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0975A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상기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보호 기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상기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보호 기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90975A KR20100090975A KR1020090010230A KR20090010230A KR20100090975A KR 20100090975 A KR20100090975 A KR 20100090975A KR 1020090010230 A KR1020090010230 A KR 1020090010230A KR 20090010230 A KR20090010230 A KR 20090010230A KR 20100090975 A KR20100090975 A KR 201000909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ective substrate
- display device
- ink
- ink layer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75—Displays, monitors, TV-sets, computer scree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가시성이 향상되고, 제작이 쉬우며 불량이 적은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상기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보호 기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일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보호 기판과 상기 홈에 안착되며, 상기 표시 영역에 접하는 제 1 면과 상기 보호 기판에 접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중간 층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상기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보호 기판의 제조 방법 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표시 장치로 브라운관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그리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등이 있다. 사용상 충격 또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표시 패널을 보호할 필요성이 있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앞에 투명한 재질의 보호 기판을 배치한다. 이러한 보호 기판은 표시 패널이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보호 기판과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이 서로 떨어져있으면 보호 기판과 표시 패널 사이에 공기 층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보호 기판과 표시 패널의 굴절률은 서로 비슷하지만 공기의 굴절률은 상대적으로 낮다. 스넬의 법칙에 의하면 굴절률이 서로 다른 두 물질이 접해있는 경우 두 물질을 통과하는 광의 일부는 두 물질의 경계 면에서 반사되어 경계 면을 통과하지 못한다. 특히 서로 접해있는 두 물질의 굴절률 차가 클수록 반사되는 광의 양은 증가한다. 보호 기판과 표시 패널 사이에 공기 층이 형성되어 있으면 표시 패널로부터 보호 기판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광의 일부는 표시 패널과 공기 층, 그리고 공기 층과 보호 기판의 경계 면에서 각각 반사되어 보호 기판의 외부로 통과되지 못한다. 이러한 현상은 표시 장치의 가시성을 저하시킨다.
최근 들어 보호 기판을 적용한 표시 장치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공기 층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표시 패널과 보호 기판 사이에 투명한 재질의 필름을 배치하고 필름의 두 면이 표시 패널 및 보호 기판에 각각 밀착되도록 하여 공기 층을 없애는 구조와, 표시 패널과 보호 기판 사이의 공간을 수지로 채우는 방법이 있다. 이때, 표시 패널, 보호 기판 그리고 그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필름 또는 수지는 굴절률이 서로 같거나 유사한 물질을 적용한다. 이러한 구조는 각 부재간의 경계 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최소화하여 표시 장치의 가시성을 향상 시킨다. 그러나, 보호 필름은 표시 장치 제조 공정 진행 시 보호 기판상에서 쉽게 밀려서 위치가 틀어지거나, 또한 모서리 부분이 보호 기판으로부터 쉽게 떨어질 수 있다. 수지의 경우 제조 공정 진행 시 액체 상태로 유동성이 크기 때문에 보호 기판 밖으로 흘러나올 수 있으며, 균일한 두께의 층을 형성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시성이 향상되고, 제작이 쉬우며 불량이 적은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시성이 향상되고, 제작이 쉬우며 불량이 적은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보호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일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보호 기판과 상기 홈에 안착되며, 상기 표시 영역에 접하는 제 1 면과 상기 보호 기판에 접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중간 층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홈의 테두리는 상기 보호 기판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내부로 함몰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층은 투명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름의 두께는 상기 단차부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단차부는 상기 필름의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을 연결하는 일측면을 바라볼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 층은 수지를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보호 기판과 상기 표시 영역에 접하는 제 1 면과 상기 보호기판에 접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중간 층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기판은 상기 표시 모듈을 바라보는 일면에 도포되며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 1 잉크 층과 상기 제 1 잉크 층위에 도포되며 상기 제 1 개구부 보다 면적이 큰 제 2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 2 잉크 층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잉크 층의 상기 제 1 개구부의 주변영역은 상기 제 2 잉크 층이 덮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중간 층은 투명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름의 테두리는 상기 제 1 잉크 