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905B1 -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905B1
KR100611905B1 KR1020040063560A KR20040063560A KR100611905B1 KR 100611905 B1 KR100611905 B1 KR 100611905B1 KR 1020040063560 A KR1020040063560 A KR 1020040063560A KR 20040063560 A KR20040063560 A KR 20040063560A KR 100611905 B1 KR100611905 B1 KR 100611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lothes
clothing
heat generation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6116A (ko
Inventor
아오야마요이치
가와모토마사유키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56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1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과제)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고온공기가 공급되는 회전드럼내의 의류 등에 접촉해서 의류온도를 검지하는 의류온도 센서(Sl)와, 상기 회전드럼에서 배출되는 습윤공기의 온도를 검지하는 배기온도 센서(S2)를 구비하고, 상기 의류온도 센서(Sl)에 의해 검지된 상기 의류온도가 최소한계온도를 넘을 때마다 상기 가열장치(31)의 발열레벨을 일단계 저하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의류 등의 건조얼룩이 적은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 상기 의류온도 센서(Sl)에 의해 검지된 상기 의류온도의 상승경사가 상기 배기온도 센서(S2)에 의해 검지된 상기 습윤공기의 온도의 상승경사보다 큰 조건하에 있어서 발열레벨을 저하시킬 때의 제 1의 최소한계온도가, 상기 발열레벨보다 일단계 하위의 발열레벨을 저하시킬 때의 제 2의 최소한계온도보다 저온으로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CLOTHES DRY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의류 건조기의 제어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의류 건조기의 가열장치(31)의 발열레벨과 의류온도 등의 상관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의류 건조기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의류 건조기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전극센서(S3)의 설명도
도 6은 종래 의류 건조기의 가열장치(31)의 발열레벨과 의류온도 등의 상관 그래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회전드럼 31 - 가열장치
Sl - 의류온도 센서 S2 - 배기온도 센서
본 발명은, 의류나 타올 등(이하, 단순히 「의류 등」이라 함)을 수용한 회전드럼내에 고온의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의류 등을 건조시키는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 건조기는 일반적으로 회전드럼내에 보내어진 고온공기에 의해서 의류 등을 건조한다.
이것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1)내에 회전드럼(10)을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배치시키고, 이 회전드럼(10)을 케이싱(1)에 부착된 팬 케이스(22)에 의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회전드럼(10)의 전방 개방부둘레의 가장자리를 이것에 끼워맞춤하는 지지 링(3)에 의해서도 지지하여 상기 회전드럼(10)의 전후 양단부를 회동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후벽(11)의 회전 중심부에 흡기용 팬(F)을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 링(3)에 열풍 공급구(30)를 형성하고, 상기 흡기용 팬(F)에서의 배기를 배출시키는 배기통(12)을 연이어 설치한 구성이고, 상기 지지 링(3)의 중앙 개구부는 케이싱(1)에 지지된 개폐도어(13)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이 형식의 건조기에서는, 상기 회전드럼(10)이 모터(15)에 의해서 회전 구동됨과 아울러, 열풍 공급구(30)에 열기 덕트(32)를 통해 연결된 가열장치(31)로부터의 고온공기가 회전드럼(10)내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회전드럼(10)내에 의류 등(M)을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가열장치(31) 및 모터(15)를 작동시키면, 회전드럼(10)내의 의류 등 (M)이 회전·교반되면서 상기 고온의 공기에 의해 가열·건조되게 된다.
또, 이것에서는 배기통(12)에 배기온도 센서(S2)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회전드럼(10)내의 의류 등(M)의 온도나 건조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의류온도 센서(Sl)나 전극센서(S3)가 상기 지지 링(3)에 부착되어 있고, 전극센서(S3)의 출력에 의해서 의류 등(M)의 건조상태를 감시한다.
