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400B1 - 흑연화 탄소부극을 사용하는 pan계 고분자 전지 - Google Patents

흑연화 탄소부극을 사용하는 pan계 고분자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400B1
KR100371400B1 KR10-1999-0028686A KR19990028686A KR100371400B1 KR 100371400 B1 KR100371400 B1 KR 100371400B1 KR 19990028686 A KR19990028686 A KR 19990028686A KR 100371400 B1 KR100371400 B1 KR 100371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lithium ion
electrolyte
polymer battery
polyacrylonitr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013A (ko
Inventor
김형진
유승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1999-0028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400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흑연화 탄소를 함유한 부극과 리튬 함유 전이금속 화합물을 함유한 정극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 고분자를 사용하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에 있어서 a) 부극 활물질로서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과 방출이 가능한 흑연화 탄소; b) 정극 활물질로서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과 방출이 가능한 리튬 함유 전이 금속 산화물; 및 c) ⅰ) 리튬염 ⅱ)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고분자; 및 ⅲ) 트랜스 구조를 갖는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 또는 이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과 에틸렌카보네이트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소제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트랜스 구조를 갖는 환상 카보네이트를 가소제로 사용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고분자 전해질의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는 부극에 흑연화 탄소를 사용할 수가 있어서 고용량을 가지며, 저온 특성도 우수하다. 또한 이 전지는 휘발성이 큰 전해액이 없으므로 안전성도 우수하다.

Description

흑연화 탄소부극을 사용하는 PAN계 고분자 전지{POLYMER BATTERY USING PAN BASED ELECTROLYTE WITH GRAPHITE ANODE}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흑연화 탄소를 함유한 부극과 리튬 함유 전이금속 화합물을 함유한 정극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 고분자를 사용하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여러가지 전기 화학 전지 중에서 리튬 이온 액체 2 차 전지는 일본 소니(SONY)사(社)에 의해 처음으로 상품화된 후 우수한 성능으로 인해 기존의 2 차 전지들을 대체하여 휴대용 컴퓨터, 휴대폰 등에서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 리튬 이온 액체 2 차 전지는 부극 활물질로 탄소재료와 정극 활물질로 LiCoO2등의 금속산화물을 사용하여 부극과 정극 사이에 다공성의 폴리올레핀계 분리막을 넣고 LiPF6등의 리튬염을 가진 비수성 용액을 넣어서 제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리튬 이온 액체 전지는 폭발 위험성이 있고, 얇게 만들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가 개발되었다.
이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는 부극 활물질과 정극 활물질이 리튬 이온 액체 전지와 같으나 전극 조성이 고분자의 양이 많아서 더 안전하며, 전극이 유연성이 있어서 얇고 다양한 모양으로 전지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에서 사용되는 고분자 전해질은 미국 특허 제5,009,970호에 기재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 ethylene oxide)계 고분자 전해질, 미국 특허 제5,658,686호에 기재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 고분자 전해질 및 미국 특허 제5,296,318호에 기재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계 고분자 전해질이 있으며, 고분자, 리튬염, 유기 전해액 및 가소제를 함께 혼합하여 만드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이다. 이 전해질들은 상온에서 10-3S/cm 이상의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며 각각 전지에 적용되어 연구되고 있다.
이중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해질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고분자와 가소제 및 리튬염을 120 ℃로 가열하여 녹인 후 코팅하고 냉각하여 제조되며, 적당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이다. 이러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고분자 전해질은 직접적으로 리튬 이온을 전달하기 힘들므로 이온 전달은 주로 리튬염을 함유하는 가소제 부분에서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고분자에적당한 가소제를 사용하면 이 고분자 전해질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고분자 전해질에 사용할 수 있는 가소제는 전지의 작동 전압 범위에서 안정해야 하고, 고온으로 가열하여 제조하므로 끓는 점이 적어도 120 ℃ 이상이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에 맞는 가소제는 주로 환상 카보네이트류의 하나인 에틸렌 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이다.
그러나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만을 가소제로 사용하면 에틸렌 카보네이트가 20 ℃ 이하에서 고체화(결정화)되므로 저온에서 이온 전도도가 급격히 나빠지는 점이 있어서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의 혼합 가소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전지의 저온 성능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를 이 전해질의 가소제로 사용하면 부극에서 용량이 큰 장점이 있는 흑연화도가 큰 탄소재료를 사용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는 흑연화도가 큰 탄소 부극 표면에서 급격한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를 사용하지 않거나, 첨가제를 사용하여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의 반응을 막아주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고분자 전해질을 개발하여 흑연화도가 큰 탄소 부극을 사용하려는 연구가 애브라함(ABRAHAM) 등에 의해서 연구되었다.
