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759A - 슬리브 - Google Patents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759A
KR20100052759A KR1020080111606A KR20080111606A KR20100052759A KR 20100052759 A KR20100052759 A KR 20100052759A KR 1020080111606 A KR1020080111606 A KR 1020080111606A KR 20080111606 A KR20080111606 A KR 20080111606A KR 20100052759 A KR20100052759 A KR 20100052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ncrete
body portion
pack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1038B1 (ko
Inventor
김인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80111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038B1/ko
Publication of KR20100052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벽체 또는 옹벽에 지수부가 옥외측에 위치되어지도록 매립 설치되는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원통형의 몸체부 일측에 지수(止水)부가 합성수지로 일체로 사출성형되어지고, 상기 지수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 외주연부에 두개의 철부링과 상기 두개의 철부링 사이에 형성된 요부링에 패킹이 억지끼워져 구성되어지되, 상기 패킹의 높이가 상기 두개의 철부링의 높이 보다 높게 돌출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몸체부와 매립된 콘크리트 사이로 침출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콘크리트에 매립된 가로철근이나 세로철근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슬리브, 지수부, 요부링, 철부링, 패킹, 몸체부

Description

슬리브{Sleeve }
본 발명은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몸체부의 일측으로 형성된 철부링 사이에 패킹이 개재되어진 상태에서 지하벽체 또는 옹벽의 옥외측에 패킹이 위치되어지게 콘크리트에 매립되어짐으로써, 몸체부와 콘크리트 사이로 침출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콘크리트에 매립된 가로철근이나 세로철근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합성수로 사출성형되어 이종금속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등과 같이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지하건축물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 천정, 또는 바닥을 관통하는 구멍에 슬리브(70)가 설치되어 파이프, 케이블 또는 이와 같은 삽입물(80)을 보호하는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슬리브(70)는 통상적으로 내부가 중공된 관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주로 사용하며 콘크리트 구조물(90)의 형성 초기 단계에 파이프나, 케이블 또는 이와 같은 삽입물(80)의 설치 공간을 미리 확보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90) 안에 매설된다.
이러한 슬리브(7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로 이루어진 원통형 관(71)의 외주연부 중앙에 디스크형태를 갖는 지수판 또는 지수링(72)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거나 별도의 용접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가로철근(91)과 세로철근(92) 사이에 삽입되어지고, 슬리브(70)의 외주연부와 가로 및 세로철근(91)(92)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매립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슬리브(70)는 슬리브(70)의 외주연부 및 외주연부에 맞닿아 있는 콘크리트 사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침출수가 유입되짐에 따라 슬리브(70) 및 콘크리트에 매립된 가로철근(91)과 세로철근(92)에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슬리브(70)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지수링(72)에 의하여 초기에 어느 정도의 침출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부식이 점진적으로 진행되어지는 과정을 막을 수 없게 됨에 따라 결국 슬리브(70)의 외주연부를 따라 내부로 침출수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슬리브(70)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슬리브(70)의 표면에 맞닿아 있는 가로철근(91) 및 세로철근(92)이 이종금속에 의한 부식이 발생되어지거나, 점진적으로 더 진행되어지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침출수에 의한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된 가로철근(91) 및 세로철근(92)이 부식되어짐으로써, 전체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낮아지는 문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몸체부의 일측으로 형성된 철부링 사이에 패킹이 개재되어진 상태에서 지하벽체 또는 옹벽의 옥외측에 패킹이 위치되어지도록 콘크리트에 매립되어짐으로써, 몸체부와 매립된 콘크리트 사이로 침출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콘크리트에 매립된 세로철근이나 세로철근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합성수로 사출성형되어 이종금속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슬리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하벽체 또는 옹벽에 지수부가 옥외측에 위치되어지도록 매립 설치되는 슬리브(A)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A)는 원통형의 몸체부(20) 일측에 지수부(10)가 합성수지로 일체로 사출성형되어지고, 상기 지수부(10)는 상기 몸체부(20)의 일측 외주연부에 두개의 철부링(12)(12')과 상기 두개의 철부링(12)(12') 사이에 형성된 요부링(11)에 패킹(13)이 억지끼워져 구성되어지되, 상기 패킹(13)의 높이가 상기 두개의 철부링(12)(12')의 높이 보다 높게 