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906B1 - 위치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이용하는 디지털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이용하는 디지털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906B1
KR100605906B1 KR1020040060882A KR20040060882A KR100605906B1 KR 100605906 B1 KR100605906 B1 KR 100605906B1 KR 1020040060882 A KR1020040060882 A KR 1020040060882A KR 20040060882 A KR20040060882 A KR 20040060882A KR 100605906 B1 KR100605906 B1 KR 100605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digital broadcast
digital
broadcast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4841A (ko
Inventor
김성동
양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0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906B1/ko
Priority to US11/108,435 priority patent/US20060025070A1/en
Publication of KR20050044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841A/ko
Priority to EP05011372A priority patent/EP1624599A3/en
Priority to JP2005162841A priority patent/JP2006050556A/ja
Priority to CNA2005100764641A priority patent/CN173498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receiv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a single channel
    • H04H20/31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a single channel using in-band signals, e.g. subsonic or cu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3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destin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5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using the result on users'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위치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부,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정보 검출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수신될 때 그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방송 화면에서 소개되는 장소들 중에서 가고 싶은 특정 장소의 경로 안내를 요청하면 그 장소로 가는 경로를 쉽게 안내 받을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통해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가고 싶은 장소가 나왔을 때 그 장소에 대한 상세 정보를 알고 싶을 경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네비게이션, 위치 정보

Description

위치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이용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DIGITAL BRADCASTING SYSTEM FOR USING DIGITAL BROADCASTING SIGNAL HAVING A INFORMATION OF POSITION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구성에 대한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경로 안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a) 및 도 8(b)는 위치 정보를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네비게이션 단말기 가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의 경로 안내 요청을 하는 경우 경로를 안내 하는 과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의 경로 안내 요청을 하는 경우 경로를 안내 하는 과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DIGITAL BROADCASTING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치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이용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방송이라 함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을 대체하여 고화질과 고음질, 그리고 보다 높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기술 및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 중에도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함)서비스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DMB란 무지향성 수신안테나를 장착한 개인 휴대용 수신기 또는 차량용 수신기 등을 통해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방송을 다수의 채널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도 1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시스템은 데이터 송출센터(10)와, 위성(20)과, 수신 장치들(예컨대, 이동 통신 단말기(30), 차량용 수신기(40) 및 가정용 수신기(50)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송출센터(10)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데이터(예컨대, 화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 등)를 압축한 후 변조하여 위성(20)으로 송출한다.
위성(20)은 데이터 송출센터(10)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후 주파수 변환하여 다시 지상으로 재전송한다.
수신 장치들(30, 40, 50)은 위성(20)으로부터 재전송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복조한 후 압축을 풀고 본래의 신호들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사용자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이동체 안에서도 노이즈(Noise) 없는 깨끗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사용자는 디지털 방송을 시청 시 방송된 장소로 이동하거나 해당 장소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을 경우, 각자의 방법으로 해당 장소의 명칭을 알아내야 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수신될 때 그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통해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가고 싶은 장소가 나왔을 때 그 장소까지의 경로를 제공하거나 그 장소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 후, 추후에 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통해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가고 싶은 장소가 나왔을 때 그 장소에 대한 상세 정보를 알고 싶을 경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위치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정보 검출부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을 통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위치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을 감지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위치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조작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경로 안내 기능을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현재 위치 검출부와, 위치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외부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가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계산을 수행하는 경로 결정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게 상기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경로 안내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현재 위치 검출부, 경로 결정부 및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1000)은 사용자 입력부(1100), 시스템 제어부(1200),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부(1300), 위치 정보 검출부(1400),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500), 출력부(1600) 및 저장부(170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키 입력이나 음성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 제어부(1200)로 전달한다.
시스템 제어부(1200)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부(1300)는 위치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출력부(1500)에 출력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소정 위치에 대응된 명칭(Point Of Interest), 해당 위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나 상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연결할 수 있는 정보 및 위치 좌표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위치 정보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신호와 연관된 위치 정보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에서 영화를 방송하고 있을 경우 각 장면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같이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위치 정보는 디지털 방송을 제작하여 방송하는 서비스 사업자가 선택적으로 제공을 할 수가 있을 것이다.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부(1300)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되었음을 알리는 표식(Indicator)을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와 함께 출력부(1500)를 통해 출력한다.
