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130B1 - 밴드형 안테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밴드형 안테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130B1
KR102180130B1 KR1020190020817A KR20190020817A KR102180130B1 KR 102180130 B1 KR102180130 B1 KR 102180130B1 KR 1020190020817 A KR1020190020817 A KR 1020190020817A KR 20190020817 A KR20190020817 A KR 20190020817A KR 102180130 B1 KR102180130 B1 KR 102180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device
band
antenna
area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627A (ko
Inventor
전찬익
문병인
김양훈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90020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13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05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built-in auxiliary recei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4B5/006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밴드형 안테나장치와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그 중 밴드형 안테나장치는, 밴드형 안테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장치는, 보조 안테나 및 상기 보조 안테나의 전면 및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가요성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재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장치는, 일면이 오목한 제1 방향의 축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직선 축에 의해 정의된 곡면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일면이 상기 제1 방향의 직선 축 및 볼록한 상기 제2 방향의 축에 의해 정의된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안테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수신한다.

Description

밴드형 안테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Band-type antenna apparatus and a wireless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밴드형 안테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태블릿 PC 등을 비롯한 휴대용 전자장치는 다양한 무선통신 기능과 함께 무선전력 충전 기능이 구비되는 추세이다. 이때, 각 무선통신 및 무선전력 충전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사용되는 주파수가 상이하므로 각각의 주파수 또는 애플리케이션별로 안테나를 구비해야 한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장치에 구비되는 안테나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WPC 안테나, NFC 안테나 및 MST 안테나 등 사용되는 안테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복수의 안테나들은 콤보(Combo) 형태로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용 안테나는 1/4 파장 모노폴이나 헬리컬 형태로써 이동통신단말기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휴대하기에 불편하고 견고성의 문제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장형 안테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기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와 관련하여, 안테나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고자 하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스마트 기기와 같은 소형 전자장치에 있어서, FM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안테나장치는, 밴드형 안테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장치는, 보조 안테나 및 상기 보조 안테나의 전면 및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가요성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재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장치는, 일면이 오목한 제1 방향의 축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직선 축에 의해 정의된 곡면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일면이 상기 제1 방향의 직선 축 및 볼록한 상기 제2 방향의 축에 의해 정의된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안테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수신한다.
상기 안테나장치는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보다 상기 제2 방향의 길이가 길 수 있다.
상기 보조 안테나는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수신 영역과 연결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 영역의 폭은 상기 수신 영역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수신 영역과 상기 연결 영역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영역은 외부 전자장치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영역의 길이는 10cm 내지 80cm일 수 있다.
상기 수신 영역은 복수로 이루어진 상기 연결 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장치는 벤딩 모드와 비벤딩 모드를 포함하되, 상기 비벤딩 모드에서, 상기 안테나장치는, 일면이 오목한 제1 방향의 축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직선 축에 의해 정의된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벤딩 모드에서, 상기 안테나장치는, 상기 일면이 상기 제1 방향의 직선 축 및 볼록한 상기 제2 방향의 축에 의해 정의된 곡면을 포함하는 밴드형 안테나 장치.
상기 안테나장치는, 상기 벤딩 모드에서 외부 전자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비벤딩 모드에서 상기 외부 전자장치와 비결합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은 FM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상기 보호재는 상기 보조 안테나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장치는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접촉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재에 의해 덮혀지는 NFC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NFC모듈은 상기 보조 안테나와 절연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은, 전자장치와 상기 전자장치의 외측에 결합된 안테나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적어도 일부의 도전 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통신회로 및 상기 도전 영역 및 상기 통신회로의 접지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장치는, 상기 안테나장치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도전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보조 안테나 및 상기 보조 안테나의 상면 및 하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가요성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재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장치의 상기 통신회로는 상기 안테나장치의 상기 보조 안테나가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상기 안테나장치는 밴드 형태로서, 상기 전자장치의 일면 및 테두리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사이드 부재 및 상기 사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영역은 상기 사이드 부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장치의 상기 보호재는 상기 보조 안테나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영역과 상기 보조 안테나는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접촉패드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전 영역과 상기 보조 안테나는, 상기 보호재를 사이에 두고 절연될 수 있다.
