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371B1 -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371B1
KR101606371B1 KR1020090097348A KR20090097348A KR101606371B1 KR 101606371 B1 KR101606371 B1 KR 101606371B1 KR 1020090097348 A KR1020090097348 A KR 1020090097348A KR 20090097348 A KR20090097348 A KR 20090097348A KR 101606371 B1 KR101606371 B1 KR 101606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ground
shield
main board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176A (ko
Inventor
김형욱
고병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7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371B1/ko
Priority to US12/925,079 priority patent/US8830697B2/en
Publication of KR20110040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18Casings with provisions to reduce aperture leakages in walls, e.g. terminals, connectors,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메인 보드에 마련된 커넥터 연결부에 커넥터가 결합되고 메인 보드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쉴드 캔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구조에서 상기 쉴드 캔 일측을 상기 커넥터의 접지부와 접촉될 수 있는 접지 구조물 형태로 변형하여 상기 커넥터의 접지 영역을 쉴드 캔 전체로 확장함으로써, 커넥터의 접지력 개선 및 커넥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저감을 지원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표시부, 커넥터, 쉴드 캔, 개스킷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Ground Construction of Connector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와 메인 보드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접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이동통신 기능, 게임 기능, 스케줄링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어서 많은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본적으로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그 형태가 소형화되어야 하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 충족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매우 다양한 기능 지원을 위하여 많은 수의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휴대 단말기는 제한적인 공간의 극대화를 위한 설계가 필요하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제한적인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많은 정보를 제공해주기 위하여 표시부의 크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표시부의 해상도 또한 증가하게 되었고, 현재는 표시부에 매우 많은 정보들이 표시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종래 휴대 단말기는 상기 표시부의 이미지 구현을 위하여 메인 보드에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표시부에 빠른 속도로 전달하고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의 메인 보드와 표시부는 대부분 직접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없는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메인 보드 일측과 표시부 일측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마련하게 된다. 상기 메인 보드는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를 표시부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는 터치 패널이 증착되어 입력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터치 패널에서 발생하는 신호는 상술한 커넥터를 통하여 메인 보드에 장착된 제어부에 전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와 메인 보드 사이에 매우 많은 양의 데이터를 매우 빠르게 송수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신호 흐름으로 인하여 데이터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메인 보드에 연결된 커넥터 부분에서 심한 데이터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노이즈는 협소한 공간적 제약 때문에 주변 기기들 예를 들면 안테나 패턴이나, 카메라 모듈, 기타 구성들의 오동작을 일으키거나 전자기적인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보드에 연결된 커넥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메인 보드 일측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접지하여 노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 접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는 메인 보드 일측에 마련된 커넥터 연결부, 상기 커넥터 연결부에 삽입되는 커넥터, 상기 메인 보드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 연결부 영역에서 상기 커넥터를 감싸도록 형성된 접지 구조물이 형성된 쉴드 캔, 상기 쉴드 캔의 접지 구조물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접지 구조물과 상기 커넥터의 접지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개스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는 메인 보드 일측에 