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092B1 -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092B1
KR100603092B1 KR1020040071543A KR20040071543A KR100603092B1 KR 100603092 B1 KR100603092 B1 KR 100603092B1 KR 1020040071543 A KR1020040071543 A KR 1020040071543A KR 20040071543 A KR20040071543 A KR 20040071543A KR 100603092 B1 KR100603092 B1 KR 100603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wall
lower rail
upper rail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8206A (ko
Inventor
단죠야스하루
이즈미야스오
Original Assignee
데루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루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루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8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3Reinforcement members preventing slide dislo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2Complex cross-section, e.g. obtained by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18Location of the latch in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37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 B60N2/0843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about a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automobile slide adjuster)는, 차량 본체에 고정되는 하부 레일(lower rail)과 상기 하부 레일 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레일(upper rail)을 포함한다. 다수의 전동 요소(rolling element)가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 사이에서 그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레일은, 그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상향(上向) 융기부(隆起部)를 갖고 있으며, 또한 상기 다수의 상향 융기부의 각각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긴 개구(opening)를 갖고 있다. 상기 상향 융기부는 하부 레일의 부분과 미끄럼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AUTOMOBILE SLIDE ADJUS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의 하나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의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특히 상부 레일이 로크 메커니즘(lock mechanism)에 의해 하부 레일에 대해 로크(lock)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의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의 수직 단면도.
도 5는,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의 공차(公差) 설정을 설명하는, 도 2의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의 수직 단면도.
도 6은, 특히, 로크 부재의 로크 피스(lock piece)와 상부 및 하부 레일의 로크 구멍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2에 나타낸 로크 부재와, 상부 및 하부 레일에 대한, 부분 단면 하부 평면도.
도 7은, 특히 로크 구멍의 전방 및 후방에서 상부 레일 상에 형성된 상향 융기부를 나타내는, 상부 레일의 측면도.
도 8은 도 7의 ⅩⅢ-ⅩⅢ 선을 따른 단면도.
도 9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7과 유사한 도면.
도 10은,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7과 유사한 도면.
도 11은,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7과 유사한 도면.
도 12는, 특히 상향 융기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상부 레일의 일부분의 사시도.
도 13은,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12와 유사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하부 레일 2a : 바닥 벽
2b : 외측 벽 2c : 상부 벽
2d : 내측 벽 2e : 로크 구멍
4 : 상부 레일 4a : 상부 벽
4b : 내측 벽 4c : 경사진 하부 벽
4d : 외측 벽 4e : 외향 연장 벽
4f : 로크 부재 삽입 구멍 4g, 4h : 로크 구멍
4k : 로크 부재 장착부 4l : 직사각형 결합 구멍
4m : 상향 융기부 4m1 : 평탄부
4m2 : 경사부 4n : 긴 개구
10 :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 10a : 바닥 벽
10b : 측면 벽 12 : 구형(球形) 요소(要素)
14 : 리테이너(retainer) 34 : 조작 부재
40 : 지지 축 40a : 평탄부
40b : 삽입 홈 40c : 유지 돌기부(突起部)
42 : 로크 부재 42a : 로크 피스(lock piece)
42b : 결합부 42c : 슬라이딩(sliding)부
42d : 직사각형 개구 44 : 판 스프링
44a, 44b : 접촉부 46 : 브래킷(bracket)
48 : 조작 로드(operation rod) 48a : 스프링 유지 돌기부
48b : 압력 피스 50 : 압입 피스(press-in piece)
52 : 스프링 S :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
본 발명은, 차량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자동차 좌석의 위치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어저스터(slide adjuster)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는 일반적으로 하부 레일과 그것에 대해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레일을 포함한다. 일부 종래의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는, 예를 들면, 미끄럼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부 레일 및 상부 레일 사이에 삽입된 롤러(roller), 볼(ball) 등과 같은 다수의 전동(轉動) 요소를 포함한다(특허 문헌 1 참조). 일부 종래의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는, 예를 들면, 하부 레일과 상부 레일 사이의 간극(間隙)을 제거하기 위해 하부 레일과 상부 레일 사이에 삽입된 수지(樹脂)로써 제조된 다수의 탄성(彈性) 요소를 포함한다(특허 문헌 2, 3 참조). 또한, 일부 종래의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는, 수직 및 수평의 헐거움(looseness)을 제거하기 위해 하부 레일 또는 상부 레일 상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突起部)를 포함한다(특허 문헌 4, 5, 6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特開平)7-26694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실개평(實開平)5-7532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실개평5-37554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국 실개소(實開昭)62-79628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국 실개소58-60533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국 실개소58-48536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공개된 바와 같은 슬라이드 어저스터는, 상부 및 하부 레일은 모두 그 표면상에 서로 대향하고 전동 요소(rolling element)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리브(rib)를 갖는 구조로서, 상기 리브가 대향면간의 간격에 있어서의 편차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슬라이드 어저스터는 그 제조에 많은 구성 부품과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삭제
특허 문헌 2 또는 3에 공개된 바와 같은 슬라이드 어저스터에 있어서는, 탄성(彈性) 요소가 미끄럼 저항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써 소음의 발생을 제거한다. 그러나, 탄성 요소의 구비는 구성 부품 수(數)의 증가를 초래하고, 조립에서 시간의 소요를 필요로 하게 된다.
