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903B1 - 잉크잔량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잉크잔량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903B1
KR100609903B1 KR1020040103253A KR20040103253A KR100609903B1 KR 100609903 B1 KR100609903 B1 KR 100609903B1 KR 1020040103253 A KR1020040103253 A KR 1020040103253A KR 20040103253 A KR20040103253 A KR 20040103253A KR 100609903 B1 KR100609903 B1 KR 100609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wave
storage unit
detection
remainin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4409A (ko
Inventor
김태균
김정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3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903B1/ko
Publication of KR20060064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95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for monitoring ink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41J2002/17583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using vibration or ultra-sons for ink level ind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잔량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잉크저장부에 저장된 잉크 수면을 향하여 검출파를 발신하는 발신부와, 잉크 수면에 반사된 검출파의 반사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검출파의 발신으로부터 반사파의 수신까지 소요된 시간에 기초하여 잉크 잔량을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잉크저장부에 남아 있는 잉크의 잔량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잉크젯 프린터, 잔량검출, 전자기파

Description

잉크잔량검출장치{Ink Level Sensing Device}
도 1은 종래의 잉크잔량검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잔량검출장치의 구성도,
도 3은 잉크잔량과 검출파의 소요시간(Delay time)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4 및 도 5는 셔틀 타입 프린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라인 헤드 타입 프린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잉크저장부 13 : 프린터 헤드
20 : 잉크 31 : 발신부
33 : 수신부 35 : 제어부
37 : 표시부 39 : 가이드
40 : 검출파 41 : 전자기파
본 발명은 잉크잔량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인쇄 작업 도중 잉크가 소진되어 발생하는 화질열화 및 프린터 헤드 고장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잉크잔량검출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예로서 미국특허 US 5,997,121에서 제안된 바 있는 잉크잔량검출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잉크저장부(110)의 하단 또는 측면에 광(光)을 조사하는 발광소자(131)와 잉크저장부(110)에 의해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수광소자(133)를 설치하고, 수광소자(133)에 의해 검출된 광의 강도로부터 잉크의 잔량여부를 평가하는 잉크잔량검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즉, 잉크(120)와 공기는 반사율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잉크저장부(110)내에 잉크(120)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발광소자(131)에서 조사된 광이 잉크저장부(110)와 잉크(120)의 접촉면에서 소량만이 반사되어 수광소자(133)에 도달하게 되며, 잉크저장부(110) 내에 잉크(120)가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접촉면에서 대부분의 광이 반사되어 수광소자(133)에 많은 양의 광이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수광소자(133)에서 검출되는 빛의 양(강도)를 측정한 후 이를 이용하여 잉크(120)의 잔량여부를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의 경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광축에 정확히 정렬되어야 하는 배치상의 어려운 점이 있었으며, 특히 잉크저장부의 하우징에서 반 사된 빛을 검출하기 때문에 잉크저장부의 하우징이 오염되어 잉크가 실제 남아 있지 않고 하우징의 내벽에 얇은 막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잉크 잔량이 충분한 것으로 인식할 우려가 있어 잉크잔량검출에 있어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또한, 잉크저장부의 소정의 위치에 잉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만이 판단 가능해 연속적인 잉크 수위를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저장부에 남아 있는 잉크의 잔량을 정확히 검출하여 적절한 시기에 교체 가능하게 하는 잉크잔량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크잔량을 연속적으로 검출함으로써 잉크의 감소속도를 알 수 있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잉크 교체시기를 예측할 수 있는 잉크잔량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저장부에 남아있는 잉크의 잔량을 검출하는 잉크잔량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저장부에 저장된 잉크수면을 향하여 검출파를 발신하는 발신부와, 상기 잉크수면에 반사된 상기 검출파의 반사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검출파의 발신으로부터 상기 반사파의 수신까지 소요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잉크 잔량을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잉크잔량검출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검출파는 전자기파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크저장부내에 상기 잉크저장부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전자기파의 진행을 유도하는 한 쌍의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잔량검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잔량검출장치는 잉크저장부(10)에 저장된 잉크 수면을 향하여 검출파(40)를 발신하는 발신부(31)와, 잉크수면에 반사된 검출파(40)의 반사파를 수신하는 수신부(33)와, 검출파(40)의 발신으로부터 반사파의 수신까지 소요된 시간에 기초하여 잉크저장부(10)에 저장된 잉크(20) 잔량을 평가하는 제어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신부(31)는 잉크저장부(10)에 마련되며, 잉크저장부(10)에 저장된 잉크(20)의 수면을 향하여 검출파(40)를 발신하며, 검출파(40)를 발신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후술한 제어부(35)로 송신한다.