상기 도전 영역과 상기 보조 안테나는 전기적으로 커플링 되어 결합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소형 스마트 전자장치에서도 FM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다.
도 2는 도 1의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다.
도 4는 스마트폰에 밴드형 안테나장치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다.
도 5는 도 4의 (a)과정에서 밴드형 안테나장치를 좀더 자세히 도시한 사시도다.
도 6은 도 4의 (b)과정에서 밴드형 안테나장치를 좀더 자세히 도시한 사시도다.
도 7은 도 4의 (b)과정에서 밴드형 안테나장치를 좀더 자세히 도시한 사시도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다.
도 9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다.
도 10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안테나장치의 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11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안테나장치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다.
도 1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안테나장치의 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1)은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에 결합된 밴드형 안테나장치(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1)은 스마트폰(10)에 밴드형 안테나장치(20)가 끼워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장치로서 스마트폰(10)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는 한 노트북, 모니터, TV, 휴대폰, MP3 플레이어, 의료측정기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HMD를 포함하는 각종 스마트 기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폰(10)은 전면(10a), 후면(10b) 및 테두리면(10c)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10a)과 후면(10b)은 서로 대향하는 면이며, 테두리면(10c)은 전면(10a)과 후면(10b)을 연결하는 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의 전면이라고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예, 표시방향)을 바라보는 면을 의미하고, 후면이라고 함은 상측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예, 표시방향과 반대방향)을 바라보면 면을 의미한다. 다만, 전면 및 후면은 용어에 한정하지 않고, 서로 대향하는 상대적인 면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면(10a)은 표시면일 수 있다. 표시면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외측에 배치되되,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표시 영역(DA)은 스마트폰(10)이 표시하고자 하는 내용을 표시하는 영역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터치 통해 입력할 수 있는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표시 방향은 표시면의 법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면(10b)은 전면(10a)과 평행할 수 있다. 후면(10b)과 전면(10a) 사이의 간격은 스마트폰(10)의 두께를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후면(10b)은 지지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후면(10b)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스마트폰(10)에 결합된 밴드형 안테나장치(20)와 접하는 면일 수 있다.
테두리면(10c)은, 도전 영역(CA)과 비도전 영역(NCA)을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면(10c)은 후술하는 사이드 부재(120, 도 2 참조)의 외부 표면일 수 있다. 도전 영역(CA)은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비도전 영역(NCA)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면(10c)의 폭은 전면(10a)과 후면(10b) 사이의 간격일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스마트폰(10)의 두께를 정의할 수 있다. 명확히 도시하진 않았지만, 테두리면(10c)은 입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은 음량 조절 모듈 및 전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테두리면(10c)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스마트폰(10)에 결합된 밴드형 안테나장치(20)와 접하는 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테두리면에 체결되고, 체결된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스마트폰(10)의 후면(10b)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도 접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폰(10)은 사이드 부재(120)(예: 측면 프레임), 인쇄 회로 기판(130), 지지 부재(140)(예: 브라켓(bracket)) 및 커버 글래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부재(120)는 스마트폰(10)의 테두리면(10c)을 둘러싸는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부재(120)는 스마트폰(10)의 전면(10a)을 커버하는 커버 글래스(110) 및 스마트폰(10)의 후면(10b)을 커버하고 커버 글래스(110)와 반대 방향을 향하는 후면 플레이트(미도시)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후면 플레이트의 일 면은 상술한 스마트폰(10)의 후면(10b)을 구성할 수 있다.
사이드 부재(120)의 외부 표면은 스마트폰의 테두리면을 구성할 수 있다. 사이드 부재(120)는 도전 영역(CA) 및 비도전 영역(NC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부재(120)의 도전 영역(CA)은 금속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이드 부재(120)의 비도전 영역(NCA)은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이드 부재(120)의 도전성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스마트폰(10)에 포함된 안테나의 방사체로 활용될 수 있다.