특허 문헌 4, 5, 6에 공개된 바와 같은 슬라이드 어저스터에 있어서는, 하부 레일 또는 상부 레일 상에 형성된 돌기부에 의해 수직 및 수평 헐거움은 제거되지만, 이 슬라이드 어저스터는 상부 또는 하부 레일의 크기에 있어서의 편차에 의해 미끄럼 저항이 용이하게 안정될 수 없다고 하는 점에서 문제를 야기한다. 더욱이, 높은 치수 정밀도가 요구되어, 생산성의 감소로 귀착된다.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 부품의 수 또는 조립 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고, 미끄럼 저항이 안정적으로 되는, 간단한 구조의 신뢰성이 높은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및 기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는, 차량 본체에 고정되는 하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레일과,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사이에서 하부에 배치된 다수의 전동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레일은, 그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상향(上向) 융기부를 갖고 있으며, 또한 상기 다수의 상향 융기부의 각각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긴 개구(開口)를 갖추고 있다. 상기 상향 융기부는 하부 레일의 부분과 미끄럼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
전동 요소의 중심과 상향 융기부의 상부 사이의 수직 거리는, 전동 요소의 중심과 하부 레일의 부분 사이의 수직 거리보다 크거나 또는 동등(同等)하게 설정된다.
하부 레일은 상부 벽을 구비하는 반면, 상부 레일은 내측 벽, 외측 벽, 상기 외측 벽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외향 연장 벽을 구비하며, 또한 상향 융기부는 상부 레일의 외향 연장 벽 상에 형성되어 하부 레일의 상부 벽의 내측면과 미끄럼 접촉을 유지한다.
상부 레일은 내측 벽과 외측 벽 사이에 형성된 경사(傾斜)진 하부 벽을 구비하며, 전동 요소는 상기 경사진 하부 벽과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 구조는, 상부 및 하부 레일의 상부에 전동 요소가 없어서, 구성 부품의 수 또는 조립 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게다가, 각각의 상향 융기부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긴 개구는 상향 융기부에 수직 탄성을 부여한다. 따라서 하부 레일 또는 상부 레일의 치수 편차가 존재할지라도, 상향 융기부의 수직 탄성이 그러한 치수 편차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미끄럼 저항이 안정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하부 레일의 상부는, 단지 상향 융기부를 통해서만 상부 레일의 상부와 부분적으로 미끄럼 접촉을 유지하고 있어서, 미끄럼 저항을 더욱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의 높은 신뢰성을 갖는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전체를 통해 동일 부품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한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하는,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국에서 2003년 9월 17일자로 신청된 출원 번호 제2003-324957호를 기초로 하며, 그 내용은 전체를 참고로 여기에 포함시켜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실시하는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S)를 도 1에 나타내며, 이것은 차량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좌석의 위치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하기 위해 좌석(도시되지 않음)의 각각의 측면에 배치된다. 슬라이드 어저스터(S)의 쌍(雙)이 좌석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해 대칭이기 때문에, 좌석의 착석자로부터 보아서 우측에 위치된 단지 하나만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S)는, 하부 레일(2)과, 길이 방향으로 하부 레일에 대해 미끄럼 가능하도록 장착된 상부 레일(4)을 포함한다. 하부 레일(2)은 전방 및 후방 브래킷(bracket)(6, 8)을 통해 차량 바닥에 단단히 고착(固着)되고, 한편 좌석 쿠션 프레임(seat cushion frame)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10)은 상부 프레임(4)에 고착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레일(2)은,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바닥 벽(2a), 각각, 상기 바닥 벽(2a)의 각각의 측면 모서리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외측 벽(2b), 상기 2개의 외측 벽(2b)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수평하게 안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상부 벽(2c), 상기 2개의 상부 벽(2c)의 안쪽 모서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내측 벽(2d)을 각각 포함한다. 각각의 내측 벽(2d)은 규칙적 간격으로 형성된 일군(一群)의 직사각형의 로크 구멍(2e)을 갖는다.
또 다른 한편, 상부 레일(4)은, 일반적으로 도립(倒立)된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부 벽(4a), 상기 상부 벽(4a)의 각각의 측면 모서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내측 벽(4b), 각각, 상기 2개의 내측 벽(4b)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비스듬히 위쪽 및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경사진 하부 벽(4c), 각각, 상기 2개의 경사진 하부 벽(4c)의 바깥쪽 모서리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외측 벽(4d), 상기 2개의 외측 벽(4d)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수평하게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외향 연장 벽(4e)을 각각 포함한다.
하부 레일(2)의 각각의 외측 벽(2b)은, 상부 레일(4)의 관련된 하나의 외측 벽(4d) 바깥 쪽에 위치한다. 하부 레일(2)의 각각의 상부 벽(2c)은, 상부 레일(4)의 관련된 하나의 외향 연장 벽(4e) 위에 위치한다. 하부 레일(2)의 각각의 내측 벽(2d)은, 상부 레일(4)의 하나의 관련된 외측 벽(4d)과 하나의 관련된 내측 벽(4b) 사이에 위치한다.
