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4557A -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4557A
KR20050014557A KR1020030053216A KR20030053216A KR20050014557A KR 20050014557 A KR20050014557 A KR 20050014557A KR 1020030053216 A KR1020030053216 A KR 1020030053216A KR 20030053216 A KR20030053216 A KR 20030053216A KR 20050014557 A KR20050014557 A KR 20050014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control signal
mobile terminal
key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3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4557A/ko
Publication of KR20050014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55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70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 H01J61/80Lamps suitable only for intermittent operation, e.g. flash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기능이 지원되는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의 전류에 의해 하나의 LED가 플래쉬 LED와 이동 단말기의 상태알림 LED로 동작하는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플래쉬 내장형의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기능을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소정키로 이루어진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셔터기능의 키가 입력되면 이를 인식하여 그에 따른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 호가 착신되면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의해 고휘도로 동작하고,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저휘도로 동작하는 일체형 LED와; 상기 일체형 LED에 의해 유색광 또는 백색광을 내는 도광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BUILT IN FLASH MOBILE PHONE}
본 발명은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기능이 지원되는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의 전류에 의해 하나의 LED가 플래쉬 LED와 이동 단말기의 상태알림 LED로 동작하는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메라는 카메라의 발전으로 필름을 넣어 피사체를 촬영한후 그 피사체가 담긴 필름을 인화 및 현상하는 일반 카메라에서 필름없이 촬영한 피사체를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여 PC를 통해 출력하는 디지털 카메라로 발전되었다.
상기 기술한 카메라의 발전과 더불어, 이동 단말기의 발전으로 인해 쉽게 촬영할 수 있도록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에 카메라를 장착하거나, 이동 단말기 자체 내장된 카메라폰을 통해서 언제 어디서든지 스크린에 담고 싶은 피사체가 있으면 그 피사체의 구도를 균형잡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폰을 움직여 대충 구도가 균형잡혔다고 생각되면 키패드의 셔터기능의 키버튼을 눌러 스크린에 잡힌 피사체를 파일로 저장하여 그 저장된 파일을 PC를 통해 편집하거나 상기 저장된 파일을 MMS(Mutimedia Message Service)를 통해 단문 메시지와 함께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로 야간 또는 어두운 실내의 피사체를 담고자 하면 상기 피사체는 형상을 알수 없을 정도로 촬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 플래쉬 기능을 내장하여 야간 또는 어두운 실내에서도 상기 플래쉬 기능을 통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상기 플래쉬 기능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키패드의 셔터 기능을 갖는 키버튼이 입력되는 순간에 플래쉬 LED가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플래쉬 내장형의 이동 단말는 플래쉬 기능과 단말기 상태 알림표시기능의 LED가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부품 실장의 공간적인 문제점과 비용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별도의 LED를 사용하던 구성에서 벗어나, 카메라 기능이 지원되는 이동 단말기의 LED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플래쉬 LED와 이동 단말기의 상태알림 LED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래쉬 내장형의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기능을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소정키로 이루어진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셔터기능의 키가 입력되면 이를 인식하여 그에 따른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 호가 착신되면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의해 고휘도로 동작하고,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저휘도로 동작하는 일체형 LED와; 상기 일체형 LED에 의해 유색광 또는 백색광을 내는 도광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를 보인 도.
도 3은 도 1에 있어, 일체형 LED의 상대 발광 강도와 지향 특성을 보인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키 입력부 20: 제어부
20a: 키 인식부 20b: 전류 제어부
20c: 상태 인식부 30: 일체형 LED
40: 도광부 40a: 플래쉬 윈도우
40b: 상태 알림 윈도우 100: 이동 단말기
100a: 카메라 100b: 외부 LC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를 보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쉬 내장형의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기능을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소정키로 이루어진 키입력부(10)와; 상기 키입력부(10)를 통해 셔터기능의 키가 입력되면 이를 인식하여 그에 따른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 호가 착신되면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의해 고휘도로 동작하고,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저휘도로 동작하는 일체형 LED(30)와; 상기 일체형 LED(30)에 의해 유색광 또는 백색광을 내는 도광부(40)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플래쉬가 내장된 이동 단말기 뿐만 아니라, 플래쉬 LED가 내장되며 다른 보조 LED가 적용될 수 있는 장치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100a)를 이용하여 어두운 곳에서 피사체 촬영시 백색광이 내는 플래쉬 윈도우(40a)와, 호 착신 또는 SMS, MMS 착신시 또는 모닝콜 설정시간에 유색광을 내며 이를 알리는 상태 알림 윈도우(40b)와,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 및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LCD(100b)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내장형 혹은 외장형의 카메라(100a)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키 입력부(10)의 카메라 촬영 조작키(방향키)로 줌 및 명암을 조정한뒤 셔터기능키를 누른다.
이에, 제어부(20)의 키 인식부(20a)는 촬영상태로 인식하여 고전류 요구신호를 전류 제어부(20b)로 인가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전류 제어부(20b)는 일체형 LED(30)에 고전류(제1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그 일체형 LED(30)를 플래쉬 LED로 동작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한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이동 단말기(100)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호 착신 또는 SMS, MMS가 착신을 하게 되면 상태 인식부(20c)는 이를 인식하여 저전류 요구신호를 상기 전류 제어부(20b)로 인가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전류 제어부(20b)는 상기 일체형 LED(30)에 저전류(제2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그 일체형 LED(30)를 상태 알림 LED로 동작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일체형 LED(30)는 플래쉬 기능과 상태 알림 기능을 하나의 LED로 일체화 시켰다.
도 3에 도시된 일체형 LED의 상대 발광 강도와 지향 특성을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일체형 LED(30)는 고전류를 통해 도 3과 같은 상대 발광 강도 및 지향 특성을 갖으며 플래쉬 LED로 동작하여 투명한 플래쉬 윈도우(40a)를 투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일체형 LED(30)는 저전류를 통해 상태 알림 LED로 동작하여 유색의 상태알림 윈도우(40b)를 투과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는 하나의 LED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플래쉬 기능과 호, SMS 또는 MMS 착신시 상태 알림 기능을 갖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의 장착되는 플래쉬 LED와 상태 알림 기능의 별도 LED를 사용하던 구성에서 벗어나, 그 통합된 LED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플래쉬 기능 또는 상태알림 기능으로 이용되도록 상기 플래쉬 LED와 상태 알림 LED를 하나의 LED로 통합함으로써, 부품 실장의 공간적인 여유가 있을뿐만 아니라 제품 양산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있다.

