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2574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2574B1
KR100612574B1 KR1020050002466A KR20050002466A KR100612574B1 KR 100612574 B1 KR100612574 B1 KR 100612574B1 KR 1020050002466 A KR1020050002466 A KR 1020050002466A KR 20050002466 A KR20050002466 A KR 20050002466A KR 100612574 B1 KR100612574 B1 KR 100612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ircuit board
connector
flexible circui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202A (ko
Inventor
김정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02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2574B1/ko
Publication of KR20060082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연성회로기판의 노이즈 제거구조에 관한 것으로, 연성회로기판의 커넥터를 쉴드캔 처리하여 연성회로기판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주변 부품의 전자파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단말기의 무선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연성회로기판의 노이즈 제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된 커넥터홀더; 상기 커넥터홀더를 수용하도록 중앙부에 개구부가 구비되고,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는 제1쉴드캔; 상기 제1쉴드캔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커넥터홀더와 연결되고 상부에 접지부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단부에 구비하는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커넥터를 커버하도록 제1쉴드캔과 연결되고, 상기 접지부와 접촉되어 상기 접지부의 접지영역을 확장하는 제2쉴드캔을 포함하고, 상기 제1쉴드캔 및 제2쉴드캔은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커넥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관통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를 제공한다.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커넥터, 제1쉴드캔, 제2쉴드캔, 접촉돌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Noise removal structure of FPCB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제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제거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제거구조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쇄회로기판 11 : 커넥터홀더
20 : 제1쉴드캔 21 : 개구부
22 : 연결홈 23, 43 : 관통부
30 : 연성회로기판 31 : 커넥터
40 : 제2쉴드캔 41 : 접촉돌기
42 : 연결돌기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회로기판과 LCD모듈을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FPCB)의 접지영역을 확장하여 연성회로기판에서 발생되는 자체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성회로기판은 그 일예로 본체부의 메인회로기판과 폴더부의 LCD모듈을 연결하여 상호간의 데이터 신호나 제어신호의 통로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성회로기판은 자체적인 노이즈 또는 타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 등에 영향을 받아 단말기의 무선감도가 현저히 떨어지게 하고, 그로인해 통신의 질이 낮아지며 배터리의 소모가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노이즈 및 전자파를 제거하여 단말기의 무선감도를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행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연성회로기판에 EMI용액을 바르거나, EMI 테이프를 붙여서 접지(GND) 영역을 확보하는 방법 등이 있다.
EMI는 전자파(전, 자기장, 초고주파 등)를 차폐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산업기기의 오작동으로 인한 손실을 예방하고 있으며, 성형이 곤란한 금속 도체를 대신하여 각종 노이즈 및 정전기 방지대책 및 각종 전기전자회로의 접점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EMI는 압출성형제품으로서 각종 통신장비 중에서 방수 및 노이즈를 동시에 차폐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연성회로기판 주변에 EMI용액을 바르거나 EMI 테이프를 붙이는 방법은 단말기의 단가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생산과정에서 여러 번의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양산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연성회로기판의 커넥터를 쉴드캔 처리하여 연성회로기판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주변 부품의 전자파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단말기의 무선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된 커넥터홀더; 상기 커넥터홀더를 수용하도록 중앙부에 개구부가 구비되고,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는 제1쉴드캔; 상기 제1쉴드캔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커넥터홀더와 연결되고 상부에 접지부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단부에 구비하는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커넥터를 커버하도록 제1쉴드캔과 연결되고, 상기 접지부와 접촉되어 상기 접지부의 접지영역을 확장하는 제2쉴드캔을 포함하고, 상기 제1쉴드캔 및 제2쉴드캔은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커넥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관통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2쉴드캔은 상기 커넥터의 접지부와 대향하는 면에 돌출된 형상의 접 촉돌기를 다수 구비하여 상기 접지부와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쉴드캔과 제2쉴드캔은 서로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쉴드캔과 제2쉴드캔의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에 돌출 형성된 연결돌기; 및 상기 제1쉴드캔과 제2쉴드캔의 대향면 중 다른 한 면에 오목 형성된 연결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제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제거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10) 상에 설치된 커넥터홀더(11); 상기 커넥터홀더(11)를 수용하도록 중앙부에 개구부(21)가 구비되고, 인쇄회로기판(10) 상에 표면실장되는 제1쉴드캔(20); 상기 제1쉴드캔(20)의 개구부(21)를 통해 상기 커넥터홀더(11)와 연결되고 상부에 접지부(미도시)를 구비하는 커넥터(31)를 단부에 구비하는 연성회로기판(30); 및 상기 커넥터(31)를 커버하도록 제1쉴드캔(20)과 연결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의 접지부(미도시)와 접촉되어 상기 접지부의 접지영역을 확장하는 제2쉴드캔(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쉴드캔(20) 및 제2쉴드캔(40)은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의 커넥터(3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관통부(23)(43)를 구비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은 단말기의 본체부(미도시) 또는 폴더부(미도시) 내 부에 구비된 것으로, 본체부와 폴더부의 각 인쇄회로기판(10)은 상기 연성회로기판(30)에 의해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 및 제어신호 등을 상호 교환한다.