위치 정보 검출부(1400)는 사용자 입력부(1100)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면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부(1300)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500)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1000)과 연결할 수 있는 외부기기(도시하지 않음)와 통신을 하기 위한 장치로서, 위치 정보 검출부(1400)에서 검출한 위치 정보를 별도의 외부 기기로 전송한다. 상기 외부기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나 무선 인터넷 장비 또는 네비게이션 장치 등을 들 수가 있다.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500)는 상기와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대한 요청을 받으면 시스템 제어부(1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위치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출력부(1500)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1000)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출력부(1600)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 위치 정보가 포함되었음을 알리는 표식을 시스템 제어부(1200)의 제어에 의해 디지털 방송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 한다.
저장부(1700)는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를 시스템 제어부(1200)의 제어에 의해 저장한다. 상기 위치 정보를 저장부(1600)에 저장하는 것은 상기 위치 정보를 사용자 요청에 의해 디지털 방송 데이터에서 바로 검출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에서 여러 장소가 소개되면 사용자가 이를 구분하여 해당 장소를 선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러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순차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차후 사용자 요청이 있을 때 검출하여 사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부(1300)로부터 위치 정보 검출부(1400)가 검출한 위치 정보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500)를 통하여 외부기기로 전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1000)과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외부기기들 중에 상기 위치 정보를 가장 적절하게 활용 가능한 네비게이션 장치(예컨대,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겠다.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1000)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연결된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하나의 장치에 탑재(예컨대, 일체형)되거나 각각 독립적으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0)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독립적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위성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까지 경로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설정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결정하여 경로 안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유선 또는 무선망으로 연결된 경로 계산 서버(도시하지 않음)와의 교신을 통해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예컨대, 출발지)와 목적지의 정보를 상기 경로 계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경로 계산 서버에서 산출된 최적 경로를 수신하여 경로 안내를 수행한다. 이 때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상기 최적 경로를 직접 산출하여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해 무선 또는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하기 도 4(a) 및 도 4(b)와 같은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들이다.
도 4(a)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네비게이션 시스템(300)을 나타낸다. 이 때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300)의 디지털 방송 및 경로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310a)는 하나로 구현될 수 있고, 도 4(b)에 도시된 110b 및 210b와 같이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추가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과 경로 안내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도 4(b)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이 디지털 방송 수신 기(100)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낸다.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가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위치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외부기기(예컨대, 네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데이터 수신부(120),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제어부(15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데이터 수신부(120)는 위치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위치 정보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2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기기(예컨대, 네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에 위치 정보가 포함되었음을 알리는 표식을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와 함께 출력한다.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한 상기 사용자 조작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0)의 기능을 제어한다.
저장부(160)는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사용자 입력부(210), 현재 위치 검출부(220), 디지털 지도 데이터 저장부(230), 단말 제어부(240), 경로 결정부(250), 메모리(260), 표시부(270)및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28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210)는 출발지의 입력이나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각종 기능키, 숫자키, 특수키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단말 제어부(240)로 출력한다.
사용자 입력부(210)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키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부(210)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사용자 입력부(210)의 기능 수행이 가능하거나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가 하나의 장치에 탑재된 일체형일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부(210)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사용자 입력부(110)를 이용할 수도 있다.
현재 위치 검출부(220)는 지.피.에스(GPS)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GPS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출발지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검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지도 데이터 저장부(23O)는 디지털 지도를 단위 지역별로 구성하여 데이터화한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디지털 지도 데이터는 경로 결정부(250)가 경로를 산출할 때 그 경로를 그래픽 정보로 출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 제어부(24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단말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해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요청(예컨대, 음성 입력 또는 키 입력)하면,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280)를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게 상기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280)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를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500)와 연결된다.
단말 제어부(240)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280)로 상기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목적지로 설정하고, 위치 정보 검출부(220)로부터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출발지로 설정하고 이를 경로 결정부(250)로 전달한다.