명확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몇몇 실시예에서, 사이드 부재(120)의 외측 표면은 비도전성 커버층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도전성 커버층은 코팅면으로서, 도장면을 포함할 수 있다. 비도전성 커버층은 전술한 스마트폰(10)의 도전 영역(CA) 및 비도전 영역(NCA)를 모두 덮을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30)은 사이드 부재(12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30)은 스마트폰(10)의 다양한 부품들을 지지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30)은 인쇄 회로 기판(130) 상에 배치된 부품들 및 다른 부품들 중 적어도 일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30)은 사이드 부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 라인(도 3의 341 내지 344 참조) 및 접지 라인(도 3의 351 내지 353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30)은 접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지지 부재(140)는 사이드 부재(120)와 인쇄 회로 기판(130)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지 부재(140)는 후면 플레이트(미도시)와 인쇄 회로 기판(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후면 플레이트가 지지 부재(14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지지 부재(140)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30))과 디스플레이(380) 패널(미도시)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140)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130)과 상기 디스플레이(380) 패널(미도시) 사이의 전자파의 간섭을 차폐할 수 있다.
지지 부재(140)와 사이드 부재(120)는 하우징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지지 부재(140)와 사이드 부재(120)는 각각 하우징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커버 글래스(110)는 스마트폰(10)의 전면을 커버하는 부재일 수 있다. 커버 글래스(11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터치 펜 등 입력수단이 접하는 곳일 수 있다. 커버 글래스(110)는 외부의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스마트폰(10)의 여러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스마트폰(10)과 독립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스마트폰(10)에 탈부착될 수 있다. 밴드형 안테나장치(20)가 스마트폰(10)에 부착되는 경우(도 1의 경우),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스마트폰(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형 안테나장치(20)가 스마트폰(10)에 부착되는 경우, 밴드형 안테나장치(20)의 전면(201a)은 스마트폰(10)의 후면(10b) 및 테두리면(10c)과 접할 수 있다. 즉, 밴드형 안테나장치는 스마트폰(10)의 사이드 부재(120) 및 후면 플레이트와 접하면서 스마트폰(10)에 부착될 수 있다. 밴드형 안테나장치(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폰(10)은 제1 안테나(311), 제2 안테나(312), 제3 안테나(313), 인쇄 회로 기판(130), 제1 매칭부(331), 제2 매칭부(332), 제3 매칭부(333), 제4 매칭부(334), 통신 회로(330), 프로세서(360), 접지층(370) 및 디스플레이(3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보조 안테나(25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 스마트폰(10)의 하우징의 일부 영역이 도전 영역(CA)임을 도시하였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와 도 3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 도면 부호를 달리하였다.
스마트폰(10)은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로, 스마트폰(10)이 3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안테나의 개수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필요에 따라, 안테나 중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스마트폰(10)은 다른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안테나(311), 제2 안테나(312) 및 제3 안테나(313)는 안테나의 방사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1 안테나(311), 제2 안테나(312) 및 제3 안테나(313)는 각각 목표된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안테나(311), 제2 안테나(312) 및 제3 안테나(313)는 도 2의 사이드 부재(120)의 일부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안테나(311), 제2 안테나(312) 및 제3 안테나(313)는 WPT 안테나, MST 안테나, NFC 안테나, GPS 안테나, Wi-Fi 안테나, 블루투스 안테나, LTE 안테나, 5G 안테나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30)은 스마트폰(10)의 다양한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330) 및 프로세서(360)는 인쇄 회로 기판(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30)은 급전 라인들 및 접지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명확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마트폰(10)은 적어도 하나의 접지 플레이트로 구성된 접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지 플레이트는 스마트폰(10)의 내부 및 표면에 고루 분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술한 접지부의 구성 중 하나는 접지층(370)으로서 인쇄 회로 기판(130)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지층(370)은 지지 부재(140)(예: 도 2의 지지 부재)의 일부이거나, 디스플레이(380)의 접지일 수도 있다. 