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652B1 - 비수성 전해질 전지 - Google Patents

비수성 전해질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652B1
KR100619652B1 KR1019990047685A KR19990047685A KR100619652B1 KR 100619652 B1 KR100619652 B1 KR 100619652B1 KR 1019990047685 A KR1019990047685 A KR 1019990047685A KR 19990047685 A KR19990047685 A KR 19990047685A KR 100619652 B1 KR100619652 B1 KR 100619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unit cell
electrolyte
encapsulant
lith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9427A (ko
Inventor
도미따로 하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29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3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 H01M50/14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for protectin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높은 밀봉성을 갖는 박형 비수성 전해질 전지에 관한 것이다. 비수성 전해질 전지의 단위 전지는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구성되는 봉입재에 수용된다. 봉입재는 1 이상의 금속층 및 금속층 내부에 배치된 열융착층을 포함한다. 열융착층은 동일한 단량체 단위를 각각 함유하는 복수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층 사이에는 이 복수개의 층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가 혼재하는 혼재층이 형성되어, 상기 열융착층은 명료한 계면을 갖지 않는 연속 필름의 형태이다.
비수성 전해질 전지, 봉입재, 열융착층, 혼재층, 연속 필름

Description

비수성 전해질 전지 {Non-Aqueous Electrolyte Cell}
도 1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고체 전해질 전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고체 전해질 전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봉입재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열융착층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단위 전지
2: 봉입재
3: 음극 단자 리이드(lead)
4: 양극 단자 리이드
21: 금속 박막
22: 플라스틱 필름(열융착층)
본 발명은 단위 전지가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된 외장재에 수용된 비수성 전해질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무선 휴대용 전자 제품, 예를 들어 노트북 개인 컴퓨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소형 경량 휴대용 전자 제품이 줄지어 계속 개발되고 있다. 전자 제품의 종류가 증가하면서 전력 소비가 증가하고 전자 제품의 에너지 공급원으로서 고용량 전지, 특히 2차 전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까지 사용되는 2차 전지 중에는 납축전지 및 니켈/카드뮴 전지가 있다. 새로운 2차 전지로서 니켈/수소 전지 또는 리튬 이온 전지가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2차 전지는 그러나 전해질로서 액체를 사용하여 전지로부터의 액체 누출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해질로서 전해액에 팽윤된 고분자 겔을 사용하는 중합체 리튬 이온 2차 전지가 고안되었다. 중합체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개발에 의해, 전지로부터 액체의 누출 문제는 해결되어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소형 경량 박형 2차 전지를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중합체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구조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알루미늄 박판으로 구성된 양극 집전체 상에 예를 들어 LiCoO2 및 흑연으로 구성된 활성 물질을 적층하여 전극을 형성한다. 구리 박판으로 구성된 음극 집전체 상에는 예를 들어 탄소, 코크스 또는 흑연으로 형성된 활성 물질을 적층하여 다른 전극을 구성한다. 전극 사이에 다공성 박막으로서 세퍼레이터를 설치한다. 전극과 세포레이터 사이 에 고분자 겔상 전해질,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에틸렌 옥시드(PEO)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를 충전하여 샌드위치 구조의 단위 전지를 완성시킨다.