마련된 커넥터 연결부, 상기 커넥터 연결부에 삽입되는 커넥터, 상기 메인 보드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 연결부 영역에서 상기 커넥터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의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지 구조물이 형성된 쉴드 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에 따르면, 메인 보드에 연결된 커넥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여 보다 안정적인 단말기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본 발명과 관련된 구성들의 일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는 메인 보드(100), 쉴드 캔(200), 커넥터(120) 및 전도성 개스킷(300)을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는 메인 보드(100) 일측에 마련된 커넥터 연결부(105)에 커넥터(120)가 안착되면, 메인 보드(100) 상부를 덮도록 형성된 쉴드 캔(200)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쉴드 캔(200)은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된 좌측 돌출부(201) 및 좌측 돌출부(201)와 일정 거리 이격되며 좌측 돌출부(201)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우측 돌출부(203)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돌출부(201) 및 우측 돌출부(203)는 커넥터 연결부(105)에 안착된 커넥터(120)의 좌우측에 각각 배열되며,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전도성 개스킷(300)이 커넥터(120)의 접지부(123)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커넥터(120)의 접지 구조를 쉴드 캔(200) 전체 영역으로 확장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는 쉴드 캔(200)을 커넥터(120)의 접지부(123)로 이용함으로써 메인 보드(100)에서 커넥터(120) 및 가연성 인쇄회로기판(125)을 통하여 송신되거나 표시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메인 보드(100)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하여 발생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의 형태와 배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 보드(100)는 휴대 단말기(10)의 다양한 기능 지원을 위한 제어부가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로직부(101)와 RF부(103)의 구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로직부(101)는 휴대 단말기(10)의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한 다양한 연산을 수행하는 구성이며, 상기 RF부(103)는 휴대 단말기(10)의 이동통신 서비스 기능 지원을 위한 모뎀 등이 배치되는 영역이다. 상기 RF부(103)는 이동통신 서비스 기능 지원을 위한 안테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보드(100)는 인쇄회로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표시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커넥터(120)가 안착되는 커넥터 연결부(105)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메인 보드(100)에 마련된 커넥터 연결부(105)는 커넥터(120)가 위에서 아래로 가해지는 압력 또는 커넥터 연결부(105) 방향으로 삽입되는 압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로직부(101) 일측에 커넥터 연결부(105)가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커넥터 연결부(105)는 RF부(103) 일측에 형성될 수 도 있으며, 이 경우 메인 보드(100)의 RF부(103)는 상기 커넥터(120)와 연결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로직부(101)가 상부에 위치하며, RF부(103)가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RF부(103)가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로직부(101)가 하부에 위치할 수 도 있다. RF부(103)에 커넥터 연결부(105)가 마련된 경우, 커넥터 연결부(105)와 로직부(101) 사이에 연결되는 신호 라인이 메인 보드(100) 내에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캔(200)은 메인 보드(100) 전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전도성 재질인 스테인리스 또는 특수강 스테인리스인 SU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쉴드 캔(200)은 일측에 커넥터(120)를 감싸는 형태의 접지 구조물 2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보드(100)의 좌측 상단 일측에 커넥터 연결부(105)가 마련된 경우, 상기 쉴드 캔(200)의 커넥터(120)를 감싸는 접지 구조물 210은 상기 커넥터 연결부(105)의 좌측면에 인접한 영역에서 상측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신장되는 좌측 돌출부(201)와, 커넥터 접지 연결부(225)의 우측면에 인접한 영역에서 상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신장되는 우측 돌출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20)는 일측이 상기 메인 보드(100)에 마련된 커넥터 연결부(105)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타측은 가연성 인쇄회로기판(125)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커넥터 연결부(105)가 전면에 일정 개수의 홀을 마련하는 경우, 상기 커넥터(120)는 커넥터 연결부(105)에 마련된 일정 개수의 홀에 삽입되는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연결부(105)에 마련된 각각의 홀들은 로직부(101)의 특정 신호라인들과 연결되는 구조물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는 로직부(101)에서 커넥터 연결부(105)에 