의류온도 센서(Sl)와 배기온도 센서(S2)는, 의류 등(M)이나 회전드럼(10)내의 온도를 감시하는 것으로, 의류온도 센서(Sl)나 배기온도 센서(S2)가 검지하는 의류온도나 배기온도가 미리 설정된 최소한계온도를 넘을 경우에는, 의류 등(M)의 변색 등의 열적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가열장치(31)의 발열레벨을 낮추고, 상기 발열레벨을 운전개시 초기의 최대 발열레벨(이것에서는 제 8 레벨)로부터 단계적으로 저하시키는 제어가 행하여진다. 이에 의해, 의류 등(M)에 대한 열적 악영향을 방지하면서, 상기 의류 등(M)으로부터 다량의 수분을 증발하게 하도록 해서 신속한 건조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서는, 의류온도 센서(Sl)나 배기온도 센서(S2)가 검지하는 의류온도나 배기온도가 상기 최소한계온도 이상으로 유지되지 않도록 가열장치(31)의 발열량을 제어하면서 건조운전을 진행시키고, 그 후, 전극센서(S3)의 검지신호에 의거해서 의류 등(M)의 건조종료가 확인되면, 상기 건조운전을 정지시킨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5-18479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0-271399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의류 건조기에서는 의류 등(M)의 건조얼룩이 발생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에 대해서 더욱 상술한다.
상기 종래의 것에서는, 건조운전의 개시 초기에는 가열장치(31)가 최대 발열레벨인 제 8 레벨에서 발열하고, 그 후, 의류온도 센서(Sl)가 검지하는 의류온도가 의류 최소한계온도까지 승온한 경우, 또는 배기온도 센서(S2)가 검지하는 배기온도가 배기 최소한계온도까지 승온한 경우에는, 의류 등(M)에 대한 열적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가열장치(31)의 발열량을 제 7 레벨로 저하시킨다. 또 가열장치(31)를 제 7 레벨에서 발열시키더라도 상기 의류온도 등이 상기와 동일한 값의 의류 최소한계온도 등을 넘는 경우에는, 더욱 더 가열장치(31)의 발열량을 제 6 레벨→제 5 레벨…로 단계적으로 저하시켜서 의류 등(M)에 대한 열적 악영향을 방지한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장치(31)가 최대 발열레벨인 제 8 레벨(L8)에서 발열되고 있는 건조운전의 개시 초기에 있어서는, 의류온도 센서(Sl)가 검지하는 의류온도(Tl)의 구배(이하, 「의류온도 구배」라 함)는 가장 큰 값이 된다.
한편, 가열장치(31)가 상기 제 8 레벨(L8)에서 발열되고 있는 건조운전의 개시 초기에 있어서, 의류온도 센서(Sl)가 검지하는 의류온도가 의류 최소한계온도까지 상승하였을 때 발열레벨을 제 8 레벨(L8)에서 제 7 레벨(L7)로 저하시키더라도, 의류온도 센서(Sl)의 검지온도는 잠시 동안은 지나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검지온도가 저하되기까지 타임 래그가 발생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것에서는 가열장치(31)의 발열레벨을 전환하기 위한 판단요소로서의 의류 최소한계온도가 모든 발열레벨(제 8,7,6…레벨)에 있어서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많았다. 이 의류 최소한계온도는, 의류 등(M)에 대한 열적 악영향의 방지를 도모하기에 유효한 온도와, 상기 의류 등(M)으로부터 다량의 수분을 증발시켜서 신속한 건조를 도모하기에 유효한 온도와의 조화점으로서 결정된 것으로, 예를 들면, 「101℃」로 설정되어 있다(선행기술문헌 2 참조).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열장치(31)의 발열레벨이 제 7 레벨(L7)로 전환된 후의 지나친 수치(오버슈트-overshoot-) 중에, 의류온도 센서(Sl)가 다시 상기 의류 최소한계온도(101℃)이상을 검지하면, 가열장치(31)의 발열레벨이 또한 제 6 레벨(L6)까지 저하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제 8 레벨(L8)에서 제 6 레벨(L6)까지, 연속해서 2단계의 발열레벨 저하가 발생하여 제 7 레벨(L7)의 발열동작이 실질적으로 결핍된다.
