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855B1 - 점착코팅층을 갖는 휴대폰용 엘시디 보호커버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착코팅층을 갖는 휴대폰용 엘시디 보호커버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855B1
KR100614855B1 KR1020060020438A KR20060020438A KR100614855B1 KR 100614855 B1 KR100614855 B1 KR 100614855B1 KR 1020060020438 A KR1020060020438 A KR 1020060020438A KR 20060020438 A KR20060020438 A KR 20060020438A KR 100614855 B1 KR100614855 B1 KR 100614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ating layer
adhesive coating
protective cover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응순
Original Assignee
이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응순 filed Critical 이응순
Priority to KR1020060020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2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by surface treatment, e.g. by ir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 장치)를 외부 긁힘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박판상의 유리기재의 일면에 인쇄층을 형성하고, 그 인쇄층을 포함한 하부 전면에 스프레이 또는 롤러방식을 이용하여 연질 신축상의 코팅층을 형성한 휴대폰용 LCD 보호커버를 완성함으로서,
초박형 유리재로 된 보호커버에 의해 초슬림형 휴대폰의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유리재가 갖는 고광택 및 고도의 선명도를 통해 LCD의 보다 선명한 디스플레이를 가능케 하는 것이며, 충격이 가해져 그 보호커버가 깨지더라도 하부 점착코팅층에 의해 조각난 유리가 부서지거나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안전사고 및 기기 손상을 방지하는 특징을 갖는 점착코팅층을 갖는 휴대폰용 LCD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휴대폰, LCD, 보호커버, 유리, 인쇄층, 점착코팅층

Description

점착코팅층을 갖는 휴대폰용 엘시디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 {LCD cover for mobile phone having adhesive coated lay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LCD 보호커버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LCD 보호커버의 측단면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LCD 보호커버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LCD 보호커버의 제조공정별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유리기재 2 : 인쇄층
3 : 점착코팅층
10 : 휴대폰
본 발명은 휴대폰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 장치)를 외부 긁힘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 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극히 얇은 두께로 제작이 가능한 유리박판의 일면에 인쇄층 및 연질의 점착코팅층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유리재가 갖는 초박형의 보호커버는 물론 선명도와 매끄러운 표면도를 제공하면서도 파손시에도 유리가 비산되거나 흩어지지 아니하므로 보다 안전한 사용을 가능케 하는 점착코팅층을 갖는 휴대폰용 LCD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휴대폰은 단순한 통신수단이 아니라 개인의 일상 생활을 영위케 하는 하나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휴대폰의 다양한 기능 및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한 전자산업이 대두되고 있고 또한 각광을 받고 있으므로 상기 휴대폰에 의한 생산성 및 경제력은 실로 막대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휴대폰은 통상적으로 케이싱의 내부에 회로기판이 내장되고 그 회로기판으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결과물은 케이싱 전면의 LCD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상기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 장치)는 휴대폰과 유저 간의 상호 작용을 이해케 하는 중요한 수단인 것이며, 입력 및 출력시 반드시 필요한 구성품이기도 하며, 점차 휴대폰의 고급화 및 다기능화가 이루어지면서 상기한 LCD의 크기 또한 비례적으로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LCD는 외부 충격에 매우 민감하면서도 취약하여, 외부로부터 직접 충격 또는 간접 충격을 받는 경우 액정이 터지거나 균열이 발생하 여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고가의 LCD를 유상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으므로 근래에 출시되는 대부분의 휴대폰에는 상기한 LCD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 부재가 내장된 상태로 개발 및 출시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휴대폰 LCD의 커버 부재는 통상적으로 0.8~1.0mm의 두께를 갖는 아크릴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재로 된 합성수지를 사출 형성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아크릴재 및 폴리카보네이트재로 된 LCD 보호커버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거나 그 LCD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사출 성형되거나 합성수지에 의해 만들어진 LCD 보호커버는 수지가 갖는 성형상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극히 얇은 두께로의 제작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갖게 된다,
