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723B1 -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723B1
KR0179723B1 KR1019960011880A KR19960011880A KR0179723B1 KR 0179723 B1 KR0179723 B1 KR 0179723B1 KR 1019960011880 A KR1019960011880 A KR 1019960011880A KR 19960011880 A KR19960011880 A KR 19960011880A KR 0179723 B1 KR0179723 B1 KR 0179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carbonate
negative electrode
secondary battery
ion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2538A (ko
Inventor
신영준
고장면
Original Assignee
홍건희
한국타이어제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건희, 한국타이어제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건희
Priority to KR1019960011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9723B1/ko
Publication of KR970072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2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7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l 집전체(1), 집전체와 접촉한 양극(2) 및 양극(2)에 코팅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에 가소제로서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를 첨가하여 제조한 고분자 전해질(3)로 구성된 양극 부분과, 폴리아크릴로니트릴에 가소제로서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선형 카보네이트를 첨가해 제조한 고분자 전해질(4)을 음극(5)에 코팅하고 이어서 음극을 지지하는 Cu 집전체(6)으로 구성된 음극부분이 접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음극에 가소제로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대신에 선형 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제조한 전해질을 코팅하여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와 흑연계 음극재료와의 반응을 억제하여 음극의 계면 특성을 향상시키고 가역성과 충방전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1도는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l 집전체 2 : 양극
3 : 전도성이 큰 고분자 전해질 4 : 탄소재료에 안정한 고분자 전해질
5 : 음극 6 : Cu 집전체
본 발명은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가소제가 첨가된 고분자 전해질 두층을 접합하여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에 의해 소형, 경량, 박막화, 휴대가 가능하고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이차전지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래서 에너지 밀도가 높고 전도도가 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되고 있는 액체 전해질은 전해액 누수, 전극 물질의 용출 및 휘발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장기 신뢰성이 떨어진다. 그리하여 최근에 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의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한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외에도 고체 전해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누수가 없고, 전극 물질의 용출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고분자 전해질의 전도도가 액체 전해질의 전도도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그사용에 제한을 받아왔다.
전지에 이용가능한 전도도는 상온에서 10-3S/cm 이상이어야 하고, 이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해질이 사용된다. 그러나 전도도가 가장 좋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 카보네이트-프로필렌 카보네이트계 전해질에서 가소제로 쓰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는 흑연계 음극 재료와 반응하여 패시베이션 필름(passivation film)을 형성하여 이로 인하여 충방전 효율 및 가역성을 떨어뜨려서 전지에 직접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흑연계 음극 재료와의 반응을 억제하여 음극의 계면 특성을 향상시켜 충방전 효율과 가능성을 증대시킬수 있는 가소제를 첨가한 전해질 층을 음극에 코팅하고 종래의 가소제를 첨가한 전해질을 양극에 코팅하여 두 개의 전해질층을 접합하여 제조된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Al 집전체(1), 집전체와 접촉한 양극(2) 및 양극(2)에 코팅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에 가소제로서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를 첨가하여 제조한 고분자 전해질(3)로 구성된 양극 부분과, 폴리아크릴로니트릴에 가소제로서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선형 카보네이트를 첨가해 제조한 고분자 전해질(4)을 음극에 코팅하고 음극과 접촉된 Cu 집전체(6)로 구성된 음극부분이 접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해 제작한 이차전지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상이한 가소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두 개의 고분자 전해질을 두 전극에 코팅하고 접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의 리튬 이차전지와 비교해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와 흑연계 음극재료와의 반응을 억제하여 음극의 계면특성을 향상시키고 충방전 효율 및 가역성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양극(2)은 LiMn2O4, LiCoO2, LiNiO2, V2O5등의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 TiS2등의 황화물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음극(5)은 흑연계 탄소재료, 또는 코크계 탄소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3 및 4)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15 내지 80몰%, 가소제 15 내지 80몰% 및 염 3 내지 10몰%를 섞어 120 내지 140℃로 가열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전해질을 제조한다.
상기 전해질 제조에서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15몰%미만을 사용하는 경우, 전해질의 기계적 물성이 없고, 80몰%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가소제의 양이 부족하여 전도도가 떨어지게 된다. 가소제의 양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양에 대해 상대적인 값이므로 15몰%미만은 전도도가 떨어지게 된다. 염의 양은 3몰%미만인 경우 전도도가 떨어지고, 10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 전도도가 향상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시 사용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외에 폴리염화비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트 및 그의 유도체, 폴리비닐설폰, 폴리비닐피롤리돈등의 극성 관능기를 가진 고분자가 사용된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시 사용되는 가소제로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감마-부티로락톤 또는 선형 카보네이트(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또는 메틸에틸 카보네이트)등이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된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 제조시 사용되는 염은 LiC1O4,LiPF6, LiBF4또는 LiCF3SO3등이 사용된다.
또한, 선형 카보네이트와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가소제로 사용한 고분자 전해질(4)은 음극(5)에 5 내지 20㎛로 코팅하고,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와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가소제로 사용한 고분자 전해질(3)은 양극(2)에 50 내지 100㎛의 두께로 코팅한다. 상기 양극에 코팅한 전도도가 큰 전해질 층(3)은 전체 전해질 층의 80%이상을 차지하여야 하고, 이것은 전체 전도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인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전해질은 1만 이하의 저분자량 폴리아크릴로 니트릴을 사용하여 제조한 전해질을 1차로 코팅하고 10만이하의 고분자량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하여 제조한 전해질을 두 극에 코팅하여 접합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조한 리튬 이차전지는 전극의 비용량(specific capacity)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고분자 전해질에서 가소제로서 사용되어온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대신에 선형 카보네이트를 사용함으로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와 흑연계 음극재료와의 반응을 억제하여 음극의 계면 특성을 향상시키고, 가역성과 충방전 효율을 증대시킨다.