샌드위치 구조를 갖는 단위 전지는 봉입용 용기로서 금속 박막, 예를 들어 알루미늄 호일과 플라스틱 필름, 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된 봉입재에 봉입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종류의 전지는 부품이 고도의 패킹 밀도로 집적된 전자 장치의 작은 공간에 장착되므로, 모든 종류의 응력에 높은 유연성을 보이는 외장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이미 전지 특성을 유지시키면서 유연성이 높은 봉입재로 단위 전지를 봉입한 카드형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96-83596호).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96-101356호에는 최내층으로서의 열 밀봉 플라스틱층과 봉입 파우치(pouch)의 금속층 사이에 전해액에 대한 우수한 장벽 특성을 갖는 단열층이 설치되어 전해액에 대한 봉입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96-101356호에 기재된 방법에서와 같이 외장재의 적층 구조의 층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예를 들어 각층의 접착 계면으로부터의 기체 유입 또는 계면 접착부의 박리에 의해 전지의 밀봉성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각층의 접착을 위해 5 ㎛ 이상의 두께를 갖는 접착층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 체 층 두께가 증가하고, 그 결과 내층 전체로부터 기체 투과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높은 밀봉성 및 밀착성을 갖는 박형 전지 봉입재를 개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밀봉성 및 밀착성을 갖는 박형 전지 봉입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뢰성이 높은, 보다 박형화될 수 있는 비수성 전해질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전지가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된 외장재 내에 수용된, 높은 밀봉성을 갖고 두께가 얇은 비수성 전해질 전지가 제공된다. 봉입재는 적어도 금속층과, 그 내측에 배치된 열융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열융착층은 각각 동일한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복수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봉입재는 금속 호일 부분의 내측에 접착층이 존재하지 않는 다층 구조이다. 즉, 금속 호일 부분의 내측에 존재하는 봉입재의 부분은 연속적인 층 구조를 제공하는 플라스틱 재료이다. 이러한 연속층 구조는 유사한 분자 골격을 갖고 서로 화학적으로 결합 또는 혼합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어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구성되어, 물리적 수단에 의해 박리되기 어려운 층 구조를 형성한다. 층 구조의 재료는 각각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우수한 밀봉 특성은 우수한 내전해액성을 갖는 물질과 우수한 열 밀봉성을 갖는 물질을 조합함으 로써 달성할 수 있다.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비수성 전해질 전지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수성 전해질 전지는 고체 전해질 또는 겔상 전해질 전지이고,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필름의 봉입재(2)에 수용된 단위 전지(1)로 구성된다. 단위 전지(1)은 양극 단자 활성 물질층과 음극 단자 활성 물질층 사이에 배치된 고체 전해질 또는 겔상 전해질로 구성된다. 단위 전지(1)은 그 주위가 열 밀봉되어 봉입재(2)에 수용된다.
단위 전지(1)에는 단위 전지(1)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 단자 리이드(3)과, 단위 전지(1)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 단자 리이드(4)가 제공되고, 상기 리이드 (3), (4)는 봉입재(2)로부터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봉입재(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박막(21)에 결합된 플라스틱 필름 (22), (23)으로 구성된다. 최내층의 플라스틱 필름(22)는 단위 전지(1)의 봉입시에 열융착에 의해 봉입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열융착층에 해당한다.
우수한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나일론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FT)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최외층의 플라스틱 필름(23)은 나일론으로 형성되는 경우 30 ㎛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외장재의 강도가 충분하고 금속 호일 부분의 부식을 방지한다면, 두께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기체 투과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갖는 금속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 늄으로 형성된 금속 박막(21)은 기체 투과에 대한 충분한 저항성을 확보하기 위해 25 ㎛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박막(21)의 내측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필름(22)는 골격 구조 내에 동일한 단량체 단위를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골격 구조 내에 동일한 단량체 단위를 가짐으로써 각각의 플라스틱 재료의 계면 친화도가 증가하여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없이 단순한 공정, 예를 들어 열융착에 의해 연속적인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금속 박막(21)의 내측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필름(22)는, 기체 투과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갖는 1 이상의 층, 및 가열시에 우수한 융착성을 나타내는 1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어 전지의 밀봉 특성이 유지된다. 즉, 플라스틱 필름(22)는 바람직하게는 다층 중 1 이상의 층이 상기 특성, 즉 두께 25 μm의 층을 40 ℃의 온도 및 90%의 RH의 환경하에 24 시간 동안 두었을 때의 수증기 투과량이 10 g/m2 이하, 바람직하게는 6 g/m2 이하인 플라스틱 재료층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층 플라스틱 재료층 중 1 이상의 층의 재료는, 융점으로부터 5 ℃ 이내의 온도 범위에서의 동적 점탄성율이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이하이다. 동적 점탄성율이 파단 거동을 보이면, 융착성이 열화되어 전지의 밀봉성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된다. 동적 점탄성율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열융착부의 층 구조가 파손되는 경향이 있다.
