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332B1 - 패널간의 위치교환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널간의 위치교환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332B1
KR100618332B1 KR1020040086024A KR20040086024A KR100618332B1 KR 100618332 B1 KR100618332 B1 KR 100618332B1 KR 1020040086024 A KR1020040086024 A KR 1020040086024A KR 20040086024 A KR20040086024 A KR 20040086024A KR 100618332 B1 KR100618332 B1 KR 100618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nels
main body
image forming
so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6955A (ko
Inventor
최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6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332B1/ko
Priority to US11/251,893 priority patent/US20060088335A1/en
Priority to EP05109891A priority patent/EP1653326A3/en
Priority to CNA2005101181698A priority patent/CN1767580A/zh
Publication of KR20060036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09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for space saving, e.g. structural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48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adapted for operation by left- and right-hand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46Casings converti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22Modular assemb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Abstract

조작패널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상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부, 및, 복수개의 연결부 각각을 통해 본체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조작패널을 포함하며, 이 경우, 복수개의 조작패널 각각의 결합위치는 변경가능하다. 이 경우, 각 연결부는 복수개의 조작패널 각각과 결합가능한 복수개의 소켓을 구비함으로써, 어떠한 조작패널과도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조작패널 간의 위치교환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극대화된다.
조작패널, 소켓, 위치교환, 연결부

Description

패널간의 위치교환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Image forming device to change location of panels, and method thereof }
도 1(a) 및 도 1(b)는 종래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조작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도 2에서 사용된 연결부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도 2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조작패널의 위치가 교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그리고,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조작패널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0 : 연결부
120 : 조작패널 111a, 112a, 113a : 소켓A
111b, 112b, 113b : 소켓B 111c, 112c, 113c : 소켓C
본 발명은 조작패널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조작패널의 위치교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패널을 기능별로 분리하여 분리된 각 패널의 위치를 교환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화상형성장치란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팩스, 복합기 등과 같이 이미지를 스캔하거나 용지상에 인쇄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장치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패널을 구비한다. 한편, 최근 보급되는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되는 조작패널은 화상형성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점점 더 크게 제작되는 추세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조작패널의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a)에 따르면, 조작패널(10)은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출력창(11), 숫자버튼(12), 및, 다양한 선택버튼(13)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일체형 조작패널(10)은 조작패널(10) 자체의 크기가 크므로, 사이즈가 큰 고기능 화상형성장치에서 주로 사용된다.
도 1(b)에 따르면, 조작패널은 복수개로 분리된 분리형으로 제작되어 화상형성장치에 부착될 수도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의 사이즈가 비교적 작아서, 일체형 조작패널(10)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라면, 출력패널(20)과 입력패널(25)로 분리하여 각 패널(20, 25)을 다른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조작패널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고정된 위치에 부착된다. 즉,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상태 등을 표시하는 출력창(또는 출력패널), 사용자가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버튼키 등은 고정된 위치에 제작된다.
하지만, 사용자는 다양한 개인습성을 가지고 있으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용도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다를 수 있으므로, 고정된 위치에 제작된 조작패널을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오른손잡이를 배려하여 알파벳 버튼 등을 오른쪽에 배치한 경우, 왼손잡이 사용자에게는 불편하게 된다. 또는, 팩스 번호를 입력하는 숫자버튼을 조작패널의 중간에 고정시킨 경우, 팩스 기능을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불편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편의에 따라 조작패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 상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 각각을 통해 상기 본체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개의 조작패널 각각의 결합위치는 변경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상기 복수개의 조작패널 각각에 대응되는 버스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조작패널 각각과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조작패널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소켓은, 각 소켓에 결합되는 조작패널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호 상이한 색깔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조작패널은, 소정 종류의 입력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패널, 및, 상기 입력신호의 입력에 따른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의 소정 위치에 결합되는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조작패널은 소정 개수의 패널로 분리가능하며, 분리된 각 패널의 결합위치는 상호 교환가능하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상기 분리된 각 패널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버스라인, 및, 상기 분리된 각 패널과 결합하여, 상기 대응되는 버스라인과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조작패널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조작패널위치교환방법은, 상기 복수개의 조작패널 각각과 결합가능한 복수개의 연결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조작패널 각각의 위치를 교환하여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00), 연결부(110), 및, 조작패널(operation panel : 12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 해, 본체(100)에 대해서 급지부, 배지부 등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본체(100) 상의 소정 위치에는 조작패널(120)과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110)가 형성된다. 연결부(110)의 위치는 본체(100)의 상부표면 또는 전면 등과 같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는 곳이 될 수 있다.