접지층(370)은 이 외에 스마트폰(10)의 다양한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접지층(370)은 제1 안테나(311), 제2 안테나(312) 및 제3 안테나(313)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접지층(370) 또는 접지층(370)의 일부 영역은 제1 안테나(311), 제2 안테나(312) 및 제3 안테나(3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안테나(311), 제2 안테나(312) 및 제3 안테나(313)는 각각 제1 접지 라인(351), 제2 접지 라인(352) 및 제3 접지 라인(353)을 통해 접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안테나(311), 제2 안테나(312) 및 제3 안테나(313) 중 일부는 접지 라인을 통해 스마트폰(10)에 내장된 다른 접지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통신 회로(330)는 제1 안테나(311), 제2 안테나(312) 및 제3 안테나(3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330)는 제1 급전 라인(341)을 통해 제1 안테나(3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회로(330)는 제2 급전 라인(342)을 통해 제2 안테나(3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회로(330)는 제3 급전 라인(343)을 통해 제3 안테나(3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회로(330)는 제1 안테나(311), 제2 안테나(312) 및 제3 안테나(313)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회로(330)는 제1 안테나(311), 제2 안테나(312) 및 제3 안테나(313)로 전기적 신호를 급전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 급전 라인은 통신 회로(330)의 회로 패턴 또는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통신 회로(330)는 접지층(370)과 제4 급전 라인(344)과 제5 급전 라인(345)을 통해 밴드형 안테나장치(20)의 보조 안테나(250)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적 결합이라 함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된 경우를 의미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로, 통신회로와 접지층(370)은 제4 급전 라인(344)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접지층(370)과 도전 영역(CA)은 제5 급전 라인(345)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5 급전 라인(345)의 일단은 통신회로의 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보조 안테나(250)와 커플링으로 겹합되는 부분에 인접한 도전 영역(C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조 안테나(250)는 사이드 부재(120)의 도전 영역(CA)과 전기적으로 커플링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통신 회로(330)는 보조 안테나(250)와 커플링 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보조 안테나(250)는 FM 수신 안테나일 수 있다. 즉, 보조 안테나(250)는 FM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보조 안테나(250)와 통신회로가 커플링 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된 경우, 전자장치는 FM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 안테나(250)와 스마트폰(10)의 도전 영역(CA)은 스마트폰(10)의 비도전성 커버층 및 밴드형 안테나장치(20)의 보호재(200)를 사이에 두고 절연될 수 있다. 다만, 보조 안테나(250)와 도전 영역(CA) 및/또는 접지층(370)은 전기적으로 커플링 될 수 있고,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보조 안테나(250)와 도전 영역(CA) 및/또는 접지층(370)은 전기적으로 커플링 되어,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조 안테나(250)와 커플링되는 도전 영역(CA) 및/또는 접지층(370)은 함께 MIMO, 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또는 MISO(Multiple Input Single Output) 안테나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안테나(250)는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되고, 접지층(370)은 보조 안테나(250)와 함께 무선신호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안테나(250)와 도전 영역(CA) 및/또는 접지층(370) 사이에서 커플링이 형성될 수 있도록 스마트폰(10)에 밴드형 안테나장치(20)가 부착되는 경우, 보조 안테나(250)와 도전 영역(CA)은 기설정된 간격 이내로 근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간격은 보조 안테나(250)와 도전 영역(CA) 사이에 용량 결합(capacitive coupling)이 형성될 수 있도록,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파장의 1/10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자장치에 밴드형 안테나장치(20)가 부착되는 경우, 보조 안테나(250)와 도전 영역(CA) 사이의 간격은 FM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파장의 1/10 이내일 수 있다. 여기서, FM 주파수라 함은 예를 들어, 87 MHz 내지 110 MHz 범위의 주파수일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보조 안테나(250)와 도전 영역(CA) 사이의 커플링에 의해 더 짧은 경로로도 특정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는 공진 길이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가 소형화될 수 있다. 즉, 스마트폰(10)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다.
통신 회로(330)는 FM 수신, WPT, MST, NFC, GPS, Wi-Fi, 블루투스, LTE 및 5G 중 하나의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의 IC일 수도 있고, 또한, FM 수신, WPT, MST, NFC, GPS, Wi-Fi, 블루투스, LTE 및 5G 중 선택된 복수의 통신을 지원하는 복수의 IC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회로(330)와 각각의 안테나는 매칭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매칭부는 제1 매칭부(331), 제2 매칭부(332), 제3 매칭부(333) 및 제4 매칭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매칭부(331)는 제1 안테나(311)와 통신 회로(330) 사이에서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2 매칭부(332)는 제2 안테나(312)와 통신 회로(330) 사이에서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3 매칭부(333)는 제3 안테나(313)와 통신 회로(330) 사이에서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4 매칭부(334)는 접지층(370), 보조 안테나(250) 및 통신 회로(330) 사이에서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전기적으로 커플링 결합시킬 수 있다.