돌출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어진 몸체부의 일측으로 형성된 철부링 사이에 패킹이 끼워진 상태에서 지하벽체 또는 옹벽의 옥외측에 위치되어지도록 콘크리트에 매립되어짐으로써, 몸체부와 매립된 콘크리트 사이로 침출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콘크리트에 매립된 가로철근이나 세로철근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수명이 더 연장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슬리브가 합성수로 사출성형되어짐으로써, 이종금속에 의한 철근의 부식을 더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벽체 또는 옹벽의 내부에 매립되어지는 세로철근과 세로철근 사이로 슬리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가 콘크리트에 매설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A)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벽체 또는 옹벽(60)에 지수부(10)가 옥외측으로 위치되어지게 매립되어 옥외측으로부터 침출수가 옥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몸체부(20) 일측에 침출수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지수부(1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수부(10)는 몸체부(20) 일측의 외주연부에 두개의 철부링(12)(1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두개의 철부링(12)(12') 사이에 형성된 요부링(11)에 패킹(13)이 억지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패킹(13)의 높이는 상기 두개의 철부링(12)(12')의 높이 보다 높게 돌출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기밀유지력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슬리브(A)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몸체부(10) 및 지수부(10)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두개의 철부링(12)(12') 사이에 형성된 단순한 형태를 갖는 요부링(11)에 패킹(13)이 억지끼워지도록 하여 지수부(10)가 구성되어지도록 하였으나, 패킹(13)이 끼워지는 상기 요부링(11)을 하부로부터 상부로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태를 갖는 더브테일형으로 형성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요부링(11)의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아지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요부링(11)에 끼워진 패킹(13)이 역방향으로 빠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슬리브(A)를 구성하는 지수부(10)가 형성된 몸체부(20)의 일측단부 즉, 지수부(10)와 근접된 몸체부(20)의 끝에 관통홈(141)이 형성된 플랜지(14)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플랜지(14)가 거푸집(M)의 내면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못(N)이 관통홈(141)을 관통하여 거푸집(M)에 고정되어지도록 하여 슬리브(A)가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의 충격이나 압력에 의하여 정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50)는 슬리브(A)의 몸체부(20)를 관통하여 설치된 삽입물의 하나인 오,배수관이다.
슬리브(A)는 먼저, 세로철근(62)에 가로철근(61)이 배근되어지도록 한 후 배근되어진 세로철근(62) 및 가로철근(61) 사이에 슬리브(A)의 몸체부(20)가 수평상태로 끼워져 고정되어지도록 한다. 이때 몸체부(20)의 일측으로 형성된 철부링(12)(12') 사이의 요부링(11)에 패킹(13)이 억지끼워맞춤으로 끼워지도록 한다.
다음, 배근되어진 가로철근(61)과 세로철근(62)의 양측에 미도시한 거푸집을 설치한다. 이때 거푸집의 양내측면이 슬리브(A)의 양측단에 각각 맞대어지도록 함으로써,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가 슬리브(A)의 내측으로 타설되어 내부공간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지수부(10)에 근접되게 형성된 플랜지(14)의 관통홈(141)으로 못(N)이 관통되어 거푸집(M)에 고정되어짐으로써, 슬리브(A)의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거푸집(M) 사이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어진 후 거푸집(M)을 제거함으로써,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슬리브(A)가 매립된 콘크리트 옹벽 또는 지하벽체(60)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얻어진 옹벽 또는 지하벽체의 옥외 지하로부터 발생된 침출수가 슬리브(A)의 표면과 슬리브(A)가 매립된 콘크리트 사이를 통해 유입되어지는 과정에서 슬리브(A)에 형성된 지수부(10)를 구성하는 철부링(12)(12')과 패킹(13)에 의하여 침출수가 차단되어지게 됨에 따라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몸체부(20) 외주연부의 철부링(12)(12') 사이로 제공되어지는 요부링(11)에 패킹(13)이 끼워져 침출수가 통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구성 이외에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A)의 몸체부(20) 외주연부가 요철부(21)로 형성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몸체부(20)의 전체 외주연부가 요철부(21)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단면적의 증가를 가져와 침출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와의 접착력 또는 매립력을 높여 분리되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몸체부(20)의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리브가 지하벽체 또는 옹벽에 매립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벽체 또는 옹벽의 내부에 매립되어지는 세로철근과 세로철근 사이로 슬리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가 콘크리트에 매설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A:슬리브 10:지수부
11:요부링 12,12':철부링
13:패킹 20:몸체부

Claims (4)