그러면, 제 7 레벨(L7)을 대신해서 제 6 레벨(L6)의 가열이 되는 결과, 의류 등(M)을 고온으로 가열 유지하는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열전달량이 줄고, 의류 등(M)의 중심부를 건조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고온화하기 어려워지고, 이에 의해 의류 등(M)의 건조얼룩이 발생되기 쉬워지는 것이다.
또한, 회전드럼(10)에 표준량 이상의 의류 등(M)을 투입한 조건하에서의 건 조운전의 개시 초기에 있어서는, 가열장치(31)에서의 발생열은, 오로지 의류 등(M)의 온도상승과, 의류 등(M)으로부터 다량의 수분을 발생시키기 위한 증발열로서 소비되기 때문에, 배기온도 센서(S2)가 검지하는 배기온도(T2)는 완만하게 상승하고, 그 온도구배(이하, 「배기온도 구배」라 함)는 상기 의류온도 구배보다 작아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열장치(31)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가 공급되는 회전드럼(10)내의 의류 등(M)에 접촉해서 의류온도를 검지하는 의류온도 센서(Sl)와,
상기 회전드럼(10)에서 배출되는 습윤공기의 온도를 검지하는 배기온도 센서(S2)를 구비하고,
상기 의류온도 센서(Sl)에 의해 검지된 상기 의류온도가 최소한계온도를 넘을 때마다 상기 가열장치(31)의 발열레벨을 일단계 저하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의류 등(M)의 건조얼룩이 적은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상기 의류온도 센서(Sl)에 의해 검지된 상기 의류온도의 상승경사가 상기 배기온도 센서(S2)에 의해 검지된 상기 습윤공기의 온도의 상승경사보다 큰 조건하에 있어서 발열레벨을 저하시킬 때의 제 1의 최소한계온도가, 상기 발열레벨보다 일단계 하위의 발열레벨을 저하시킬 때의 제 2의 최소한계온도보다 저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회전드럼(10)에 표준량 이상의 의류 등(M)을 투입한 조건하에서는, 건조운전의 개시 초기(큰 발열레벨상태에 있는) 등에 의류온도가 상기 제 1의 최소한계온도까지 승온해서 가열장치(31)의 발열레벨을 저하시키더라도 상기 의류온도가 잠시 동안은 승온하고, 이에 의해 의류온도가 주어진 온도값 이상으로 지나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상기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건조운전의 개시 초기 등의 의류온도의 상승경사가 습윤공기의 온도상승경사보다 큰 조건하에 있어서 발열레벨을 저하시킬 때의 제 1의 최소한계온도가, 이 보다 일단계 하위의 발열레벨을 저하시킬 때의 제 2의 최소한계온도보다 저온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온도가 지나치게 오버(over)되더라도 이것이 상기 제 2의 최소한계온도를 넘기 어려워지고, 이에 의해 가열장치(31)의 발열레벨이 연속해서 2단계 저하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장치(31)의 발열레벨이 과도하게 저하되지 않고, 의류 등(M)을 높은 온도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의류 등(M)의 표면뿐만 아니라 중심부까지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중심부까지 충분히 건조시켜서 건조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최소한계온도는, 상기 가열장치(31)를 시동시킨 건조운전 개시 후에 최초로 발열레벨을 저하시킬 때의 최소한계온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건조운전 개시 후에 최초로 발열레벨을 저하시킬 때까지는, 가열장치(31)는 최대 발열레벨에서 발열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의류온도의 상승경사는 가장 커지고, 의류온도의 지나침 현상도 현저해진다. 따라서,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상기 온도의 지나침 현상이 현저할 때 본원 발명을 적용하기 때문에,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비해서, 건조얼룩을 한층 더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체구조]
의류 건조기의 기계적 구조는, 기술한 도 3,도 4에 나타낸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하에 있어서는, 기술한 종래기술의 설명과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서 기재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1)은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앞면에는 힌지부(17)를 지점으로 해서 개폐회동하는 외문식의 개폐도어(1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개폐도어(13)에는 손잡이(19)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1)에 수용된 회전드럼(10)의 앞쪽 단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링(3)의 하부에 개설된 열풍 공급구(30)에는, 가스 버너(31a)의 연소배기를 안내하는 열기 덕트(32)의 상단부 개구가 접속되어 있다. 또 지지 링(3)에는, 건조 동작시에 의류 등(M)에 접촉해서 의류온도를 검 지하는 의류온도 센서(Sl)와, 의류 등(M)에 접촉해서 그 건조된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전극센서(S3)가 설치되어 있다. 전극센서(S3)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출된 2개의 전극(K1,K2)에 의류 등(M)이 걸쳐지게 접촉했을 때 통전상태가 되는지 아닌지에 따라서, 건조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의류 등(M)의 습한 정도가 높고, 이것의 전기저항이 낮은 경우에는 의류 등(M)이 도전체로서 기능하여 전극(Kl,K2)이 통전되는 한편, 의류 등(M)이 건조되고 이것의 전기저항이 높은 경우에는, 전극(Kl,K2)에 의류 등(M)이 접촉해도 이것이 통전상태가 되지 않는다. 그래서, 건조운전 중에 의류 등(M)이 접촉함으로써 전극(Kl,K2)이 통전되는 빈도에 따라, 상기 의류 등(M)의 건조 유무를 판정한다.