결합한 커넥터(120)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120)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커넥터 연결부(105)와 커넥터(120)는 일정 물리력이 가해지는 경우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하는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120)는 상부에 접지부(123)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120)는 접지부(123)가 마련된 상부에 접지부(123) 이외의 영역에서 전기적 접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물질이 도포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120) 상부에 절연물질이 도포된 경우, 상기 커넥터(120)는 접지부(123)를 노출시켜 적어도 일측이 전도성 개스킷(300)과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넥터(120)의 타측에는 가연성 인쇄회로기판(125)이 배치된다. 상기 가연성 인쇄회로기판(125)은 상기 커넥터(120)의 타측에 마련되며 커넥터(120)에 마련된 각 신호라인과 연결되는 회로기판이다. 상기 가연성 인쇄회로기판(125)의 타측은 도시되지 않은 표시부 일측에 연결되며, 로직부(101)가 제공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표시부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상기 전도성 개스킷(300)은 상기 커넥터(120)와 상기 쉴드 캔(200)의 접지 구조물 210인 좌측 돌출부(201)와 우측 돌출부(203)를 덮도록 배치되는 구성이다. 실질적으로 휴대 단말기(10)를 구성하는 전면 케이스와 후면 케이스가 마련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후면 케이스에는 메인 보드(100)가 배치되며, 전면 케이스에는 표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는 후면 케이스에 메인 보드(100)가 배치된 이후 커넥터(120)가 메인 보드(100)의 커넥터 연결부(105)에 삽입되고, 쉴드 캔(200)이 메인 보드(100)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나사 결합 등을 이용하여 쉴드 캔(200)을 후면 케이스에 고정시킴으로써 메인 보드(100)를 후면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가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전도성 개스킷(300)은 전면 케이스 일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전면 케이스와 후면 케이스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전도성 개스킷(300)이 상기 쉴드 캔(200)의 접지 구조물 210 및 커넥터(1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전도성 개스킷(300)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쉴드 캔(200)의 접지 구조물 210인 좌측 돌출부(201)와 커넥터(120)의 접지부(123) 및 우측 돌출부(203)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커넥터(120)의 상부에 마련된 접지부(123)는 전도성 개스킷(300)과 좌측 돌출부(201) 및 우측 돌출부(203)와 전기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커넥터(120)의 접지 영역을 쉴드 캔(200)으로 확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도성 개스킷(300)은 후면 케이스와 전면 케이스 결합에 의하여 쉴드 캔(200)의 접지 구조물 210에 압력을 가하게 되어 쉴드 캔(200)의 접지 구조물 210과 커넥터(120)의 접지부(123)에 보다 견고하게 접촉될 수 있 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는 메인 보드(100)와 표시부를 연결하는 커넥터(120)를 쉴드 캔(200)에 접지하는 접지 구조물 210과 전도성 개스킷(300)을 제공함으로써 커넥터(120)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측 돌출부(201) 및 우측 돌출부(203)는 커넥터(120)의 양측벽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커넥터(120)가 커넥터 연결부(105)에 결합된 이후 커넥터(1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좌측 돌출부(201)는 커넥터(120)의 좌측벽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우측 돌출부(203)는 커넥터(120)의 우측벽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는 메인 보드(100), 쉴드 캔(200), 커넥터(120) 및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고정 개스킷(30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보드(100)와 상기 커넥터(120)의 구조는 도 2에서 설명한 메인 보드(100) 및 커넥터(12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쉴드 캔(200)은 메인 보드(100)의 전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메인 보드(100)에 마련된 커넥터 연결부(105) 영역에 커넥터(120)가 삽입되는 경우 커넥 터(120)의 접지부(123)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접지 구조물 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 구조물 220은 커넥터 연결부(105)가 배치된 쉴드 캔(200)의 상측벽 일정 영역에서 커넥터(120)가 커넥터 연결부(105)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신장되는 기준 돌출부(211), 기준 돌출부(211)의 끝단에서 일정 각도를 가지며 커넥터(120) 측벽과 수직된 방향으로 신장되는 측벽 신장부(215), 측벽 신장부(215)의 끝단에서 쉴드 캔(200)의 상측벽과 나란한 방향으로 신장되어 커넥터(120) 삽입 시 접지부(123)와 접촉되는 접지 신장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준 돌출부(211)는 커넥터(120)가 커넥터 연결부(105)에 삽입되는 경우 커넥터(120)의 좌측벽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측벽 신장부(215)는 커넥터(120)의 좌측벽과 일정 각도 예를 들면 직각이 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접지 신장부(213)는 커넥터(120)의 좌측벽 일측에서 커넥터(120)의 접지부(123)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지 구조물 220은 접지 신장부(213)가 커넥터(120)의 접지부(123)와 접촉되며 측벽 신장부(215)와 기준 돌출부(211)를 통하여 쉴드 캔(200) 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커넥터(120)의 접지 영역을 쉴드 캔 전체 영역으로 확장하게 된다. 