단말 제어부(240)는 경로 결정부(250)에서 결정된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를 수행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240)는 상기 경로를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음성으로 안내할 수도 있다.
경로 결정부(250)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를 기 저장된 경로 계산 알고리즘에 의해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출발지로 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산출한다.
메모리(26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260)는 단말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280)로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260)에 저장된 상기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경로 안내 요청이 있을 때 단말 제어부(240)에 의해 검출되어 경로 결정부(250)로 전달된다.
표시부(27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표시부(270)는 경로 결정부(250)에서 결정된 경로를 단말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한다.
이 때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위치 정보를 외부 경로 계산 서버(도시하지 않음)로 송신하여 계산된 경로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경로 안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고,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 수신된 위치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40)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 및 산출된 경로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부(270)를 모두 구비할 수 도 있다. 도 7에서는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S110),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에 위치 정보(즉, POI(Point Of Interest) 데이터)가 포함되어있는지 확인한다(S115). 상기 위치 정보는 디지털 방송 화면에 관련된 장소(예컨대, 드라마(Drama)의 배경 장소)의 위치 정보로서, 상기 위치 정보는 소정 장소의 위치 좌표 및 그 위치에 대응된 명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위치 정보를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 도 7(a) 및 도 7(b)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에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를 알리는 표식을 출력한다(S120).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상기 위치 정보에 대한 경로 안내 요청이 입력되는지 검사한다(S125). 이 때 상기 경로 안내 요청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에서 할 수도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상기 위치 정보의 저장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130).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상기 위치 정보의 저장 요청이 있으면 상기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S135). 여기서 저장된 상기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경로 안내 요청이 있을 때마다 검출되어 경로 안내에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위치 정보 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에 저장될 수도 있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상기 위치 정보를 목적지로 설정한다(S140).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출발지로 설정한다(S145). 이 때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출발지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출발지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를 설정할 수도 있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상기 설정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결정한다(S150).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상기 결정된 경로를 사용자에게 안내한다(S155).
도 7의 과정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S150)까지만 수행한 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차후에 경로를 안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위치 정보를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 및 도 8(b)는 위치 정보를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디지털 방송 신호에 위치 정보를 포함시키는 첫 번째 방법을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8(a)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MPEG2-TS(Motion Picture Expert Group2-Transport Stream)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MPEG2-TS 데이터의 버려지는 공간(즉, Stuffing Data)을 대신하여 위치 정보를 실을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텍스트 파일 형태이므로 데이터의 용량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MPEG2-TS 데이터는 통신 분야에서 공지된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지털 방송 신호에 위치 정보를 포함시키는 두 번째 방법을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8(b)는 위성 DMB 또는 System-E 방식에서 디지털 방송 신호의 제어채널 프레임(Frame)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제어채널의 각각의 프레임의 항상 비어있는 공간인 51번째 데이터 전송부분(D51)에 상기 위치 정보를 실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디지털 방송 채널 중 주기적으로 공용하는 채널(예컨대, EPG 채널)에 위치 정보를 실을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의 경로 안내 요청을 하는 경우 경로를 안내 하는 과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9의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도 10에서 설명할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거나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S210),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에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있는지 확인한다(S215).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상기 검사 결과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에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를 알리는 표식을 출력한다(S220).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상기 위치 정보의 포함을 알리는 표식을 인지한 사용자의 경로 안내 요청(예컨대, 음성 입력 또는 키 입력)이 있으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 상기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S225).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상기 위치 정보에 대한 경로 안내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위치 정보를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230).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위치 정보의 저장여부를 검사한다(S235).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따른 상기 위치 정보의 저장요구가 있으면 상기 위치 정보를 저장한 후(S240), 상기 위치 정보를 목적지로 설정하고, 상기 검사 결과 저장 요구가 없으면 바로 상기 전송된 위치 정보를 목적지로 설정한다(S245).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현재 위치를 출발지로 설정한다(S250). 이 때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출발지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현재 위치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를 제공받지 않고 다른 곳에서 상기 경로 안내를 제공받을 경우에 해당된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상기 설정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결정한다(S255).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상기 결정된 경로를 안내한다(S260). 도 9의 과정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상기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S255)까지만 수행한 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차후에 경로를 안내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의 경로 안내 요청을 하는 경우 경로를 안내하는 과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S310),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에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있는지 확인한다(S315).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상기 검사 결과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에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를 알리는 표식을 출력한다(S320).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상기 위치 정보의 포함을 알리는 표식을 인지한 사용자의 경로 안내 요청(예컨대, 음성 입력 또는 키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S325).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상기 경로 안내 요청이 있으면 상기 위치 정보의 저장여부를 검사한다(S330).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따른 상기 위치 정보의 저장요구가 있으면 상기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S335), 상기 검사 결과 저장 요구가 없으면 바로 상기 위치 정보를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340).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상기 위치 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목적지로 설정한다(S345).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현재 위치를 출발지로 설정한다(S350).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출발지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를 설정할 수도 있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상기 설정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결정한다(S355).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상기 결정된 경로를 안내한다(S360).