또, 회전드럼(10)의 후단부 외주에는 엔드리스 벨트(16)가 걸려 있음과 아울러, 상기 엔드리스 벨트(16)는 케이싱(1)내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15)의 회전축(150)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엔드리스 벨트(16)에는 텐션 롤러(14)에 의해서 장력이 부여되고 있다. 또, 흡기용 팬(F)을 구동하는 팬 벨트(21)는 상기 모터(15)의 회전축(150)에 걸려 있다.
상기 흡기용 팬(F)을 수용하는 팬 케이스(22)는, 케이싱(1)의 후벽(11)에 부착판(18)을 통해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팬 케이스(22)의 흡기구(220)는, 회전드럼(10)의 내측 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작은구멍 영역(101)에 대해 후방을 향해 있다. 또 팬 케이스(22)의 토출구(221)에는 대기에 연통하는 배기통(12)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배기통(12)내에는 기술한 바와 같이 배기온도 센서(S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작은구멍 영역(101)의 정면부는 린트필터(23)에 의해 덮여 있다.
이것에서는, 모터(15)의 회전과 가스버너(31a)의 연소가 개시되면, 모터(15)의 회전축(150)에 걸린 팬 벨트(21)와 엔드리스 벨트(16)에 의해 흡기용 팬(F)과 회전드럼(10)이 회전되는 동시에, 가스버너(31a)로부터의 연소배기는, 열기 덕트(32)→열풍 공급구(30)→회전드럼(10)→작은구멍 영역(101)→흡기구(220)→흡기용 팬(F)→토출구(221)→배기통(12)의 경로로 흘러서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구조가 되어 있다.
[제어동작]
상기 의류 건조기의 제어장치(도시생략)에는, 도 1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내용의 제어프로그램이 격납된 마이크로컴퓨터가 조립되어 있다. 이하, 도 1의 플로차트에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의류 건조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케이싱(1)의 하부에 설치된 운전 스위치(4)(도 4 참조)가 투입되면, 도 1의 스텝(STl)에서 모터(15)가 구동되고 흡기용 팬(F)과 회전드럼(10)이 회전된다. 또 발열레벨Ⅹ가, 최대 발열레벨을 나타내는 「제 8 레벨」에 세트된다.
다음에, 스텝(ST2)에서 가열장치(31)의 가스버너(31a)가 발열레벨Ⅹ{스텝(STl)에서 제 8 레벨에 세트되어 있다}에서 연소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스버너(31a)가 3150Kcal에서 연소된다.
다음에, 스텝(ST3)에서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설정시간의 대기를 실행하는 것은, 의류온도 센서(Sl)와 배기온도 센서(S2)의 검지온도의 상대관계가 안정될 때까지 기다리기 위함이다.