이러한 쉴드 캔(200)의 재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재질 또는 SU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 신장부(213) 일측에는 돌기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접지 신장부(213)는 접지부(123)와 마주보는 면에 돌기를 더 마련하여 접지부(1230)와의 전기적 접촉을 보다 견고하게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 신장부(213)는 접지부(123)와 마주보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진 형태의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커넥터(120) 삽입 시 접지 신 장부(213)는 측벽 신장부(215)에 의하여 지지되며 일정 강도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력은 커넥터(120)의 접지부(123) 방향으로 작용하여 자체적으로 접지부(123)에 보다 견고하게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고정 개스킷(301)은 비전도성 재질인 포론(Poron)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개스킷(301)은 후면 케이스와 전면 케이스의 결합 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10) 일측에서 쉴드 캔(200)이 배치된 후면 케이스 이외의 전면 케이스에 배치될 수 있으며, 케이스 결합에 따라 쉴드 캔(200)의 접지 구조물 220을 위에서 아래로 압력을 가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즉 고정 개스킷(301)은 접지 신장부(213)가 커넥터(120)의 접지부(123)와 견고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접지 신장부(213)를 누르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상기 고정 개스킷(301)은 비전도성 재질뿐만 아니라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이 경우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고정 개스킷(301)은 커넥터(120)의 접지부(123)와 접지 구조물 220이 전기적으로 보다 견고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접지부(123)의 접지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구성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커넥터 접지 구조는 기존에 고정 개스킷(301) 제조를 위해 사용되었던 공정 과정이나 재료의 변경 없이 쉴드 캔(200)의 변형으로 커넥터(120)의 접지 영역을 쉴드 캔(200)으로 확장시킬 수 있어 별도의 추가 공정이나 재료비 상승 없이 메인 보드(100)에 삽입되는 커넥터(120)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를 설 명하기 위한 구성 중 쉴드 캔(200)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의 쉴드 캔(200) 구조는 메인 보드(100) 전면을 덮도록 형성된 상판부(229)와, 상판부(229) 일측에서 커넥터(120)의 접지부(123)와 접촉되는 접지 구조물 230을 포함한다. 상기 접지 구조물 230은 커넥터(120)가 메인 보드(100)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인 상측 방향으로 신장된 좌측 신장부(221) 및 상기 좌측 신장부(221)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좌측 신장부(221)와 나란하게 신장되는 우측 신장부(223), 좌측 신장부(221)와 우측 신장부(223) 끝단을 연결하며 커넥터(120)가 커넥터 연결부(105)에 결합될 때 커넥터(120)의 접지부(123)와 접촉되는 접지 연결부(225)의 구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좌측 신장부(221)는 메인 보드(100)에 커넥터(120)가 삽입되는 경우 커넥터(120)의 좌측벽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우측 신장부(223)는 메인 보드(100)에 커넥터(120)가 삽입되는 경우 커넥터(120)의 우측벽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접지 연결부(225)는 좌측 신장부(221)의 끝단에서 커넥터(120) 좌측벽과 수직된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신장되는 좌측 서브 신장부와 상기 좌측 서브 신장부와 커넥터(120)의 폭 만큼 이격된 위치 및 우측 신장부(223)의 끝단에서 커넥터(120) 우측벽과 수직된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신장되는 우측 서브 신장부 및 좌측 서브 신장부와 우측 서브 신장부를 잇는 접지 이음부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접지 이음부는 실질적으로 커넥터(120)가 커넥터 연결부(105)에 결합되면 커넥터(120)에 마련된 접지부(123)와 접촉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접지 구조물 230은 접지 이음부에 커넥터(120)의 접지부(12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다 시 상기 접지 이음부와 쉴드 캔(200) 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커넥터(120)의 접지 영역을 쉴드 캔(200) 전체 영역으로 확장하여 접지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 구조물 230은 커넥터(120)가 메인 보드(100)의 커넥터 연결부(105)에 삽입되는 경우 접지 이음부로 커넥터(120)를 고정시킴으로써 커넥터(1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접지 이음부는 일측에 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지 이음부는 커넥터(120)의 접지부(123)와 대면되는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어 접지 이음부와 접지부(123)의 전기적 접촉을 보다 견고하게 지원할 수 있다.