매칭부는 FM 수신 안테나, WPT 안테나, MST 안테나, NFC 안테나, GPS 안테나, Wi-Fi 안테나, 블루투스 안테나, LTE 안테나 및 5G 안테나의 각 임피던스와 FM 수신 IC, WPT IC, MST IC, NFC IC, GPS IC, Wi-Fi IC, 블루투스 IC, LTE IC 및 5G IC의 임피던스를 매칭하여 신호 손실을 줄이고 신호 전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신호 전달 특성의 향상은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매칭부는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IC의 임피던스를 매칭하여 목표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게 할 수 있다. 각 IC는 매칭부를 통해 수신되는 목표 주파수 대역의 수신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목표 주파수 대역의 송신 신호가 송신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통신 회로(330) 및 디스플레이(3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통신 회로(330) 및 디스플레이(38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프로세서(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마트폰(10)의 다른 구성을 제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380)는 프로세서(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80)는 프로세서(3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80)는 스마트폰(10)의 전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80)는 예를 들어, 표시 패널 및/또는 터치 스크린 패널일 수 있다.
이하, 밴드형 안테나장치(20)에 대해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스마트폰에 밴드형 안테나장치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다. 도 5는 도 4의 (a)과정에서 밴드형 안테나장치를 좀더 자세히 도시한 사시도다. 도 6은 도 4의 (b)과정에서 밴드형 안테나장치를 좀더 자세히 도시한 사시도다. 도 7은 도 4의 (b)과정에서 밴드형 안테나장치를 좀더 자세히 도시한 사시도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스마트폰에 결합될 수 있고,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결합 과정마다 형상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스마트폰(10)에 결합되기 전 상태(비벤딩 모드, 도 4의 (a) 및 도 5 참조), 스마트폰(10)에 결합되는 도중 상태(도 4의 (b) 및 도 6 참조) 또는 스마트폰(10)에 결합된 상태(벤딩 모드, 도 4의 (c) 및 도 7 참조)일 수 있다.
우선, 밴드형 안테나장치(20)가 스마트폰에 결합되기 전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의 (a)와 도 5가 참조된다.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스마트폰(10)의 후면과 접하는 평면 영역(FA)과 스마트폰(10)의 사이드 부재(120)와 접하는 제1 벤딩 영역(BA1)과 제2 벤딩 영역(BA2)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영역(FA)은 제1 벤딩 영역(BA1)과 제2 벤딩 영역(BA2) 사이에 위치할 수 잇다. 제1 벤딩 영역(BA1), 평면 영역(FA) 및 제2 벤딩 영역(BA2)은 제2 방향(dr2)으로 차례로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평면 영역(FA)은 몇몇 실시예에서 스마트폰(10)의 평평한 후면(10b)의 형상에 대응한 평평한 형상을 갖을 수 있어 평면 영역(FA)이라 명명하였지만, 용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밴드형 안테나장치(20)의 평면 영역(FA)은 일부 구부러진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도전 레이어와 상기 도전 레이어의 전면 및 후면을 덮도록 배치된 보호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보호재(200)는 제1 보호 부재(201)와 제2 보호 부재(202)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재(200)는 가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요성 물질은 플라스틱, 고분자물질, 금속 또는 합금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재(200)는 쉽게 구부렸다 펴질 수 있다. 보호재(200)의 형상은 밴드형 안테나장치(20)의 외형에 대응될 수 있다.
