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991B1 -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렌즈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991B1
KR100615991B1 KR1020040063394A KR20040063394A KR100615991B1 KR 100615991 B1 KR100615991 B1 KR 100615991B1 KR 1020040063394 A KR1020040063394 A KR 1020040063394A KR 20040063394 A KR20040063394 A KR 20040063394A KR 100615991 B1 KR100615991 B1 KR 100615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
plastic lens
ethiothiopropyl
compound
sulf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9678A (ko
Inventor
마사히사 코사카
토모아키 야나기다
요시타카 키타하라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9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5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 C08G18/3876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containing mercapt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5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at least two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two or more cycloaliph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64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at least two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e.g. xylylene diisocyanate or homologues substituted on the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2Ophthalmic lenses having special refractive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Abstract

고굴절률, 고아베수이며, 양호한 기계적 강도를 구비한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를 제공한다. (1) 혼합물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0.1중량%∼10중량%의 유황과,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을 혼합하고 반응시켜 얻어지는 프리폴리머와,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3) 폴리티올 화합물의 혼합물을 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과, 이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이다.
플라스틱 렌즈, 유황, 에피티오기, 프리폴리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티올

Description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렌즈{PROCESS OF PRODUCING PLASTIC LENS AND PLASTIC LENS}
본 발명은, 고굴절률, 고아베수이며, 기계적 강도가 높고, 안경용 플라스틱 렌즈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렌즈의 시장, 특히 안경용 플라스틱 렌즈의 시장에서는, 고굴절률, 고아베수를 갖는 플라스틱 렌즈가 요구되고 있다.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의 이점은, 굴절력이 강한 렌즈에서도 중심 두께 또는 주변 두께를 얇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최근, 렌즈 프레임이 없는 투포인트(two-point) 안경이 유행하고 있다.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를 사용하여 투포인트 안경을 제조하는 경우, 저굴절률 플라스틱 렌즈보다도 렌즈의 중심 두께 또는 주변 두께가 얇아지는 것에 덧붙여, 더욱 더 기계적 강도 등이 향상된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의 예로서, JP-A-2001-330701에서는, 굴절률 l.70 정도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티올 화합물 및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렌즈가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 개시된 플라스틱 렌즈는 고굴절률, 고아베수와 양호한 기계적 강도 등의 특성이 얻어지지만, 더욱 더 양호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렌즈가 요구된다.
또한, JP-A-2001-2783 및 JP-A-2001-2933에는, 유황 함유 화합물과, 유황 원자 및/또는 셀레늄 원자를 갖는 무기화합물의 혼합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광학재료용 조성물을 중합경화시켜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문헌에 개시된 렌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얻어지는 렌즈의 투명성이 불충분하여, 황색화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더욱 더 양호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렌즈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고굴절률, 고아베수와, 더욱 더 양호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렌즈는, 프리폴리머화의 수단을 따름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 렌즈 원료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0.1중량%∼10 중량%의 유황과,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을 혼합하고, 반응시켜 얻어지는 프리폴리머와,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3) 폴리티올 화합물의 혼합물로서 렌즈 원료를 중합하는 공정을 갖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은, (1) 렌즈 원료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0.1중량%∼10중량%의 유황과,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을 혼합하고, 반응시켜 얻어지는 프리폴리머와,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3) 폴리티올 화합물의 혼합물로서 렌즈 원료를 중합하는 공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의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 공정으로서는,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 중에, 유황을 혼합 용해시킨 혼합용액을, 반응온도에서, 예를 들면, 30∼80℃의 범위를 갖는 온도에서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과 유황을 반응시켜 프리폴리머를 얻는다.
반응시킬 때에, 예를 들어, 2-머캅토-N-메틸이미다졸, 이미다졸, N-메틸이미다졸, 2-메틸이미다졸, 4-메틸이미다졸, N-에틸이미다졸, 2-에틸이미다졸, 4-에틸이미다졸, N-부틸이미다졸, 2-부틸이미다졸, 4-부틸이미다졸, N-페닐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N-벤질이미다졸, 2-벤질이미다졸, 2-머캅토이미다졸, 2-머캅토벤지이미다졸 등의 이미다졸계 가황촉진제,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티우람 디설파이드, 테트라메틸티우람 모노설파이드 등의 티우람계 가황촉진제, 예를 들어 디페닐구아니진, 디-o-토릴구아니진 등의 구아니진계 가황촉진제 등의 가황촉진제를 적량 사용하여도 된다.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과 유황의 프리폴리머화 반응은, 질소하, 진공하 또는 대기하에서 반응시켜도 된다. 무색 투명성이 대단히 우수한 렌즈를 얻기 위해 적합한 공정은, 30∼80℃의 온도범위에서 1시간∼24시간 교반반응시키는 것이다.