여기서, 검출파(40)는 전자기파(41)로 할 수 있으며, 초음파 등 잉크(20) 수면에서 반사되어 후술할 수신부(33)에 수신될 수 있는 어떤 종류의 파로도 제한없이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기파(41)로 하는 경우에는 진행속도가 초음파 및 여타의 검출파(40)보다 빠르므로 잉크잔량여부를 빠르게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발신부(31)에서 검출파(40)를 발신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나, 검출파(40)가 전자기파(41)인 경우에 후술할 제어부(35)가 발신부(31)에 전기적 펄스 (electrical pulse)를 인가하여 이로부터 발신부(31)에서 전자기파 (electromagnetic signal,41)를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수신부(33)는 잉크저장부(10)에 마련되며, 발신부(31)에서 발신된 검출파(40)가 잉크(20) 수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부(33)는 반사파를 수신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후술할 제어부(35)로 송신하여 제어부(35)에서 잉크잔량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35)는 발신부(31)로 하여금 검출파(40)를 발신하도록 제어하며 동시에 발신부(31)에서 검출파(40)를 발신한 시간과 수신부(33)에서 반사파가 수신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여 검출파(40)가 발신부(31)에서 발신되어 수신부(33)로 수신될때까지의 소요시간을 산출한다. 제어부(35)는 산출된 소요시간과 미리 입력해둔 데이터와 비교하여 잉크의 잔량을 평가한다.
도 3은 제어부(35)에서 상기 소요시간으로부터 잉크저장부(10)에 남아있는 잉크잔량을 평가하는 원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축은 검출파(40)가 발신부(31)로부터 수신부(33)까지 진행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나타내며, Y축은 잉크저장부(10)내에 남아 있는 잉크수준(ink level)을 나타낸다.
전자기파(41)의 진행속도는 항상 일정하므로 진행 시간을 알면 이동거리를 알 수 있다. 즉, 잉크저장부(10)의 잉크잔량이 많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발신부(31)로부터 잉크(20)수면까지의 거리가 길어지므로 전자기파(41)가 발신부(31)를 출발하여 수신부(33)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길어지게 된다(도 3의 A참조). 한편, 잉크저장부(10)의 잉크(20)의 잔량이 많은 경우에는 잉크(20) 수면이 상승하게 되어 발신부(31)에 가까워지게 되므로 전자기파(41)의 이동경로는 짧아지며(도 3의 B참조), 교체된 잉크(20)의 경우에는 발신부(31)로부터 수신부(33)까지 전자기파(41)가 이동하는데 소요된 시간이 제일 짧아지게 된다.(도 3의 C참조).
따라서, 제어부(35)는 소요시간을 입력으로 하여 이동거리를 산출함으로써 잉크저장부(10) 상부로부터 잉크(20) 수면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이경우 제어부(35)는 검출파(40)의 소요시간에 따른 잉크(20)잔량에 대한 정보가 미리 입력되어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잔량검출장치는 상기 제어부(35)에서 평가한 잉크잔량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표시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잉크저장부(10)에는 잉크저장부(10)의 상부로부터 헤드(13)가 마련된 하부까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전자기파(41)의 진행을 유도하는 튜브(tube)모양의 한 쌍의 가이드(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5 및 도 7 참조).