도전 레이어는 제1 보호 부재(201)와 제2 보호 부재(202)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보호 부재(201)는 도전 레이어의 전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호 부재(202)는 도전 레이어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호 부재(201)와 제2 보호 부재(202)는 함께 도전 레이어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덮을 수 있다. 밴드형 안테나장치(20)의 일부 영역에서, 제1 보호 부재(201)와 제2 보호 부재(202)가 직접 접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전 레이어는 보조 안테나(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안테나(250)는 수신 영역(251)과 연결 영역(252)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안테나(250)의 수신 영역(251)은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안테나(250)의 수신 영역(251)은 FM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안테나(250)의 수신 영역(251)의 길이는 FM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약 10cm 내지 약 80c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안테나(250)의 연결 영역(252)은 스마트폰(10)의 도전 영역과 전기적 결합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 영역(252)은 전기적 용량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의 넓이가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영역(252)은 수신 영역(251)에 비해 폭이 넓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안테나(250)가 스마트폰(20)에 결합된 경우, 보조 안테나(250)의 연결 영역(252)은 도전 영역(CA)와 보조 안테나(250)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연결 영역(252)은 제1 연결 영역(252a)과 제2 연결 영역(25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영역(252a)은 수신 영역(251)의 일단에 연결되고 및 제2 연결 영역(252b)은 수신 영역(251)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영역(252a)은 제1 벤딩 영역(BA1)에 위치하고, 제2 연결 영역(252b)은 제2 벤딩 영역(BA2)에 위치하고 수신 영역(251)은 평면 영역(FA)에 위치할 수 있다.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축과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축에 의해 형태가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이다. 일 실시예로,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축 보다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축이 더 길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상대적인 위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제3 방향(dr3)은 대체로 스마트폰(10)의 두께방향으로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모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해될 것이다.
밴드형 안테나장치(20)의 형상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축과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축에의해 평면 형상이 정의되고, 제3 방향(dr3)으로 연장하는 축에 의해 두께가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구부러진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형 안테나장치(20)가 스마트폰에 결합되기 전,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축이 제3 방향(dr3)으로 볼록하도록 구부러진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축은 직선 형상일 수 있다. 즉,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전면(201a)은 제3 방향(dr3)으로 볼록하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축이 제2 방향(dr2)으로 적분되어 형성된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또한, 후면(202a)은 전면(201a)에 대응하여 오목한 곡면일 수 있다.
다음으로, 밴드형 안테나장치(20)가 스마트폰(10)에 결합되기 도중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의 (b)와 도 6이 참조된다.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스마트폰(10)과 결합되기 위해, 스마트폰(10)의 형상에 대응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밴드형 안테나장치(20)의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축이 제3 방향(dr3)으로 오목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제1 벤딩 영역(BA1)과 제2 벤딩 영역(BA2)의 각 단부가 평면 영역(FA)을 향하여 제3 방향(dr3)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이 때,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축은 직선 형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밴드형 안테나장치(20)가 스마트폰(10)에 결합이 완료된 경우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의 (c)와 도 7이 참조된다.
일 실시예로, 밴드형 안테나장치(20)가 스마트폰(10)에 결합이 완료된 경우, 보조 안테나(250)의 연결 영역(252)은 스마트폰(10)의 도전 영역과 제2 방향(dr2)으로 중첩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안테나(250)의 수신 영역(251)은 스마트폰(10)의 후면과 제3 방향(dr3)으로 중첩할 수 있다.