프리폴리머화 반응의 정지점은, 나중에 가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의 종류와 양에 따라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렌즈의 투명성이 다르기 때문에, 한결같이 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프리폴리머화 반응의 정지점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과 유황의 원료를 사용하여 프리폴리머화 반응을 시키고, 그 과정에서 프리폴리머의 굴절률이 단계적으로 달라지도록 복수의 포인트에서 프리폴리머를 빼낸다. 프리폴리머의 굴절률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정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정지점은, 각 프리폴리머를 실온 근방까지 냉각하였을 때, 유황이 재석출되지 않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렌즈 성분들을 가하여 얻어진 최종적인 렌즈에서 투명성이 얻어지는 시점이다.
이에 따라, 프리폴리머의 굴절률이 정지점까지 상승한 시점에서, 승온을 종료하고, 프리폴리머를 신속하게 실온 근방까지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반응을 충분히 정지시키기 위해, 종료시에, 반응정지용 조제로서 산성 인산 에스테르류, 디메틸주석 디클로라이드 등을 적량 가하여 정지시켜도 된다.
정지점에서의 프리폴리머 점도는, 사용하는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과 유황의 첨가농도에도 따르기 때문에, 한결같이 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나중에 가하는 렌즈 원료와의 혼합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프리폴리머의 점도는 1Pa·s(25℃) 이하가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투명성이 양호한 렌즈를 얻는다는 관점에서, (1)의 프리폴리머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유황의 함유량은, 렌즈 원료의 전체량에 대해, 0.1중량%∼10중량%이며, 또는 0.3중량%∼6중량%, 또는 0.3중량%∼5중량%이다.
또한,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의 착색을 적게 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상기 유황은, 비점 120℃ 이하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순도가 98중량% 이상인 유황일 수 있다.
비점 120℃ 이하의 불순물의 제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면 유황을 상압 또는 감압 가열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유황을 승화시켜 재결정화시키는 방법 및 유황을 가열용해시켜 재결정화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1)에서 사용되는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은 에피설파이드계의 모노머로도 불린다. 이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시클로헥산,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시클로헥산,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시클로헥실]메탄, 2,2-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시클로헥실]프로판,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시클로헥실]설파이드,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시클로헥산 등의 지방 고리족 골격을 갖는 에피설파이드 화합물;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벤젠,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벤젠,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메탄, 2,2-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프로판,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설파이드,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설파이드, 4,4-비스 (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비페닐,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벤젠 등의 방향족 골격을 갖는 에피설파이드 화합물; 2,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1,4-디티안, 2,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티오메틸)-1,4-디티안, 2,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1,4-디티안, 2,3,5-트리(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1,4-디티안, 2,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1,4-디티안 등의 디티안 고리 골격을 갖는 에피설파이드 화합물; 2-(2-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티오)-1,3-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 1,2-비스[(2-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티오]-3-(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 테트라키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메탄, 1,1,1-트리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프로판,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디설파이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에테르,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메탄, 1,2-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에탄, 1,3-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프로판 등의 지방족 골격을 갖는 에피설파이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 중에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디설파이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에테르,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메탄, 1,2-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에탄, 1,3-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프로판, 2,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1,4-디티안,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시클로헥산,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벤젠,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설파이드,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시클로헥실]설파이드가 바람직하다. 고굴절률 렌즈 용도로서,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디설파이드, 2,5-비스(β- 에피티오프로필)-1,4-디티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이들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3) 폴리티올 화합물의 합계량이, 양호한 기계적 특성, 높은 굴절률을 갖는 플라스틱 렌즈를 얻는다고 하는 관점에서, 상기 (1)∼(3)의 렌즈 원료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3중량%∼50중량%, 또는 10중량%∼40중량%, 또는 20중량%∼40중량%일 수 있다.
또한,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3) 폴리티올 화합물의 혼합 비율은, 양호한 기계적 강도, 높은 투명성의 무색의 플라스틱 렌즈를 얻는다고 하는 관점에서, -SH기/-NCO기의 몰비로, 1.0 이상, 또는 1.0∼5.0, 또는 1.1∼2.0의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혼합 비율은, 동 출원인이 출원한 상기한 JP-A-2001-330701의 기재와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이유는,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에 첨가하는 유황의 함유량을, 렌즈 원료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0.1중량%∼10중량%로 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3) 폴리티올 화합물은, 미리 프리폴리머화시키지 않고서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화합물을 프리폴리머화하지 않더라도,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에 첨가하는 유황의 함유량을, 렌즈 원료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0.1중량%∼10중량%로 정의하여,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과 유황의 프리폴리머를 합성함으로써, 유황을 반응시켜, 불투명의 원인이 되는 유황을 소비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의 굴절률을 가능한 한 높게 하기 위해, 유황을 가능한 한 많이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황을, 렌즈 원료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10중량% 이하로 규정한 것에 의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프리폴리머로 하지 않고 