미국 특허 제5,491,041호에는 종래의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해질에 12-crown-4-ether를 첨가하여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의 반응을 줄여 주었고, 문헌 (Electrochimica Acta. 43, 16-17, 2399, 1998)에는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ipropylcarbonate; DPC)를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함께 가소제로 사용한 고분자 전해질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애브라함 등이 개발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고분자 전해질의 경우 12-crown-4-ether는 4 V 이상의 전압에서 분해되므로 실제로 LiCoO2나 LiMn2O4등의 활물질을 사용한 전지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디프로필 카보네이트를 사용할 경우 디프로필 카보네이트의 유전율이 낮고 점도는 높아서 리튬 이온을 충분히 해리하지 못하여 이온 전도도가 낮아지고, 디프로필 카보네이트를 전체 가소제 양의 15 중량% 이상을 사용하면 상분리가 일어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고 용량의 흑연화 탄소를 함유한 부극과 리튬 함유 전이금속 화합물을 함유한 정극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AN)계 고분자를 사용하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가소제의 사용으로 고분자 전해질의 성능을 향상시켜 보다 성능이 향상된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에 있어서, 보다 큰 용량과 저온 성능 및 안전성이 우수한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고분자 전해질에 대한 이온 전도도의 온도 의존도를 나타낸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에 있어서
a) 부극 활물질로서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과 방출이 가능한 흑연화 탄소;
b) 정극 활물질로서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과 방출이 가능한 리튬 함유
전이 금속 산화물; 및
c) ⅰ) 리튬염
ⅱ)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고분자; 및
ⅲ) 트랜스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
물 또는 이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과 에틸렌카보네이트와의 혼합물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소제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과 R2이 동시에 메틸이면, 트랜스-2,3-부틸렌카보네이트이고,
R1이 메틸이고, R2가 에틸이면, 트랜스-4-에틸-5-메틸-1,3-디옥소란
-2-온)
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a)의 흑연화 탄소는 X 선 회절로 측정된 탄소질 재료의 결정면 거리 상수 d002 값이 0.338 ㎚ 이하이며, BET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이 10 ㎡/g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의 리튬 함유 전이 금속 산화물은 LiCoO2, LiNiO2, LiMn2O4, 및 LiNi1-xCox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 ⅰ)의 리튬염은 LiClO4, LiCF3SO3, LiPF6, LiBF4, LiAsF6, 및 LiN(CF3SO2)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c) ⅱ)의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고분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호모폴리머, 폴리(아크릴로니트릴-메틸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 ⅲ)의 가소제의 전해질내 함유량은 50∼80 중량%가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c) ⅲ)의 가소제가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트랜스 구조를 갖는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그 혼합 중량비는 90∼30 : 10∼70 가 바람직하다.
[작용]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흑연화 탄소를 함유한 부극과 리튬 함유 전이 금속 화합물을 함유한 정극,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고분자를 사용하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고분자 전지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 구조를 갖는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환상 카보네이트를 단독 또는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함께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해질의 가소제로 사용하여 용량이 크고, 저온 방전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온 고분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트랜스 구조를 구조를 갖는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환상 카보네이트의 비수 전해질을 함유한 전지가 특히 흑연화 탄소를 부극으로 사용하는 리튬 2 차 전지에서 용량 손실을 감소시키며, 우수한 용량과 저온 방전 특성 및 충방전 수명의 향상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특허 공개 공보 제98-44507호에서 이미 밝힌 바가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고분자의 전해질에 상기 트랜스 구조를 갖는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환상 카보네이트를 가소제로 사용하면 부극의 흑연화 탄소를 사용할 수가 있어서 고용량을 가지며, 저온 특성도 우수한 고분자 전지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전지는 휘발성이 큰 전해액이 없으므로 안전성도 우수하다.
