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006B1 - 임산부를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 Google Patents

임산부를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006B1
KR100616006B1 KR1020040073859A KR20040073859A KR100616006B1 KR 100616006 B1 KR100616006 B1 KR 100616006B1 KR 1020040073859 A KR1020040073859 A KR 1020040073859A KR 20040073859 A KR20040073859 A KR 20040073859A KR 100616006 B1 KR100616006 B1 KR 100616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vehicle
seat belt
ancho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4976A (ko
Inventor
박득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3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006B1/ko
Publication of KR20060024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022/008Belts; Fixing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pregnant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는 탑승자를 감싸 차량의 시트에 안착시키는 웨빙과; 상기 웨빙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웨빙을 권입하는 리트랙터와; 상기 웨빙의 타단이 고정되고, 탈착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의 실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앵커와; 상기 웨빙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텅과; 차량의 실내에 고정되어 상기 텅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버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경우에 따라 앵커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의 기호에 따라 2점지지 또는 3점 지지로 착용할 수 있고, 특히, 임산부의 경우 앵커를 분리하여 시트벨트를 2점 지지로 착용함으로서 충돌 등에 의한 사고 시 시트벨트에 의한 복부 압박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임산부를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Seat belt of automobile for pregnant women}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시트벨트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버클 20 : 텅
22, 24 : 홀 30 : 웨빙
30a : 일단 30b : 타단
40 : 리트랙터 50 : 앵커
52, 54 : 홀 60 : 볼트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앵커가 탈착수단에 의해 분리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2점지지 또는 3점 지지방식으로 탑승자를 안착시킴으로서 임산부와 같이 복부 압박에 취약한 탑승자에게 적합한 차량용 시트벨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시트벨트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차량에는 차량의 충돌 또는 전복 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시트 벨트(seat belt)가 설치되고, 상기 시트벨트는 탑승자의 몸을 감싸는 웨빙(webbing, 1)과, 상기 웨빙(1)을 팽팽하게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웨빙(1)을 권입하는 리트랙터(미도시)와, 차량의 실내에 고정되어 상기 웨빙(1)이 탑승자의 어깨 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웨빙(1)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디링(D-ring, 3)과, 상기 웨빙(1)의 중간에 위치되어 차량의 실내에 고정된 버클(4)과, 상기 웨빙(1)에 장착되어 상기 버클(4)과 결합되는 텅(tongue, 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트랙터는 차량의 센터필러(6)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빙(1)은 상기 센터필러(6)를 관통하여 상기 리트랙터에 일측이 고정됨으로서 상기 리트랙터에 의해 권입된다.
그런데 종래의 시트벨트는 상기 웨빙(1)이 탑승자의 어깨 및 복부를 동시에 감싸기 때문에 임산부의 경우 복부를 감싸는 웨빙에 의해 태아를 더욱 위험에 빠뜨 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임산부가 착용하여 태아의 안전을 도모함과 더불어 일반인도 착용할 수 있는 차량이 시트벨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는 탑승자를 감싸 차량의 시트에 안착시키는 웨빙과; 상기 웨빙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웨빙을 권입하는 리트랙터와; 상기 웨빙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웨빙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텅과; 차량의 실내에 상기 텅과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버클과; 상기 웨빙의 타단이 고정되고, 탈착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의 실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텅에 형성된 웨빙이 관통되는 홀보다 크게 형성된 앵커를 포함하여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는 차량의 시트(100) 측면에 설치되는 버클(10)과, 상기 버클(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텅(20)과, 상기 텅(20)을 관통하고 상기 시트(100)에 착석한 탑승자를 감싸 안착시키는 웨빙(30)과, 상기 웨빙(30)의 일단(30a)이 고정되어 상기 웨빙(30)을 권입하는 리트랙터(40)와, 상기 웨빙(30)의 타단(30b)이 고정되고 상기 웨빙(30)의 타단(30b)을 차량의 실내에 고정시키는 앵커(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클(10)은 도면에서 상기 시트(100)의 우측에 고정되고, 상기 텅(20)이 삽입될 경우 상기 텅(20)을 걸림 고정시킨다.
상기 텅(20)은 상기 웨빙(30)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웨빙(30)이 관통되는 홀(22) 및 상기 버클(10)과 결합되어 걸림 고정되기 위한 홀(24)이 형성된다.
상기 웨빙(30)은 일단(30a)이 상기 리트랙터(40)에 고정되고, 타단(30b)이 상기 앵커(5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리트랙터(40)는 상기 웨빙(30)에 소정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웨빙(30)을 권입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웨빙(30)이 급격히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충돌 시 또는 전복 시 탑승자를 상기 시트(100)에 고정시킨다. 특히 상기 리트랙터(40)는 차량의 센터필러(1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빙(30)은 상기 센터필러(110)를 관통하여 출입되게 하여 차량의 내부를 간소화시킨다.
한편, 상기 앵커(50)는 상기 버클(10)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상기 웨빙(30)의 타단(30b)을 고정시키고, 탈착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의 실내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앵커(50)에는 상기 탈착수단이 관통되는 홀(52) 및 상기 웨빙(30)이 고정되는 홀(54)이 형성된다.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홀(52)을 관통하여 회전됨으로서 상기 앵커(50)를 걸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탈착수단은 볼트(60)이다.
삭제
상기 볼트(60)는 상기 앵커(50)의 홀(52)을 관통하여 상기 차량의 실내에 나사 결합되고, 탑승자가 손으로 상기 볼트(60)를 체결 또는 분리 할 수 있도록 비교적 큰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앵커(50)의 홀(52)은 상기 볼트(60)가 관통되되 상기 볼트(6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호리병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앵커(50)가 상기 홀(52)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앵커(50)는 상기 텅(20)의 홀(22)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홀(22)보다 큰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조립과정을 도 3 또는 도 4를 중심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인 사용의 경우 상기 앵커(50)는 상기 볼트(60)에 의해 상기 차량의 실내에 고정되고, 탑승자는 상기 웨빙(30)을 잡아당겨 상기 텅(20)을 상기 버클(10)에 결합시킴으로서 3점 지지에 의해 시트벨트를 착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웨빙(30)이 고정된 리트랙터(40)는 상기 웨빙(30)을 권입하여 적당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를 시트(100)에 안착시킴과 동시에 차량이 충돌이나 전복 등의 사고를 당할 경우 상기 웨빙(30)이 급격히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게 된다.
다음으로 임산부 등과 같이 복부에 충격이 가해지면 안 되는 사람들이 시트에 탑승한 경우 탑승자는 상기 볼트(50)를 분리하여 상기 앵커(50)를 차량의 실내에서 분리시키고, 상기 텅(20)을 상기 버클(10)에 결합시킴으로서 2점 지지에 의해 시트벨트를 착용한다.
여기서 상기 웨빙(30)은 탑승자의 어깨를 지나 사선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탑승자의 복부에 압박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트벨트가 착용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된 앵커(50)는 상기 텅(20)이 상기 웨빙(30)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시트벨트의 착용과정에서 상기 버클(10) 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리트랙터(40)는 상기 3점 지지에서 복부를 감싸던 길이 만큼의 웨빙(30)을 권입한다.
한편, 제 1 실시예의 앵커(50)는 상기 탈착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앵커(5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때문에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할 때 상기 웨빙(3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트벨트는 경우에 따라 앵커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의 기호에 따라 2점지지 또는 3점 지지로 착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임산부의 경우 앵커를 분리하여 2점 지지로 시트벨트를 착용함으로서 충돌 등에 의한 사고 시 시트벨트에 의한 복부 압박을 방지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 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트벨트는 종래와 같은 구성에서 앵커를 분리시키는 탈착수단만을 구비함으로서 2점지지 또는 3점 지지가 가능하게 함으로서 제작 원가의 상승을 최소화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4)