첨가하더라도,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가 백탁하는 일이 없으며, 유황을 에피티오 화합물과 과도하게 반응시킬 필요가 없어, 고점도로 되지 않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3) 폴리티올 화합물을 미리 반응시켜, 우레탄의 프리폴리머화하여도, 원하는 플라스틱 렌즈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프리폴리머화하지 않은 원료를 사용하면, 점도가 낮아, 나중의 혼합조작, 탈기조작, 몰드 주입시 및 주입후의 거품제거공정 등의 조작이 용이하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의 양을 많이 도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크실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클로로디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2',5,5'-테트라클로로디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토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나, 헥사메틸렌디 이소시아네이트, 2,5-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1,4-디티안,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설파이드, 비스(이소시아네이토에틸)설파이드,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디설파이드, 비스(이소시아네이토에틸)디설파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1개 이상의 지방족 고리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 다. 구체적으로는,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비스(4-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 비스(4-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실)메탄,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5-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2]옥탄, 2,5-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3-(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5-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3-(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2-[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5-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2-(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3-(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2-이소시아네이토에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3-(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2-이소시아네이토에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2-(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5-(2-이소시아네이토에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2-(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2-이소시아네이토에틸)-비시클로[2.2.1]-헵탄,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중에서,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1,4-디티안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중에서, 양호한 굴절률, 아베수를 갖는 렌즈를 얻기 위해,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3) 폴리티올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디티올, 에탄디티올, 프로판디티올, 1,6-헥산디티올, 1,2,3-트리머캅토프로판, 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메탄, 시클로헥산디티올, 2,2-디메틸프로판-1,3-디티올, 3,4-디메톡시부탄-1,2-디티올, 2-메틸시클로헥산-2,3-디티올, 비스(머캅토메틸)시클로헥산, 2,3-디머캅토-1-프로판올(2-머캅토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1,2-디머캅토프로필메틸 에테르, 2,3-디머캅토프로필메틸 에테르, 2,2-비스(머캅토메틸)-1,3-프로판디티올, 비스(2-머캅토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1,2-비스(2-머캅토에틸티오)-3-머캅토프로판, 비스(머캅토메틸)설파이드, 비스(머캅토에틸)설파이드, 비스(머캅토프로필)설파이드, 비스(머캅토메틸티오)메탄, 비스(2-머캅토에틸티오)메탄, 비스(3-머캅토프로필)메탄, 1,2-비스(머캅토메틸티오)에탄, 1,2-(2-머캅토에틸티오)에탄, 1,2-(3-머캅토프로필)에탄, 1,3-비스(머캅토메틸티오)프로판, 1,3-비스(2-머캅토에틸티오)프로판, 1,3-비스(3-머캅토프로필티오)프로판, 1,2-비스(2-머캅토에틸티오)-3-머캅토프로판, 2-머캅토에틸티오-1,3-프로판 디티올, 1,2,3-트리스(머캅토메틸티오)프로판, 1,2,3-트리스(2-머캅토에틸티오)프로판, 1,2,3-트리스(3-머캅토프로필티오)프로판, 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티오메틸)메탄, 테트라키스(2-머캅토에틸티오메틸)메탄, 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필티오메틸)메탄, 비스(머캅토메틸)디설파이드, 비스(머캅토에틸)디설파이드, 비스(머캅토메틸)-3,6,9-트리티아-1,11-운데칸디티올, 비스(1,3-디머캅토-2-프로필)설파이드, 3,4-티오펜디티올, 테트라히드로티오펜-2,5-디머캅토메틸, 2,5-디머캅토-1,3,4-티아디아졸, 2,5-디머캅토-1,4-디티안, 2,5-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 2,5-비스(머캅토에틸)-1,4-디티안 등의 머캅토기 이외에 유황 원자를 함유하는 또는 함유하지 않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티올 화합물 중에서, 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 비스(머캅토에틸)설파이드, 비스(머캅토에틸)디설파이드, 1,2-비스(머캅토에틸)-티오-3-머캅토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머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및 트리머캅토프로판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들 폴리티올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 프리폴리머와,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 폴리티올 화합물의 혼합물에는,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내부 이형제, 산화방지제, 염료, 포토크로믹 염료, 안료, 대전방지제 등의 다양한 첨가제들을 가하여, 수지에 특정한 효과를 주어도 된다.
또한, 상기 (1) 프리폴리머와,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3) 폴리티올 화합물을 반응시키기 위해 촉매를 첨가하여도 된다. 그 촉매로서는, 아민류, 포스핀류, 제4급 암모늄 염류, 제4급 포스포늄 염류, 제3급 술포늄 염류, 제2급 요오드늄 염류, 광산류, 루이스산류, 유기산류, 규산류, 사불화붕산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촉매 중에서, 아미노에탄올, 1-아미노프로판올, 2-아미노프로판올, 아미노부탄올, 아미노펜탄올, 아미노헥산올 등의 아민류, 테트라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테트라메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테트라에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테트라에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테트라-n-부틸포스포늄 클로로라이드, 테트라-n-부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테트라-n-부틸포스포늄 요오다이드, 테트라-n-헥실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테트라-n-옥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등의 제4급 포스포늄 염류가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되는 촉매는, 사용하는 모노머의 종류에 따라 선택하고, 사용량도 조정할 필요가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렌즈 원료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중량%∼0.1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들 (1)∼(3)의 원료를 혼합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혼합에 있어서, 설정온도, 이것에 필요한 시간 등은 기본적으로는 각 성분이 충분히 혼합되는 조건이면 기본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각 원료, 첨가제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을 억제하고, 필요 이상으로 점도를 상승시키지 않아 주형조작을 쉽게 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혼합은 -30℃∼50℃, 또는 -5℃∼30℃의 온도범위 에서 행해진다. 혼합은, 5분∼2시간, 또는 5분∼15분 정도의 범위의 혼합시간동안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나중의 주형중합 및 경화중의 기포 발생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각 원료, 첨가제의 혼합전, 혼합시 또는 혼합후에, 감압하에서 탈가스 조작이 행해질 수도 있다. 이때, 0.1mmHg∼50mmHg, 또는 1mmHg∼20mmHg의 범위의 감압도에서 탈가스 조작이 행해질 수도 있다.
