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213B1 -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블록 - Google Patents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블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14213B1 KR100614213B1 KR1020040089618A KR20040089618A KR100614213B1 KR 100614213 B1 KR100614213 B1 KR 100614213B1 KR 1020040089618 A KR1020040089618 A KR 1020040089618A KR 20040089618 A KR20040089618 A KR 20040089618A KR 100614213 B1 KR100614213 B1 KR 1006142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overflow
- forming
- partition wall
- parti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래의 기능을 확보하면서 사용재료량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 블록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꼭대기부(12a), 해당 꼭대기부(12a)의 폭 방향 한쪽으로 연속하는 한쪽 측면(29), 해당 꼭대기부(12a)의 폭 방향 다른쪽으로 연속하는 다른쪽 측면(30)을 따라 연속하여 흐르는 월류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한편, 한쪽 측면(29) 및 다른쪽 측면(30)을, 꼭대기부(12a)로부터 설치시에 하상면(8)과 동일 높이가 되는 가상면(26)까지 늘어뜨린 점(O1)을 중심으로 하여, 이 늘어뜨린 길이를 반경(R1)으로 한 가상원(31) 보다도 안쪽으로 수납되도록 설정하여, 해당 월류형 격벽 블록(3)을 가상원(31)으로 된 크기의 것에 비해 작게 한다.
어도, 월류수, 뱀의 이동, 격벽 블록, 사용재료량
Description
도1은 제1실시형태의 어도(魚道)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는 제1실시형태의 어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은 제1실시형태의 격벽블록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4는 제1실시형태의 격벽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는 도4의 좌측도면이다.
도6은 제1실시형태의 격벽블록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7은 제1실시형태의 어도에서의 물의 흐름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8은 수로의 측벽부와 격벽블록과의 바람직한 연결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9는 제2실시형태의 격벽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의 X-X선 단면도이다.
도11은 제2실시형태의 격벽블록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2는 도11의 공정에 이어지는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3은 제3실시형태의 격벽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4는 제3실시형태의 격벽블록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5는 도14의 좌측도면이다.
도16은 제4실시형태의 격벽블록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17은 내마모층을 갖는 제5실시형태의 격벽블록의 단면도이다.
도18은 제6실시형태의 격벽블록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9는 도18의 30B-30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어도(魚道) 2: 수로
3: 월류형 격벽블록 5: 수로의 측벽부
6: 저면 9: 하면(下面)
12: 대략의 반원추부(半圓錐部) 12a: 꼭대기부(頂部)
26: 가상면 29: 대략의 반원추부의 한쪽 측면
30: 대략의 반원추부의 다른쪽 측면
31: 가상원
O1: 점 R1, R2: 반경
본 발명은 어도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고기가 올라오기 쉬운 하천만들기」가 시책으로서 추진되고 있고, 이러한 추진운동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어도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11-315528호에는 수로형성용 블록을 연결하여 수로를 형성하는 한편, 이 수로 내에 어도 형성용의 월류형 격벽블록을 일정간격 마다 배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월류형 격벽 블록에서, 수로 형성용 블록 사이에 대한 월류형 격벽 블록의 끼워넣기 작업 등이 시공부담으로서 늘어나는 것을 감안하여, 설치시공성을 높이고 시공성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수로의 저면상에 상기 수로의 양쪽 벽부 사이에 연장하도록 하여 배치된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블록으로서, 하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보다도 상방부분이 연장방향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확대되도록 설정한 것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상기 월류형 격벽 블록의 바깥둘레를, 꼭대기부로부터 하상면(河床面)과 동일 높이가 되는 면까지 늘어뜨린 점을 중심으로 하여, 그 늘어뜨린 길이를반경으로 한 가상원에 합치시킨 것으로 한 경우, 연장방향 다른 쪽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이 확대되기 때문에, 연장방향 다른 쪽에 있어서는 지나치게 커지는 경향이 있어 해당 월류형 격벽 블록의 사용재료량에 관해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하겠다. 