이 경우 가이드(39)의 길이는 발신부(31) 및 수신부(33)가 위치한 곳에서부터 잔량을 검출하고자하는 잉크의 최저수위까지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39)는 전자기파(41)가 가이드(39)를 따라 전파될 수 있도록 전도체로 된 한 쌍의 전극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13)의 이동에 의하여 생긴 진동이 잉크저장부(10)에 전달되어잉크(20)이 수면이 불규칙한 상태에 있더라도 전자기파(41)는 가이드(39)에 의해 안정적으로 진행하므로, 난반사에 의한 영향이 없어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잉크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35)에 의해 발신부(31)에 전기적펄스(electrical pulse)가 인가되면 발신부(31)는 두 가이드(39)사이에 전자기파(electromagnetic signal,41)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전자기파(41)는 상부로부터 가이드(39)를 따라 아래로 진행하다가 잉크(20) 수면에 다다르면 반사되어 수신부(33)에 수신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잔량검출장치의 작동과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도 4 및 도 5에서는 전술한 제어부(35) 및 표시부(37)에 대해서는 편의상 도시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4 및 도 5는 헤드가 좌우로 이동하며 용지의 한 라인을 인쇄하는 프린터(Shuttle type printer)에 본 발명의 잉크잔량검출장치가 적용된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셔틀타입 프린터의 헤드어셈블리는 두 개의 챔버(chamber)를 가지고 있으며,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플라스틱 폼과 같은 다공성물질로 구성되어 부압을 발생시키는 제1챔버(12)와 잉크의 저장용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잉크만을 담을 수 있도록 된 제2챔버(이하 '잉크저장부(10)'라 한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잉크(20)를 용지에 토출하는 노즐을 가진 헤드(13, 간략히 도시하였슴.)는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잔량검출장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저장부에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저장부(10)의 상부에는 발신부(31)와 수신부(3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발신부(31)는 제어부(35)에 의해 전기적펄스(electric pulse)가 인가되면 하방으로 전자기파(41)를 발신한다. 전자기파(41)는 잉크(20) 수면을 향하여 진행하다가 잉크(20) 수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상방을 향하는 반사파가 되고 수신부(33)에 도달하게 된다.
제어부(35)는 전자기파(41) 발생시 발신부(31)로부터 출발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고, 반사파가 도달한 시점에서 수신부(33)로부터 도착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소요시간을 산출한다.
제어부(35)는 산출된 소요시간을 미리 입력해둔 데이터와 비교하여 잉크 수면의 높이를 계산함으로써 잉크잔량상태를 평가하고, 이 결과를 표시부(37)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알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잉크잔량을 빠른 속도로 정확히 검출할 수 있으며, 하나의 검출장치만으로도 잉크잔량을 수위별로 정확히 평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파(41)의 진행을 유도하는 한 쌍의 가이드(39)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신부(31)에서 발생된 전자기파(41)는 두 개의 가이드(39)를 따라 잉크를 향하여 진행하다가 수면에서 반사되어 수신부(33)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잔량검출장치에 의해 잉크잔량을 빠른 속도로 정확히 검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속적 검출이 가능하고, 특히 잉크저장부(10)의 진동으로 인한 수면의 불규칙으로 검출파가 수면에서 난반사되어 수신부(33)로 수신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는 용지의 폭 만큼의 길이를 갖는 헤드를 구비하는 프린터(Page width line head printer)에 있어서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라인헤드(page width line head, 13 ) 프린터는 잉크저장부(10)만을 교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저장부(10) 하부는 라인헤드(13, 간략히 도시하였슴.)로 잉크(20)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유로와 부압발생을 위한 부압발생장치(15)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발신부(31) 및 수신부(33)를 잉크저장부(10)의 상부에 마련하고, 발신부(31)로부터 발신한 전자기파(41)가 수신부(33)에 도달하기 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여 잉크수위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저장부(10) 상부에 전자기파(41)의 진행을 유도하는 한 쌍의 가이드(39)를 마련하고 이를 잉크저장부(10)의 하부까지 연장함으로써 잉크잔량을 검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잉크잔량검출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잉크저장부를 갖는 습식 레이저프린터나 복사기에도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저장부에 남아 있는 잉크의 잔량을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하여 적절한 시기에 잉크를 교체 할 수 있으며, 또한 잉크잔량을 연속적으로 검출함으로써 잉크의 감소속도를 알 수 있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잉크 교체시기를 예측하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저장부에 남아있는 잉크의 잔량을 검출하는 잉크잔량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저장부에 저장된 잉크수면을 향하여 검출파를 발신하는 발신부와;
    상기 잉크수면에 반사된 상기 검출파의 반사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검출파의 발신으로부터 상기 반사파의 수신까지 소요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잉크 잔량을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파는 전자기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잔량검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저장부내에 상기 잉크저장부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전자기파의 진행을 유도하는 한 쌍의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잔량검출장치.