층의 상기 제 1 개구부의 주변영역 위에 놓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름의 측면은 상기 제 2 개구부를 둘러싸는 상기 제 2 잉크 층의 내벽을 바라볼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 층은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보호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제 1 잉크를 상기 보호 기판의 일면에 도포하여 제 1 잉크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잉크 층위에 제 2 잉크를 도포하여 제 2 잉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 기판의 일면에 중간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간 층에 표시 모듈의 표시 영역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잉크 층은 상기 표시 모듈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잉크 층은 상기 제 1 개구부 보다 면적이 큰 제 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잉크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제 1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 1 차단부재로 덮는 단계, 상기 제 1 차단 부재가 덮인 상기 보호 기판의 일면에 상기 제 1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잉크가 도포된 제 1 차단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잉크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잉크가 도포된 상기 보호 기판의 일면에 상기 제 2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 2 차단부재로 덮는 단계, 상기 제 2 차단부재가 덮인 상기 보호 기판의 일면에 상기 제 2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잉크가 도포된 제 2 차단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중간 층이 상기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제 1 잉크 층의 상기 제 1 개구부의 주변영역을 덮으며, 상기 제 2 개구부를 둘러싸는 상기 제 2 잉크 층의 내면을 바라보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기판의 제조방법은 보호 기판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내부가 비어있고, 내면에는 돌기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몰드를 준비하고, 상기 몰드의 내부에 용융된 플라스틱을 고압으로 주입하고, 주입된 플라스틱을 냉각시키고, 냉각된 플라스틱을 상기 몰드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돌기 형상에 대응되는 부분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보호 기판을 형성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 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사시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따르면, 표시 장치(1000)는 표시 모듈(100), 상부 케이스(200), 하부 케이스(300), 보호 기판(400) 및 투명 필름(500)을 포함한다.
표시 모듈(100)은 액정 표시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몰드 프레임(130), 그리고 수납용기(140)을 포함 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광을 액정 표시 패널(110)로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몰드 프레임(130)과 수납용기(140)는 백라이트 유 닛(120)과 액정 표시 패널(110)을 수납한다. 액정 표시 패널(110) 및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판은 수납용기(14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표시 모듈(10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나 플라즈마 표시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로 대체 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200)과 하부 케이스(300)는 서로 결합하여 표시 모듈(100)을 수납한다. 상부 케이스(200)는 표시 모듈(100)의 표시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 기판(400)은 상부 케이스(200)의 개구부에 놓인다. 구체적으로, 보호 기판(400)은 상부 케이스(200)의 전면부(201)에 형성되어 있는 홈(210)에 안착된다. 상부 케이스(200)의 홈(210)은 상부 케이스(200)의 개구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홈은 상부 케이스(200)의 후면부(20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보호 기판(400)의 주변부는 상부 케이스(200)의 홈(210)에 부착되어, 보호 기판(400)이 상부 케이스(200)에 고정된다. 보호 기판(400)은 상부 케이스(200)의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한다. 보호 기판(400)은 플라스틱 또는 유리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호 기판(400) 유연성과 탄성이 좋은 필름타입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투명 필름(500)은 표시 모듈(100)의 표시 영역(101)과 보호 기판(400) 사이의 공기 층을 없애기 위해 보호 기판(400)의 후면(402)과 표시 모듈(100)의 전면에 부착된다. 보호 기판(400)에는 투명 필름(500)이 부착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홈(410)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홈(410)은 보호 기판(400)의 표면으로부터 내부 방 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어 홈(410)의 바닥면과 보호 기판(400)의 표면은 단차를 가지며, 홈(410)의 바닥면과 표면을 연결하는 단차부(410)를 포함한다.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시 모듈과 보호 기판 사이에 중간 층으로써 투명한 필름을 배치하여 공기층을 제거하는 구조는 까다로운 공정을 필요로 하며, 각종 불량에 노출되기 쉽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홈(410)이 없는 종래의 보호 기판의 경우, 표시 장치의 조립공정에서 상기 중간 층을 구성하는 필름을 보호 기판에 부착하는 공정에서, 보호 기판 자체에 필름을 가이드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필름이 보호 기판에서 정확한 위치에 부착되게 하기 위해서 정렬용 지그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이용해서 필름을 부착한다. 별도의 정렬장치의 사용은 장치의 추가로 인한 비용증가 및 공정시간의 증가를 수반한다. 또한, 필름 자체가 가지는 연성에 의해서 필름이 보호 기판에 부착된 후에도 보호 기판의 면을 따라 원하지 않는 위치로 밀리거나 미끄러질 수 있다.