계속해서, 스텝(ST4)에서 의류 등(M)이 건조상태에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드럼(10)에 의해서 회전·교반되는 의류 등(M)이 전극센서(S3)의 전극(K1,K2)에 걸쳐지게 접촉해서 상기 전극센서(S3)로부터 출력되는 설정시간내의 통전신호수{전극(K1,K2)간에 전류가 흐른 것을 나타내는 신호의 수}가 건조기준수 이상일 경우에는 의류 등(M)이 미건조상태에 있다고 판단하는 한편, 상기 통전신호수가 건조기준수 미만일 경우에는 건조종료로 판단한다.
계속해서, 스텝(ST5)에서 의류온도 센서(S1)가 검지하는 의류온도가 의류 최소한계온도인 t℃(기술발명 특정사항인 「제 1의 최소한계온도」에 대응한다)로 승온하였는지, 또는, 배기온도 센서(S2)의 검지온도가 배기 최소한계온도인 65℃로 승온하였는지를 판단하다. 또한, 상기 의류 최소한계온도인 t℃는,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제 7 레벨에서 제 6 레벨로 가스버너(31a)의 연소량을 저하시킬 때의 의류 최소한계온도인 101℃보다 조금 낮은 온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드럼(10)에 표준량의 의류 등(M)을 투입한 경우에 있어서는, 가스버너(31a)가 최대 발열레벨인 제 8 레벨(L8)(발열레벨Ⅹ=8의 상태)에서 연소하고 있는 운전개시 초기에, 가스버너(31a)로부터의 연소배기의 열의 대부분이 의류 등(M)에 흡수되기 때문에, 이 운전개시 초기에는, 의류온도 센서(Sl)가 검지하는 의류온도(Tl)의 상승경사는 커지는 한편, 상기 의류 등(M)의 흡열과 상기 의류 등(M)으로부터의 다량의 수분의 증발열에 의해서 열이 소비되기 때문에, 배기온도 센서(S2)가 검지하는 습윤공기의 온도(배기온도)의 상승경사는 작아진다. 즉, 전자의 의류온도의 상승경사가 후자의 습윤공기의 온도(배기온도)의 상승경사보다 커진다. 그리고, 이러한 운전개시 초기의 단계에서 상기 의류온도 센서(Sl)가 검지하는 의류온도가 의류 최소한계온도인 t℃까지 승온한 것을 스텝(ST5)에서 확인할 수 있으면, 스텝(ST6)에서 발열레벨Ⅹ의 값을 「1」만 감소시키기 위한 연산「Ⅹ=Ⅹ-1」을 실행하고, 이에 의해 발열레벨Ⅹ의 값을 「7」로 한다. 다음에, 이 감소시킨 발열레벨Ⅹ{스텝(ST6)에서 「7」이 되어 있다}에서 가스버너(31a)를 연소시킨다{스텝(ST7) 참조}. 구체적으로는, 가스버너(31a)를 2750Kcal에서 연소하게 하고, 이에 의해 의류 등(M)이 과열됨으로 인한 변색 등의 열적 악영향을 방지한다(제 6 레벨 이하도 마찬가지). 또한, 스텝(ST5)을 실행하였을 때, 배기온도 센서(S2)가 검지하는 습윤공기의 온도가 65℃ 이상이 된 경우도 스텝(ST6,ST7)을 실행하여 가스버너(31a)의 발열레벨을 1레벨 저하시켜서 이것을 2750Kcal에서 연소시킨다. 배기통(12)에서 배기되는 습윤공기의 온도가 65℃를 넘으면, 회전드럼(10)내가 의류 등(M)에 열적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고온상태가 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가스버너(31a)의 발열레벨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다음에, 스텝(ST8)에서 1분 대기한 후, 스텝(ST9)에서 건조종료 판정을 실행한다. 이 건조종료 판정은, 기술한 스텝(ST4)과 동일한 내용의 제어이다. 또한, 스텝(ST8)의 1분 대기 제어공정은 반드시 설정할 필요는 없고, 스텝(ST7) 후에 바로 스텝(ST9)의 건조종료 판정을 실행해도 된다.