즉,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하기 위해서는 용융상의 수지가 형틀의 내부로 흘러들어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지 경화되어 배출되는 것으로서, 점도가 매우 높은 용융상의 수지를 박판 형태로 제작하는 데에는 그 수지의 흐름상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통상적으로 1.0mm의 두께를 그 한계점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두께를 갖는 LCD 보호커버를 기준으로 휴대폰을 설계하여야 하므로 실제 LCD의 위치는 휴대폰의 표면으로부터 1.0mm 이상의 깊이로 내장된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보호커버의 두께 및 LCD의 위치는 최근의 휴대폰 추세인 초슬림형 휴대폰을 개발하는데 많은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초슬림형 휴대폰은 통상적으로 1cm 이하의 두께까지 개발되어 출시된 상태이고 기술력이 진보됨에 따라 더욱 얇아질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호커버의 제한적인 두께에 의해 불필요한 두께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이와 같은 보호커버가 차지하는 두께는 인쇄층 및 접착층을 포함하여 1.0mm 이상이므로 이에 따른 상당한 단면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LCD 보호커버는 주지한 바와 같이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한 것으로서, 이들 보호커버는 상기 합성수지재가 갖는 재질의 특성에 의해 고도의 선명도를 얻지 못하게 되므로 눈의 피로감이나 LCD 본연의 색감 및 선명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된 보호커버는 신축성을 갖고 있어 약간의 가압력이나 눌림현상에 의해 그 LCD 화면이 일그러져 보이거나 액정 자체가 파손될 우려가 있는 것이며, 아크릴재로 된 보호커버의 경우 파손시 조각상태로 비산되거나 흩어지는 재질적 특성을 갖고 있어 이들 조각의 파편들에 의해 LCD를 훼손시키거나 사용자의 부상 또는 내부 회로기판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초박판상의 유리기재의 일면에 인쇄층을 형성하고, 그 인쇄층을 포함한 하부 전면에 스프레이 또는 롤러방식을 이용하여 연질 신축상의 점착코팅층을 형성하여 휴대폰용 LCD 보호커버를 완성함으로서,
초박형 유리재로 된 보호커버에 의해 초슬림형 휴대폰의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유리재가 갖는 고광택 및 고도의 선명도를 통해 LCD의 보다 선명한 디스플레이를 가능케 하는 것이며, 충격이 가해져 그 보호커버가 깨지더라도 하부 점착코팅층에 의해 조각난 유리가 부서지거나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안전사고 및 기기 손상을 방지하는 특징을 갖는 점착코팅층을 갖는 휴대폰용 LCD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LCD 보호커버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LCD 보호커버의 측단면 확대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LCD 보호커버는,
박막 형태로 된 유리기재(1)의 하부면에 인쇄층(2)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층(2)을 포함한 유리기재(1)의 하부 전면에는 점착코팅층(3)을 형성하되,
상기 유리기재(1)의 두께는 성형 가능한 두께로부터 최대 0.5mm 이하가 되게 하고, 상기 점착코팅층(3)은 유리기재(1)의 하부 전면에 점착되어 연질의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한 인쇄층(2)은 휴대폰의 제조사 또는 제품명, 서비스 공급자 등을 표시하거나, 기타 다양한 색상의 도안 및 홀로그램 등을 함께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점착코팅층(3)은 완전 경화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 에폭시 수지나 실리콘 수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스프레이 방식의 도포 및 도포 롤러를 통과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보호커버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휴대폰(10)의 조립과정에서 그 내부의 LCD 상부면과 보호커버의 점착코팅층(3)이 서로 면접되도록 조립 완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휴대폰의 LCD 보호커버의 제조방법을 그 공정별 단계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보호커버의 제조과정을 표시한 공정별 블럭도로서, 먼저 유리재로서 성형 가능한 최소한의 두께로부터 최대 0.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박막상의 유리기재 원판을, 휴대폰의 규격과 알맞도록 소정의 셋팅된 크기로 절단하는 컷팅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컷팅공정은 유리재를 절단할 수 있는 주지된 다양한 컷팅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컷팅된 기재는 기계화 작업에 의해 컷팅된 상태이므로 그 모서 리 부분이 날카롭거나 유해한 버(Burr) 등을 갖고 있을 수 있으므로 이들을 제거하기 위한 제1연마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연마공정에서는 컷팅된 기재의 테두리에 형성된 버 혹은 유해한 모서리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 된다.