추가로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는 쉴드 캔(200)의 접지 구조물 230을 고정시키는 개스킷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개스킷은 접지 구조물 230이 형성되는 쉴드 캔(200)이 배치되지 않는 케이스에 마련되어 케이스 결합력에 의하여 접지 구조물 230을 압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지 구조물 230은 커넥터(120)의 접지부(123)와 보다 견고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스킷은 전도성 재질 또는 비전도성 재질 어느 것으로 형성되더라도 커넥터(120)와 쉴드 캔(200)의 접지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커넥터 접지 구조는 노이즈 저감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 지원 시 수신 감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커넥터 접지를 위한 부차적인 재료의 공급이 없기 때문에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공정 수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는 커넥터(120)를 쉴드 캔(200)에 접지하는 구조를 제안하여 커넥터(120)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커넥터(120)와 쉴드 캔(200)을 서로 접지시키기 위하여 쉴드 캔(200)의 일측이 몇 가지 형태로 변형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쉴드 캔(200)은 커넥터(120)의 배치나 커넥터(120)의 구조 형태 또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커넥터 접지 구조는 상기 쉴드 캔(200)의 변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커넥터(120)의 접지부(123)를 쉴드 캔(20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하는 특징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의 설명을 위한 구성만을 일부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각 구성들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쉴드 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Claims (13)

  1. 메인 보드 일측에 마련된 커넥터 연결부;
    상기 커넥터 연결부에 삽입되는 커넥터;
    상기 메인 보드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 연결부 영역에서 상기 커넥터를 감싸도록 형성된 접지 구조물이 형성된 쉴드 캔;
    상기 쉴드 캔의 접지 구조물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접지 구조물과 상기 커넥터의 접지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개스킷;을 포함하며,
    상기 접지 구조물은
    상기 쉴드 캔 일측에서 상기 커넥터의 일측벽과 나란하게 신장되는 좌측 돌출부; 및
    상기 쉴드 캔 타측에서 상기 커넥터의 타측벽과 나란하게 신장되는 우측 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좌측 돌출부와 상기 커넥터의 접지부 및 상기 우측 돌출부를 동시에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와 상기 쉴드 캔 및 커넥터가 배치되는 후면 케이스;
    상기 후면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개스킷이 배치되는 전면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5. 메인 보드 일측에 마련된 커넥터 연결부;
    상기 커넥터 연결부에 삽입되는 커넥터;
    상기 메인 보드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 연결부 영역에서 상기 커넥터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의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지 구조물이 형성된 쉴드 캔;을 포함하며,
    상기 접지 구조물은
    상기 커넥터의 일측벽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기준 돌출부;
    상기 기준 돌출부 끝단에서 상기 커넥터의 일측벽과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측벽 신장부; 및
    상기 측벽 신장부 끝단에서 상기 커넥터의 접지부 방향으로 신장되는 접지 신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신장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접지 신장부가 상기 커넥터의 접지부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신장부는
    상기 접지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또는 상기 접지부 방향으로 구부러진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9. 메인 보드 일측에 마련된 커넥터 연결부;
    상기 커넥터 연결부에 삽입되는 커넥터;
    상기 메인 보드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 연결부 영역에서 상기 커넥터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의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지 구조물이 형성된 쉴드 캔;을 포함하며,
    상기 접지 구조물은
    상기 커넥터의 일측벽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좌측 신장부;
    상기 커넥터의 타측벽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우측 신장부;
    상기 좌측 신장부 및 상기 우측 신장부를 연결하며 상기 커넥터의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연결부는
    상기 좌측 신장부 끝단에서 상기 커넥터의 일측벽과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좌측 서브 신장부;
    상기 우측 신장부 끝단에서 상기 커넥터의 타측벽과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우측 서브 신장부;