특히, 연장방향 한쪽으로부터 연장방향 다른 쪽으로 그 연장방향의 대략 반 정도의 범위 외에서는 월류수가 생기지 않도록 설정하여, 하천수의 흐름을 뱀의 이동처럼 하고 있는 것을 고려한다면 그 개선의 필요성은 높다고 하겠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기술적 과제는 본래의 기능을 확보하면서도 사용재료량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블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청구항 제1항에 관한 발명)은,
수로의 저면상에, 상기 수로의 양 측벽부 사이에 연장하도록 배치된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블록에 있어서,
하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면 보다도 상방부분이, 연장방향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확대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상방부분의 꼭대기부가 연장방향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향함에 따라 높아지도록 위치되며,
상기 꼭대기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꼭대기부의 폭방향 한쪽으로, 아래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폭방향 한쪽의 바깥방향으로 경사지는 한쪽 측면이 연속되며,
상기 꼭대기부의 폭방향 다른쪽으로, 아래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폭방향 다른쪽의 바깥방향으로 경사지는 다른쪽 측면이 연속되고,
상기 한쪽 측면 및 상기 다른쪽 측면이, 상기 꼭대기부로부터 설치시에 하상면(河床面)과 동일높이가 되는 가상면까지 늘어뜨린 점을 중심으로 하여, 이 늘어뜨린 길이를 반경으로 한 가상원 보다도 안쪽으로 수납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구성 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1, 도2에 있어서, 부호 1은 제1실시형태의 어도이고, 어도(1)는 수로(2)내에 실시형태의 월류형 격벽 블록(이하, 격벽 블록이라 함)(3)을 물의 흐름방향으로 간격(L)을 두고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수로(2)는 일정 폭을 갖고 연장하는 저벽부(底壁部)(4)와, 이 저벽부(4)의 폭 방향 양측에 있어서 기립하는 한쌍의 측벽부(5)로 형성되어 있다. 저벽부(4)는 물이 흐르도록 하기 위해 경사지어 있고, 그 구배(기울기)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1:10∼16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 저벽부(4)는, 저면(6)에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여 마무리층(7)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하상면(수로면)(8)이 형성되어 있고, 이 마무리층(7)은 격벽 블록(3)을 저면(6)상에 배치한 후에 이 저면(6)상에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도6 참조, 도3, 도5에 있어서, H2는 격벽 블록(3)의 하부가 콘크리트 등에 매립된 깊이를 나타냄). 각 측벽부(5)는 일정 두께를 갖고 수로(2)의 연장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이 각 측벽부(5)의 내면에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격벽 블록(3)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도구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격벽 블록(3)의 중량, 면적, 격벽 블록(3)과 마무리층(7)과의 걸어맞춤(후술) 등을 이용하면, 격벽블록(3)을 설치위치에 충분히 고정할 수 있는데, 격벽 블록(3)의 연장방향 단면(端面)과 측벽부(5)와의 사이에는 2차 콘크리트(32)를 채우는 정도의 연결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상기 각 격벽 블록(3)은 도1,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2)의 한쌍의 측 벽부(5)사이에 걸치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 격벽 블록(3)의 연장방향 전체 길이(B)(예를 들어, 5m 전후)는 수로(2)의 한쌍의 측벽부(5) 사이의 폭 간격과 거의 같은 길이로 되어 있는데, 이 한쌍의 측벽부(5) 사이에 격벽 블록(3)을 걸쳐서 삽입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격벽 블록(3)의 전체 길이(B)는 한쌍의 측벽부(5)사이의 폭 간격 보다도 약간 짧게 되어 있다.