이와 같이 제1연마공정이 완료된 기재는 그 기재의 제조공정 및 운반, 컷팅, 연마공정 중에서 그 기재의 표면에 미세한 스크래치가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스크래치는 휴대폰의 상품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선명도 및 투명도를 저해하는 원인이 되므로 상기 기재의 상,하 전표면을 미세한 연마재에 의해 갈아내는 제2연마공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2연마공정은 상기한 기재의 표면을 극미립자상의 연마재에 의해 고광택으로 연마하는 것으로 상기한 기재의 표면에 발생된 미세한 스크래치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인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의 연마공정을 거친 기재는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보다 높은 내구성 및 강도를 갖도록 처리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유리의 경우 열처리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열에 민감한 특성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가열을 이용한 열처리를 통해 더욱 강화된 특성을 갖는 기재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열처리된 기재는 연마 및 열처리 과정에서 이물질이나 오물 등이 잔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법 즉, 흐르는 물에 세척을 하거나 초음파 등을 이용한 세척 등의 방법으로 그 기재의 전표면을 청결하게 소제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무결하게 소제된 기재의 일면에는 주지한 바와 같이 휴대폰(10)의 모델명이나 제조회사 또는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의 로고 및 문자 등을 실크 인쇄 및 홀로그램 스태핑방식 등을 이용하여 인쇄하고, 그 인쇄 내용을 포함한 기재의 테두리에는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을 갖는 배경 테두리부를 인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인쇄공정은 휴대폰의 디자인이나 특성에 따라 실시하지 아니할 수도 있는 것으로, 제조사 및 서비스 업자의 표시 기호 및 로고 등을 휴대폰의 케이싱에 직접 인쇄한 경우에는 상기 보호커버에 인쇄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때에는 상기 인쇄공정을 거치지 아니하고 바로 다음 공정으로 진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인쇄공정을 통해 완성된 기재는 그 인쇄층(2)이 형성된 일측 전면에 연질 신축상의 점착코팅층(3)을 형성하여 이에 의해 기재의 내구성 향상은 물론 파손시 유리 조각이 비산되거나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한 점착코팅층(3)은 에폭시 수지나 실리콘 수지 또는 고분자 겔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들 소재의 특성은 완전 경화되지 아니하면서도 연질이면서 신축성을 갖는 특성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소재를 상기 기재의 일측 전면에 도포 형성하여 이에 의한 점착코팅층(3)을 형성하면 되는 것인데, 상기 점착코팅층(3)은 스프레이 방식을 통하거나 액상 수지에 침전된 도포롤러를 이용한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그 도포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점착코팅층이 형성된 상태의 기재는 휴대폰(10)의 LCD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로 사용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상기 휴대폰의 조립과정에서 그 케이싱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그 내부의 LCD로부터 출력되는 결과물을 보다 선명하게 투시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보호커버를 실제 휴대폰의 조립과정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점착코팅층(3)의 하부 가장자리에 양면테이프 등을 시공함으로서 이를 이용하여 휴대폰 케이스 내부에 부착하거나 LCD 미사용 전면부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유리기재(1)의 점착코팅층(3)이 LCD의 상부면과 면접되도록 휴대폰(10)을 조립 형성하게 되면 상기 유리기재(1)의 특성에 의해 보다 뛰어난 선명도 및 광택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점착코팅층(3)은 유리기재(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그 유리기재(1)가 깨질 경우에도 그 유리조각이 비산되거나 흩어지지 않게 하는 점성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점착코팅층을 갖는 휴대폰용 LCD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은, 초박형 유리재로 된 보호커버에 의해 초슬림형 휴대폰의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유리재가 갖는 고광택 및 고도의 선명도를 통해 LCD의 보다 선명한 디스플레이를 가능케 하는 것이며, 충격이 가해져 그 보호커버가 깨지더라도 하부 점착코팅층에 의해 조각난 유리가 부서지거나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안전사고 및 기기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박막 형태로 된 유리기재(1)의 하부면에 인쇄층(2)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층(2)을 포함한 유리기재(1)의 하부 전면에는 점착코팅층(3)을 형성하되,
    상기 유리기재(1)의 두께는 성형 가능한 두께로부터 최대 0.5mm 이하가 되게 하고, 상기 점착코팅층(3)은 유리기재(1)의 하부 전면에 점착되어 연질의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코팅층을 갖는 휴대폰용 LCD 보호커버.
  2. 전체 면이 투명하고, 두께가 0.5mm 이하 정도의 얇은 두께를 갖는 박막형태의 유리기재(1) 하부 전면으로 연질의 신축성을 갖는 점착코팅층(3)을 직접 점착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코팅층을 갖는 휴대폰용 LCD 보호커버.
  3. 박막상의 유리기재 원판을 소정의 셋팅된 크기로 절단하는 컷팅공정과;
    절단된 기재의 테두리를 연마하여 유해한 결함 및 모서리를 제거하는 제1연마공정과;
    상기 기재의 표면을 고광택 연마하여 미세한 스크래치를 제거하는 제2연마공정과;
    상기 연마된 기재를 가열하는 열처리공정과;
    열처리 된 기재를 세척하는 소제공정과;
    세척된 기재의 일면 가장자리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인쇄공정과;
    상기 인쇄층을 포함한 기재의 일면 전체에 연질의 신축성을 갖는 수지를 이용하여 박막 형태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점착코팅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점착코팅층이 휴대폰의 LCD에 직접 면접되어 조립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코팅층을 갖는 휴대폰용 LCD 보호커버 제조방법.
  4. 박막상의 유리기재 원판을 셋팅된 크기로 절단하는 컷팅공정을 수행하고, 절단된 기재의 테두리를 연마하는 제1연마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기재의 표면을 고광택 연마하여 미세한 스크래치를 제거하는 제2연마공정을 수행하고, 연마된 기재를 가열하는 열처리공정을 수행하며, 열처리 된 기재를 세척하는 소제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박막형태의 투명기재 일면 전체에 연질의 신축성을 갖는 수지를 직접 점착 코팅하여 기재 전체의 투명성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코팅층을 갖는 휴대폰용 LCD 보호커버 제조방법.