더구나, 이들 혼합물 또는 혼합전의 주, 부원료를 0.2∼20㎛ 정도의 구멍 지름을 갖는 필터로 불순물 등을 여과하여 정제하는 것은 본 발명의 광학재료의 품질을 더욱 높인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된 원료 등을 유리나 금속제의 형틀에 주입 후, 전기로 등에서 중합경화를 행한다. 경화온도는 5℃∼120℃, 경화시간은 통상 1∼72 시간이다. 또한, 경화 종료후, 재료를 50∼150℃의 온도에서 10분∼5시간 정도 어닐링처리를 행하는 것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의 왜곡을 배제하기 위해 바람직한 처리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가 중합후에 형틀에서 벗겨지기 어려운 경우에는, 공지의 외부 및/또는 내부 이형제를 사용 또는 첨가하여, 이형성을 향상시켜도 된다. 또한, 자외선으로부터 수지 또는 눈을 보호할 목적으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목적으로 적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여도 된다. 그것의 첨가량은 사용하는 첨가제의 흡수능과 최대 흡수파장에도 의존하기만, 대략 0.03중량%∼3중량% 정도이다. 또한, 이들 흡수제를 나중에 수지에 함침시키는 방법으로 행하여도 된다.
더구나, 수지의 미관을 유지 또는 향상시킬 목적으로, 산화방지제의 첨가나 미량의 청색과 적색계의 염료 또는 안료를 사용하여 불루잉(bluing)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는 염료를 사용하여 염색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또한, 내스크래치성 향상을 위해, 유기규소 화합물 또는 아크릴 화합물과 산화 주석, 산화 규소, 산화 지르코늄, 산화 티타늄 등의 미립자형 무기물 등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사용하여 경화피막을 플라스틱 렌즈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이들 중에서 특히 유기규소 화합물을 사용한 경화피막이, 더욱 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프라이머층을 플라스틱 렌즈와 상기 경화피막 사이에 형성하여도 된다.
더구나, 반사방지의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경화피막 상에, 산화 규소, 이산화 티타늄, 산화 지르코늄, 산화 탄탈륨 등의 무기물질로 이루어진 반사방지막을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발수성 향상을 위해,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유기규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발수막을 반사방지막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는, 굴절률이 1.69∼1.7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의 아베수는, 3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구나,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는, 착색이 적고, 투명성이 높으며, 기계적 강도가 높은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에 덧붙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티올 화합물,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 및 유황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프리폴리머로 이루어진 투명성을 갖는 플라스틱 렌즈도 포함한다. 여기서, 플라스틱 렌즈가 투명성을 갖는다는 것은, 유황을 사용하지 않고, 유사한 원료물질을 사용하여 두께가 동일한 렌즈를 제조한 경우와 비교하여, 동일한 투명성을 갖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투명성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스틱 렌즈의 투명성은, 투과계수 τ=φexin으로 정의되며, φex는 가시광(파장 400∼750nm)으로 노출시에 렌즈를 투과한 빛의 강도, φin은 렌즈에 입사한 가시광의 강도를 나타낸다.
반사방지막을 코팅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렌즈의 투명성의 값은 렌즈의 굴절률의 값에 의존한다. 이것은 높은 굴절률을 제공하는 렌즈는 높은 반사값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굴절률 1.55∼1.65을 갖는 플라스틱 렌즈가, 두께 1.8mm에서 500nm∼600nm의 파장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을 때에, 0.80∼0.92의 범위의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85∼0.92의 범위, 특히 0.88∼0.92의 범위의 투명성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굴절률 1.66∼1.72를 갖는 플라스틱 렌즈가, 두께 1.8mm에서 500nm∼600nm의 파장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을 때에, 0.80∼0.91의 범위의 투명성을 갖는 것 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85∼0.91의 범위, 특히 0.88∼0.91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의 물성평가는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하였다.
(1) 굴절률과 아베수
칼뉴광학공업(주)제 정밀굴절률계 KPR-200형을 사용하여 20℃에서 측정하였다. 표 1 중에서, nd는 587.6nm, ne는 546.1nm에서의 굴절률, 아베수 νd는 (nd-1)/(nF-nC), 아베수 νe는 (ne-1)/(nF'-nC')의 값이며, 이때 nC는 656.3nm에서의 굴절률이고, nF는 486.1nm에서의 굴절률이며, nC'은 643.9nm에서의 굴절률이고, nF'은 480.0nm에서의 굴절률이다.
