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954B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954B1
KR100619954B1 KR1020040087644A KR20040087644A KR100619954B1 KR 100619954 B1 KR100619954 B1 KR 100619954B1 KR 1020040087644 A KR1020040087644 A KR 1020040087644A KR 20040087644 A KR20040087644 A KR 20040087644A KR 100619954 B1 KR100619954 B1 KR 100619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rism
light emitting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8555A (ko
Inventor
신광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954B1/ko
Priority to CNA2005100635960A priority patent/CN1767627A/zh
Publication of KR20060038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 케이스와,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화상촬영시 필요한 조명을 제공하는 플래시부와,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조명하고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상부에 배치되어 발광소자에서 제공되는 광량(光量)을 굴절시키는 프리즘으로 구성되어, 상기 프리즘은 상기 발광소자에서 제공되는 광량(光量)을 상기 키 입력부와 플래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삭제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의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의 확대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200 : 본체부
210 : 키 입력부 220 : 카메라 모듈
300 : 폴더부 310 : Sub-LCD
400 : 인쇄회로기판 600 : 배터리
700 : 플래시부 800 : 발광소자
900 : 프리즘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하나의 광원(光源)으로 키 입력부와 플래시부 중 선택적으로 광량(光量)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나 기타 데이터를 입력함에 있어, 사용자의 주위환경이 광원(光源)이 없는 어두운 곳이거나 밤일 경우에도 원활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키 입력부를 조명하는 다수의 백라이트용 발광소자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주위환경이 광원(光源)이 없는 어두운 곳이거나 밤일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화상촬영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조명을 제공하는 플래시부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백라이트용 발광소자와 플래시부는 각각 별도의 광원부로서, 다수의 발광소자와 전력이 개별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므로, 이로 인한 단말기의 전력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의 제작시 상기 발광소자들을 각각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이로 인한 제작공정상의 번거로움과 제작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더욱이, 상기 플래시부는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의 한정된 공간으로 인해 발광소자를 제한적으로 장착할 수밖에 없어 화상촬영시 필요한 조명을 적절히 제공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근거리에서의 촬영만이 가능하거나 노출이 부족한 사진을 얻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즘을 이용하여 백라이트용 발광소자만으로 키 입력부와 플래시부 중 선택적으로 광량(光量)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촬영시 필요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로 장착되던 플래시부의 발광소자를 제거하고, 이를 백라이트용 발광소자로 대체함으로써, 단말기의 제작공정을 간단히 하고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수의 백라이트용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플래시부에 보다 많은 광량(光量)을 제공함으로써, 화상촬영 시 좀 더 밝은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 케이스와,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화상촬영시 필요한 광량(光量)을 제공하는 플래시부와,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조명하고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상부에 배치되어 발광소자에서 제공되는 광량(光量)을 굴절시키는 프리즘으로 구성되어, 상기 프리즘은 상기 발광소자에서 제공되는 광량(光量)을 상기 키 입력부와 플래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소자는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리즘은 직각이등변삼각형의 단면을 가진 전반사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리즘은 상기 발광소자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상기 프리즘은 0 도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제공되는 광(光)을 90도 굴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상기 프리즘은 135 도의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제공되는 광(光)을 180도 굴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래시부는 상기 프리즘으로부터 제공되는 광량이 투과되는 부위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상기 플래시부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폴더부(300)와, 상기 폴더부(30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210)가 구비된 본체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폴더부(300)는 일면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Sub-LCD(Liquid Crystal Display)모듈(310)이 구비되고 그 타면에는 Main-LCD 모듈(미도시)과 같은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다.
상기 본체부(200)는 전면 케이스(201)와, 상기 전면 케이스(201)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키 입력부(210)와, 상기 키 입력부(210)를 조명하는 발광소자(800)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40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상측에 배치되는 프리즘(900)과, 후면 케이스(203)로 구성된다.
상기 키 입력부(210)는 상기 전면 케이스(201)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고, 각종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는 상기 키 입력부(210)를 조명하기 위한 다수의 발광소자(800)가 길이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착된다.