조립공정에서는 본격적인 조립공정단계가 시작되기 전에 미리 유닛별로 관련부품들을 조립해두면 실질적인 조립공정을 단순화 하는데 도움이 된다. 표시 장치의 조립공정에서 중간 층을 구성하는 필름을 미리 보호 기판에 부착해 놓은 후 본격적인 조립공정에서는 표시 모듈만 더 부착하도록 하여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필름의 연성 특성은 공정 진행시 필름의 밀림현상을 유발할 수 있고,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하며 외부와의 접촉 등의 위험에 쉽게 노출되는 필름의 모서리부는 보호 기판으로부터 쉽게 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불량이 발생하면 필름을 보호 기판으로부터 때어내고 다시 정렬 하여 붙여야 한다. 또한, 대개의 필름은 복원력이 한계가 있기 때문에 여러 회 재 작업 할 수 없다. 또한 필름의 접착력 또한 재 작업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떨어진다. 따라서 새로운 필름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는 비용증가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에서 사용되는 보호 기판(400)은 홈(410)을 포함하며, 투명 필름(500)은 홈(410)에 안착된다. 홈(410)의 깊이에 대응되는 단차부(420)의 두께는 투명 필름(500)의 두께보다 작아서, 투명 필름(500)은 보호 기판(400)의 표면보다 외부로 돌출되며, 이로써 투명 필름(500)은 보호 기판(400)의 간섭 없이 표시 모듈(100)에 부착될 수 있다. 단차부(420)는 투명 필름(500)의 측면을 바라본다. 단차부(420)는 투명 필름(500)을 보호 기판(400)에 부착할 때 가이드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단차부(420)는 투명 필름(500)을 부착하는 기준선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정렬작업을 간소화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정렬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하므로 조립공정이 빠르게 단순하게 진행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된다.
단차부(420)는 투명 필름(500)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방어벽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투명 필름(500)은 단차부(420)에 의해 정의되는 경계구간을 벗어나지 않는다. 외부의 힘에 의해서 투명 필름(500)이 밀릴 때 투명필름(500)의 측면이 단차부(420)에 접하면 단차부(420)는 투명 필름(500)을 밀어내는 힘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저항하는 힘을 투명필름(500)의 측면에 제공함으로써 투명 필름(500)이 더 이상 밀리지 않도록 한다.
단차부(420)는 투명 필름(500)의 측면의 일부를 커버하여 투명 필름(500)의 측면이 외부의 물질과 의도하지 않게 접촉할 가능성을 낮춘다. 예를 들어, 조립공정이 진행할 때 투명 필름(500)의 모서리가 작업자의 손이나 조립설비 등에 닿으면 투명 필름(500)의 모서리부 일부가 보호 기판(400)으로부터 떨어져 나갈 수 있으며 이는 곧 불량으로 이어진다. 이때, 단차부(420)는 투명 필름(500)의 모서리를 일부 감싸서 외부 물질과의 접촉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 기판(400)의 홈(420)은 표시 장치(1000)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즉, 전체적인 표시 장치(1000)의 두께에 있어서 투명 필름(500)에 의해 증가될 수 있는 두께를 홈(420)의 깊이만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는 슬림형 표시 장치의 경우 두께를 얇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보호 기판(400)은 사출 성형을 통해서 제조될 수 있다. 사출 성형은 용융된 플라스틱을 보호 기판(4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몰드를 준비하고, 상기 몰드의 내부에 용융된 플라스틱을 고압으로 주입한 후 냉각시킨 다음, 냉각된 사출물을 몰드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보호 기판(400)의 홈(410)은, 몰드의 내부에 보호 기판(400)의 홈(410)의 형상에 대응하는 돌기를 만들어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홈이 없는 형태의 보호 기판(400)을 제작한 후 보호 기판(400)의 외면을 깎아내어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특히, 보호 기판의 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따르면, 보호 기판(400)의 후면에는 복수의 잉크 층(430)이 형성되어 있다. 잉크 층(430)은 특히 표시 장치의 외관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하다. 보호 기판(400)은 투명하기 때문에 표시 모듈(100)의 표시 영역 이외의 부분이 보호 기판(400)을 통해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영역 이외의 주변부를 잉크 층(430)을 통해서 가릴 수 있다.