(2) 내열성
리가꾸전기(주)제 열분석장치, TAS-100, TMA8140 페니트레이션법(샘플 두께 3mm, 핀 직경 0.5mm, 가중 10g, 승온온도 10℃/분)으로 측정을 행하여, 열팽창이 변화한 피크값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표 1 중에서, 이것을 Tg로 기재한다.
(3) 인장강도
0.00D, 렌즈 직경 80nm, 두께 1.8mm를 갖도록 조정된 렌즈를 렌즈 프레임틀용으로 가공한 후, 투포인트 안경 프레임 가공을 상정하여 드릴로 2개소에 1.6mm 직경의 구멍을 뚫어, 샘플을 준비한다. 1.6mm 직경의 샤프트를 구멍에 통과시켜 샘플의 양단을 고정하고, (주)A&D제, 텐시론 만능시험기(모델번호 RTC-1225A)를 사용하여 5mm/min의 속도로 인장시키고, 파괴할 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4) 투명성
제조된 플라스틱 렌즈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실시예 1:
(a) 프리폴리머의 제조(프리폴리머의 전체량: 211.6중량부)
플라스크에,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를 원료 전체량에 대해 200중량부, 유황(와코순약공업(주)제: 유황화 순도 99wt%)을 10중량부 가하고, 혼합물을 55℃에서 가열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가황촉진제로서 메티마졸(2-머캅토-N-메틸이미다졸)을 1.6중량부 가하여, 혼합물을 5시간 반응시키고, 25℃까지 냉각하여 프리폴리머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프리폴리머의 굴절률(nd)은 1.623(60℃)이었다.
(b)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을 10.71중량부 평량하여 플라스크에 가하고, 자외선 흡수제로서 시프로화성(주)제 SEESORB707을 0.35중량부, 내부 이형제로서 산성 인산 에스테르(조호쿠화학공업(주)제 JP-506H)를 0.004중량부, 경화촉매로서 테트라부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를 0.04중량부, 불루잉제로서, 상품명: 다이아레진 블루-G(미쓰비시화학(주)제)와 상 품명: 다이아레진 레드 HS(미쓰비시화학(주)제)를, 7/3의 청색대 적색의 중량 환산비율로 배합하고, 원료 전체량에 대해 200ppb가 되는 양을 가하여, 혼합물을 교반용해시켰다.
용해후, 폴리티올 화합물로서 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을 19.29중량부 가하고, 혼합물을 균일해지도록 교반하였다. 그후, (a)에서 제조한 프리폴리머를 70중량부 가하고 혼합물을 더 교반하였다. 혼합물이 거의 균일하게 된 시점에서, 결과적으로 얻어진 혼합물을 4,000Pa의 진공하에서 교반하면서 10분간 탈기후, 구멍 직경 1㎛의 테프론필터(테프론은 상표)로 여과하고, 유리 몰드와 가스켓으로 이루어진 성형 몰드에 주입하였다.
이 주입된 성형 몰드를 20℃에서 100℃까지 22시간에 걸쳐서 단계적으로 승온하고 100℃에서 1시간 유지하여 중합을 행하였다. 이때의 중합 자세는, 렌즈 볼록면을 위로 하고,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성형 몰드를 약 15도 기울여, 주입시에 혼입된 기포를 렌즈의 가장자리로 보내는 자세로 한다. 또한, 중합 맥리를 고려하여 수평 자세로 중합을 하여도 된다. 중합 종료후, 수지를 서서히 냉각하고, 몰드에서 빼내었다. 얻어진 수지에 생겨 있는 왜곡을 경감하고, 렌즈의 도수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수지를 105℃에서 1시간 가열 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에서 20℃ 이하까지 서냉하는 어닐링처리를 행하였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에 대해, 상기 (1)∼(4)의 물성을 측정, 평가하여,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는, 투명성이 높고, 굴절률, 아베수, 내열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렌즈이었다.
실시예 2∼13:
실시예 1에서, 불루잉제의 첨가의 유무 이외를 제외하고는, 각 원료 및 양으로서, 표 1에 나타낸 조건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플라스틱 렌즈를 제조하였다. 그후, 상기 (1)∼(4)의 물성을 측정, 평가하여,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렌즈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투명성이 높고, 굴절률, 아베수, 내열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렌즈이었다.
실시예 14:
(c) 프리폴리머의 제조(프리폴리머의 전체량: 211.6중량부)
플라스크에,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를 원료 전체량에 대해 160중량부,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디설파이드를 원료 전체량에 대해 40중량부, 유황(와코순약공업(주)제; 유황화 순도 99wt%)을 10중량 가하고, 혼합물을 55℃에서 가열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가황촉진제로서 메티마졸(2-머캅토-N-메틸이미다졸)을 1.6중량부 가해 혼합물을 5시간 반응시키고, 25℃까지 냉각하여 프리폴리머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프리폴리머의 굴절률(nd)은 1.634(60℃)이었다.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공정에 관해서는, (c)에서 제작한 프리폴리머를 70중량부 사용하고, 불루잉제의 첨가량이 600ppb로 변경한 것 이외는, 각 원료 및 양은, 표 1에 나타낸 조건에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플라스틱 렌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과, 유황을 용해시켰지만, 프리폴리머화시키지 않았다. 이 혼합용액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티올 화합물을 첨가하여 플라스틱 렌즈를 제조하였다. 즉, 이하와 같이 하여 플라스틱 렌즈를 제조하였다.