도 1은 리튬염으로 LiBF4, 가소제로 각각 에틸렌 카보네이트 단독,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의 혼합물(혼합 중량비 = 1 : 1) 및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상기 트랜스 구조 환상 카보네이트의 하나인 트랜스-2,3-부틸렌 카보네이트(t-BC)의 혼합물(혼합 중량비 = 1 : 1)을 사용하여 제조한 3 종류의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고분자 전해질에 대한 이온 전도도의 온도 의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에틸렌 카보네이트만을 가소제로 사용한 전해질은 20 ℃ 이하의 온도에서 급격하게 이온 전도도가 감소하나, 에틸렌 카보네이트에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또는 트랜스-2,3-부틸렌 카보네이트를 가소제로 혼합 사용한 전해질은 저온에서도 이온 전도도의 감소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에틸렌 카보네이트에 트랜스-4-에틸-5-메틸-1,3-디옥소란-2-온을 가소제로 혼합 사용한 전해질도 트랜스-2,3-부틸렌 카보네이트를 혼합 사용한 전해질과 유사한 이온 전도 성능을 나타내었다.
전극으로는 종래의 리튬 이온 액체 전지와 동일하게 탄소 활물질과 결합제로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로 구성된 부극을 사용하였고,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 활물질과 도전성 탄소, 결합제로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로 구성되는 정극을 사용하였다. 정극에 사용되는 전이 금속 산화물로는 LiCoO2, LiNiO2, LiMn2O4, 또는 LiNi1-xCoxO2등이 있다.
전지 제조는 정극 위에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고분자 전해질을 놓고 그 위에 부극을 놓고 두 개의 롤(roll) 사이로 통과시켜 라미네이션(lamination)하여 제조하였다.
이하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트랜스-2,3-부틸렌 카보네이트(trans-2,3-butylene carbonate) 합성)
2,3-부탄디올(2,3-butanediol; Aldrich사 제품)을 분별증류 3 회하여 얻은디엘-2,3-부탄디올(dl-2,3-butanediol) 500 g에 나트륨 6 g을 넣어서 녹인 후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700 g을 1 시간에 거쳐서 가하고, 130 ℃에서 12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에틸 에테르(ethyl ether)와 증류수로 추출하여 에틸 에테르 층을 얻고, 이 용액을 분별증류하여 트랜스-2,3-부틸렌 카보네이트(t-BC) 400 g을 얻었다.
실시예 2
(트랜스-4-에틸-5-메틸-1,3-디옥소란-2-온(trans-4-ethyl-5-methyl-1,3-dioxolan-2-one) 합성)
트랜스-2-펜텐(trans-2-pentene; Aldrich사 제품)을 osmium tetroxide와 N-methyl morpholine oxide로 산화(oxidation)하여 제조한 트레오-2,3-펜탄디올 (threo-2,3-pentanediol)을 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트랜스-4-에틸-5-메틸-1,3-디옥소란-2-온(t-EMDO)을 합성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고분자 전해질 제조)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olysciences사 분자량 150000 제품) 10.8 중량%, LiBF4(Mitsubishi Chemical사 제품) 9.9 중량%,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Mitsubishi Chemical사 제품) 79.3 중량%을 혼합하여 120 ℃의 온도에서 투명한 용액이 될 때까지 저어준 후, 이형지 위에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로 코팅하여 100 ㎛ 두께의 전해질 막을 얻었다. 이 전해질의 온도에 따른 이온 전도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고분자 전해질 제조)
가소제로 비교예 1의 에틸렌 카보네이트 79.3 중량% 대신에 에틸렌 카보네이트 39.65 중량%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Mitsubishi Chemical사 제품) 39.65 중량%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조성과 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 전해질의 온도에 따른 이온 전도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고분자 전해질 제조)
가소제를 비교예 1의 에틸렌 카보네이트 79.3 중량% 대신에 에틸렌 카보네이트 39.65 중량% 및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트랜스-2,3-부틸렌 카보네이트 39.65 중량%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조성과 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 전해질의 온도에 따른 이온 전도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고분자 전해질 제조)
가소제를 비교예 1의 에틸렌 카보네이트 79.3 중량% 대신에 에틸렌 카보네이트 39.65 중량%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트랜스-4-에틸-5-메틸-1,3-디옥소란-2-온 39.65 중량%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조성과 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는 25 ℃에서 1.2 mS/cm, -20 ℃에서 0.2 mS/cm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5
(고분자 전해질 제조)
고분자를 실시예 3의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olysciences사 분자량 150000 제품) 10.8 중량% 대신에 폴리(아크릴로니트릴-메틸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polysciences사 분자량 100000 제품) 10.8 중량%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조성과 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는 25 ℃에서 1.3 mS/cm, -20 ℃에서 0.15 mS/cm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 제조)
비교예 1, 2 및 실시예 3, 4에서 제조한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여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를 제조하였다.