잉크 층(430)은 보호 기판(400)의 후면에 도포된 제 1 잉크 층(431)과 제 1 잉크 층(431) 위에 도포된 제 2 잉크 층(432)을 포함한다. 제 1 잉크 층(431)과 제 2 잉크 층(432)은 개구부를 포함한다. 제 1 잉크 층(431)의 개구부는 제 2 잉크 층(432)의 개구부 보다 작아서 제 1 잉크 층(431)의 개구부의 주변부 즉, 제 1 잉크 층(431)의 개구부에 인접한 제 1 잉크 층(431) 영역은 제 2 잉크 층(432)에 의해서 덮여지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이와 같이 제2 잉크 층(432)에 의해 덮여지지 않은 제1 잉크 층(431)의 일부 영역을, 제1 잉크 층 영역(433)이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기판(400)을 준비하고, 제 1 잉크를 보호 기판(400)의 일면에 도포하여 제 1 잉크 층(431)을 형성하고, 제 1 잉크 층(431) 위에 제 2 잉크를 도포하여 제 2 잉크 층(432)을 형성하고, 보호 기판(400)의 일면에 투명 필름(500)을 형성하고, 투명 필름(500)에 표시 모듈(100)의 표시 영역을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제 1 잉크 층(431)에 제1 개구부는 다음과 같이 형성할 수 있다. 보호 기판의 일면에서 제 1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 1 차단부재(미도시)로 덮고, 제 1 차단부재가 덮인 보호 기판(400)의 일면에 제 1 잉크를 도포하고, 제 1 잉크 가 도포된 제 1 차단부재를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잉크 층(432)에 제2 개구부는 다음과 같이 형성할 수 있다. 제 1 잉크가 도포된 보호 기판(400)의 일면에 제 2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 2 차단부재로 덮고, 제 2 차단부재가 덮인 보호 기판(400)의 일면에 제 2 잉크를 도포하고, 제 2 잉크가 도포된 제 2 차단부재를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잉크 층은 일반적으로 5 마이크로미터에서 1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두께를 가진다. 이러한 얇은 두께의 잉크 층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잉크 층은 뚫림 불량과 스크래치 불량 등에 취약하다. 뚫림 불량은 보호 기판에 미세한 크기의 이물질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잉크가 도포되고 그 후에 이물질이 이물질 상면에 도포된 잉크와 함께 떨어져 나가면 그 영역은 잉크가 도포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서 발생하는 불량이고, 스크래치 불량은 단단하지 않으며 얇은 잉크 층이 외부물질과의 접촉했을 때 발생하기 쉬운 불량이다. 이러한 불량은 외부에서 쉽게 시인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외관 특성을 저하 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따르면, 제 2 잉크 층(432)은 제 1 잉크 층(431)의 위에 도포되어 제 1 잉크 층(431)을 보호한다. 또한, 제 2 잉크 층(432)은 도포되는 과정에서 뚫림 불량 또는 스크래치 불량 등에 의해서 손상된 부위를 메운다. 이때, 제 2 잉크 층(432)이 도포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뚫림 불량 또는 스크래치 불량은 제 1 잉크 층(431)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보호 기판(400)을 통해서 보호 기판(400)의 후면과 접하는 제 1 잉크 층(431)의 도포된 면을 바라보는 외부에서는 제 2 잉크 층(432)에 형성되는 불량이 시인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2 잉크 층(432)은 표시 장치의 외관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투명 필름(500)은 보호 기판(400)의 후면(402)와 표시 모듈(100)의 전면에 부착되어 표시 모듈(100)과 보호 기판(400)사이의 공기 층을 제거한다. 투명 필름(400)의 테두리부는 제 1 잉크 층(431)의 개구부에 인접한 제 1 잉크 층 영역(433)의 상부에 놓인다. 투명 필름(400)의 테두리부가 놓이는 상기 제 1 잉크 층 영역(433)은 제 2 잉크 층(432)에 의해서 덮이지 않는다. 즉, 투명 필름(400)의 테두리부는 상기 제 1 잉크 층 영역(433)을 덮지만, 제 2 잉크 층(432)을 덮지 않는다. 제 2 잉크 층(432)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제 2 잉크 층(432)의 내벽은 제 2 잉크 층(432)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가지는 단차부(435)를 형성한다. 상기 단차부(435)는 도 1 및 도 2를 통해서 서술된 단차부(420)와 실질적으로 같은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차부는 투명 필름(500)을 보호 기판(400)에 정렬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가이드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부(435)는 투명 필름(500)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방어벽으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제 2 잉크 층(432)에 덮이지 않는 제 1 잉크 층 영역(433)은 공정마진을 키워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불량을 줄이는데 도움을 준다. 투명 필름(500)의 모든 단부가 상기의 제 1 잉크 층 영역(433)내에만 있으면 보호 기판(400)에서 전면에서는 투명 필름(500)이 정렬이 다소 틀어진 상태로 부착되었더라도 투명 필름(500)의 단부가 모두 제 1 잉크 층(431)에 의해서 가려지기 때문에 외관 특성은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투명 필름(500)을 보호 기판(400)에 부착할 때 상기의 제 2 잉크 층(432)에 의해서 덮이지 않는 제 1 잉크 층 영역(433)만큼 부착할 수 있는 영역이 늘어 공정마진이 늘어난다.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서 표시 모듈과 보호 기판의 중간 층으로써 투명 필름이 사용되었으나, 상기 중간 층은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지는 표시 모듈과 보호 기판 사이의 공간을 메우며 표시 모듈과 보호 기판 사이의 공기 층을 제거한다. 