플라스크에,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를 원료 전체량에 대해 66.16중량부, 유황(와코순약공업(주)조; 유황화 순도 99wt%)을 3.31중량부 가하여 55℃에서 약 15∼30분간 가열용해시켰다. 그후, 즉시 메티마졸을 0.53중량부 가해 용해시켜, 즉시 혼합물을 25℃까지 냉각하였다. 이것을 "용액 1"로 표시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을 10.71중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시프로화성(주)제 SEES0RB707를 0.35중량부, 내부 이형제로서 산성 인산 에스테르(조호쿠화학공업(주)제 JP-506H)를 0.004중량부, 경화촉매로서 테트라부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를 0.04중량부 더 가하고, 혼합물을 교반용해시켰다.
용해후, 폴리티올 화합물로서 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을 19.29중량부 가하고, 혼합물을 다시 균일 용해시켰다. 다음에, 용액 1을 70중량부 가하고, 혼합물을 거의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4,000Pa의 진공하에서 교반하면서 10분간 탈기후, 구멍 지름 1㎛의 테프론 필터(테프론은 상표)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유리 몰드와 가스켓으로 이루어진 성형몰드에 주입하였다.
이 주입된 성형몰드를 25℃에서 100℃까지 22시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승온하고 100℃에서 1시간 유지하여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종료후, 수지를 서서히 냉각하여, 얻어진 수지를 몰드에서 빼내었다. 얻어진 수지는 백탁하여, 투명성이 떨어졌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의 양을 13.12중량부로 하고, 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의 양을 16.88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동일한 과정을 따랐다. 얻어진 수지는 백탁하여, 투명성이 떨어졌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유황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고 플라스틱 렌즈를 제조하였다. 즉, 이하와 같이 하여 플라스틱 렌즈를 제조하였다.
플라스크에,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를 95중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시프로화성(주)제 SEES0RB707를 0.35중량부, 경화촉매로서 테트라부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를 0.04중량부 가하고, 혼합물을 교반용해시켰다.
용해후, 폴리티올 화합물로서 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을 5.00중량부 가하여, 혼합물을 거의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4000Pa의 진공하에서 교반하면서 10분간 탈기후, 구멍 지름 1㎛의 테프론 필터(테프론은 상표)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유리몰드와 가스켓으로 이루어진 성형몰드에 주입하였다.
이 주입한 몰드를 25℃에서 100℃까지 22시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승온하고 100℃에서 1시간 유지하여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종료후, 수지를 서서히 냉각하여, 얻어진 수지를 몰드에서 빼내었다.
얻어진 수지는, 무색 투명하고, 광학특성도 우수하지만, 인장강도가 28kgf로 낮았다.
[표 1a]
Figure 112004035971968-pat00001
[표 1b]
Figure 112004035971968-pat00002
[표 1c]
Figure 112004035971968-pat00003
EPS: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
EPDS: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디설파이드
mz: 2-머캅토-N-메틸이미다졸
NBDI: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HXDI: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BlMD: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1,4-디티안
CHDI: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XDI: m-크실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DMMD: 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
DMETMP: 1,2-비스(머캅토에틸티오)-3-머캅토프로판
본 발명의 발명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들 특정한 실시예들에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이에 반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모든 대안, 변형물 및 동등물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고굴절률, 고아베수이며, 기계적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 렌즈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는, 안경용 플라스틱 렌즈에 적합하다.