도 4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22)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이한 층 (22a, 22b) 사이에 각 층(22a, 22b)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가 혼재하여, 플라스틱 필름(22)은 명료한 계면을 갖지 않는 연속 필름 형태이다.
최내층(22a)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융점으로부터 5 ℃ 이내의 온도 범위에서의 동적 점탄성율이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인 재료로 구성된다. 반대면에 배치된 층(22b)는 40 ℃의 온도 및 90%의 RH의 환경하에 24 시간 동안 두었을 때의 수증기 투과량은 10 g/m2 이하인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플라스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주 골격으로서 폴리프로필렌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이다. 기체 투과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갖는 층은 평균 분자량 150,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80,000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기재의 재료이다. 우수한 열융착 특성을 갖는 층은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기재의 재료이다. 공중합체의 공중합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이고, 폴리프로필렌에 대한 폴리에틸렌의 상대적인 양은 3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이다. 폴리에틸렌 함량이 이 범위를 초과하면, 내전해액성 및 필름 성형 강도와 관련된 문제점이 야기된다. 폴리에틸렌 함량이 이 범위 미만이면, 동적 점탄성율이 충분히 낮아지지 않는다.
고체 전해질 전지 또는 겔상 전해질 전지의 경우에, 단위 전지(1)의 고분자량 고체 전해질에 사용되는 고분자량 재료의 예로는 규소 겔, 아크릴 겔, 아크릴로니트릴 겔, 폴리포스파센 개질된 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시드, 폴리프로필렌 옥시드, 배합 중합체 또는 가교된 중합체 또는 그의 개질된 중합체, 또는 불소 기재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코-헥사플루오로 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코-트리플루오로 에틸렌) 및 그의 혼합물이 있다.
양극에 대한 활성 물질층 또는 음극에 대한 활성 물질층 상에 층을 이루는 고체 전해질 또는 겔상 전해질은 양극에 대한 활성 물질층 또는 음극에 대한 활성 물질층을 고분자 화합물, 전해질염 및 용매로 이루어진 용액으로 함침시키고 그 용매를 제거하고 얻어진 물질을 고상화할 때에 얻어진다. 전해질이 겔상 전해질인 경우에는, 가소제가 그 용매에 첨가된다. 양극에 대한 활성 물질층 또는 음극에 대한 활성 물질층 상에 층을 이루는 고체 전해질 또는 겔상 전해질은 양극에 대한 활성 물질층 또는 음극에 대한 활성 물질층으로 함침됨으로써 고체화된 부분을 갖는다. 전지 소자(2)의 고분자 재료가 가교되는 경우, 빛 또는 열에 의해 가교되면서 후속적으로 고상화된다.
겔상 전해질은 2 중량% 내지 30 중량%의 양의 매트릭스 고분자 재료 및 리튬염을 함유하는 가소제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에스테르,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탄산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가소제의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겔상 전해질을 만들 때에는, 겔상 전해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각종 고분자 재료가 탄산 에스테르를 겔화시키는 매트릭스 고분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산화/환원 안정성을 위하여, 불소 기재 고분자 재료, 예를 들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코-헥사플루오로 프로필렌)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고분자량 고체 전해질은 리튬염 및 그것을 용해하는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 진다. 고분자 화합물로서, 에테르 기재 고분자 화합물,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옥시드) 또는 가교된 에테르 기재 고분자 화합물,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또는 불소 기재 고분자 화합물, 예를 들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또는 폴리(비닐리덴-코-헥사플루오로 프로필렌)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산화/환원 안정성을 위하여, 불소 기재 고분자 화합물, 예를 들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또는 폴리(비닐리덴-코-헥사플루오로 프로필렌)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겔상 전해질 또는 고분자량 고체 전해질에 함유될 리튬염으로서, 통상의 전지 전해액에 사용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리튬 화합물(염)의 예로서 리튬 클로라이드, 리튬 브로마이드, 리튬 요오다이드, 리튬 클로레이트, 리튬 퍼클로레이트, 리튬 브로메이트, 리튬 요오데이트, 리튬 니트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리튬 보레이트, 헥사플루오로리튬 포스페이트, 리튬 아세테이트,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 술포닐) 이미도 리튬, LiAsF6, LiCF3SO3, LiC(SO2CF3) 3, LiAiCl4 및 LiSiF6을 들 수가 있다.