Claims (3)

  1. 플래쉬 내장형의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기능을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소정키로 이루어진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셔터기능의 키가 입력되면 이를 인식하여 그에 따른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 호가 착신되면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의해 고휘도로 동작하고,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저휘도로 동작하는 일체형 LED와;
    상기 일체형 LED에 의해 유색광 또는 백색광을 내는 도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키입력부의 키를 인식하는 키 인식부와;
    메시지 또는 호 착신등의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인식하는 상태 인식부와;
    상기 키 인식부의 셔터기능키 인식 여부에 따라 고전류를 인가하여 고휘도로 동작하고, 메시지 또는 호 착신시 저전류를 인가하는 전류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제1 제어신호에 의해 일체형 LED가 발광시 백색광을 투과시키는 플래쉬 윈도우와;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일체형 LED가 발광시 유색광을 투과시키는 상태 알림 윈도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
KR1020030053216A 2003-07-31 2003-07-31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 KR20050014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216A KR20050014557A (ko) 2003-07-31 2003-07-31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216A KR20050014557A (ko) 2003-07-31 2003-07-31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557A true KR20050014557A (ko) 2005-02-07

Family

ID=37225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216A KR20050014557A (ko) 2003-07-31 2003-07-31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45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954B1 (ko) * 2004-10-30 200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04477B1 (ko) * 2005-05-23 2012-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폰의 모르스 부호 전송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954B1 (ko) * 2004-10-30 200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04477B1 (ko) * 2005-05-23 2012-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폰의 모르스 부호 전송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509B1 (ko) 탈부착 가능한 서브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JP4254672B2 (ja) 携帯型情報機器
US20040145675A1 (en) Electronic appliance and its shooting method
JP2006237914A (ja) 携帯端末装置
JP2008286935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用着脱式照明装置
JP4932170B2 (ja) 画像撮影装置及び発光制御方法、並びに携帯電話端末
JP2002335432A (ja) デジタルカメラ付液晶表示装置
KR1005811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카메라 제어 방법
JP2004187154A (ja) カメラ搭載携帯端末
KR20050014557A (ko) 플래쉬 내장형 이동 단말기
KR1003938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시디 배경조명 제어방법
JP2006324926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433959B2 (ja) 携帯型情報機器
JP2005241814A (ja) カメラ付き携帯装置
WO2004054239A1 (ja) 電子機器および当該電子機器を用いた撮影方法
KR100981420B1 (ko) 카메라 플래시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시 제어방법, 카메라플래시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
KR100600991B1 (ko) 플래시 자동 제어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KR200272803Y1 (ko) 플래시 일체형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전화기
KR100602722B1 (ko) 플래시 광량 자동 조절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CN111385464B (zh) 闪光灯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050075625A (ko)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디케이터를 이용한플래쉬 장치 및 방법
KR100613567B1 (ko) 플래시 적정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93565B1 (ko) 발광 다이오드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26297A (ko)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3092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획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