한편, 조작패널(120)은 패널A(121), 패널B(122), 및 패널C(123) 등과 같이 소정 개수로 구분되어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A(121)는 알파벳 또는 한글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패널, 패널B(122)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상태나 입력된 문자, 숫자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출력패널, 패널C(123)는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숫자입력패널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패널은 LCD 표시창, LED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화상형성장치의 각 메뉴를 선택하여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입력패널(미도시)등도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부(110)도 분리된 각 패널(121, 122, 123)의 개수만큼 연결부A(111), 연결부B(112), 연결부C(113)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연결부(111, 112, 113)는 분리된 각 패널(121, 122, 123)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패널(121, 122, 123)과 본체(100)간의 결합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A(121)를 연결부A(111)에 결합하는 대신, 연결부B(112) 또는 연결부C(113)에 결합할 수 있으며, 패널B(122)도 연결부A(111) 또는 연결부C(113)에 결합할 수 있다. 패널C(123)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출력패널, 숫자입력패널, 문자입력패널, 메뉴입력패널 등의 위치를 자신에게 편리한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복수개의 패널(121, 122, 123) 중 어떠한 패널과도 결합가능하도록 제조된 연결부(1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에서는 도 2와 마찬가지로, 연결부(110)를 연결부A(111), 연결부B(112), 연결부C(113)와 같이 세개로 구분한 상태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110)를 다양한 개수로 구분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도 3에 따르면, 연결부A 내지 연결부C(111, 112, 113) 중 하나는 복수개의 패널(121, 122, 123) 각각에 대응되는 소켓(socket)을 구비한다. 소켓이란, 소정 패널을 본체(100)에 결합시키고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각 소켓은 복수 개의 패널(121, 122, 123) 중 대응되는 패널 후면에 제작된 결합 구조(미도시)와 연결되는 방식으로, 패널과 결합할 수 있다.
연결부A(111)를 예로 들어 살펴보면, 연결부A(111)는 패널A(121)에 대응되는 소켓A(111a), 패널B(122)에 대응되는 소켓B(111b), 패널C(123)에 대응되는 소켓C(111c)를 포함한다. 한편, 소켓 A 내지 C(111a, 111b, 111c)는 각각 본체(100)에 구비된 소정의 버스라인(bus line)에 연결된다. 즉, 소켓A(111a)는 버스라인A(a1 내지 a4), 소켓B(111b)는 버스라인B(b), 소켓C(111c)는 버스라인C(c)와 연결된다.
버스라인A 내지 C는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컨트롤러 파트(controller part : 미도시)에 연결되어 컨트롤러 파트에 입력신호를 전송하거나, 컨트롤러 파트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연결부A(111) 뿐 아니라, 연결부B(112), 및, 연결부C(113)에 있어서도 소켓A(112a, 113a), 소켓B(112b, 113b), 소켓C(112c, 113c)가 같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연결부(111, 112, 113)는 각 패널(121, 122, 123)과 결합가능해지므 로, 패널(121, 122, 123) 상호간의 위치교환이 가능해진다.
도 4(a) 내지 도 4(c)는 각 패널(121, 122, 123)간의 위치가 교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따르면 좌측에서부터 패널B(122), 패널A(121), 패널C(123) 순으로 배열된다. 도 4(a)와 같이 배열하기 위해서는, 패널B(122)는 연결부A(111)의 소켓B(111b)와 결합시키고, 패널A(121)는 연결부B(112)의 소켓A(112a)와 결합시키며, 패널C(123)는 연결부C(113)의 소켓C(113c)와 결합시키면 된다.