도 10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역시 상기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S355)까지만 수행한 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차후에 경로를 안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방송화면에 관련된 위치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위치 관련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실시 예로 네비게이션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연동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하나의 예일 뿐이며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연결된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단말기일 경우에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에 관한 인터넷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수신될 때 그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방송 화면에서 소개되는 장소들 중에서 가고 싶은 특정 장소의 경로 안내를 요청하면 그 장소로 가는 경로를 쉽게 안내 받을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경로 안내 요청한 특정 장소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 후, 추후에 그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여유 시간이 있을 때 언제든지 특정 장소로 가는 경로를 안내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통해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가고 싶은 장소가 나왔을 때 그 장소에 대한 상세 정보를 알고 싶을 경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Claims (26)

  1. 위치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이용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을 제작하여 방송하는 서비스 사업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디지털 방송 데이터와 연관된 위치 정보를 디지털 방송 신호에 실어서 방송하는 데이터 송출 센터와,
    상기 데이터 송출 센터로부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에 위치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송출 센터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스터핑(Stuffing) 데이터 영역에 상기 위치 정보를 실어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송출 센터는,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 중,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제어 채널 또는 주기적으로 공용하는 공용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채널은,
    EPG 채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위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이를 저장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와,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목적지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위치 정보 검출부와,
    상기 위치 정보가 검출되면, 검출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위치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되었음을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상기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와,
    디지털 지도를 단위 지역별로 구성하여 데이터화한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지도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위치 정보를 기 저장된 경로 계산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산출하는 경로 결정부와,
    상기 경로 결정부에서 결정된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서로 착탈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위치 정보 검출부와,
    상기 위치 정보가 검출되면, 검출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디지털 지도를 단위 지역별로 구성하여 데이터화한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지도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위치 정보를 기 저장된 경로 계산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출발지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산출하는 경로 결정부와,
    상기 경로 결정부에서 결정된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현재 위치 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 검출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GPS 신호 수신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결정부는,
    상기 검출된 현재 위치를 상기 출발지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에 관련된 소정 위치에 대응하는 명칭 및 위치 좌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15. 디지털 방송 신호를 방송하는 데이터 송출 센터와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구비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방송 화면과 연관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 송출 센터가, 디지털 방송을 제작하여 방송하는 서비스 사업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디지털 방송 데이터와 연관된 위치 정보를 디지털 방송 신호에 실어서 방송하는 방송 단계와,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가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상기 검출 결과에 따른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공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제공 단계는,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상기 위치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가 검출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상기 표시 결과, 사용자가 상기 위치 정보의 제공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선택적 위치 정보 제공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가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표시를,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상기 검출 결과에 따른 상기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정보 저장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9. 제15항 또는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상기 검출 결과 상기 위치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를 목적지로 설정하는 목적지 설정 단계와,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결정하는 경로 결정 단계와,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상기 결정된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로 제공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결정 단계는,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현재 위치 검출 단계와,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상기 검출된 현재 위치를 상기 출발지로 설정하는 출발지 설정 단계와,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결정하는 경로 산출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 검출 단계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2.