상기 발광소자(800)는 전력소모량이 작고, 빛의 확산성보다 직진성이 뛰어난 고휘도 LED(Light Emitting Diode)가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즘(90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상측으로 발광소자(800)에 대향되는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발광소자(800)로부터 제공되는 광량(光量)을 굴절시킬 수 있도록 직각이등변 삼각형의 단면을 가진 반사각 조절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리즘(900)은 상기 발광소자(800)들이 장착된 영역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길이 방향 양단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 상에 형성된 돌기(미도시)와 대응되는 결합홈(910)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상기 본체부(200) 내부에 별도의 고정부재가 장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결합홈(910)과 결합되어 상기 프리즘(900)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리즘(900)은 전반사 프리즘이며, 직각이등변삼각형의 절단면을 가지는 직각프리즘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프리즘(900)은 직각을 끼는 면 또는 빗면에 들어온 빛을 다른 면에 45 도로 입사하여 유리의 임계각(약 42 도)을 넘도록 전반사를 하여 광원의 진행방향을 90 도 또는 180 도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프리즘(900)이 상기 광량(光量)의 진행방향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리즘의 작동도이다.
상기 프리즘(900)이 평상시 원위치(0 도)에 있을 때, 상기 발광소자(800)에서 제공되는 광량(光量)의 진행 방향은 프리즘(900)의 빗면에 반사되어 90 도로 굴절되어 진행된다.
또한, 상기 프리즘(900)이 원위치에서 135 도로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광량(光量)의 진행 방향은 프리즘(900)의 두 빗면에 반사되어 180 도로 굴절되어 진행된다.
이 때, 상기 프리즘(9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미도시)이 프리즘(900)의 길이방향 일단에 장착된다.
상기 구동원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동 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프리즘(900)을 조절하여 회전 각도를 결정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은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의 메뉴 상에서 플래시 설정 메뉴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설정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프리즘(900)은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800)에서 제공되는 광량(光量)을 필요한 방향으로 굴절시키고, 상기 굴절된 광량(光量)의 진행 방향은 90 도 또는 180 도로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리즘(900)에서 굴절된 광량(光量)은 상기 키 입력부(210) 또는 플래시부(700)의 방향으로 진행된다.
상기 플래시부(700)는 단말기 후면 케이스(203)의 길이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220)로 화상촬영을 할 때 필요한 조명을 제공한다.
상기 플래시부(700)는 상기 프리즘(900)을 통하여 광량(光量)을 제공받는다.
즉, 상기 발광소자(800)에서 제공되는 광량(光量)은 먼저 프리즘(900)이 위치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상기 프리즘(900)을 통해 임의의 각도로 굴절되어 상기 키 입력부(210) 또는 플래시부(700)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진행된다.
여기에서, 상기 플래시부(700)는 상기 프리즘(900)에서 제공되는 광량(光量)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래시부(700)는 상기 프리즘(900)으로부터 제공받은 광량(光量)을 더욱 넓은 면적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오목렌즈나 볼록렌즈 중 임의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케이스(203)에는 전원을 공급하고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600)와, 화상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220)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용에 대해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의 확대 작동도이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폴더부(300)를 열면, 이에 연동되어 상기 키 입력부(210)를 조명하기 위해 상기 발광소자(800)는 발광된다.
이 때, 상기 발광소자(800)에서 제공되는 광량(光量)은 발광소자(800)의 상측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프리즘(900)으로 전달되고, 상기 프리즘(900)은 상기 키 입력부(210)를 조명하기 위해 광량(光量)의 진행 방향을 90 도로 굴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굴절된 광량(光量)은 상기 키 입력부(210)에 전달되어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210)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함에 있어 필요한 조명으로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가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해 단말기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220)을 작동시키면 이에 연동되는 상기 구동원(미도시)은 상기 프리즘(900)을 135 도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발광소자(800)에서 제공되는 광량(光量)은 회전된 상기 프리즘(900)을 통해 180도 굴절되어 상기 후면 케이스(203)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플래시부(700)로 전달된다.
상기 플래시부(700)에 전달된 상기 광량(光量)은 상기 플래시부(700)를 통해 화상촬영을 함에 있어 필요한 플래시 광원(光源)으로 사용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220)의 작동이 끝나면 상기 프리즘(900)은 역방향으로 135 도 회전하여 원상태로 복원되고, 상기 발광소자(800)에서 제공된 광량(光量)은 다시 상기 키 입력부(210)를 조명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광량(光量)의 진행 방향이 90 도 또는 180 도로 바뀔 수 있도록 회전하는 상기 프리즘(900)의 회전각도는 135 도이며, 상기 프리즘(900)이 0 도일 때 상기 광량(光量)의 진행방향은 90 도가 되지만 상기 프리즘(900)이 135 도로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광량(光量)의 진행방향은 180 도가 된다.