보호 기판의 단차부(도 2의 420, 도 4의 435 참조)는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 액체 상태인 수지가 보호 기판의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댐 기능을 한다. 수지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 최초 액체 상태인 수지는 뒤집어 놓은 보호기판의 후면에 부어지고 이때 보호 기판의 단차부는 수지가 고르게 퍼지고 넘치지 않도록 가이드 및 댐 역할을 한다. 이후 표시 모듈로 수지의 상면을 덮으면 유동성이 있는 액체 상태의 수지가 보호 기판과 표시 모듈 사이의 공간을 메운다. 수지는 이후 경화되어 표시 모듈과 보호 기판에 단단히 부착된다. 이와 달리, 양면 테이프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표시 모듈과 보호 기판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수지는 최종제품에서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액체 상태에서 시간이 지나도 경화되지 않는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특히, 보호 기판의 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0 : 표시 장치 100 : 표시 모듈
110 : 액정 표시 패널 120 : 백라이트 유닛
130 : 몰드 프레임 140 : 수납용기
200 : 상부 케이스 300 : 하부 케이스
400 : 보호 기판 432 : 제 2 잉크 층
430 : 잉크 층 431 : 제 1 잉크 층
500 : 투명 필름
Claims (18)
-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일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보호 기판; 및상기 홈에 안착되며, 상기 표시 영역에 접하는 제 1 면과 상기 보호 기판에 접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중간 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테두리는 상기 보호 기판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상기 보호 기판의 내부로 함몰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층은 투명한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두께는 상기 단차부의 두께보다 큰 표시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필름의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을 연결하는 일측면을 바라보는 표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층은 수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보호 기판; 및상기 표시 영역에 접하는 제 1 면과 상기 보호 기판에 접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중간 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되,상기 보호 기판은 상기 표시 모듈을 바라보는 일면에 도포되며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 1 잉크 층과, 상기 제 1 잉크 층 위에 도포되며 상기 제 1 개구부보다 면적이 큰 제 2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 2 잉크 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잉크 층의 상기 제 1 개구부의 주변영역은 상기 제 2 잉크 층에 의해 덮이지 않는 표시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층은 투명한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테두리는 상기 제 1 잉크 층의 상기 제 1 개구부의 주변영역 위에 놓이는 표시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측면은 상기 제 2 개구부를 둘러싸는 상기 제 2 잉크 층의 내벽을 바라보는 표시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층은 수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보호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제 1 잉크를 상기 보호 기판의 일면에 도포하여 제 1 잉크 층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제 1 잉크 층 위에 제 2 잉크를 도포하여 제 2 잉크 층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보호 기판의 일면에 중간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중간 층에 표시 모듈의 표시 영역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잉크 층은 상기 표시 모듈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개구부 포함하고, 상기 제 2 잉크 층은 상기 제 1 개구부 보다 면적이 큰 제 2 개구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잉크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보호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제 1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 1 차단부재로 덮는 단계;상기 제 1 차단부재가 덮인 상기 보호 기판의 일면에 상기 제 1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 및상기 제 1 잉크가 도포된 제 1 차단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잉크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제 1 잉크가 도포된 상기 보호 기판의 일면에 상기 제 2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 2 차단부재로 덮는 단계;상기 제 2 차단부재가 덮인 상기 보호 기판의 일면에 상기 제 2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 및상기 제 2 잉크가 도포된 제 2 차단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중간 층이 상기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제 1 잉크 층의 상기 제 1 개구부의 주변영역을 덮으며, 상기 중간 층의 측면이 상기 제 2 개구부를 둘러싸는 상기 제 