스텝(ST9)에서 건조종료가 아니라고 판정되면, 스텝(STlO)에서 의류온도 센서(Sl)가 검지하는 의류온도가 의류 최소한계온도인 101℃(기술발명 특정사항인 「제 2의 최소한계온도」에 대응한다)로 승온하였는지, 또는 배기온도 센서(S2)의 검지온도가 65℃로 승온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 7 레벨에서 가스버너(31a)가 연소되고 있을 때의 의류 최소한계온도인 상기 101℃는, 제 8 레벨에서 가스버너(31a)가 연소되고 있을 때의 의류 최소한계온도인 상기 t℃보다 조금 높아져 있다. 따라서, 가열장치(31)가 상기 제 8 레벨(L8)에서 발열되고 있는 상태에서, 의류온도 센서(Sl)가 검지하는 의류온도가 의류 최소한계온도(t℃)까지 상승해서 발열레벨을 저하시켰을 때, 상기 의류온도가 의류 최소한계온도인 t℃를 넘어서 지나치게 되더라도, 발열레벨 변경 후의 최초의 온도검지시에 저하하게 한 발열레벨인 제 7 레벨(L7)의 의류 최소한계온도인 101℃를 넘게 승온될 염려가 적어진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버너(31a)가 제 7 레벨(L7)에서 확실히 연소하고, 도 6에 나타낸 종래예(의류 최소한계온도가 전부 101℃로 설정되어 있다)와 같이, 가스버너(31a)의 발열레벨이 제 8 레벨(L8)에서 제 6 레벨(L6)로 2단계 저하될 우려가 적어진다. 따라서, 도 6의 종래예에 비해, 제 7 레벨(L7)이 결핍되지 않기 때문에, 건조 운전시에 가열장치(31)의 발열레벨이 과도하게 저하되지 않고, 의류 등(M)을 전체적으로 높은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 등(M)의 표면뿐만 아니라 중심부까지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중심부까지 충분히 건조시켜서 건조얼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의류온도 센서(Sl)가 검지하는 의류온도가 의류 최소한계온도인 101℃까지 승온한 것을 스텝(STlO)에서 확인할 수 있으면, 제어동작이 스텝(ST6)으로 되돌려진다.
또한, 스텝(ST4,ST9)에서 의류 등(M)이 건조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스텝(STll)에서 가열장치(31)의 가스버너(31a)가 소화된다. 그 후, 회전드럼(10)과 흡 기용 팬(F)을 1분간 작동하게 한 후에 버저를 울리게 하여 건조완료가 고지된다{스텝(ST12,ST13)}.
또한, 회전드럼(10)에 소량의 의류 등(M)을 투입해서 건조운전하는 경우에는, 가스버너(31a)에서의 연소배기의 열이 의류 등(M)의 가열에 그다지 소비되지 않기 때문에, 배기온도 센서(S2)가 검지하는 배기온도가 배기 최소한계온도(65℃)로 조속히 승온한다. 따라서, 이러한 소량 건조의 경우에는, 사실상, 오로지 배기온도 센서(S2)가 검지하는 배기온도에 의거해서 발열레벨 제어가 행하여진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발열레벨을 제 8 레벨로부터 제 7 레벨로 전환할 때의 의류 최소한계온도 이외의 의류 최소한계온도를 101℃로 설정하였으나, 상기 의류 최소한계온도는 10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음의 특유한 효과를 가진다.