Claims (22)

  1. (1) (a) 혼합물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0.1중량%~10중량%의 유황과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을 혼합하고,
    (b) 유황을 녹이기 위하여 상기 유황과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을 가열하고,
    (c) 유황을 녹인 후 상기 유황과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물에 가황촉진제를 첨가하고,
    (d) 상기 가황촉진제의 첨가 후 유황과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을 30~80℃에서 1~24 시간 동안 반응시켜 얻어지는 프리폴리머와,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3) 폴리티올 화합물의 혼합물을 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티올 화합물에 대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비율이 -SH기/-NCO기의 몰비로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상기 폴리티올 화합물의 합계량이, 혼합물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3중량%∼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를 갖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1,4-디티안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이,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디설파이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 에테르,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메탄, 1,2-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에탄, 1,3-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프로판, 2,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1,4-디티안,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시클로헥산,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벤젠,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설파이드 및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시클로헥실]설파이드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티올 화합물이, 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 비스(머캅토에틸)설파이드, 비스(머캅토에틸)디설파이드, 1,2-비스(머캅토에틸)티오-3-머캅토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머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및 트리머캅토프로판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1,4-디티안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상기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이,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디설파이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 에테르,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메탄, 1,2-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에탄, 1,3-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프로판, 2,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1,4-디티안,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시클로헥산,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벤젠,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설파이드 및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시클로헥실]설파이드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상기 폴리티올 화합물이, 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 비스(머캅토에틸)설파이드, 비스(머캅토에틸)디설파이드, 1,2-비스(머캅토에틸)티오-3-머캅토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머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및 트리머캅토프로판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황은, 비점 120℃ 이하의 불순물이 제거되고, 순도가 98중량% 이상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렌즈는 1.69∼1.72의 굴절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렌즈 상에 경화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피막의 원료가 유기규소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렌즈와 상기 경화피막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피막 상에 무기물질로 이루어진 반사방지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막 상에 불소 원자를 함유한 유기규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발수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17. 제 5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18. 제 6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19. 제 7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20. 제 8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21. 제 1 항에 있어서,
    가황촉진제가 이미다졸계 가황촉진제, 티우람계 가황촉진제 및 구아니진계 가황촉진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가황촉진제가 2-머캅토-N-메틸이미다졸, 이미다졸, N-메틸이미다졸, 2-메틸이미다졸, 4-메틸이미다졸, N-에틸이미다졸, 2-에틸이미다졸, 4-에틸이미다졸, N-부틸이미다졸, 2-부틸이미다졸, 4-부틸이미다졸, N-페닐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N-벤질이미다졸, 2-벤질이미다졸, 2-머캅토이미다졸, 2-머캅토벤즈이미다졸, 테트라메틸티우람 디설파이드, 테타메틸티우람 모노설파이드, 디페닐구아니진 및 디-o-톨릴구아니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인 것을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KR1020040063394A 2003-09-22 2004-08-12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렌즈 KR100615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30285 2003-09-22
JPJP-P-2003-00330285 2003-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678A KR20050029678A (ko) 2005-03-28
KR100615991B1 true KR100615991B1 (ko) 2006-08-28

Family

ID=3419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394A KR100615991B1 (ko) 2003-09-22 2004-08-12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렌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050062932A1 (ko)
EP (1) EP1518873B1 (ko)
JP (1) JP4393831B2 (ko)
KR (1) KR100615991B1 (ko)
CN (1) CN1601306B (ko)
AT (1) ATE519800T1 (ko)
ES (1) ES2371003T3 (ko)
RU (1) RU2275302C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8770A2 (ko) * 2009-05-04 2010-11-11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내열성 및 반응성이 우수한 우레탄계 광학 렌즈용 수지조성물
KR101157497B1 (ko) 2009-05-04 2012-06-20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내열성 및 반응성이 우수한 우레탄계 광학 렌즈용 수지조성물
KR102045150B1 (ko) * 2018-06-21 2019-11-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티올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69709B1 (en) * 2002-06-04 2006-05-03 Hoya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plastic lens and plastic lens
KR100973858B1 (ko) * 2005-04-11 2010-08-03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용수지의 제조 방법
EP1882713B1 (en) * 2005-05-19 2013-07-03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urable composition
FR2887488B1 (fr) * 2005-06-22 2007-09-21 Essilor Int Procede d'obtention d'un article en materiau transparent exempt de raies de surfacage visibles et article obtenu
JP5328348B2 (ja) 2005-06-29 2013-10-30 サンーゴバン アブレイシブ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研磨製品用高性能樹脂
JP4736117B2 (ja) * 2005-09-20 2011-07-27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組成物