이러한 각 격벽 블록(3)은 도1, 도4∼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대략 절반의 옥수수 형상(원추형을 절반으로 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격벽 블록(3)은, 그 하면(9)이 수로(2)의 저면(6)에 맞닿기 위한(설치되기 위한) 면으로서 연장방향 전체 길이(B)에 걸쳐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그 하면(9)보다도 상방부분에는 연장방향 한쪽(도3, 도4 중 좌측)으로부터 다른쪽(도3, 도4중 우측)으로 향해서 대략의 반원주부(半圓柱部)(11), 대략의 반원추부(12)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략의 반원주부(11)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꼭대기부(11a)의 바깥둘레가 대략의 반원주부(11)의 연장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시에 하상면(8)과 동일 높이가 되는 가상면(26) 상의 점(O1)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R1)(예를 들어 물고기가 올라오기 쉬운 최소 반경, 최소 수위를 확보하는 점 등을 고려하여 300mm 전후로 설정)의 원호로 형성되고, 그 원호 형상의 꼭대기부(11a)의 폭 방향(도6 중 좌우방향) 한쪽에는 한쪽(상류측 또는 하류측) 측면(27)이 연결되며 그 원호 형상의 꼭대기부(11a)의 폭 방향 다른쪽에는 다른쪽(상류측 또는 하류측) 측면(28)이 연결되어 있다. 한쪽 측면(27)은 아래쪽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격벽 블록(3)의 폭 방향 한쪽의 바깥방향(도6 중 좌측)을 향해 경사지어 있고, 다른쪽 측면(28)은 아래쪽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격벽 블록(3)의 폭방향 다른쪽의 바깥방향(도6 중 우측)을 향해 경사지어 있는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양 측면(27, 28)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대략의 반원주부(11)의 하면(9)의 폭방향 길이(D1)는 R1의 2배의 길이 보다도 다소 길며, 예를 들어 D1=600∼720mm 전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대략의 반원주부(11)는 일정 높이(H1)(400mm 전후)로 유지되면서 일정 길이(B1)(300∼400mm 전후)만 연장되어 있고, 이 대략의 반원주부(11) 중 하면(9)으로부터 일정 두께(H2)의 부분이 상기 마무리층(7)(콘크리트 등)에 의해 매립된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6에 있어서, θ는 가상면(26)과 대략의 반원주부(11)의 원호성립 한계점과의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것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0∼25°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대략의 반원추부(12)에 대해서도 대략의 반원주부(11)의 정점을 통과하는 수평면을 기준면으로 한 원호성립 한계점의 각도는 동일한 정도의 각도 θ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대략의 반원추부(12)는, 연장방향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확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략의 반원추부(12)는 그 정점(12a)이 대략의 반원추부(12)의 연장방향 전체에 걸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원호형상은 상기 대략의 반원주부(11)의 반경(R1)과 동일한 반경(R1)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호형상의 꼭대기부(12a)는 그 연장방향 다른쪽으로 향함에 따라 높이가 높아지게 되어 있고, 이 원호형상의 꼭대기부(12a)의 폭 방향(도6 중 좌우방향) 한쪽에는 한쪽(상류측 또는 하류측) 측면(29)이 연결되며 그 원호 형상의 꼭대기부(12a)의 폭 방향 다른쪽에는 다른쪽(상류측 또는 하류측) 측면(30)이 연결되어 있다. 한쪽 측면(29)은 아래쪽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격벽 블록(3)의 폭방향 한쪽의 바깥방향(도6 중 좌측)을 향해 경사지어 있고, 이 한쪽 측면(29)은 연장방향 다른쪽으로 향함에 따라 격벽 블록(3)의 폭방향 한쪽의 바깥방향으로 다소 넓어지고 있다. 동일하게, 다른쪽 측면(30)은 아래쪽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격벽 블록(3)의 폭방향 다른쪽의 바깥방향(도6 중 우측)을 향해 경사지어 있고, 이 다른쪽 측면(30)은 연장방향 다른쪽으로 향함에 따라 격벽 블록(3)의 폭방향 다른쪽의 바깥방향으로 다소 넓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격벽 블록(3)은 연장방향 다른쪽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대략 전체적으로 원호형상으로 직경이 확대되는 것에 비해 콤팩트하게 되어 있다. 즉, 연장방향 다른쪽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대략 전체적으로 원호형상으로 직경이 확대되는 것(격벽 블록)의 바깥둘레는, 대략의 반원추부(12)의 임의의 정점으로부터 상기 가상면(26)으로 늘어뜨려 해당 가상면(26)과 교차하는 점(O1)을 중심으로 하여 이 늘어뜨린 길이를 반경(R2)으로 하여 가상원(31)을 그리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는데, 본 실시형태에 관한 격벽 블록(3)의 한쪽 측면(29), 다른쪽 측면(30) 모두 가상원(31)내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어 콤팩트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6에 있어서는, 격벽 블록(3)의 연장방향의 다른 단면(端面)에서의 정점을 임의의 정점으로 하고, 이 정점으로부터 가상면(26)으로 늘어뜨려 해당 가상면(26)과 교차하는 점(O1)을 중심으로 하여 이 늘어뜨린 길이를 반경(R2)으로 하 는 것에 의해 가상원(31)을 그리고 있다.