이 리튬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배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LiPF6 및 LiBF4가 산화 안정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리튬염의 농도는 가소제의 리터 당 0.1 내지 3.0 몰이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태양에 따른 비수성 전해질 전지(1)의 전지 소자(2)는 상기한 겔상 전해질 또는 고체 전해질을 이용하는 것 외에는 통상의 리튬 이온 전지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리튬을 도프할 수 있고/탈도프할 수 있는 재료는 리튬 이온 전지의 음극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탄소 재료, 예를 들면 흑연화되기 어려운 탄질 재료 또는 흑연 재료와 같은, 음극 구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피로카본, 코크(피치 코크, 니들 코크 또는 석유 코크), 흑연, 유리질 탄소, 소결 유기 고분자 화합물(적당한 온도에서 소성 및 탄화된, 페놀 수지 또는 푸란 수지), 탄소 섬유 및 활성화 목탄을 포함한 탄소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리튬을 도프할 수 있고/탈도프할 수 있는 다른 재료로는 고분자 화합물, 예를 들면 폴리아세틸렌 또는 폴리피롤, 또는 SnO2와 같은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음극 제조시에, 공지된 유형의 결합제가 필요에 따라 첨가될 수 있다.
양극은 제조될 전지의 유형에 따라서 고분자 화합물, 예를 들면 금속 산화물, 금속 황화물 또는 특정 고분자 재료를 양극에 대한 활성 물질로서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가 제조될 경우, 전지의 충전/방전 상태에 따라서 리튬 제외 금속 황화물 또는 산화물, 예를 들면 TiS2, MoS2, NbSe2 또는 V2O5는 또는 주로 LixMO2(여기서, M은 1종 이상의 전이 금속이고, x는 일반적으로 0.05 내지 1.10임)로 구성된 리튬의 복합 산화물이 양극에 대한 활성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리튬의 복합 산화물의 전이 금속 M은 바람직하게는 Co, Ni 또는 Mn이다. 리튬의 복합 산화물의 특정 예로는 LiCoO2, LiNiO2, LiNiyCo1-yO2(여기서, 0<y<1) 또는 LiMn2O4를 들 수가 있다. 리튬의 복합 산화물은 고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고 우수한 에너지 밀도를 갖는 양극에 대한 활성 물질로서 작용한다. 양극에 대한 여러 종류의 활성 물질이 양극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양극 제조시에, 공지된 유형의 전기 전도성 재료 또는 결합제가 필요에 따라서 첨가될 수 있다.
단위 전지(1)의 구조예로는, 고체 전해질이 그 사이에 포함되도록 양극 및 음극 전지를 교호 적층시킨 적층형, 고체 전해질이 그 사이에 포함되도록 양극 및 음극 전지를 적층시키고 권취 어셈블리가 형성되도록 권취시킨 권취형, 및 고체 전해질이 그 사이에 포함되도록 양극 및 음극 전지를 적층시키고 교호 요곡시킨 요곡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일차 전지 및 이차 전지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비수성 전해질 2차 전지에 사용될 때 최고의 효과가 실현될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실험 결과를 토대로 설명한다.
평가에 사용된 단위 전지는 양극이 리튬 코발테이트 및 흑연이고, 음극이 흑연이고, 양극 집전체가 알루미늄 호일이고, 음극 집전체가 구리 호일이고, 고체 전해질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인 샌드위치 구조이고, 단위 전지 외부 크기는 5cm x 4cm x 0.4cm이고, 용량은 450 mAh이다.