부극은 탄소 활물질(오사카 가스의 MCMB-10-28 제품) 93 중량%,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 Elf Atochem사 Kynar 761 제품) 7 중량%의 조성으로 용매 N-메틸-2-피롤리디논(N-methyl-2-pyrrolidinone; NMP)를 사용하여 막자 사발에서 1 시간 동안 혼합한 후 구리 호일 집전체에 코팅하고, 130 ℃의 온도에서 20 분간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정극은 LiCoO291 중량%, PVDF(Elf Atochem사 Kynar 761 제품) 3 중량%, 도전성 탄소(Lonza사 KS-6 제품) 6 중량%의 조성으로 용매 NMP를 사용하여 막자 사발에서 1 시간 동안 혼합한 후 알루미늄 호일 집전체에 코팅하고, 130 ℃의 온도에서 20 분간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전극을 3 cm x 5 cm의 크기로 자른 후, 상기 비교예 1, 2 및 실시예 3, 4에서 제조한 고분자 전해질을 각각 상기 정극 위에 놓고 그 위에 부극을 놓고 두 개의 롤(roll) 사이로 통과시켜 라미네이션(lamination)하고, 리드(lead)선을 빼내어 알루미늄 포장지에 넣어 밀봉하여 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각각의 전지의 충방전 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충방전 조건은 7 ㎃ 의 일정한 전류로 4.1 V 까지 충전하고, 4.1 V 에서 미세 충전한 후 7 ㎃ 의 전류로 3.0 V 까지 방전하였다. 0 ℃에서의 방전 시험은 상기와 같이 상온 충전 후 0 ℃에서 7 ㎃ 의 일정한 전류로 2.7 V 까지 방전하여 용량을 측정하였다.
표 1에서 비교예 2의 에틸렌카보네이트와 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가소제로 사용한 전해질의 전지에 비하여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에틸렌카보네이트와 트랜스 구조를 갖는 환상 카보네이트를 가소제로 사용한 전해질의 전지 용량이 더 크고, 충방전 수명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저온 방전의 경우 비교예 1의 에틸렌카보네이트만을 가소제로 사용한 전해질의 전지는 용량의 감소가 매우 크나,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에틸렌카보네이트와 트랜스 구조를 갖는 환상 카보네이트를 가소제로 사용한 전해질의 전지는 용량의 감소가 줄어든다.
전지의 전해질 종류(가소제 중량 조성비) 전지 특성
초기 용량(mAh) 100 회 후 용량 (mAh) 0 ℃ 방전 효율(%)
비교예 1의 전해질 (EC 100 % 단독) 37.5 31.9 3
비교예 2의 전해질 (EC:PC = 50:50) 25.2 17.64 89
실시예 3의 전해질 (EC:t-BC = 50:50) 30.3 25.8 77
실시예 4의 전해질 (EC:t-EMDO = 50:50) 31.9 27.1 80
본 발명의 트랜스 구조를 갖는 환상 카보네이트를 가소제로 사용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고분자 전해질의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는 부극에 흑연화 탄소를 사용할 수가 있어서 고용량을 가지며, 저온 특성도 우수하다. 또한 이 전지는 휘발성이 큰 전해액이 없으므로 안전성도 우수하다.