이것에 의해 콤팩트화를 도모하면서 하천흐름을 대략의 반원추부(12)의 외주면을 따라 흐르는 연속흐름으로 하여 물고기가 상류로 쉽게 올라오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격벽 블록(3)은, 콘트리트 등을 타설하여 마무리층(7)을 형성하기 전에 도1,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설치위치에서의 수로(2)의 저면(6)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격벽 블록(3)은 하면(9)이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하면(9) 보다도 상방부분인 대략의 반원주부(11) 및 대략의 반원추부(12)가 연장방향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방향으로 확대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격벽 블록(3)은 그 연장방향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향함에 따라 그 하면의 면적이 확대됨과 동시에 중량이 증가하게 되어, 수로(2)내의 저면(6)에 격벽 블록(3)을 단지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이러한 것들(면적, 중량)에 의해 격벽 블럭(3)을 설치 안정성이 양호하도록 수로(2)의 저면(6)에 설치(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격벽 블럭(3)을 수로(2)의 저면(6)에 배치한 후, 콘크리트 등이 타설되어 마무리층(7)이 형성되고, 격벽 블록(3)에서의 대략의 반원주부(11)의 측면 하부(11b) 및 대략의 반원추부(12)의 측면 하부(12b)가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진 마무리층(7)에 걸어 맞추어지게 되며, 격벽 블록(3)의 이동은 상기 중량 등 뿐만아니라 걸어맞춤 관계에 의해서도 규제되도록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격벽 블록(3)의 연장방향 양쪽 단면(端面)과, 수로(2)의 측벽부(5)와의 사이에 2차 콘크리트(32)가 채워지는 데, 바람직하게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 블록(3)의 연장방향 단면(端面)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홈(23)을 형성하고, 이 홈(23)내에 수로(2)의 측벽부(5)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된 물멈춤판(14)을 넣은 후, 격벽 블록(3)의 연장방향 단면(端面)과 수로(2)의 측벽부(5)와의 사이에 물멈춤판(14)이 묻히도록 2차 콘크리트(32)를 채우는 것이 좋다. 이것에 의해, 격벽 블록(3)의 연장방향 단면(端面)과 측벽부(5)와의 사이를 물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고, 또 격벽 블록(3)이 유동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격벽 블록(3)이 수로(2)내에 설치되어 도1,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면 격벽 블록(3)의 경사면(꼭대기부(12a)의 경사(도3 참조))에 기초하여 물은 월류하면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뱀의 이동과 같이 이동하여 흐르게 된다(물의 흐름을 도2 중 부호 WS로 표시함). 이에 따라, 물고기(f)는 물고기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부호 fs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흐름에 저항하여 하류측에서 상류측으로 올라오고 있다(도1 참조). 이때, 격벽 블록(3)에서는 연장방향에 있어서 그 경사에 기초하여 월류수의 속도가 달라, 헤엄치는 힘이 약한 물고기라고 해도 상류로 향해 올라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로(2)에서는 격벽 블록(3)에 의해 흐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웅덩이부(S)가 형성되어 있고, 이 웅덩이부(S)에서 물고기(f)는 휴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격벽 블록(3)의 설치에 있어서는 대략의 반원주부(11)의 꼭대기부(11a)로부터 수면(WL)까지의 깊이(Wd)가 20cm 정도로 설정되어 있고, 이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격벽 블록(3) 사이의 간격(L)이 적절히 조정된다.
