적으로 발생한 오디오 출력에 대하여 소정의 대책이 마련된다. 하지만, 이러한 대책은 전화 기술에 있어서 표준 절차이다.
다음에 나오는 이벤트나 그 이벤트의 부분 집합(subset)이 사용자에게 신호될 수 있다:
-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25%, 50%, 또는 75%와 같은 소정의 임계값 미만으로 떨어진, 시스템-결정 이벤트;
- 몇 가지 이유 중에서 하나로 말미암아, 요청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없는 애플리케이션-결정 이벤트;
- 사용자가 음성-작동으로(voice-actuated) 전화를 걸 때에, 상기 장치가 음성 명령을 인식하지 못한, 애플리케이션-결정 이벤트;
- 실제 통화중에, 받을 수 없는 순간에 추가적인 전화 통화가 걸려온 것이 검출되는, 애플리케이션-결정되는 이벤트.
요구된 바와 같이, 다른 추가적인 이벤트들은 해당 장치의 응용 분야 또는 사용자의 특정한 소망에 의거해서 사용자에게 신호될 수 있다.
삭제
도 3은 도 2에 나온 절차와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좌측 상단부에, 구성요소(80)는 사용자에게 표현되어야만 하는 애플리케이션 음성의 형성을 상징한다. 전화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음성은 대화를 하기 위하여 상대방으로부터 통신된 음성일 수 있다. 감쇄기구성요소(82)는 음성 표현 아이템의 공동-표현(co-presentation)을 구동하는 메커니즘을 통하여 제어가능하다. 구성요소(84)는 두 개의 입력단을 구비하는 아날로그 가산기이다. 구성요소(86)는 아날로그 오디오 증폭기이다. 구성요소(88)는 스피커이다. 또한, 메시지 생성기(90)에서, 마이크로제어기 구성요소(96)는 적절한 주소를 이용하여 ROM/RAM(98)의 주소지정을 통해서 음성 아이템을 제공한다. 마이크로제어기는 위에서 열거된 다양한 조건을 검출함으로써 작동된다. 음성 신시사이저(94)는 메모리(98)로부터의 정보에 의하여 작동되며, 표준 음성 합성 기술에 따라 작동한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구성요소(92)는, 아날로그 가산기(84)에 제공하고 애플리케이션 음성 채널로부터의 신호 상에 중첩하기 위하여, 음성 신시사이저로부터 수신된 코드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서, 도 3에 대응하고 동일한 라벨을 구비한 다양한 아이템을 구비하고 있다. 중첩하는 대신에, 이 실시예는 음성 출력 채널 상에서 멀티플렉싱을 수행한다. 이 작용은 본 발명에 따른 특징부에 의하여 또한 제어되는 스위치(100)를 멀티플렉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음성 출력 채널을 구비한 근접 애플리케이션-음성 표현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9)

  1. 휴대용 장치에서 음성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speech processing application)을 실행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와 근접(proximity)하게 위치하고 있는 상기 장치를 가지고 표현하기 위해 음성 출력 채널 상에 애플리케이션 음성(application speech)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장치에 의해 독립적으로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동적 장치 이벤트를 상기 장치 내에서 선택적으로 검출하며, 그 다음에 이러한 동적 이벤트의 표현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검출된 동적 이벤트를 연관된 독특한(distinctive) 음성 아이템으로 변환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음성의 출력을 계속하면서 상기 독특한 음성 아이템(speech item)을 사용자에게 공동 표현(co-resentation) 하기 위해 상기 독특한 음성 아이템을 상기 음성 출력 채널로 향하게 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출력 채널을 두 상태 중의 하나에서 번갈아 제어하는, 즉, 첫 번째 상태에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음성만을 단독으로 출력하고, 두 번째 상태에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음성과 또한 상기 독특한 음성 아이템을, 양쪽 모두 충분히 인지(perceptible)할 수 있는 수준으로 유지시키면서 양쪽 모두를 출력시키며, 한편, 이때 상기 애플리케이션 음성과 상기 독특한 음성 아이템 양쪽 모두는 충분히 인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애플리케이션 음성 표현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독특한 음성 아이템은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결합하기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음성 출력 채널 상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음성과 중첩되는(superposed), 근접 애플리케이션 음성 표현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독특한 음성 아이템은 상기 사용자에게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음성 표현과 함께 전자적으로 멀티플렉스(multiplex)되는, 근접 애플리케이션 음성 표현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독특한 음성 아이템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녹음되며, 상기 독특한 음성 아이템은 상기 동적인 이벤트를 검출하는 장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접근 가능한, 근접 애플리케이션 음성 표현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동적인 이벤트와 또한 상기 장치 시스템과 연관된 동적인 장치 이벤트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집합으로부터, 이러한 동적인 이벤트를 선택하는, 근접 애플리케이션 음성 표현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기간 동안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음성이 일시적으로 감쇄되는, 근접 애플리케이션 음성 표현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배열되는 근접 애플리케이션 음성 표현 장치로서,
    음성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하여 배열되는 휴대용 장치이고, 사용자와 근접하여 위치되었을 때 표현하기 위해 상기 응용에 의해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통화 출력 채널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관여 없이 상기 장치에 의해 독립적으로 생성된 하나 이상의 동적인 장치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상기 장치 내에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면서, 또한 이러한 동적인 이벤트의 표현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된 동적인 장치 이벤트를 연관된 독특한 음성 아이템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과;
    상기 독특한 음성 아이템과 함께 상기 애플리케이션 음성을 계속해서 출력시키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음성을 상기 사용자에게 표현 하기 위해 상기 독특한 음성 아이템을 상기 음성 출력 채널로 향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치는 첫 번째 상태에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음성만을 단독으로 출력하고, 두 번째 상태에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음성과 또한 상기 독특한 음성 아이템을, 양쪽 모두 충분히 인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유지시키면서 양쪽 모두를 출력시키기 위한 상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근접 애플리케이션 음성 표현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송수신 양방향(two-way) 휴대용 전화로 구현되는, 근접 애플리케이션 음성 표현 장치.
  9. 삭제
KR1019997007579A 1997-12-23 1998-12-14 음성 출력 채널을 구비한 근접 애플리케이션-음성 표현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620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403135 1997-12-23
EP97403135.3 1997-12-23
PCT/IB1998/002008 WO1999034573A2 (en) 1997-12-23 1998-12-14 A method and a device for speech presentation of events on a speech chan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520A KR20000075520A (ko) 2000-12-15
KR100620540B1 true KR100620540B1 (ko) 2006-09-06