단자가 외부로 돌출되고 단위 전지의 측면이 210 ℃ 및 3.5 kgf/cm2에서 5 mm의 밀봉 폭으로 밀봉되도록, 각 단위 전지(1)를 각 봉입재에 봉입시켰다.
봉입재에서 금속 호일을 향하는 제1 층은 수평균 분자량이 182,000이고 융점이 180 ℃인 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PP)로 이루어지고, 두께 20 μm의 필름으로 신장된다. 융착층인 제2 층은 수평균 분자량이 155,000이고 융점이 143 ℃이고 폴리에틸렌 함량이 4 중량%인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CPP)로 이루어지고, 두께 12 μm의 필름으로 신장된다. 이 2개의 필름은 200 ℃ 및 5.0 kgf/cm2에서 상호 가압 접착되어 실질적으로 필름 대 필름 계면이 없는 연속층을 갖는 필름을 형성한다(PP-CPP, 두께 30 μm).
형성된 PP-CPP 필름을 압출기에 의해 40 μm 두께의 알루미늄(Al) 필름에 적층시켜, 봉입재를 형성한다. 유사하게, 두께 25 μm의 나일론 필름(Ny)을 적층하여 봉입재로 사용한다.
유사한 기술에 의해, 봉입재의 구조를 표 1과 같이 변경시켜 샘플 전지 1 내지 5를 제조하였다. 표 1에서, LDPE 및 PET는 각각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조된 샘플 전지를 70 ℃의 일정 온도 용기에 500 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전해질 성분의 증발량 및 수분 유입량을 측정하고, 각 층의 박리 상태를 관찰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조 (각층의 두께: mm) 전해질 성분의 증발량(중량%) 수분 유입량(ppm) 외관
샘플 1 Ny/Al(PP-CPP) (30/40/30) 2.5 230 변화없음
샘플 2 PET/LDPE/Al/LDPF (12/20/30/50) 75 1080 A/LDPF 계면이 박리됨
샘플 3 PET/Al/Ny/LDPF (30/40/20/50) 32 890 A/LDPF 계면이 부분 박리됨
샘플 4 Ny/Al/LDPF (30/40/25) 71 940 A/LDPF 계면이 박리됨
샘플 5 Ny/Al/PET/LDPE/PP (30/40/20/10/10) 22 770 LDPF/PP 계면이 부분 박리됨
본 발명의 샘플 전지 1에서, 봉입재의 두께가 감소되더라도 전해질 성분의 증발량은 매우 적어서 계면의 박리가 관찰되지 않을 정도로 밀봉이 충분히 유지된다.
본 발명에 의해 높은 밀봉성 및 밀착성을 유지하면서, 박형인 비수성 전해질 전지가 제공된다.

Claims (12)

  1. 단위 전지(1)가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된 봉입재(2) 내에 수용되고,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은 적어도 금속층(21), 및 상기 봉입재(2) 내에 중앙배열된 상기 단위 전지(1)를 향하여 상기 금속층(21)의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플라스틱층(22a, 22b)을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층(22a, 22b)은 열에 의하여 상호 융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플라스틱층(22a, 22b)이 폴리프로필렌층 (22b) 및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층(22a)을 포함하고, 상기 공중합체의 공중합 성분은 에틸렌이고, 에틸렌 대 프로필렌의 상대량은 3 내지 5 중량%이고, 상기 공중합체층은 이 두개의 중합체 층에서 최내측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성 전해질 전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플라스틱층(22a, 22b)의 두께가 20 내지 40 μm인 비수성 전해질 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층(22a)이 융점으로부터 5 ℃ 이내의 범위에서 동적 점탄성율이 15% 이하인 비수성 전해질 전지.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층(22a)이 그것으로부터 제조된 두께 25 μm의 필름을 온도 40 ℃, 상대습도 90%의 환경하에 24 시간 동안 두었을 때의 수증기 투과량이 10 g/m2 이하인 플라스틱 재료인 비수성 전해질 전지.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1)의 전해질이 리튬 염, 및 에테르 기재 고분자, 불소 기재 고분자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매트릭스 고분자를 함유하는 겔상 전해질 또는 고체 전해질인 비수성 전해질 전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1)의 음극(3)이 리튬을 도프하고 탈도프할 수 있는 재료를 함유하는 것인 비수성 전해질 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을 도프하고 탈도프할 수 있는 재료가 탄소 재료인 비수성 전해질 전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를 구성하는 양극은 LiCoO2, LiNiO2, LiNiyCo1-yO2(여기서, 0<y<1) 또는 LiMn2O4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리튬과 전이 금속의 복합 산화물을 함유하는 것인 비수성 전해질 전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층 (22b)이 150,000 내지 180,000의 범위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재료에 기초한 것인 비수성 전해질 전지.