또한, 각 격벽 블록(3)을 콤팩트하게 한 것에 수반하여 격벽 블록(3)의 사용재료량(콘크리트량)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아니라 서로 이웃하는 격벽 블록(3) 사이의 체류공간을 넓히는 것이 가능하여 수로(2)를 흐르는 물의 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9 내지 도12는 제2실시형태, 도13 내지 도15는 제3실시형태, 도16은 제4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9 내지 도12에 도시된 제2실시형태는, 내마모성을 높이기 위해 격벽 블록(3)의 하면(9)보다도 상방부분에서의 표층부 내에 돌로서의 자연석(18)을 내장시킨 것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격벽 블록(3) 내부에는 격벽 블록(3)의 형상을 다소 작게 한 틀(15)이 내장되어 있고, 이 틀(15)에 망상체로서의 금속망(17)이 부착되며 금속망(17)에 자연석(18)이 부착되어 있다.
이 제2실시형태에 관한 격벽 블록(3)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미리 상기 틀(15)과, 이 틀(15)을 내부를 따라 수납할 수 있는 요입부(22)를 갖는 거푸집(21), 즉 요입부(22)가 곧장 연장하여 그 요입부(22)안이 그 연장방향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방향의 바깥쪽으로 확대된 거푸집(21)과, 금속망(17)에 자연석(18)이 부착된 돌-보유 유닛(16)을 준비한다.
그런 다음, 먼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15)에, 요입부(22)내면에 대향하여 배치될 부분에서 돌-보유 유닛(16)을 부착하고 보강구조물(19)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보강구조물(19)을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1)에 해당 거푸 집(21) 내면을 따르도록 수납하고, 그런 다음 콘크리트(20)를 거푸집(21)내에 채운다.
이렇게 함으로써, 금속망(17)의 그물코를 이용하여 거푸집(21)내 전체가 콘크리트(20)에 의해 채워지게 되고, 그 경화를 기다린 후 분리하면 제2실시형태에 관한 격벽 블록이 얻어지게 된다.
도13 내지 도15에 나타난 제3실시형태의 격벽 블록(3)은, 복수의 구성 블록(3a∼3e)이 차례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각 구성 블록(3a∼3e)에는 서로 이웃하는 구성 블록의 단면(端面)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홈(24)이 대향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서로 이웃하는 블록(3a∼3e)끼리의 홈(24)이 구멍(25)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멍(25)내에 모르타르가 채워지게 되고, 이 모르타르의 경화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구성 블록(3a∼3e)끼리의 연결이 이루어짐으로써 격벽 블록(3)이 얻어지게 된다. 물론 이 경우, 모르타르를 채우는 것 대신에, 금속제의 강도부재를 일종의 키로서 압입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격벽 블록(3)의 전체 길이(B)가 5m 이하로, 하나의 구성 블록(3a)(3b∼3e)의 축심방향 길이(LP)가 1000mm 전후로 설정되어 있다.