  1. 탑승자를 감싸 차량의 시트에 안착시키는 웨빙과;
    상기 웨빙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웨빙을 권입하는 리트랙터와;
    상기 웨빙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웨빙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텅과;
    차량의 실내에 상기 텅과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버클과;
    상기 웨빙의 타단이 고정되고, 탈착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의 실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텅에 형성된 웨빙이 관통되는 홀보다 크게 형성된 앵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홀을 관통하여 회전됨으로서 상기 앵커를 걸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앵커를 고정시키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4. 삭제
KR1020040073859A 2004-09-15 2004-09-15 임산부를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KR100616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859A KR100616006B1 (ko) 2004-09-15 2004-09-15 임산부를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859A KR100616006B1 (ko) 2004-09-15 2004-09-15 임산부를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976A KR20060024976A (ko) 2006-03-20
KR100616006B1 true KR100616006B1 (ko) 2006-08-28

Family

ID=3713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859A KR100616006B1 (ko) 2004-09-15 2004-09-15 임산부를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0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439Y1 (ko) * 2001-11-26 2002-03-23 강진희 고정 구조가 개선된 미니 앵커
KR20020069439A (ko) * 2001-02-26 2002-09-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439A (ko) * 2001-02-26 2002-09-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KR200269439Y1 (ko) * 2001-11-26 2002-03-23 강진희 고정 구조가 개선된 미니 앵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269439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976A (ko) 2006-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9693B2 (en) Seat belt apparatus
US8783782B2 (en) Safety belt for a vehicle
KR101398172B1 (ko) 차량용 안전벨트
US20020149191A1 (en) Seat belt apparatus
KR100616006B1 (ko) 임산부를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WO2005118330A2 (en) A seat belt arrangement
GB2414506A (en) Safety-belt tongue with clamping element initially retained in unlocked position
KR100616005B1 (ko) 임산부를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KR100328775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텅
KR0166178B1 (ko) 자동차 시트 벨트 로커에 설치한 로드 리미터
KR100285806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가이드
KR20014342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착용구조
KR100229743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텅 플레이트
KR100429021B1 (ko)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
KR200143429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JPS6353149A (ja) シヨルダスル−アンカ構造
KR0157814B1 (ko) 시트벨트의 흉부보호장치 및 작동표시장치
KR101114580B1 (ko) 차량용 시트벨트
KR200143428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51611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0138888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잠금장치
KR200143427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43797Y1 (ko) 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장치
KR100509030B1 (ko) 시트벨트의 고정장치
KR200247594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