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 및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구비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방송하는 데이터 송출 센터를 구비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방송 화면과 연관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 송출 센터가, 디지털 방송을 제작하여 방송하는 서비스 사업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디지털 방송 데이터와 연관된 위치 정보를 디지털 방송 신호에 실어서 방송하는 방송 단계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가,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가,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가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가, 상기 검출 결과에 따른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공 단계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가,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싱 단계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를 목적지로 설정하는 목적지 설정 단계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결정하는 경로 결정 단계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상기 결정된 경로를 상기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안내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가,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정보 저장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가,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가 있는 경우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위치 정보 표시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결정 단계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상기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현재 위치 검출 단계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상기 검출된 현재 위치를 상기 출발지로 설정하는 출발지 설정 단계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결정하는 경로 산출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 검출 단계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060882A 2004-08-02 2004-08-02 위치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이용하는 디지털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05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882A KR100605906B1 (ko) 2004-08-02 2004-08-02 위치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이용하는 디지털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108,435 US20060025070A1 (en) 2004-08-02 2005-04-18 Digital broadcast system and method us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containing location information
EP05011372A EP1624599A3 (en) 2004-08-02 2005-05-25 Digital broadcast system and method us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containing location information
JP2005162841A JP2006050556A (ja) 2004-08-02 2005-06-02 位置情報を含むディジタル放送信号を使用するディジタル放送システム及び方法
CNA2005100764641A CN1734989A (zh) 2004-08-02 2005-06-15 使用包含位置信息的数字广播信号的数字广播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882A KR100605906B1 (ko) 2004-08-02 2004-08-02 위치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이용하는 디지털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841A KR20050044841A (ko) 2005-05-13
KR100605906B1 true KR100605906B1 (ko) 2006-08-01

Family

ID=36077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882A KR100605906B1 (ko) 2004-08-02 2004-08-02 위치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이용하는 디지털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25070A1 (ko)
EP (1) EP1624599A3 (ko)
JP (1) JP2006050556A (ko)
KR (1) KR100605906B1 (ko)
CN (1) CN17349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2168B2 (en) 2007-03-26 2013-04-02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of receiving broadcast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6855B2 (en) 2004-06-28 2013-02-19 Winview,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gaming over a mobile device
US8870639B2 (en) 2004-06-28 2014-10-28 Winview,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gaming over a mobile device
US10226698B1 (en) 2004-07-14 2019-03-12 Winview, Inc. Game of skill played by remote participants utilizing wireless devices in connection with a common game event
US20060268994A1 (en) * 2005-05-27 2006-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using the same
US10721543B2 (en) 2005-06-20 2020-07-21 Winview,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managing client resources and assets for activities on computing devices
JP2008547122A (ja) 2005-06-20 2008-12-25 エアプレイ ネットワー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サービス提供方法、データ受信方法、データ提供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サーバ装置
US8149530B1 (en) 2006-04-12 2012-04-03 Winview, Inc. Methodology for equalizing systemic latencies in television reception in connection with games of skill played in connection with live television programming
US8705195B2 (en) 2006-04-12 2014-04-22 Winview, Inc. Synchronized gaming and programming
US9511287B2 (en) * 2005-10-03 2016-12-06 Winview, Inc. Cellular phone games based upon television archives
US9919210B2 (en) 2005-10-03 2018-03-20 Winview, Inc. Synchronized gaming and programming
KR100707721B1 (ko) * 2005-10-04 2007-04-16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증권정보 검색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통신 단말기
KR100864857B1 (ko) * 2005-12-01 2008-10-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peg 기반의 poi 서비스와 연계된 쿠폰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10556183B2 (en) 2006-01-10 2020-02-11 Winview,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conducting multiple contest of skill with a single performance