KR1020040103253A 2004-12-08 2004-12-08 잉크잔량검출장치 KR100609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253A KR100609903B1 (ko) 2004-12-08 2004-12-08 잉크잔량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253A KR100609903B1 (ko) 2004-12-08 2004-12-08 잉크잔량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409A KR20060064409A (ko) 2006-06-13
KR100609903B1 true KR100609903B1 (ko) 2006-08-08

Family

ID=37159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253A KR100609903B1 (ko) 2004-12-08 2004-12-08 잉크잔량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90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0988A (ja) * 1993-06-30 1995-03-07 Canon Inc 記録装置及びインク残量検知方法
JPH10119302A (ja) * 1996-10-18 1998-05-12 Brother Ind Ltd インク残量検出装置
JP2002096482A (ja) * 2000-09-21 2002-04-02 Sharp Corp インクジェット装置
JP2004050824A (ja) * 2002-05-29 2004-02-19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プリンタ、そのインク残量検出装置及び方法、並びに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4279318A (ja) * 2003-03-18 2004-10-07 Seiko Epson Corp 液面レベル検出装置、液滴吐出装置、液面レベル検出方法、液滴吐出方法、デバイス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4096482A (ja) * 2012-11-09 2014-05-22 Nikon Corp 液浸部材、露光装置、及びデバイス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0988A (ja) * 1993-06-30 1995-03-07 Canon Inc 記録装置及びインク残量検知方法
JPH10119302A (ja) * 1996-10-18 1998-05-12 Brother Ind Ltd インク残量検出装置
JP2002096482A (ja) * 2000-09-21 2002-04-02 Sharp Corp インクジェット装置
JP2004050824A (ja) * 2002-05-29 2004-02-19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プリンタ、そのインク残量検出装置及び方法、並びに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4279318A (ja) * 2003-03-18 2004-10-07 Seiko Epson Corp 液面レベル検出装置、液滴吐出装置、液面レベル検出方法、液滴吐出方法、デバイス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4096482A (ja) * 2012-11-09 2014-05-22 Nikon Corp 液浸部材、露光装置、及びデバイス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409648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409A (ko) 200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2889A (ko) 유체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유체 액위 센서 및 잉크젯 프린터
US9375942B1 (en) Ink level sensor formed with an array of self-sensing piezoelectric transducers
JP7388487B2 (ja) 画像記録装置
JPH10232157A (ja) 液体残量検知装置および液体吐出装置
JP2000043287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KR100609903B1 (ko) 잉크잔량검출장치
JP6926493B2 (ja) 画像記録装置
JP6961947B2 (ja) 画像記録装置
KR20140089806A (ko) 초음파 수위계
JP2018103568A (ja) 画像記録装置
US10131140B2 (en) Inkjet typ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torage chamber storing ink and switch portion switching stat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torage chamber and atmosphere
CN109747272B (zh) 液体喷出装置
KR19980075805A (ko) 잉크 용기의 존재와 그 내부의 잉크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센싱 시스템
JP2018122514A (ja) 画像記録装置
JP6394347B2 (ja) 液体噴射装置
JP2018108647A (ja) 画像記録装置
JP2020055154A (ja) 液体排出装置
JP7196340B2 (ja) 光学式液滴検出器のコーティング
JP6859751B2 (ja) 画像記録装置
JP6938962B2 (ja) 画像記録装置
JP2012076297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装置
JP6938963B2 (ja) 画像記録装置
CN109318597B (zh) 图像记录装置
JP2005305940A (ja) 液体貯留部材、液量検出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JPH0976521A (ja) 印字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