이러한 배열 상태에서의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상술한 예와 같이 패널A(121)가 문자입력패널, 패널B(122)가 출력패널, 패널C(123)가 숫자입력패널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패널A(121)를 통해 소정 문자를 선택하면 선택된 문자에 대한 정보가 연결부B(112)내의 소켓A(112a)를 통해 버스라인A(a1 내지 a4)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선택된 문자를 컨트롤러 파트가 인식하면, 컨트롤러 파트는 버스라인B(b) 및 소켓B(111b)를 통해 패널B(122)로 문자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패널B(122)는 수신된 문자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게 된다.
주된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이고, 주로 사용하는 패널이 숫자입력패널이라면 도 4(a)와 같이 조작패널(121 내지 123)을 배치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한편, 패널C(123)를 연결부A(111)의 소켓C(111c)와 결합시키고, 패널B(122)를 연결부B(112)의 소켓B(112b)와 결합시키며, 패널A(121)를 연결부C(113)의 소켓A(113a)와 결합시키면 도 4(b)와 같이, 패널C(123), 패널B(122), 패널A(121) 순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 4(c)와 같이 패널A(121), 패널C(123), 패널B(122) 순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왼손잡이인 경우, 도 4(c)와 같이 배열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교체되거나, 주된 사용기능이 변경된 경우 등에는 각 패널(121 내지 123)을 현재 결합위치에서 분리시킨 후, 적절한 위치의 연결부(111 내지 113)에 결합시킴으로써 간편하게 위치 교환을 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먼저, 도 5(a)는 본체(200) 상에서 조작패널(210)을 2*2로 구분하여 4개의 패널(211, 212, 213, 214)로 구분한 경우이다. 이 경우, 각 패널과 연결되는 연결부(미도시) 각각은 각 패널에 대응되는 4개의 소켓을 구비하게 된다. 연결부의 구성 및 연결방법은 도 3 및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였으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5(b)에서와 같이, 출력패널(310) 및 입력패널(320)이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출력패널(310) 및 입력패널(320)을 본체(300)로부터 분리시켜 상대 패널의 자리에 결합함으로써 결합위치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는 각 조작패널(121, 122, 123)을 연결부(111, 112, 113)로부터 분리한 후, 편리한 위치의 연결부(111, 112, 113)에 결합함으로써 복수개의 조작패널(121, 122, 123) 간의 위치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복수개의 조작패널(121, 122, 123) 각각과 결합가능한 복수개의 연결부(111, 112, 113)가 화상형성장치(100)에 마련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조작패널을 소정 개수로 분리하여 분리된 각 패널 간의 위치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습성 또는 주로 사용하는 패널종류 등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패널의 배치순서를 임의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본체;
    상기 본체 상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 각각을 통해 상기 본체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조작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조작패널 각각의 결합위치는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복수개의 조작패널 각각에 대응되는 버스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조작패널 각각과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조작패널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 각각은, 상호 식별가능한 복수개의 소켓을 구비함으로써 각 소켓에 결합되는 조작패널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소켓은, 각각 상이한 색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조작패널은,
    소정 종류의 입력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패널; 및
    상기 입력신호의 입력에 따른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의 소정 위치에 결합되는 조작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패널은 소정 개수의 패널로 분리가능하며, 분리된 각 패널의 결합위치는 상호 교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분리된 각 패널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버스라인; 및,
    상기 분리된 각 패널과 결합하여, 상기 대응되는 버스라인과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복수개의 조작패널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조작패널위치교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조작패널 각각과 결합가능한 복수개의 연결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조작패널 각각의 위치를 교환하여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패널위치교환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조작패널 각각과 결합가능한 복수개의 소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패널위치교환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 각각은, 상호 식별가능한 복수개의 소켓을 구비함으로써 각 소켓에 결합되는 조작패널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패널위치교환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소켓은, 각각 상이한 색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패널위치교환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조작패널은, 소정 종류의 입력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패널, 및, 상기 입력신호의 입력에 따른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패널위치교환방법.