Claims (4)

  1. Al 집전체(1), 집전체와 접촉한 양극(2) 및 양극에 코팅된 고분자에 가소제로서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를 첨가하여 제조한 고분자 전해질(3)로 구성된 양극 부분과, 고분자에 가소제로서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선형 카보네이트를 첨가해 제조한 고분자 전해질(4)을 음극에 코팅하고 이어서 음극을 지지하는 Cu 집전체(6)로 구성된 음극 부분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카보네이트는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또는 메틸에틸 카보네이트인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고분자 전해질 제조에 사용되는 고분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염화비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와 그의 유도체, 폴리비닐설폰,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사용하는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음극 부분의 고분자 전해질은 5 내지 20㎛로 코팅하고, 양극 부분의 고분자 전해질은 50 내지 100㎛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19960011880A 1996-04-19 1996-04-19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0179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880A KR0179723B1 (ko) 1996-04-19 1996-04-19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880A KR0179723B1 (ko) 1996-04-19 1996-04-19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538A KR970072538A (ko) 1997-11-07
KR0179723B1 true KR0179723B1 (ko) 1999-05-15

Family

ID=19456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880A KR0179723B1 (ko) 1996-04-19 1996-04-19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9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69735B (en) * 1997-02-05 1999-09-11 Sumitomo Chemical Co Cath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0371400B1 (ko) * 1999-07-15 2003-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흑연화 탄소부극을 사용하는 pan계 고분자 전지
EP3349294B1 (en) 2016-02-05 2020-01-01 LG Chem, Lt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538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0790A (en) Lithium-based polymer electrolyte electrochemical cell
KR100619652B1 (ko) 비수성 전해질 전지
KR100711669B1 (ko) 고체 전해질 전지
KR100500866B1 (ko) 리튬 이온 2차 전지
KR20190113605A (ko) 전고체 전지용 복합 고체 전해질 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US6051343A (en) Polymeric solid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cell using the same
EP1005099B1 (en) Gel electrolyte and gel-electrolyte battery
JP4352475B2 (ja) 固体電解質二次電池
US20040043295A1 (en) Rechargeable composite polymer battery
US7390336B2 (en) Polyimide-based lithium metal battery
US20210320331A1 (en) Solid polymer matrix electrolyte (pme)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and batteries made therewith
EP0797846B1 (en) Electrolytic cell and electrolytic process
JP2000285929A (ja) 固体電解質電池
KR20010113516A (ko) 겔상 전해질 및 비수성 전해질 전지
KR100381385B1 (ko) 가교화된 겔상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한 리튬고분자이차전지의 제조방법
CN112820935A (zh) 一种基于硫化物固态电解质的新型电池
JP2001210377A (ja) 高分子電解質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リチウム二次電池
KR20210043146A (ko) 이차 전지
KR100368438B1 (ko) 다층 구조의 고분자 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JP4449214B2 (ja) 非水電解質電池
JP4385418B2 (ja) ゲル状電解質二次電池
JP4086939B2 (ja) 高分子固体電解質およ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2次電池と電気2重層キャパシタ
KR0179723B1 (ko)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20010010226A (ko) 리튬 이차 전지용 바인더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3664560B2 (ja) リチウム2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