  1. 지하벽체 또는 옹벽에 지수부가 옥외측에 위치되어지도록 매립 설치되는 슬리브(A)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A)는 원통형의 몸체부(20) 일측에 지수부(10)가 합성수지로 일체로 사출성형되어지고, 상기 지수부(10)는 상기 몸체부(20)의 일측 외주연부에 두개의 철부링(12)(12')과 상기 두개의 철부링(12)(12') 사이에 형성된 요부링(11)에 패킹(13)이 억지끼워져 구성되어지되, 상기 패킹(13)의 높이가 상기 두개의 철부링(12)(12')의 높이 보다 높게 돌출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부(10)가 형성된 몸체부(20)의 일측단부에 관통홈(141)이 형성된 플랜지(14)가 일체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A)의 몸체부(20) 외주연부가 요철부(21)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링(11)은 하부로부터 상부로 폭이 좁아지는 더브테일형으로 형성되 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KR1020080111606A 2008-11-11 2008-11-11 슬리브 KR101031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606A KR101031038B1 (ko) 2008-11-11 2008-11-11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606A KR101031038B1 (ko) 2008-11-11 2008-11-11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759A true KR20100052759A (ko) 2010-05-20
KR101031038B1 KR101031038B1 (ko) 2011-04-25

Family

ID=42277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606A KR101031038B1 (ko) 2008-11-11 2008-11-11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0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820B1 (ko) * 2012-06-05 2014-04-22 현대건설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용 배관구조 및 시공방법
KR101438099B1 (ko) * 2013-06-21 2014-09-25 대도건철(주) 원자력발전소의 건설에서 사용되는 파이프슬리브의 시공방법
KR20150140124A (ko) * 2014-06-05 2015-12-15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
KR200485853Y1 (ko) * 2017-06-12 2018-03-06 주식회사 어드밴건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리브 가설용 고정장치
KR101880049B1 (ko) 2017-12-27 2018-07-20 이피아이주식회사 충진재 일체형 종이슬리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650B1 (ko) 2015-08-27 2017-04-07 이피아이주식회사 내화 충진재가 내장된 종이관 슬리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4724B2 (ja) * 2003-09-19 2008-04-30 健晴 小西 壁貫通配管、配管用スリーブ
KR100749052B1 (ko) * 2006-01-24 2007-08-13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링 팽창지수제 스리브를 구비한 옹벽용 배수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820B1 (ko) * 2012-06-05 2014-04-22 현대건설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용 배관구조 및 시공방법
KR101438099B1 (ko) * 2013-06-21 2014-09-25 대도건철(주) 원자력발전소의 건설에서 사용되는 파이프슬리브의 시공방법
KR20150140124A (ko) * 2014-06-05 2015-12-15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
KR200485853Y1 (ko) * 2017-06-12 2018-03-06 주식회사 어드밴건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리브 가설용 고정장치
KR101880049B1 (ko) 2017-12-27 2018-07-20 이피아이주식회사 충진재 일체형 종이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1038B1 (ko) 2011-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038B1 (ko) 슬리브
KR20110130239A (ko) 합성 현장 타설 말뚝 및 이 시공방법
KR100617526B1 (ko)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 맨홀
KR100728309B1 (ko) 관 연결구 일체형 맨홀 구조체 및 그 제조장치
KR101549418B1 (ko) 쐐기 형상의 지수판 및 이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용 매립형 신축이음매 거푸집
KR101318655B1 (ko) 블럭 조립식 밸브실 맨홀
KR200417094Y1 (ko) 원형맨홀
KR101566229B1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ES2758436T3 (es) Inserto de fondo para construcciones de pozo
KR200433220Y1 (ko) 집수정 구조체
KR101259860B1 (ko) 수지재의 조립형 원형수로관 및 그 시공방법
KR200463521Y1 (ko) 매입형 배수로 부재
KR20190002743U (ko) 콘크리트 복합맨홀
KR200439619Y1 (ko) 매입형 배수로 부재
KR200432040Y1 (ko) 집수정 구조체
JP6159295B2 (ja) マンホール補修方法
KR100823602B1 (ko) 집수정
KR20070106410A (ko) 강봉으로 연결하는 조립식 피씨 암거.
KR20090117440A (ko)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철근 캡 조립체
KR20090114000A (ko) 터널 천단부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천단부보강공법
KR200342335Y1 (ko)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맨홀
KR20120047020A (ko) 복합재질로 구성된 하수맨홀의 하부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02706U (ko) 구체연결부 보강식 조립식 맨홀
KR20070109423A (ko) 강봉으로 연결하는 조립식 피씨 암거.
KR200390924Y1 (ko) 맨홀용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