상기 커넥터홀더(1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이 인쇄회로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커넥터(31)와 연결된다
상기 제1쉴드캔(20)은 상기 커넥터홀더(11)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10)의 일정 위치에 표면실장되고, 상기 제2쉴드캔(40)과 함께 상기 커넥터홀더(11) 및 커넥터가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2쉴드캔(40)을 인쇄회로기판(10) 상부에 고정한다.
이러한 제1쉴드캔(20)은 중앙부가 개방된 개구부(21)를 구비하여,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의 커넥터(31)가 제1쉴드캔(20) 내측에 수용된 커넥터홀더(11)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0)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 간의 상호 신호교환이 가능하도록 하고, 단부에는 상기 커넥터홀더(11)와 연결되는 커넥터(31)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31)는 상기 제1쉴드캔(20)의 개구부(21)를 통해서 상기 커넥터홀더(11)와 연결된 뒤, 상기 제2쉴드캔(40)에 의해 상면이 커버된다.
이러한 상기 커넥터(31)의 일면에 구비된 접지부(미도시)가 상기 제2쉴드캔(40)과 접촉되어 연성회로기판(30)의 접지영역을 넓게 확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지부는 신호가 전송되는 시그널라인 영역을 제외한 커넥터(31)의 일부 영역에 만 설치된다.
상기 제2쉴드캔(40)은 상기 커넥터(31)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제1쉴드캔(20)과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10)에 고정되고, 내측에는 돌출된 형상의 접촉돌기(41)가 다수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31)의 접지부와 접촉된다. 이러한 접촉돌기(41)는 반드시 접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시그널라인 영역에 접촉되었을 경우, 신호의 혼선을 일으키거나 회로가 단락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제2쉴드캔(40)은 상기 커넥터(31)를 완전히 감싸도록 구비되므로, 커넥터(31)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를 매집시키고 접지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접촉돌기(41)에 의해 상기 커넥터(31)에 구비된 접지부의 접지영역을 확장한다.
또한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은 커넥터(31)를 제외한 부분은 상기 제2쉴드캔(4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상기 제1쉴드캔(20)과 제2쉴드캔(40)에 형성된 관통부(23)(43)를 통해 상기 제2쉴드캔(40) 외부로 인출되어 다른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도록 연장된다.
상기 관통부(23)(43)는 제1 및 제2쉴드캔(20)(40)을 이루는 한변의 측벽 일부, 바람직하게는 외부로 인출되는 연성회로기판에 대응한 측벽 일부 또는 전체를 요홈 형태로 형성하거나, 그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제1쉴드캔(20)과 제2쉴드캔(40)은 서로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쉴드캔(20)과 제2쉴드캔(40)의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에 돌출 형성된 연결돌기(42)(본 실시예의 경우, 제2쉴드캔(40)에 형성됨); 및 상기 제1쉴드캔(20)과 제2쉴드캔(40)의 대향면 중 다른 한 면에 오목 형성된 연결홈(22)(본 실시예의 경우, 제1쉴드캔(20)에 형성됨)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쉴드캔(20)이 상기 제2쉴드캔 내측에 완전히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이나, 이는 반대로 제1쉴드캔(20)의 측벽이 상기 제2쉴드캔(40)의 측벽을 감싸도록 위치하게 되거나, 혹은 제1쉴드캔(20)과 제2쉴드캔(40)이 일부만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쉴드캔(20)과 제2쉴드캔(40)의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돌기(42)는 제1쉴드캔(20)과 제2쉴드캔(40)이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22)은 상기 연결돌기(4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1쉴드캔(20)과 제2쉴드캔(40)의 대향면 중 다른 한 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돌기(42) 및 연결홈(22)은 상기 제2쉴드캔(40)이 상기 커넥터(31)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인쇄회로기판(10) 상부에 표면실장된 제1쉴드캔(20)에 연결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의 노이즈 제거구조의 조립과정을 도3a 내지 도3b를 참조하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제거구조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30)의 커넥터(31)를 덮어 연성회로기판(30)으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쉴드캔을 사용하는데, 우선 인쇄회로기판(10)에 설치된 커넥터홀더(11)를 수용하도록 제1쉴드캔(20)을 표 면실장시킨다.