도16에 도시된 제4실시형태는, 상기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한쪽 측면(29)의 기립 경사정도가 다른쪽 측면(30)의 기립 경사정도 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것은, 상류측 측면의 형상(경사)에 의해서는 물의 흐름이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에 하류측 측면의 형상(경사)은 물의 흐름에 큰 영향을 주는 것에 착안하여, 한쪽 측면(29)을 상류측 측면으로서 이용하기 위해 그 기립 경사정도를 다른쪽 측면(30)의 경우 보다도 크게 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제1실시형태의 경우 보다도 한층 격벽 블록(3)의 사용재료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 격벽 블록(3)을 콤팩트하게 하여 서로 이웃하는 격벽 블록(3) 사이의 물의 잔류공간을 넓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잔류공간의 증대에 수반하여 물의 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
도17에는 제5실시형태의 격벽블록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홈(98)이 격벽 블록(3)의 표면에 그 격벽 블록(3)의 연장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복수의 홈(98)에 의해 격벽 블록(3)의 재료량을 삭감할 수 있음은 물론, 하천수의 흐르는 기세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속도를 떨어뜨린 월류수를 물고기에 줄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18, 도19에 도시된 제6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격벽블록(3)의 표면부에 경질부재로서의 자연석(99)이 다수 매립되어 있다. 이 다수의 자연석(99)으로 구르는 돌 등을 막아내게 되어 격벽 블록(3)이 보호된다.
이상,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태양을 포함한다.
1) 돌을 내장하는 격벽 블록(3)의 제조에 사용되는 돌-보유 유닛(16)에 관해 서는, 돌로서 자연석 이외에 인조석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망상체로서는 금속망 이외에 격자형상의 조직을 갖는 합성수지제, 철근제 등의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돌과 망상체와의 부착에는 접착제, 연결도구(앵커, 좌판, 셔클(shackle))등의 각종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2) 격벽 블록(3)의 내부를 중공(中空)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그 중공 내에 중량물을 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3) 수로(2)의 측벽부(5) 내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격벽 블록(3)의 연장방향 단부(端部)를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춤으로써 양자(3,5)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4) 수로(2)의 저면(6)상에, 거푸집(21)을 이용하여 직접 격벽 블록(3)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거푸집(21)의 개구측을 수로(2)의 저면을 향하게 하고, 상방 또는 측방으로부터 거푸집(21)내에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이 콘크리트의 경화 후 틀을 빼내면 저면(6)상에 격벽 블록(3)이 형성되게 된다. 물론, 보강구조물(19)을 미리 거푸집(21)내에 수납하여 두는 것이 내마모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5) 격벽 블록(3)을, 복수의 구성 블록(3a∼3e)을 연결하여 구성하는 경우에있어서, 각 구성 블록(3a∼3e)의 하부에 저벽부를 일체로 설치하는 동시에 격벽 블록(3)의 연장방향 양쪽 끝에서의 구성 블록(3a, 3e)에 측벽부(5)를 설치하고 복수의 구성 블록(3a∼3e)을 연결하는 것에 의해, 격벽 블록(3)을 형성하고, 또 수로(2)의 일부(흐름방향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명기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바람직하거나 또는 이점으로서 거론되는 것에 대응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한쪽 측면, 꼭대기부 및 다른쪽 측면을 따라 연속하여 흐르는 월류수를 생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물고기가 그 연속적인 흐름(월류수)를 이용하여 상류측에 오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한쪽 측면 및 다른쪽 측면이, 꼭대기부로부터 설치시에 하상면(河床面)과 동일 높이가 되는 가상면까지 늘어뜨린 점을 중심으로 하여, 이 늘어뜨린 길이를 반경으로 한 가상원 보다도 안쪽으로 수납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월류형 격벽 블록을 상기 가상원으로 이루어지는 크기의 것과 비교하여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래의 기능을 확보하면서도 사용재료량의 저감을 도모하는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 블록을 제공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해당 월류형 격벽 블록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월류형 격벽블록을 간격을 두고 차례로 수로면에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해당 월류형 격벽 블록 사이에서의 하천수의 잔류공간을 