Family

ID=822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579A KR100620540B1 (ko) 1997-12-23 1998-12-14 음성 출력 채널을 구비한 근접 애플리케이션-음성 표현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962085B1 (ko)
JP (1) JP2001513309A (ko)
KR (1) KR100620540B1 (ko)
CN (1) CN100384193C (ko)
DE (1) DE69835417T2 (ko)
ES (1) ES2270535T3 (ko)
WO (1) WO1999034573A2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7976A (en) * 1985-09-03 1988-04-12 Motorola, Inc. Hands-free control system for a radiotelephone
US5172408A (en) * 1990-08-01 1992-12-15 At&T Bell Laboratories Speakerphone state-controlled alerting arrangement
JP2503863B2 (ja) * 1992-08-13 1996-06-0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電話機
AU4419796A (en) * 1994-12-12 1996-07-03 Qualcomm Incorporated Digital cellular telephone with voice feedb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2199A (zh) 2000-05-03
EP0962085A2 (en) 1999-12-08
JP2001513309A (ja) 2001-08-28
EP0962085B1 (en) 2006-08-02
DE69835417T2 (de) 2007-07-05
KR20000075520A (ko) 2000-12-15
DE69835417D1 (de) 2006-09-14
WO1999034573A3 (en) 1999-09-02
CN100384193C (zh) 2008-04-23
WO1999034573A2 (en) 1999-07-08
ES2270535T3 (es) 2007-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9401A (en)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call charges
EP2114059B1 (en) Cellular mobile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to an incoming call
US64773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uitive audio keypad navig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2168545A1 (en) Audio Caller Identification Unit
KR100620540B1 (ko) 음성 출력 채널을 구비한 근접 애플리케이션-음성 표현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524827A1 (en) Recording control method for mobile phone with dictation functionality
US5555289A (en) Telephone answering device with operating status confirmation means
JP3151280B2 (ja) 無線電話装置
JPH09252372A (ja) ボイスメモ機能付き携帯情報端末
JP7407249B1 (ja) 無線通信機における送受信切り替え方法及び無線通信機
KR200214826Y1 (ko) 졸음방지를 위한 경고음 출력장치
JP2852199B2 (ja) 無線端末機
JP2510028B2 (ja) 保留機能付電話機
KR100290130B1 (ko) 무선통신장치의호출신호알림방법
KR960009559A (ko) 리모콘을 이용한 긴급상황 전달장치 및 전달방법
JPH10271189A (ja) 携帯電話機
JP2635970B2 (ja) 留守番電話機
JP2753188B2 (ja) 有線通信端末機
KR101166189B1 (ko) 음성 데이터를 이용한 알람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동작방법
JP3469800B2 (ja) 通信装置
JPH0263246A (ja) 留守番電話装置
JPS58197947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7312632A (ja) 通信機器の表示装置
KR970009083A (ko) 전화기의 예약시간 메세지 송출방법
KR19990039226A (ko)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에서 휴대장치 전원 오프 경고 및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