다음으로, 연성회로기판(30)을 상기 제1쉴드캔(20)의 개구부(21)를 통해 제1쉴드캔(20) 내측으로 삽입하여 커넥터(31)와 커넥터홀더(11)를 결합시키고, 상기 커넥터(31)를 제외한 나머지 연성회로기판(30) 부분은 관통부(23)를 통해 인출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을 설치한 다음, 상기 연성회로기판(30) 상부에 다시 제2쉴드캔(40)을 덮는데, 이때,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의 커넥터(31)를 제외한 나머지는 상기 제2쉴드캔(40)의 관통부(43)를 관통시키도록 하여 제2쉴드캔(40)을 덮은 후에도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제2쉴드캔(40)이 커넥터(31)를 덮으면서 상기 제1쉴드캔(20)과 제2쉴드캔(40)의 연결부가 서로 맞물려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에 의해 손쉽게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쉴드캔(40)의 접촉돌기(41)가 상기 커넥터(31)의 접지부와 직접 닿을 수 있게 되고, 상기 제2쉴드캔(40)과 커넥터(31) 상부의 접지부가 서로 맞닿아 접지영역을 넓게 확보됨과 동시에 연성회로기판(30)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2쉴드캔(40)을 의해 노이즈가 매집되어 그라운드 쪽으로 빠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의 인쇄회로기판(10)에서 폴더부의 인쇄회로기판(10)으로 데이터 및 전원라인, 각종 제어신호들을 전달하는 연성회로기판(30)은 내부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로 인하여 단말기의 무선성능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므로, 주변소자들에 가급적 영향을 주지 않고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연성회로기판(30) 의 커넥터(31)를 쉴드캔 처리하여 접지영역을 확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의 커넥터 부분에 쉴드캔을 장착하여 그라운드 영역을 확보함으로서, 연성회로기판에서 발생되는 노이즈 제거하는 동시에 주변기기로부터의 전자파를 차단하고, 단말기의 무선감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쉴드캔이 연성회로기판에 손쉽게 탈착이 가능하여 조립 및 보수가 용이하고, 생산효율의 향상과 생산단가를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된 커넥터홀더;
    상기 커넥터홀더를 수용하도록 중앙부에 개구부가 구비되고,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는 제1쉴드캔;
    상기 제1쉴드캔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커넥터홀더와 연결되고 상부에 접지부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단부에 구비하는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커넥터를 커버하도록 제1쉴드캔과 연결되고, 상기 접지부와 접촉되어 상기 접지부의 접지영역을 확장하는 제2쉴드캔을 포함하고,
    상기 제1쉴드캔 및 제2쉴드캔은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커넥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관통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쉴드캔은 상기 커넥터의 접지부와 대향하는 면에 돌출된 형상의 접촉돌기를 다수 구비하여 상기 접지부와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쉴드캔과 제2쉴드캔은 서로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쉴드캔과 제2쉴드캔의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에 돌출 형성된 연결돌기; 및
    상기 제1쉴드캔과 제2쉴드캔의 대향면 중 다른 한 면에 오목 형성된 연결홈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
  5.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된 커넥터홀더;
    상기 커넥터홀더를 수용하도록 중앙부에 개구부가 구비되고,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는 제1쉴드캔;
    상기 제1쉴드캔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커넥터홀더와 연결되고 상부에 접지부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단부에 구비하는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커넥터를 커버하도록 제1쉴드캔과 연결되고, 상기 접지부와 접촉되는 돌출된 형상의 접촉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접지부의 접지영역을 확장하는 제2쉴드캔을 포함하고,
    상기 제1쉴드캔 및 제2쉴드캔은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커넥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관통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
KR1020050002466A 2005-01-11 2005-01-11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 KR100612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466A KR100612574B1 (ko) 2005-01-11 2005-01-11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466A KR100612574B1 (ko) 2005-01-11 2005-01-11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202A KR20060082202A (ko) 2006-07-18
KR100612574B1 true KR100612574B1 (ko) 2006-08-11

Family

ID=3717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466A KR100612574B1 (ko) 2005-01-11 2005-01-11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25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0176A (ko) * 2009-10-13 201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KR101327054B1 (ko) * 2007-02-23 2013-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용 커넥터 및 통신모듈용 기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890B1 (ko) * 2012-02-17 2019-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458160B1 (ko) * 2014-05-22 2014-11-04 주식회사 에프아이티글로벌 전자기기용 안테나 장치의 장착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054B1 (ko) * 2007-02-23 2013-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용 커넥터 및 통신모듈용 기판
KR20110040176A (ko) * 2009-10-13 201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KR101606371B1 (ko) 2009-10-13 2016-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202A (ko) 200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7869B1 (en) Shielded board-to-board connector
KR101658821B1 (ko) 휴대 단말기의 쉴드 캔
US20150236457A1 (en) High-density cable end connector
US20060189183A1 (en) Camera module connector
JPH0515361U (ja) フイルタコネクタ及びフイルタコネクタ用遮蔽板
JPH08316677A (ja) 電磁波遮蔽装置
KR102208671B1 (ko) 차폐 기능을 갖는 소켓커넥터
US7361030B2 (en) Mounting structure of high frequency apparatus
WO2006057424A1 (ja) シールド付きコネクタおよび回路基板装置
EP0702512B1 (en) Shielding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KR1006125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
JP2017050235A (ja) コネクタソケット及びコネクタ
US7559799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454485B1 (ko) 휴대 단말기의 쉴드캔
JPH09274969A (ja) コネクタ
JP4300095B2 (ja) 電子機器のシールド構造
KR20210004774A (ko) 리셉터클 커넥터
JPH10106684A (ja) コネクタ
JP7446461B2 (ja) 基板コネクタ
KR100507547B1 (ko) 통신기기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9147008A (ja) 携帯端末および携帯電話機
KR100622238B1 (ko) 접지보강 홀딩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25550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09004117A (ja) 多極コネクタ
KR101326601B1 (ko) 무선 송수신 장치의 전자파 차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