    상기 좌측 서브 신장부와 상기 우측 서브 신장부를 연결하며 상기 커넥터의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지 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이음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접지 이음부를 커넥터의 접지부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배치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이음부는
    상기 접지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13. 제 7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와 상기 쉴드 캔 및 커넥터가 배치되는 후면 케이스;
    상기 후면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개스킷이 배치되는 전면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KR1020090097348A 2009-10-13 2009-10-13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KR101606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348A KR101606371B1 (ko) 2009-10-13 2009-10-13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US12/925,079 US8830697B2 (en) 2009-10-13 2010-10-13 Ground structure of connector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348A KR101606371B1 (ko) 2009-10-13 2009-10-13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176A KR20110040176A (ko) 2011-04-20
KR101606371B1 true KR101606371B1 (ko) 2016-03-28

Family

ID=4385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348A KR101606371B1 (ko) 2009-10-13 2009-10-13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30697B2 (ko)
KR (1) KR101606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02358A1 (en) * 2013-06-28 2015-01-0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adio communication modu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574B1 (ko) 2005-01-11 2006-08-11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2690B1 (en) * 1995-09-25 2001-06-05 Ericsson Inc. Gasket system for EMI isolation
DE19816230C2 (de) * 1997-04-11 2001-11-29 Advantest Corp Abschirmgehäuse
JP3068557B2 (ja) * 1998-04-30 2000-07-24 北川工業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の接地構造及び当該接地構造に用いられる導電部材
US6287146B1 (en) * 1999-02-04 2001-09-11 Molex Incorporated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ail aligner
US6095862A (en) * 1999-02-04 2000-08-01 Molex Incorporated Adapter frame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s
US6206730B1 (en) * 1999-02-04 2001-03-27 Molex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KR20020059913A (ko) * 2001-01-09 2002-07-16 윤종용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접지장치
CN101346029B (zh) * 2007-07-13 2011-12-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式便携式电子装置的接地装置
JP2009123500A (ja) * 2007-11-14 2009-06-04 Hosiden Corp 基板アセンブリー
US7892007B2 (en) * 2008-08-15 2011-02-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574B1 (ko) 2005-01-11 2006-08-11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노이즈 제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85315A1 (en) 2011-04-14
US8830697B2 (en) 2014-09-09
KR20110040176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4985B2 (ja) アンテナモジュール
JP6652654B2 (ja) ノートパソコン
CN100538614C (zh) 感触输入装置及应用该感触输入装置的电子装置
US20060077108A1 (en) Computer with an embedded antenna
JP2003131792A (ja) ワイヤレスキーボード
CN100405672C (zh) 连接器及使用该连接器的笔记本电脑系统
TWI494819B (zh) 觸控面板組件與電子裝置
CN106060698B (zh) 触控式蓝牙耳机
US8780081B2 (en) Touch panel
CN110692169B (zh) 便携式电子设备
CN108885694A (zh) 指纹识别组件及终端
TW201349660A (zh) 電子裝置
TWI532275B (zh) 連接器
US10310671B2 (en) Touch sensor device
US2014017637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KR101606371B1 (ko)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KR100640340B1 (ko)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20150045180A (ko) 이동 단말기
EP1589400A2 (en) Portable computer system with antenna
KR101185230B1 (ko) 휴대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CN212659084U (zh) 模组组合结构及电子装置
TWI604294B (zh) 電子裝置
KR20110132869A (ko) 슬라이드 안테나를 구비하는 모바일장치
KR102180130B1 (ko) 밴드형 안테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
CN108110401B (zh) 天线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