2 잉크 층의 내벽을 바라보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보호 기판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내부가 비어있고, 내면에는 돌기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몰드를 준비하는 단계;상기 몰드의 내부에 용융된 플라스틱을 고압으로 주입하는 단계;상기 주입된 플라스틱을 냉각시키는 단계; 및상기 냉각된 플라스틱을 상기 몰드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돌기 형상에 대응되는 부분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보호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호 기판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0230A KR20100090975A (ko) | 2009-02-09 | 2009-02-09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상기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보호 기판의 제조 방법 |
US12/701,635 US8451554B2 (en) | 2009-02-09 | 2010-02-08 |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0230A KR20100090975A (ko) | 2009-02-09 | 2009-02-09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상기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보호 기판의 제조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4168A Division KR101652905B1 (ko) | 2015-11-23 | 2015-11-23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상기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보호 기판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0975A true KR20100090975A (ko) | 2010-08-18 |
Family
ID=4254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0230A KR20100090975A (ko) | 2009-02-09 | 2009-02-09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상기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보호 기판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451554B2 (ko) |
KR (1) | KR20100090975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00285A (ko) * | 2011-03-03 | 2012-09-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휴대용 정보 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태블릿 pc |
KR101636855B1 (ko) * | 2015-01-30 | 2016-07-06 | (주)넥스디스플레이 | 박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US10553146B2 (en) | 2016-04-12 | 2020-02-04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US10810942B2 (en) | 2018-03-27 | 2020-10-20 | Samsung Display Co.,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vary power supply voltage based on display brightness and ambient temperature |
US11017727B2 (en) | 2018-05-03 | 2021-05-25 | Samsung Display Co., Ltd. | Driving voltage setting device, method of setting driving voltag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0035345A1 (de) * | 2010-08-24 | 2012-03-01 | Continental Automotive Gmbh | Anzeigevorrichtung |
CN102508571B (zh) * | 2011-10-12 | 2015-03-04 |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責任公司 | 触控面板贴合模组的结构 |
JP6254164B2 (ja) * | 2012-08-31 | 2017-12-27 |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強化された薄型ガラス−ポリマー積層体 |
CN103729078B (zh) * | 2012-10-10 | 2018-08-07 |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 触控屏及其制造方法 |
KR20150000100A (ko) * | 2013-06-24 | 2015-01-0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2074719B1 (ko) * | 2013-10-08 | 2020-02-0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KR20150087655A (ko) * | 2014-01-22 | 2015-07-3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KR102321611B1 (ko) * | 2015-03-10 | 2021-11-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
CN109375798A (zh) * | 2017-08-04 | 2019-02-22 | 意力(广州)电子科技有限公司 | 面板与触控感应层的贴合方法及触控屏 |
CN107908446B (zh) * | 2017-10-27 | 2022-01-04 | 深圳市雷鸟网络传媒有限公司 | 窗口显示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08153023B (zh) * | 2018-01-18 | 2021-03-23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显示屏及电子设备 |
KR20200080665A (ko) * | 2018-12-27 | 2020-07-0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210025754A (ko) | 2019-08-27 | 2021-03-1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보호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011676B2 (ja) * | 2005-08-12 | 2012-08-29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表示装置を備える機器 |