넓히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하천수(월류수)의 속도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한쪽 측면의 기립정도가, 다른쪽 측면의 기립정도 보다도 크기 때문에, 한쪽 측면을 물의 흐름에 큰 영항을 주지 않는 상류측 측면으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해당 월류형 격벽 블록의 외주면을 따라 연 속적인 흐름을 확보하고 본래의 기능을 확보하면서도 한층 해당 월류형 격벽 블록의 사용재료량을 저감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한쪽 측면과 다른쪽 측면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꼭대기부의 곡률반경이, 가상원의 곡률반경 보다도 작기 때문에 해당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블록의 사용재료량을 한층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한쪽 측면 또는 다른쪽 측면 중 어느 하나가 직선으로 경사지어 있기 때문에 사용재료량을 저감할 수 있고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제6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한쪽 측면 또는 다른쪽 측면 중 어느 하나가 곡선으로 경사지어 있기 때문에 월류수에 저항을 부여하고 연속적인 흐름상태를 쉽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제7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방부분에 있어서의 표층부 내에 돌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내마모성을 높일 수 있고, 상류, 중류 지역에 있어서도 해당 월류형 격벽 블록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제8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연장방향 전체에 걸쳐서 연장하도록 되어 있는 틀이 내장되고, 이 틀에 망상체가 부착되며, 이 망상체에 돌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돌을 해당 월류형 격벽 블록의 하면 보다도 상방부분에서의 표층부내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청구항 제7항의 월류형 격벽 블록 을 구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제9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외주면이 내마모성 피복층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 블록이 구르는 돌, 모래와 자갈 등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제10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외주면에, 다수의 경질부재가 해당 노출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다수의 경질부재에 기초하여 해당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 블록을 구르는 돌, 모래와 자갈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Claims (10)
- 수로의 저면상에, 상기 수로의 양 측벽부 사이에 연장하도록 배치된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블록에 있어서,하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고,상기 하면 보다도 상방부분이, 연장방향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확대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상방부분의 꼭대기부가 연장방향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향함에 따라 높아지도록 위치되며,상기 꼭대기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상기 꼭대기부의 폭방향 한쪽으로, 아래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폭방향 한쪽의 바깥방향으로 경사지는 한쪽 측면이 연속되며,상기 꼭대기부의 폭방향 다른쪽으로, 아래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폭방향 다른쪽의 바깥방향으로 경사지는 다른쪽 측면이 연속되고,상기 한쪽 측면 및 상기 다른쪽 측면이, 상기 꼭대기부로부터 설치시에 하상면(河床面)과 동일높이가 되는 가상면까지 늘어뜨린 점을 중심으로 하여, 이 늘어뜨린 길이를 반경으로 한 가상원 보다도 안쪽으로 수납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블록.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한쪽 측면의 기립(起立)정도가, 상기 다른쪽 측면의 기립정도 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블록.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한쪽 측면과 상기 다른쪽 측면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블록.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꼭대기부의 곡률반경이, 상기 가상원의 곡률반경 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블록.
- 삭제
- 삭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하면 보다도 상방부분에 있어서의 표층부 내에 돌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블록.
- 제7항에 있어서,내부에, 연장방향 전체에 걸쳐서 연장하도록 되어 있는 틀이 내장되고,상기 틀에 망상체가 부착되며,상기 망상체에 상기 돌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블록.