KR1019990047685A 1998-10-30 1999-10-30 비수성 전해질 전지 KR100619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11480 1998-10-30
JP31148098A JP3830008B2 (ja) 1998-10-30 1998-10-30 非水電解質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427A KR20000029427A (ko) 2000-05-25
KR100619652B1 true KR100619652B1 (ko) 2006-09-06

Family

ID=18017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685A KR100619652B1 (ko) 1998-10-30 1999-10-30 비수성 전해질 전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96971B1 (ko)
EP (1) EP0997954B1 (ko)
JP (1) JP3830008B2 (ko)
KR (1) KR100619652B1 (ko)
CN (1) CN1161855C (ko)
DE (1) DE69905437T2 (ko)
TW (1) TW4634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3247B2 (ja) * 1998-10-30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4218183B2 (ja) * 1999-07-21 2009-02-04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チウム電池
CA2363111C (en) * 1999-12-17 2010-11-09 Dai Nippon Printing Co., Ltd. Packaging material for polymer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A2384503A1 (en) * 2000-07-10 2002-01-17 Energy Storage Systems Pty Ltd Laminate package for an energy storage device
JP4923338B2 (ja) * 2001-06-20 2012-04-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用包装材料
JP2003007267A (ja) * 2001-06-20 2003-01-10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池用包装材料
DE60237501D1 (de) * 2001-06-20 2010-10-14 Dainippon Printing Co Ltd Batterieverpackungsmaterial
JP4720065B2 (ja) 2001-09-04 2011-07-13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池及び組電池
JP3831939B2 (ja) * 2001-11-12 2006-10-11 ソニー株式会社 電池
JP4428905B2 (ja) * 2002-02-01 2010-03-10 日本電気株式会社 扁平型電池およびそれを用いた組電池
US8236443B2 (en) 2002-08-09 2012-08-07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Metal film encapsulation
US8021778B2 (en) 2002-08-09 2011-09-20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Electrochemical apparatus with barrier layer protected substrate
US8404376B2 (en) 2002-08-09 2013-03-26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Metal film encapsulation
US8394522B2 (en) 2002-08-09 2013-03-12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Robust metal film encapsulation
US7993773B2 (en) 2002-08-09 2011-08-09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Electrochemical apparatus with barrier layer protected substrate
US20070264564A1 (en) 2006-03-16 2007-11-15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Thin film battery on an integrated circuit or circuit board and method thereof
US8445130B2 (en) 2002-08-09 2013-05-21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Hybrid thin-film battery
US8431264B2 (en) 2002-08-09 2013-04-30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Hybrid thin-film battery
KR100529869B1 (ko) * 2003-10-01 2005-1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팩 구조
US20040253520A1 (en) * 2003-05-13 2004-12-16 Wensley C. Glen Polyimide matrix electrolyte and improved batteries therefrom
US6936377B2 (en) * 2003-05-13 2005-08-30 C. Glen Wensley Card with embedded IC and electrochemical cell
US20040229127A1 (en) 2003-05-13 2004-11-18 Wensley C. Glen Polyimide matrix electrolyte
US8728285B2 (en) 2003-05-23 2014-05-20 Demaray, Llc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US7390336B2 (en) * 2003-07-29 2008-06-24 Solicore, Inc. Polyimide-based lithium metal battery
US20060147792A1 (en) * 2004-07-22 2006-07-06 Solicore, Inc. Machining electrical power supply device for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US7959769B2 (en) 2004-12-08 2011-06-14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Deposition of LiCoO2