KR20070109183A (ko) | 2006-05-10 | 2007-11-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070117189A (ko) | 2006-06-07 | 2007-12-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불량 위치 확인 방법 |
-
2009
- 2009-02-09 KR KR1020090010230A patent/KR2010009097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
- 2010-02-08 US US12/701,635 patent/US8451554B2/en active Active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00285A (ko) * | 2011-03-03 | 2012-09-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휴대용 정보 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태블릿 pc |
KR101636855B1 (ko) * | 2015-01-30 | 2016-07-06 | (주)넥스디스플레이 | 박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US10553146B2 (en) | 2016-04-12 | 2020-02-04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US10810942B2 (en) | 2018-03-27 | 2020-10-20 | Samsung Display Co.,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vary power supply voltage based on display brightness and ambient temperature |
US11263971B2 (en) | 2018-03-27 | 2022-03-01 | Samsung Display Co.,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djustable power supply voltage based on display brightness and ambient temperature |
US11017727B2 (en) | 2018-05-03 | 2021-05-25 | Samsung Display Co., Ltd. | Driving voltage setting device, method of setting driving voltag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00202077A1 (en) | 2010-08-12 |
US8451554B2 (en) | 2013-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90975A (ko)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상기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보호 기판의 제조 방법 | |
US10795201B2 (en) | Display device | |
KR101333770B1 (ko) | 에칭 장치와, 이를 포함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과,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 |
CN102823338B (zh) | 玻璃复合体、使用了玻璃复合体的电子设备及输入装置 | |
JP6292477B2 (ja) | 表示装置 | |
US9885895B2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
CN107993567A (zh) | 显示装置 | |
EP2485082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JP2009163132A (ja) |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 |
KR20120091871A (ko)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US20120019746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337341B1 (ko) | 차량용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40142633A (ko) | 커버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 |
US20120200805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US8964150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TWI534501B (zh) | 一種液晶顯示裝置及其製作方法 | |
JP2019086564A (ja) | パネル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 |
KR20210044420A (ko) | 듀얼 디스플레이 플라스틱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클러스터 | |
US20060260168A1 (en) |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rame thereof | |
CN106292071A (zh) |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 |
KR101652905B1 (ko)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상기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보호 기판의 제조 방법 | |
JP6739565B2 (ja) | 画像表示装置 | |
US20170192161A1 (en) | Light guide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 |
JP2001222230A (ja) | 表示装置用カバーレンズの製造方法、表示装置用カバーレンズ、カバーレンズ付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 |
KR101423044B1 (ko) | 액정표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691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123 Effective date: 20160623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123 Effective date: 2016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