- 삭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격벽블록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외주면에, 다수의 경질부재가 상기 노출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393155 | 2003-11-21 | ||
JP2003393155A JP4102293B2 (ja) | 2003-11-21 | 2003-11-21 | 魚道形成用越流型隔壁ブロックの製造方法 |
JPJP-P-2003-00393154 | 2003-11-21 | ||
JP2003393154A JP2005155111A (ja) | 2003-11-21 | 2003-11-21 | 魚道形成用越流型隔壁ブロック |
JP2004106116A JP2005290788A (ja) | 2004-03-31 | 2004-03-31 | 魚道構成用越流型隔壁及び魚道構成ユニット |
JPJP-P-2004-00106116 | 2004-03-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9343A KR20050049343A (ko) | 2005-05-25 |
KR100614213B1 true KR100614213B1 (ko) | 2006-08-21 |
Family
ID=37247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89618A KR100614213B1 (ko) | 2003-11-21 | 2004-11-05 |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블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1421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9660B1 (ko) * | 2007-02-22 | 2008-06-19 | 변우일 | 자연형 어도보를 갖는 하천 |
KR101042510B1 (ko) | 2010-08-19 | 2011-06-17 | 신강하이텍(주) | 어도 시공방법 |
KR101132310B1 (ko) * | 2009-12-29 | 2012-04-05 | 임장혁 | 이중 래버린스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3823B1 (ko) * | 2007-02-06 | 2007-12-11 | 대한민국 |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 |
KR101270270B1 (ko) * | 2010-07-21 | 2013-06-04 | 대한민국 | 어도블록 및 이를 구비한 반수면 여울형 어도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97808A (ja) * | 1993-09-29 | 1995-04-11 | Sumitomo Electric Ind Ltd | 魚 道 |
JPH0797809A (ja) * | 1993-09-29 | 1995-04-11 | Sumitomo Electric Ind Ltd | 魚 道 |
JP2002069991A (ja) | 1998-07-03 | 2002-03-08 | Hokuetsu:Kk | 粗石魚道ブロックおよび粗石式魚道 |
-
2004
- 2004-11-05 KR KR1020040089618A patent/KR10061421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97808A (ja) * | 1993-09-29 | 1995-04-11 | Sumitomo Electric Ind Ltd | 魚 道 |
JPH0797809A (ja) * | 1993-09-29 | 1995-04-11 | Sumitomo Electric Ind Ltd | 魚 道 |
JP2002069991A (ja) | 1998-07-03 | 2002-03-08 | Hokuetsu:Kk | 粗石魚道ブロックおよび粗石式魚道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9660B1 (ko) * | 2007-02-22 | 2008-06-19 | 변우일 | 자연형 어도보를 갖는 하천 |
KR101132310B1 (ko) * | 2009-12-29 | 2012-04-05 | 임장혁 | 이중 래버린스보 |
KR101042510B1 (ko) | 2010-08-19 | 2011-06-17 | 신강하이텍(주) | 어도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9343A (ko) | 2005-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14213B1 (ko) |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블록 | |
JP2543327B2 (ja) | 擁壁構造及び擁壁構築工法 | |
KR100850028B1 (ko) | 현장 타설 말뚝용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 타설 공법 | |
JP4302707B2 (ja) | 管渠の布設方法 | |
KR20100052759A (ko) | 슬리브 | |
EP1380691A2 (en) | Wide channel drainage system | |
KR100623240B1 (ko) | 배수관이 일체로 형성된 맨홀. | |
JP4429360B2 (ja) | 魚道形成用越流型隔壁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 |
JP4102293B2 (ja) | 魚道形成用越流型隔壁ブロックの製造方法 | |
KR100810425B1 (ko) | 측면 밀착형 수밀용 고무링을 갖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맨홀 | |
JP2005155111A (ja) | 魚道形成用越流型隔壁ブロック | |
JP4869363B2 (ja) | 管渠の布設方法 | |
JPH11172660A (ja) | 魚 道 | |
CN214460528U (zh) | 一种防滑坡治理防护结构 | |
JP4213080B2 (ja) | 魚道 | |
JPH07286357A (ja) | 竪排水溝 | |
JP7017803B1 (ja) | ドロップシャフト格納設備 | |
KR200235670Y1 (ko) | 어도 블럭 | |
JP2004027579A (ja) | 下水用減勢管 | |
JP6067249B2 (ja) | 流路調整ブロック | |
JP3704199B2 (ja) | 既設管のライニング工法 | |
JP2504572B2 (ja) | 暗渠排水管による排水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暗渠排水管 | |
JP3249048B2 (ja) | 橋梁式魚道 | |
JP3398629B2 (ja) | 側溝構造 | |
JPH05302693A (ja) | 管継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