JP5095412B2 (ja) 2004-12-08 2012-12-12 シモーフィ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LiCoO2の堆積
KR100925857B1 (ko) * 2006-03-14 2009-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안전성의 다중 중첩식 전기화학 셀
KR20090069323A (ko) 2006-09-29 2009-06-30 인피니트 파워 솔루션스, 인크. 가요성 기판의 마스킹 및 가요성 기판에 배터리 층을 증착하기 위한 재료의 구속
US9209428B2 (en) 2006-11-06 2015-12-08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safety by deformation of electrode assembly-receiving portion in case
US8197781B2 (en) 2006-11-07 2012-06-12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Sputtering target of Li3PO4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8268488B2 (en) 2007-12-21 2012-09-18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Thin film electrolyte for thin film batteries
KR20100102180A (ko) 2007-12-21 2010-09-20 인피니트 파워 솔루션스, 인크. 전해질 막을 위한 표적을 스퍼터링하는 방법
KR101606183B1 (ko) 2008-01-11 2016-03-25 사푸라스트 리써치 엘엘씨 박막 배터리 및 기타 소자를 위한 박막 캡슐화
US8350519B2 (en) 2008-04-02 2013-01-08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Passive over/under voltage control and protection for energy storage devices associated with energy harvesting
US8906523B2 (en) 2008-08-11 2014-12-09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Energy device with integral collector surface for electromagnetic energy harvesting and method thereof
JP5650646B2 (ja) 2008-09-12 2015-01-07 インフィニット パワー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磁エネルギーを介したデータ通信のための一体型伝導性表面を有するエネルギーデバイスおよび電磁エネルギーを介したデータ通信のための方法
WO2010042594A1 (en) 2008-10-08 2010-04-15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Environmentally-powered wireless sensor module
JP4835742B2 (ja) * 2009-02-20 2011-12-14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および電池パック
JP2012519366A (ja) * 2009-03-02 2012-08-23 エルジー ケム. エルティーディ. パウチおよびこれを含む二次電池
CN102576828B (zh) 2009-09-01 2016-04-20 萨普拉斯特研究有限责任公司 具有集成薄膜电池的印刷电路板
US8609274B2 (en) * 2010-03-24 2013-12-17 Bren-Tronics Batteries International, L.L.C. Nested heatsink housing for lithium ion cells
JP2013528912A (ja) 2010-06-07 2013-07-11 インフィニット パワー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再充電可能高密度電気化学素子
WO2013036802A1 (en) 2011-09-07 2013-03-14 24M Technologies, Inc. Stationary semi-solid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9401501B2 (en) 2012-05-18 2016-07-26 24M Technologies, Inc. Electrochemical cell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40034869A (ko) 2014-05-16 2024-03-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이차 전지를 가지는 전자 기기
US20170288196A1 (en) * 2014-08-21 2017-10-05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Biocompatible rechargable energization elements for biomedical devices with electroless sealing layers
EP4300666A3 (en) 2014-11-05 2024-02-21 24m Technologies, Inc. Electrochemical cells having semi-solid electrod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15108843A1 (de) * 2015-06-03 2016-12-08 Hörnlein Umformtechnik GmbH Verfahren zum Bördeln eines zumindest zweilagigen Material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asche für eine Pouch-Zelle unter Verwendung des Verfahrens zum Bördeln eines zumindest zweilagigen Material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emperiereinheit unter Verwendung des Verfahrens zum Bördeln eines zumindest zweilagigen Materials, Pouch-Zelle mit einer Batterietasche aus einem zumindest zweilagigen Material sowie Temperiereinheit aus einem eines zumindest zweilagigen Material