이처럼 작용되는 상기 플래시부(700)는 상기 프리즘(900)을 이용하여 화상촬영시 많은 광량(光量)을 비추어 주므로, 적절한 노출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폴더(Folder) 타입 이외에 바(Bar) 타입, 슬라이드(Slide) 타입, 스윙(Swing) 힌지 타입 등 어떠한 타입의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방법의 응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프리즘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발광소자만으로 키 입력부와 플래시부 두 곳의 광원(光源)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의 손실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별도로 장착되던 플래시부의 발광소자를 제거하고 상기 발광소자만으로 키 입력부와 플래시부 중 선택적으로 광량(光量)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제작공정상 번거로움과 제작단가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에서 발생되는 광량(光量)을 화상촬영을 함에 있어 필요한 광원(光源)으로 대체함으로써, 화상촬영시 필요한 적절한 광량(光量)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근거리 촬영뿐만 아니라 원거리 촬영도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 케이스와;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화상촬영시 필요한 조명을 제공하는 플래시부와;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조명하고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다수의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소자에서 제공되는 광량(光量)을 굴절시키는 프리즘으로 구성되어,
    상기 프리즘은 상기 발광소자에서 제공되는 광량(光量)을 상기 키 입력부와 플래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직각이등변삼각형의 단면을 가진 전반사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상기 발광소자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0 도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제공되는 광량(光量)을 90도 굴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135 도의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제공되는 광량(光量)을 180도 굴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부는 상기 프리즘으로부터 제공되는 광량이 투과되는 부위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부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87644A 2004-10-30 2004-10-30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9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644A KR100619954B1 (ko) 2004-10-30 2004-10-30 이동통신 단말기
CNA2005100635960A CN1767627A (zh) 2004-10-30 2005-04-13 一种设置有可用作闪光光源的光源部的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644A KR100619954B1 (ko) 2004-10-30 2004-10-30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555A KR20060038555A (ko) 2006-05-04
KR100619954B1 true KR100619954B1 (ko) 2006-09-06

Family

ID=3674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644A KR100619954B1 (ko) 2004-10-30 2004-10-30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19954B1 (ko)
CN (1) CN17676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86321B (zh) * 2017-02-27 2018-09-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补光装置、方法及移动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151A (ko) * 2003-05-13 2004-11-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카메라 플래시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시 제어방법, 카메라플래시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
KR20050014557A (ko) * 2003-07-31 2005-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
KR20050103728A (ko) * 2004-04-27 2005-11-0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다기능 후레시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119398A (ko) * 2004-06-16 2005-12-21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시 일체형 표시화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151A (ko) * 2003-05-13 2004-11-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카메라 플래시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시 제어방법, 카메라플래시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
KR20050014557A (ko) * 2003-07-31 2005-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
KR20050103728A (ko) * 2004-04-27 2005-11-0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다기능 후레시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119398A (ko) * 2004-06-16 2005-12-21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시 일체형 표시화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67627A (zh) 2006-05-03
KR20060038555A (ko) 200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2185B2 (en) Mobile phone
JP4819242B2 (ja) マイクロ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US7267470B2 (en) Backlight module having an optical switch element
US7433587B2 (en) In-finder indicator for single-lens reflex camera
KR10061995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4314837B2 (ja) 発光装置
JP2005191818A (ja) モニタ付き撮像機器
JP2005241814A (ja) カメラ付き携帯装置
US20010033480A1 (en) LCD illuminating device
JP4059960B2 (ja) モニター装置
JP5056922B2 (ja) 表示装置、ファインダ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3671911B2 (ja) 表示装置
JP4789796B2 (ja) 携帯電話機
JP2004140436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WO2003087928A1 (fr) Systeme d&#39;imagerie
JP2004198591A (ja) 表示装置とそれを備えたカメラ及び発光表示方法
JP4812156B2 (ja) 液晶表示照明装置
JP2010048970A (ja) 表示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JP4389678B2 (ja) ファインダ内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カメラ
JP2001005053A (ja) ファインダ装置
JP2006047391A (ja) 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JPH0815703A (ja) Lcdの照光機構
JPH11249203A (ja) ファインダ装置
FR2822619A1 (fr) Dispositif d&#39;affichage de numero pour camera
JPH1173126A (ja) モニ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