KR1020040086024A 2004-10-27 2004-10-27 패널간의 위치교환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KR100618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024A KR100618332B1 (ko) 2004-10-27 2004-10-27 패널간의 위치교환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US11/251,893 US20060088335A1 (en) 2004-10-27 2005-10-18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positions of panels and method thereof
EP05109891A EP1653326A3 (en) 2004-10-27 2005-10-24 Image forming apparatus
CNA2005101181698A CN1767580A (zh) 2004-10-27 2005-10-26 能改变面板位置的成像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024A KR100618332B1 (ko) 2004-10-27 2004-10-27 패널간의 위치교환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955A KR20060036955A (ko) 2006-05-03
KR100618332B1 true KR100618332B1 (ko) 2006-08-31

Family

ID=3578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024A KR100618332B1 (ko) 2004-10-27 2004-10-27 패널간의 위치교환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088335A1 (ko)
EP (1) EP1653326A3 (ko)
KR (1) KR100618332B1 (ko)
CN (1) CN17675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4666B2 (en) * 2009-09-21 2014-04-22 Covidien Lp Medical device interface customization systems and methods
FR2970790B1 (fr) * 2011-01-24 2013-08-09 Schneider Electric Ind Sas Systeme de dialogue homme-machine
KR102491649B1 (ko) * 2015-12-28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0740B (en) * 1989-04-04 1993-09-29 Apple Computer Modular keyboard
JP3380333B2 (ja) * 1994-08-10 2003-02-24 株式会社リコー 操作パネル
JP2905411B2 (ja) * 1994-10-19 1999-06-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1998047128A1 (fr) * 1997-04-14 1998-10-22 Idec Izumi Corporation Elements de panneau d'affichage de controle
US5865546A (en) * 1997-08-29 1999-02-02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odular keyboard for use in a computer system
JP3304292B2 (ja) * 1997-09-12 2002-07-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外部機器の装着や識別を検出するための自動検出装置、情報処理機器、及び外部機器
US6169651B1 (en) * 1998-06-05 2001-01-02 General Electric Company Protective relay with modular control panel
US6366747B1 (en) * 1999-06-24 2002-04-02 Xerox Corporation Customizable control panel for a functionally upgradable image printing machine
JP2003019846A (ja) * 2001-07-10 2003-01-21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用操作パネル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30043404A1 (en) * 2001-08-31 2003-03-06 Will Fetherolf Control panels for multifunction devices
US7176898B2 (en) * 2002-09-13 2007-02-13 Xerox Corporation Removable control panel for multi-function equipment
GB0305052D0 (en) * 2003-03-05 2003-04-09 Rooney Jonathan P Modular control panel assembly
KR100612008B1 (ko) * 2004-04-10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67580A (zh) 2006-05-03
EP1653326A3 (en) 2007-03-14
KR20060036955A (ko) 2006-05-03
US20060088335A1 (en) 2006-04-27
EP1653326A2 (en)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5487B2 (ja) 電気的画像及び制御信号に応じてシートに画像を印刷する印刷システム及びこの印刷システムでの使用に適した制御手段
US7068260B2 (en) High-level function selection for multi-function device
US20070195064A1 (en) Display device, input device, printing device, and electric device
KR20110071612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
JP5782857B2 (ja) パラメータ入力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81993A (ja) 操作表示ユニット、操作表示方法、及び操作表示用プログラム
JP5296766B2 (ja) 情報入力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531655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9432531B2 (en) Input apparatus following task flow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900760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18332B1 (ko) 패널간의 위치교환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JP2016110379A (ja) 操作入力システム
JP6035318B2 (ja) 表示入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1113256A (ja) 表示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電子機器
JP5268849B2 (ja) 表示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電子機器
JP7135613B2 (ja) 点字デバイス制御システム、点字デバイス、および点字デバイス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2118926A (ja) 情報入力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2021185550A (ja) 表示制御装置
JP5214349B2 (ja) 電子機器の操作表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2193724A (zh) 显示输入装置、图像形成装置和显示输入装置的显示方法
JP2020127197A (ja) 入力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777968B1 (ko) 다기능 키보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JP5186458B2 (ja) 文字入力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20036680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art key arrangement method
JP2004215181A (ja) 機器操作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