JP4783103B2 (ja) * 2005-09-28 2011-09-28 Hoya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4621146B2 (ja) * 2006-01-20 2011-01-26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チオウレタン系重合性組成物およびそれらからなる光学用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490582B (zh) * 2006-07-14 2010-12-08 Hoya株式会社 塑料透镜
JP5275030B2 (ja) * 2006-08-31 2013-08-28 Hoya株式会社 ポリチオウレタン樹脂の製造方法
US8110704B2 (en) * 2006-11-02 2012-02-07 Bayer Materialscience Ll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table polymers
US7970487B2 (en) * 2006-11-30 2011-06-28 National Optronics, Inc. Method of calibrating an ophthalmic processing device, machine programmed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
JP5011004B2 (ja) * 2007-04-13 2012-08-29 タレックス光学工業株式会社 赤外線吸収性眼鏡用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50624B2 (ja) * 2007-04-27 2013-02-20 Hoya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5340937B2 (ja) * 2007-07-25 2013-11-13 Hoya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KR100912886B1 (ko) * 2008-11-05 2009-09-21 (주) 헬만씨엘씨 팔레트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팔레트
CN101984758B (zh) * 2009-02-17 2013-02-20 可奥熙搜路司有限公司 具备优秀耐冲击性的高折射率光学透镜用树脂组合物,利用上述组合物的高折射率光学透镜及其制造方法
CN104017216A (zh) * 2009-05-14 2014-09-0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高折射率高强度光学材料用组合物
WO2011007749A1 (ja) * 2009-07-16 2011-01-20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の製造方法、光学材料および光学レンズ
JP5823220B2 (ja) * 2011-09-12 2015-11-25 Hoya株式会社 ウレタン系光学部材の製造方法
WO2013109119A1 (ko) * 2012-01-20 2013-07-25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티오에폭시계 공중합체 조성물과 티오에폭시계 광학재료의 제조방법
KR101569435B1 (ko) * 2012-03-19 2015-11-16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광학재료의 제조방법
KR101571275B1 (ko) 2012-11-16 2015-11-23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중합성 조성물, 광학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EP3029124B1 (en) * 2013-08-02 2018-10-10 Mitsui Chemicals, Inc.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photochromic optical material
TWI619707B (zh) * 2013-12-11 2018-04-01 Mitsubishi Gas Chemical Co Novel thiol compound and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using the same
US9944029B2 (en) 2014-02-20 2018-04-17 Mitsui Chemicals, Inc.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 material
TWI656155B (zh) 2014-04-14 2019-04-11 日商三菱瓦斯化學股份有限公司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optical material obtained from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JP6306102B2 (ja) * 2016-07-29 2018-04-04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樹脂組成物
JP7296754B2 (ja) * 2019-03-28 2023-06-23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光学部材用重合性組成物、光学部材、及び眼鏡レンズ
JP7296755B2 (ja) * 2019-03-28 2023-06-23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光学部材用樹脂組成物、光学部材、及び眼鏡レンズ
CN111748069B (zh) * 2019-03-29 2022-04-22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树脂组合物及其制备的光学树脂材料
WO2021111830A1 (ja) * 2019-12-06 2021-06-10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プラスチック基材、プラスチックレンズ
CN113444247A (zh) * 2021-06-25 2021-09-28 山东益丰生化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高折射率超韧光学树脂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2902A (ja) * 1997-05-27 1998-12-18 Nippon Ee R C Kk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とその製造方法及びプライマー組成物
JP2001002933A (ja) * 1999-04-23 2001-01-09 Mitsubishi Gas Chem Co Inc 光学材料用組成物
JP3547662B2 (ja) * 1999-09-20 2004-07-28 Hoya株式会社 紫外線吸収性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眼鏡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CA2337955C (en) * 2000-03-15 2006-07-25 Hoya Corporation Plastic lenses for spectacles
JP2001290002A (ja) * 2000-04-04 2001-10-19 Sony Corp 表示装置用反射防止フィルター
WO2002004992A1 (fr) * 2000-07-11 2002-01-17 Teijin Chemicals, Ltd Verre organique
JP4561946B2 (ja) * 2000-09-14 2010-10-1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組成物
JP3562579B2 (ja) * 2000-10-13 2004-09-0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組成物
JP2003139908A (ja) * 2001-11-07 2003-05-14 Lintec Corp 光学用フィルム
DE60308080T2 (de) * 2002-03-28 2006-12-21 Hoya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unststofflinse, und Kunststofflinse
EP1369709B1 (en) * 2002-06-04 2006-05-03 Hoya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plastic lens and plastic le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8770A2 (ko) * 2009-05-04 2010-11-11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내열성 및 반응성이 우수한 우레탄계 광학 렌즈용 수지조성물
WO2010128770A3 (ko) * 2009-05-04 2011-03-10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내열성 및 반응성이 우수한 우레탄계 광학 렌즈용 수지조성물
KR101157497B1 (ko) 2009-05-04 2012-06-20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내열성 및 반응성이 우수한 우레탄계 광학 렌즈용 수지조성물
KR102045150B1 (ko) * 2018-06-21 2019-11-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티올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71003T3 (es) 2011-12-26
JP4393831B2 (ja) 2010-01-06
JP2005121679A (ja) 2005-05-12
CN1601306A (zh) 2005-03-30
RU2275302C1 (ru) 2006-04-27
CN1601306B (zh) 2010-10-13
KR20050029678A (ko) 2005-03-28
EP1518873A3 (en) 2005-06-15
EP1518873A2 (en) 2005-03-30
US20050062932A1 (en) 2005-03-24
RU2004128234A (ru) 2006-03-10
ATE519800T1 (de) 2011-08-15
EP1518873B1 (en) 2011-08-10
US20100093970A1 (en)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5991B1 (ko)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렌즈
US6743886B2 (en) Plastic lenses for spectacles
EP2144092B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plastic lens
KR100566035B1 (ko)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렌즈
KR101877590B1 (ko) 광학 재료용 조성물
US11021563B2 (en) Method for producing resin for optical component, resin for optical component,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JP4298560B2 (ja) 硫黄含有プレポリマーの製造方法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EP1348726B1 (en) Process for producing plastic lens and plastic lens
WO2012112015A2 (ko) 고리개환을 통해 사슬연장된 폴리티올화합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우레탄계 광학재료용 수지 조성물
JP3866671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CN109843957B (zh) 光学构件用树脂的制造方法、光学构件用树脂、眼镜镜片及眼镜
US20230116314A1 (en) Spectacle lens
US20230111587A1 (en) Spectacle lens
EP4224244A1 (en) Eyeglass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