CA2969135A1 (en) 2015-06-18 2016-12-22 24M Technologies, Inc. Single pouch battery cel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1742525B2 (en) 2020-02-07 2023-08-29 24M Technologies, Inc. Divided energy electrochemical cell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WO2021166322A1 (ja) 2020-02-20 2021-08-26 日本碍子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2次電池
CN113140806B (zh) * 2021-05-31 2023-01-17 惠州市恒泰科技股份有限公司 弧形锂电池及其热压成型一体化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0962A (ja) * 1983-03-30 1984-10-15 Toppan Printing Co Ltd 扁平薄型有機電解液電池
EP0390557A2 (en) * 1989-03-30 1990-10-03 Mhb Joint Venture Battery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1167166A (ja) * 1997-08-08 1999-03-09 Showa Alum Corp ポリマー電池用包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72864B1 (fr) * 1984-11-06 1986-12-26 Paris & Du Rhone Demarreur electrique a reducteur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JPS61116072A (ja) * 1984-11-12 1986-06-03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点火装置
JPS61116071U (ko) * 1984-12-28 1986-07-22
US4997732A (en) * 1989-03-30 1991-03-05 Mhb Joint Venture Battery in a vacuum sealed enveloping material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H09288996A (ja) 1996-04-23 1997-11-04 Sumitomo Electric Ind Ltd 非水電解質電池
US5888672A (en) * 1997-02-12 1999-03-30 Gustafson; Scott D. Polyimide battery
JP3767151B2 (ja) 1997-02-26 2006-04-19 ソニー株式会社 薄型電池
JPH10284021A (ja) * 1997-04-03 1998-10-23 Sanyo Electric Co Ltd 薄型電池
KR100527322B1 (ko) * 1997-05-06 2006-01-2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폴리머겔전해질형성용시트,이를사용한폴리머겔전해질및그의제법
JPH10308198A (ja) * 1997-05-06 1998-11-17 Asahi Chem Ind Co Ltd 電池外装体用積層フィルム
JP4294761B2 (ja) * 1998-07-16 2009-07-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爆構造を備えた電池ケース
JP4491843B2 (ja) 1998-02-24 2010-06-30 ソニ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容器の封じ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0962A (ja) * 1983-03-30 1984-10-15 Toppan Printing Co Ltd 扁平薄型有機電解液電池
EP0390557A2 (en) * 1989-03-30 1990-10-03 Mhb Joint Venture Battery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1167166A (ja) * 1997-08-08 1999-03-09 Showa Alum Corp ポリマー電池用包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97954A1 (en) 2000-05-03
CN1253388A (zh) 2000-05-17
TW463412B (en) 2001-11-11
US6296971B1 (en) 2001-10-02
JP2000138039A (ja) 2000-05-16
CN1161855C (zh) 2004-08-11
KR20000029427A (ko) 2000-05-25
EP0997954B1 (en) 2003-02-19
JP3830008B2 (ja) 2006-10-04
DE69905437D1 (de) 2003-03-27
DE69905437T2 (de) 200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9652B1 (ko) 비수성 전해질 전지
KR100638771B1 (ko) 비수성 전해질 전지
US7297441B2 (en) Nonaqueous-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6815124B2 (en) Gel electrolyte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US6051343A (en) Polymeric solid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cell using the same
EP1030398B1 (en) Gel electrolyte and gel electrolyte battery
US20210320331A1 (en) Solid polymer matrix electrolyte (pme)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and batteries made therewith
JP2000285929A (ja) 固体電解質電池
US8431265B2 (en) Electric cell
JP4840302B2 (ja) セパレー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池
KR20010091959A (ko) 고체 전해질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4449214B2 (ja) 非水電解質電池
JP4385418B2 (ja) ゲル状電解質二次電池
JP4845245B2 (ja) リチウム電池
JP2004139749A (ja) 二次電池および外装材ならびに積層フィルム
US7282299B2 (en) Solid electrolyte battery
KR101486577B1 (ko) 고분자 전해질 및 전지
KR20180092364A (ko) 리튬 이차 전지
KR0179723B1 (ko)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