Claims (7)

  1.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에 있어서
    a) 부극 활물질로서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과 방출이 가능한 흑연화 탄소;
    b) 정극 활물질로서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과 방출이 가능한 리튬 함유
    전이 금속 산화물; 및
    c) ⅰ) 리튬염
    ⅱ)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고분자; 및
    ⅲ) 트랜스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
    물, 또는 이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과 에틸렌카보네이트와의 혼합물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소제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과 R2이 동시에 메틸이면, 트랜스-2,3-부틸렌카보네이트이고,
    R1이 메틸이고, R2가 에틸이면, 트랜스-4-에틸-5-메틸-1,3-디옥소란
    -2-온)
    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의 흑연화 탄소는 X 선 회절로 측정된 탄소질 재료의 결정면 거리 상수 d002 값이 0.338 ㎚ 이하이며, BET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이 10 ㎡/g 이하인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의 리튬 함유 전이 금속 산화물이 LiCoO2, LiNiO2, LiMn2O4, 및 LiNi1-xCox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ⅰ)의 리튬염이 LiClO4, LiCF3SO3, LiPF6, LiBF4, LiAsF6, 및 LiN(CF3SO2)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ⅱ)의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고분자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호모폴리머, 폴리(아크릴로니트릴-메틸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ⅲ)의 가소제의 전해질내 함유량이 50∼80 중량%인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ⅲ)의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과 에틸렌카보네이트와의 혼합물의 혼합비가 중량비로 10∼70 : 90∼30인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
KR10-1999-0028686A 1999-07-15 1999-07-15 흑연화 탄소부극을 사용하는 pan계 고분자 전지 KR100371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686A KR100371400B1 (ko) 1999-07-15 1999-07-15 흑연화 탄소부극을 사용하는 pan계 고분자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686A KR100371400B1 (ko) 1999-07-15 1999-07-15 흑연화 탄소부극을 사용하는 pan계 고분자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013A KR20010010013A (ko) 2001-02-05
KR100371400B1 true KR100371400B1 (ko) 2003-02-07

Family

ID=19602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686A KR100371400B1 (ko) 1999-07-15 1999-07-15 흑연화 탄소부극을 사용하는 pan계 고분자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40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5972A (ja) * 1992-05-15 1993-12-10 Kanebo Ltd 有機電解質電池
JPH05325965A (ja) * 1992-05-15 1993-12-10 Kanebo Ltd 有機電解質電池
JPH07326385A (ja) * 1994-05-30 1995-12-12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KR970072538A (ko) * 1996-04-19 1997-11-07 홍건희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970077798A (ko) * 1996-05-10 1997-12-12 홍건희 리튬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KR980006592A (ko) * 1996-06-20 1998-03-30 홍건희 리튬 이차 전지
JPH11116792A (ja) * 1997-10-21 1999-04-27 Nec Corp 高分子電解質及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
KR19990086306A (ko) * 1998-05-27 1999-12-15 박호군 고체고분자 전해질 및 리튬고분자 전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5972A (ja) * 1992-05-15 1993-12-10 Kanebo Ltd 有機電解質電池
JPH05325965A (ja) * 1992-05-15 1993-12-10 Kanebo Ltd 有機電解質電池
JPH07326385A (ja) * 1994-05-30 1995-12-12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KR970072538A (ko) * 1996-04-19 1997-11-07 홍건희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 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970077798A (ko) * 1996-05-10 1997-12-12 홍건희 리튬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KR980006592A (ko) * 1996-06-20 1998-03-30 홍건희 리튬 이차 전지
JPH11116792A (ja) * 1997-10-21 1999-04-27 Nec Corp 高分子電解質及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
KR19990086306A (ko) * 1998-05-27 1999-12-15 박호군 고체고분자 전해질 및 리튬고분자 전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013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1580B2 (ja) 有機電解液及びこ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電池
KR101946644B1 (ko) 축전 소자
KR100399785B1 (ko)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권취형 리튬 2차 전지용세퍼레이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202863B1 (ko) 배터리용 음극 및 이를 사용한 리튬 이온 배터리
JP3675460B2 (ja) 有機電解液及びそ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電池
JP2002530838A (ja) 改善された低温性能を有する電解質
JP2008053212A (ja) 電池用非水電解液及びそれを備えた非水電解液電池
KR20050040974A (ko) 효율적인 성능을 갖는 리튬 전지
US6342320B2 (en) Electrochemically stable plasticizer
KR100371403B1 (ko) 새로운 전해액과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JP3525553B2 (ja) 非水系ポリマー電池
WO2020036222A1 (ja) 非水系電解液、及び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
JP2008041413A (ja) 電池用非水電解液及びそれを備えた非水電解液電池
US7858241B2 (en) Nonaqueous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 using the same
US20020039688A1 (en) Lactone solvents for electrochemical cells
KR100592235B1 (ko) 유기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JP7427861B2 (ja) 非水系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
KR100529089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A2494596A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US20040048165A1 (en) Electrolyte for a secondary cell
KR100371400B1 (ko) 흑연화 탄소부극을 사용하는 pan계 고분자 전지
JP3722462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0371399B1 (ko) 새로운 전해액 첨가제와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KR102633568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리튬 이차전지
JP2008047480A (ja) 電池用非水電解液及びそれを備えた非水電解液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