US9056251B2 (en) 2006-01-10 2015-06-16 Winview,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conducting multiple contests of skill with a single performance
US8002618B1 (en) 2006-01-10 2011-08-23 Winview,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conducting multiple contests of skill with a single performance
US11082746B2 (en) 2006-04-12 2021-08-03 Winview, Inc. Synchronized gaming and programming
US9191514B1 (en) 2007-05-07 2015-11-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teractive voice response with user designated delivery
US8813112B1 (en) 2007-10-23 2014-08-19 Winview,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utilizing SMS while running an application on a mobile device controlling a viewer's participation with a broadcast
EP2146343A1 (en) * 2008-07-16 2010-01-20 Deutsche Thomson OHG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highly compressed enhancement layer data
US9716918B1 (en) 2008-11-10 2017-07-25 Winview, Inc. Interactive advertising system
JP6110024B2 (ja) * 2013-05-30 2017-04-05 エンパイア テクノロジー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ルエルシー 無線通信を提供するための方式
US11551529B2 (en) 2016-07-20 2023-01-10 Winview, Inc. Method of generating separate contests of skill or chance from two independent events
US11308765B2 (en) 2018-10-08 2022-04-19 Winview, Inc. Method and systems for reducing risk in setting odds for single fixed in-play propositions utilizing real time inpu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5948A (en) * 1995-05-03 1996-05-14 Gilliland; Warren L. Protected transfer porting in brake caliper unit with opposed pistons
WO1999062254A1 (fr) * 1998-05-28 1999-12-02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e de radiodiffusion numerique et terminal correspondant
DE19852660C2 (de) * 1998-11-16 2001-03-08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Eingabe von Fahrzielen in eine Navigationsvorrichtung
DE19905430A1 (de) * 1999-02-10 2000-08-1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Rundfunkempfänger zum Auswerten von DAB-Durchsagen
DE19905893A1 (de) * 1999-02-11 2000-08-1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igital codierten Verkehrsnachrichten und Funkempfänger dazu
GB2353872B (en) * 1999-08-28 2004-02-04 Roke Manor Research vehicle speed warning apparatus
JP3518450B2 (ja) * 1999-11-19 2004-04-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DE10011702A1 (de) * 2000-03-10 2001-09-27 Bernhard Friedrich Verfahren zur standortbezogenen Information von Verkehrsteilnehmern
JP2003042790A (ja) * 2001-08-01 2003-02-13 Pioneer Electronic Corp 通信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通信ナビゲーション方法、端末装置および経路誘導情報送信装置
JP2003269969A (ja) * 2002-03-13 2003-09-25 Sony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地点情報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52735B4 (de) * 2002-11-13 2017-11-16 Robert Bosch Gmbh Datenformat, digitales Rundfunksignal, zugeordnetes Information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selb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2168B2 (en) 2007-03-26 2013-04-02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of receiving broadcast thereof
KR101276850B1 (ko) * 2007-03-26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방송수신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34989A (zh) 2006-02-15
EP1624599A2 (en) 2006-02-08
JP2006050556A (ja) 2006-02-16
KR20050044841A (ko) 2005-05-13
US20060025070A1 (en) 2006-02-02
EP1624599A3 (en)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906B1 (ko) 위치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이용하는 디지털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US8712434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hand-held device and method thereof
JP2006311249A (ja) 放送受信機、放送受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受信チャンネル切り替え方法
JP4859412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ィジタル放送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1786124A2 (en) Method for displaying wallpaper o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terminal
JP2004165729A (ja) テレビ受信機と受信状態情報管理装置
KR101105771B1 (ko) 방송수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4776001B2 (ja) 携帯型地上波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2001156659A (ja) 放送受信装置
JP5482374B2 (ja) 放送受信装置
JP2004140522A (ja) 移動体用装置
US7606525B2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thereof
JP2006267060A (ja) 経路探索装置および受信装置
KR20070001450A (ko) 전자 프로그램 안내 데이터를 이용한 위치 안내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에 적합한 방송 수신기
JP2006060430A (ja) 端末装置および放送システム
JP2006174208A (ja) 移動体用テレビ受信装置
JP2008211340A (ja) 放送受信装置
KR100827135B1 (ko) 운전 중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제한하는 방법
KR20060024046A (ko) Dmb 교통방송 프로그램 연동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1100220B1 (ko) 방송 수신기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위치 정보 제공 방법
JP5350209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KR101190378B1 (ko) 실시간 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07027998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5233830B2 (ja) 受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受信方法
KR20070000751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에서 검색어 입력을 통한방송 프로그램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