밴드형 안테나장치(20)의 평면 영역(FA)은 스마트폰(10)의 후면에 접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몇몇 실시예에서 평면 영역(FA)의 적어도 일부 영역만이 스마트폰(10)의 후면에 접할 수도 있다. 밴드형 안테나장치(20)의 제1 벤딩 영역(BA1)은 사이드 부재의 일 측면에 접하고, 제2 벤딩 영역(BA2)은 사이드 부재의 타 측면에 접할 수 있다.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스마트폰(10)에 인접하여 스마트폰(10)의 후면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면 스마트폰(10)에 결합될 수 있다.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스스로 스마트폰(10)을 향하여 물리적 힘이 가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밴드형 안테나장치(20)가 스마트폰에 결합이 완료된 경우,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축이 제3 방향(dr3)으로 오목하도록 구부러진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축은 직선 형상일 수 있다. 즉,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전면(201a)은 제3 방향(dr3)으로 오목하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축이 제1 방향(dr1)으로 적분되어 형성된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또한, 후면(202a)은 전면(201a)에 대응하여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밴드형 안테나장치(20)는 전면(201a)의 일부 영역 및 후면(202a)의 일부 영역은 평면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과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다. 도 9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다. 도 10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안테나장치의 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11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안테나장치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10은 도 6의 변형예고, 도 11은 도 7의 변형예에 해당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2)은 도 2, 도 3, 도 6 및 도 7의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1) 대비, 스마트폰(10)의 도전 영역(CA)과 밴드형 안테나장치(20-1)의 보조 안테나(250)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밴드형 안테나장치(20-1)의 보조 안테나(250)는 적어도 일부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호 부재(201)는 보조 안테나(250)의 연결 영역(252)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형 안테나장치(20-1)는 상술한 개구부에 배치되는 접촉패드(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패드(240)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패드는 보조 안테나(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밴드형 안테나장치(20-1)가 스마트폰(10)에 결합되는 경우, 스마트폰(10)의 도전 영역(CA)과 밴드형 안테나장치(20)의 접촉패드(240)는 직접 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전 영역(CA)과 접촉패드(2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보조 안테나(250)는 스마트폰(10)의 통신 회로(330) 및 접지층(3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에서, 도전 영역(CA)과 접촉패드(2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나타내기 위해, 도선을 도시하여 표현하였다.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신 회로(330)는 보조 안테나(250)와 함께 미리 설정된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지층(370), 도전 영역(CA) 및 보조 안테나(250)는 함께 FM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다. 도 1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안테나장치의 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13은 도 5의 변형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3)은 도 3 및 도 5의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1) 대비, 밴드형 안테나장치(20-2)가 NFC모듈(260)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NFC모듈(260)은 제1 보호 부재(201)와 제2 보호 부재(2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NFC모듈(260)은 도전 레이어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즉, NFC모듈(260)과 보조 안테나(250)는 절연될 수 있다. 명확히 도시하진 않았지만, 도전 레이어와 NFC모듈(260) 사이에 절연 물질이 개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 안테나(250)와 NFC모듈(260)은 같은 층에 배치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NFC모듈(260)은 NFC칩(261) 및 NFC칩(261)과 연결된 NFC보조 안테나(26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NFC보조 안테나(262)는 보조 안테나(250)의 수신 영역(251)의 외측을 에워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NFC모듈(260)은 NFC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10)에 설치된 NFC 안테나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여기서, NFC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들 중의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NFC의 작동 모드들은 에뮬레이션(card emulation) 모드, 리더/라이터(reader/writer) 모드, 및 P2P(peer to peer)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NFC모듈(260)은 밴드형 안테나장치(20)가 스마트폰(10)에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경우, 스마트폰(10)이 FM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2, 3: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
10: 스마트폰
20, 20-1, 20-2: 밴드형 안테나장치
110: 커버 글래스
120: 사이드 부재
130, 320: 인쇄 회로 기판
240: 접촉패드
250: 보조 안테나
251: 수신 영역
252: 연결 영역
311 내지 313: 제1 내지 제3 안테나
330: 통신회로
341 내지 345: 제1 내지 제5 급전 라인
351 내지 354: 제1 내지 제4 접지 라인
360: 프로세서
370: 접지층
380: 디스플레이
BA1, BA2: 제1 벤딩 영역, 제2 벤딩 영역
CA: 도전 영역
DA: 표시 영역
FA: 평면 영역
NCA: 비도전 영역
NDA: 비표시 영역

Claims (18)

  1. 밴드형 안테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장치는,
    보조 안테나; 및
    상기 보조 안테나의 전면 및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가요성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재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장치는,
    일면이 오목한 제1 방향의 축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직선 축에 의해 정의된 곡면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일면이 제1 방향의 직선 축 및 볼록한 제2 방향의 축에 의해 정의된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안테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수신하는 밴드형 안테나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장치는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보다 상기 제2 방향의 길이가 긴 형상인 밴드형 안테나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안테나는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수신 영역과 연결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 영역의 폭은 상기 수신 영역의 폭보다 넓은 밴드형 안테나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영역과 상기 연결 영역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밴드형 안테나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은 외부 전자장치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밴드형 안테나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영역의 길이는 10cm 내지 80cm인 밴드형 안테나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영역은 복수로 이루어진 상기 연결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밴드형 안테나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장치는 벤딩 모드와 비벤딩 모드를 포함하되,
    상기 비벤딩 모드에서,
    상기 안테나장치는, 일면이 오목한 제1 방향의 축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직선 축에 의해 정의된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벤딩 모드에서,
    상기 안테나장치는, 상기 일면이 상기 제1 방향의 직선 축 및 볼록한 상기 제2 방향의 축에 의해 정의된 곡면을 포함하는 밴드형 안테나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장치는,
    상기 벤딩 모드에서 외부 전자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비벤딩 모드에서 상기 외부 전자장치와 비결합되는 밴드형 안테나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은 FM 주파수 대역인 밴드형 안테나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는 상기 보조 안테나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장치는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접촉패드를 더 포함하는 밴드형 안테나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에 의해 덮혀지는 NFC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NFC모듈은 상기 보조 안테나와 절연된 밴드형 안테나 장치.