건조운전시에 가열장치(31)의 발열레벨이 과도하게 저하되지 않고, 의류 등(M)을 높은 온도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의류 등(M)이 열전달되기 쉬워지고, 상기 의류 등(M)의 표면뿐만 아니라 중심부까지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중심부까지 충분히 건조시켜서 건조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비해서, 건조얼룩을 한층 더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Claims (2)

  1. 가열장치(31)에 의해 가열된 고온공기가 공급되는 회전드럼(10)내의 의류 등(M)에 접촉해서 의류온도를 검지하는 의류온도 센서(Sl)와,
    상기 회전드럼(10)에서 배출되는 습윤공기의 온도를 검지하는 배기온도 센서(S2)를 구비하고,
    상기 의류온도 센서(Sl)에 의해 검지된 상기 의류온도가 최소한계온도를 넘을 때마다 상기 가열장치(31)의 발열레벨을 일단계 저하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의류온도 센서(Sl)에 의해 검지된 상기 의류온도의 상승경사가 상기 배기온도 센서(S2)에 의해 검지된 상기 습윤공기의 온도의 상승경사보다 큰 조건하에 있어서 발열레벨을 저하시킬 때의 제 1의 최소한계온도가, 상기 발열레벨보다 일단계 하위의 발열레벨을 저하시킬 때의 제 2의 최소한계온도보다 저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최소한계온도는, 상기 가열장치(31)를 시동시킨 건조운전 개시 후에 최초로 발열레벨을 저하시킬 때의 최소한계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KR1020040063560A 2003-12-09 2004-08-12 의류 건조기 KR100611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10263A JP2005168640A (ja) 2003-12-09 2003-12-09 衣類乾燥機
JPJP-P-2003-00410263 2003-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116A KR20050056116A (ko) 2005-06-14
KR100611905B1 true KR100611905B1 (ko) 2006-08-11

Family

ID=34731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560A KR100611905B1 (ko) 2003-12-09 2004-08-12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168640A (ko)
KR (1) KR100611905B1 (ko)
CN (1) CN100476063C (ko)
HK (1) HK10778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425B1 (ko) * 2004-11-03 2007-02-15 주식회사 대립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
CN106012411B (zh) * 2016-06-30 2019-01-04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的烘干控制方法和洗衣机
JP6890068B2 (ja) * 2017-08-25 2021-06-18 リンナイ株式会社 衣類乾燥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084B1 (ko) * 1992-12-07 1997-06-21 최창선 의류건조기
KR20030012417A (ko) * 2001-07-31 2003-02-1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포의 건조도 감지방법 및 장치
KR20030071804A (ko) * 2001-01-20 200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식 건조기의 건조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20040021098A (ko) * 2002-09-02 200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040087522A (ko) * 2003-04-08 2004-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101062A (ko) * 2003-05-23 200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자동 건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73257B (en) * 1980-02-19 1983-07-27 Kenwood Mfg Co Ltd Washing machines and spindriers
CN1107761C (zh) * 1999-09-06 2003-05-07 鄢必让 干衣机自动判干停机的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084B1 (ko) * 1992-12-07 1997-06-21 최창선 의류건조기
KR20030071804A (ko) * 2001-01-20 200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식 건조기의 건조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20030012417A (ko) * 2001-07-31 2003-02-1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포의 건조도 감지방법 및 장치
KR20040021098A (ko) * 2002-09-02 200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040087522A (ko) * 2003-04-08 2004-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101062A (ko) * 2003-05-23 200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자동 건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76063C (zh) 2009-04-08
HK1077854A1 (en) 2006-02-24
JP2005168640A (ja) 2005-06-30
KR20050056116A (ko) 2005-06-14
CN1626725A (zh) 200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3404B1 (en) Controlling method of dryer
KR20070026921A (ko) 건조 장치의 건조방법
US8479410B2 (en) Dry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EP2295629B1 (en) Dryer and control method for same
CN109695141B (zh) 衣物干燥机
KR100611905B1 (ko) 의류 건조기
JP2019187484A (ja) 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US3436838A (en) Dryer control
JP4818406B2 (ja) 衣類乾燥機
JP2005130956A (ja) 衣類乾燥機および衣類洗濯乾燥機
JP3571534B2 (ja) 衣類乾燥機
KR100648175B1 (ko)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건조시간 단축 방법
JP4912073B2 (ja) 衣類乾燥機
JP5597373B2 (ja) 衣類乾燥機
KR101127988B1 (ko)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건조 완료 검출 방법
KR970006595B1 (ko) 의류 건조기
JP4818407B2 (ja) 衣類乾燥機
KR101016817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3710937B2 (ja) 衣類乾燥機および衣類乾燥機の異常検出方法
JPH0654996A (ja) 衣類乾燥機
JP2882075B2 (ja) 衣類乾燥機
JP2000271399A (ja) 衣類乾燥機
JP2940201B2 (ja) 衣類乾燥機
JP2940202B2 (ja) 衣類乾燥機
JPH03879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