KR1020060020438A 2006-03-03 2006-03-03 점착코팅층을 갖는 휴대폰용 엘시디 보호커버 및 그제조방법 KR100614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438A KR100614855B1 (ko) 2006-03-03 2006-03-03 점착코팅층을 갖는 휴대폰용 엘시디 보호커버 및 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438A KR100614855B1 (ko) 2006-03-03 2006-03-03 점착코팅층을 갖는 휴대폰용 엘시디 보호커버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4855B1 true KR100614855B1 (ko) 2006-08-22

Family

ID=3760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438A KR100614855B1 (ko) 2006-03-03 2006-03-03 점착코팅층을 갖는 휴대폰용 엘시디 보호커버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85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381B1 (ko) * 2009-07-01 2010-03-08 강용호 모바일기기 표시창용 아이콘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기기 표시창 및 모바일기기
KR101136043B1 (ko) 2010-02-02 2012-04-18 (주)에스알 아이텍 강화유리의 지문방지 코팅방법
KR101256677B1 (ko) 2006-08-29 2013-04-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35386A (ko) * 2011-05-04 2013-12-10 애플 인크. 감소된 경계 영역을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용 하우징
KR101472477B1 (ko) * 2012-11-21 2014-12-12 김영수 터치 스크린 패널 보호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72921A (ko) * 2014-10-22 2017-06-27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충격 파단에 대하여 커버 기판의 신뢰성을 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633B1 (ko) 1996-06-26 1999-08-02 구자홍 보호막이 형성된 박형 유리기판이 적용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633B1 (ko) 1996-06-26 1999-08-02 구자홍 보호막이 형성된 박형 유리기판이 적용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677B1 (ko) 2006-08-29 2013-04-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45381B1 (ko) * 2009-07-01 2010-03-08 강용호 모바일기기 표시창용 아이콘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기기 표시창 및 모바일기기
KR101136043B1 (ko) 2010-02-02 2012-04-18 (주)에스알 아이텍 강화유리의 지문방지 코팅방법
KR20130135386A (ko) * 2011-05-04 2013-12-10 애플 인크. 감소된 경계 영역을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용 하우징
US9128666B2 (en) 2011-05-04 2015-09-08 Apple Inc. Housing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duced border region
KR101627024B1 (ko) 2011-05-04 2016-06-03 애플 인크. 감소된 경계 영역을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용 하우징
KR101472477B1 (ko) * 2012-11-21 2014-12-12 김영수 터치 스크린 패널 보호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72921A (ko) * 2014-10-22 2017-06-27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충격 파단에 대하여 커버 기판의 신뢰성을 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7533167A (ja) * 2014-10-22 2017-11-09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衝撃破壊に対するカバー基材の信頼性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0590032B2 (en) 2014-10-22 2020-03-17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cover substrate against impact fractures
KR102591608B1 (ko) * 2014-10-22 2023-10-1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충격 파단에 대하여 커버 기판의 신뢰성을 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855B1 (ko) 점착코팅층을 갖는 휴대폰용 엘시디 보호커버 및 그제조방법
US20150169089A1 (en) Surface Protection Film and Method of Making a Protection Film for a Touch Screen
JP4940215B2 (ja) 表示機器および表示機器の製造方法
CN109791449B (zh) 包含用于调节装卸的微小突起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6294967B2 (ja) 電子機器
TWI600358B (zh) 邊緣附加護甲之顯示器覆蓋板
KR20140142904A (ko) 디스플레이용 커버 시트
KR20140142633A (ko) 커버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008973A (ja) 液晶表示装置
CN113613444B (zh) 壳体、其制备方法及电子设备
CN105245648A (zh) 2.5d玻璃处理工艺、手机玻璃屏结构及手机
KR20100090975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상기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보호 기판의 제조 방법
KR20150042092A (ko) 윈도우 패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140010765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보호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TW201437039A (zh) 透明面材及使用其之顯示裝置
KR20120139407A (ko) 터치스크린용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터치스크린용 데코레이션 필름
KR101461611B1 (ko) 패널 보호용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8795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부재 및 그 제작 방법
JP6488904B2 (ja) カバーガラス、カバーガラス付き表示装置および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
KR101798759B1 (ko) 곡면부를 가진 휴대기기에 부착되는 보호시트 모듈, 이를 이용한 보호시트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보호시트
JP2016196383A (ja) 表示画面保護用ガラス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携帯端末
JP6739565B2 (ja) 画像表示装置
KR101693045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70059686A (ko) 테두리 라운드형 화면 보호필름
JP2001222230A (ja) 表示装置用カバーレンズの製造方法、表示装置用カバーレンズ、カバーレンズ付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61228

Effective date: 200711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213

Effective date: 200711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