  13. 전자장치와 상기 전자장치의 외측에 결합된 안테나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적어도 일부의 도전 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통신회로; 및
    상기 도전 영역 및 상기 통신회로의 접지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장치는,
    상기 안테나장치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도전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보조 안테나; 및
    상기 보조 안테나의 상면 및 하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가요성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재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장치의 상기 통신회로는 상기 안테나장치의 상기 보조 안테나가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장치는 밴드 형태로서, 상기 전자장치의 일면 및 테두리면에 결합된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사이드 부재 및 상기 사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영역은 상기 사이드 부재에 위치하는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장치의 상기 보호재는 상기 보조 안테나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영역과 상기 보조 안테나는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접촉패드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영역과 상기 보조 안테나는, 상기 보호재를 사이에 두고 절연된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영역과 상기 보조 안테나는 전기적으로 커플링 되어 결합된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
KR1020190020817A 2019-02-22 2019-02-22 밴드형 안테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 KR102180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17A KR102180130B1 (ko) 2019-02-22 2019-02-22 밴드형 안테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17A KR102180130B1 (ko) 2019-02-22 2019-02-22 밴드형 안테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627A KR20200102627A (ko) 2020-09-01
KR102180130B1 true KR102180130B1 (ko) 2020-11-17

Family

ID=72469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817A KR102180130B1 (ko) 2019-02-22 2019-02-22 밴드형 안테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1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518B1 (ko) 2010-09-03 2011-11-04 (주)트라이위쉬 모바일 기기의 송수신 감도 향상을 위한 안테나 부스터 케이스
US20130044215A1 (en) 2011-08-17 2013-02-21 Apple Inc. Bi-stable spring with flexibl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0333A1 (en) * 2013-12-24 2015-07-02 Polyera Corporation Support structures for an attachable, two-dimensional flexible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518B1 (ko) 2010-09-03 2011-11-04 (주)트라이위쉬 모바일 기기의 송수신 감도 향상을 위한 안테나 부스터 케이스
US20130044215A1 (en) 2011-08-17 2013-02-21 Apple Inc. Bi-stable spring with flexibl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627A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218688U (zh) 电子设备
KR102332463B1 (ko) 슬릿 구조를 갖는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080681B1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CN207074710U (zh) 电子设备
KR102410706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10222A (ko) 고주파 전송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05016663U (zh) 腔体天线
EP3132493B1 (en) Electronic device and antenna using components of electronic device
KR20200121199A (ko) 회전 가능한 안테나 모듈이 실장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20349A (ko) 안테나 장치 및 그것으로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742250B1 (en) Electronic devices having integrated antenna structures
KR20170019846A (ko)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29326A (ko)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61935A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718206B (zh) 天线组件、电子设备、天线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08736134B (zh) 天线组件及电子设备
US9496603B2 (en) Electronic apparatus
KR20210017066A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2006365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170013677A (ko)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083588A (ko) 전자기 밴드 갭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10068994A1 (en)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on apparatus
CN112448144B (zh) 天线装置及电子设备
KR102180130B1 (ko) 밴드형 안테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
KR102264327B1 (ko) 무선신호 송수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