다수의 구형(球形) 요소(要素)(전동 요소)(12)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리테이너(retainer)(14)는, 각각의 전방 및 후방 단부에서 하부 레일(2)의 바닥 벽(2a) 위에 장착된다. 상기 리테이너(14)는 일반적으로 도립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14)는, 각각의 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2개의 홈(14a)을 가지며, 각각의 홈에는 하부 레일(2)의 바닥 벽(2a)의 측면 모서리 및 상부 레일(4)의 경사진 하부 벽(4c)과 접촉을 유지하는 구형 요소(12)가 수용되어, 상부 레일(4)은 하부 레일(2)에 대하여 원활하게 미끄러질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S)에서는, a≤b 관계를 만족하도록 공차(公差) 설정을 하고 있으며, 여기서,
a : 구형 요소(12)의 중심과, 하부 레일(2)의 상부 벽(2c)의 내측면(하부 면) 사이의 수직 거리, 및
b : 구형 요소(12)의 중심과, 상부 레일(4)의 외향 연장 벽(4e) 상에 형성된 상향 융기부(후술함)(4m)의 상부 사이의 수직 거리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어저스터의 치수 제어는, 상부 레일(4)의 b 치수가 하부 레일(2)의 a 치수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상부 레일(4)의 외향 연장 벽(4e) 상의 상향 융기부(4m)의 높이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향 융기부(4m)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긴 개구(4n)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향 융기부(4m)가 상부 또는 하부 레일(4, 2)의 크기에 있어서의 편차를 흡수하도록 작용하여, 미끄럼 저항을 증가시키는 일 없이 그것들을 용이하게 함께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레일(4)은 상부 벽(4a) 내에 길이 방향으로 거의 중심에 형성된 대략적인 직사각형의 로크 부재 삽입 구멍(4f)을 구비하며, 로크 부재(후술함)는 상기 로크 부재 삽입 구멍(4f)에 삽입된다. 상부 레일(4)은 또한 각각의 내측 벽(4b) 및 외측 벽(4d)에 형성된 대략적인 직사각형의 다수(예를 들면, 5개)의 로크 구멍(4g, 4h)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것들은 모두 상부 벽(4a)의 로크 부재 삽입 구멍(4f)에 근접한 위치에서 좌석의 중심측 상에 위치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레일(2)의 로크 구멍(2e)의 폭과, 상부 레일(4)의 로크 구멍(4g, 4h)의 폭은, 상부 레일(4)의 내측 벽(4b)에서의 로크 구멍(4g), 하부 레일(2)의 로크 구멍(2e), 상부 레일(4)의 외측 벽(4d)에서의 로크 구멍(4h)이, 이 순서대로 좁아지게 되도록 로크 부재(42)의 로크 피스(42a)의 테이퍼(taper)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상부 레일(4)은, 내측 벽(4b)이 상부 벽(4a) 위로 소정의 높이로 위쪽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상부 벽(4a)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절단해 올림으로써, 폭 방향으로 로크 부재 삽입 구멍(4f)의 각각의 측면 상에 일체로 형성된 2개의 로크 부재 장착부(4k)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로크 부재 장착부(4k)는 자체에 형성된 대략적인 직사각형의 결합 구멍(4l)을 갖는다.
수지(樹脂)로 만든, 대략적인 원통형의 지지 축(40)은, 하나의 로크 부재 장착부(4k) 상에 장착되며, 로크 부재(42)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 축(40) 상에 장착되어, 판 스프링(44)에 의해 항상 화살표 F 방향으로 치우쳐져 있다. 지지 축(40)은, 길이 방향으로 중간부의 각각의 측면 상에 형성된 2개의 평탄부(40a)를 구비하며, 상부 레일(4)의 로크 부재 장착부(4k)의 하나가 삽입되는 삽입 홈(40b)이 2개의 평탄부(40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 홈(40b)의 폭은 상부 레일(4)의 로크 부재 장착부(4k)의 폭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삽입 홈(40b)의 2개의 대향 내측 벽의 하나에 유지 돌기부(40c)가 형성되어 있다.
삭제
로크 부재(42)는, 굴곡된 단면과, 다수(예를 들면, 5개)의 테이퍼된 로크 피스(42a)를 갖춘 빗 형태의 말단부(하부 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 피스(42a)는, 상부 레일(4)을 하부 레일(2)에 대해 로크하기 위해 하부 레일(2)의 로크 구멍(2e)의 일부와 상부 레일(4)의 로크 구멍(4g, 4h)에 삽입될 수 있도록 좌석의 중앙을 향해 안쪽으로 돌출된다. 로크 부재(42)는 또한 좌석의 중앙을 향해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인접 단부(상부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42b)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로드(operation rod)(후술함)가 로크 부재(42)를 동작시키기 위해 결합부(42b)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크 부재(42)는 결합부(42b)를 바깥쪽으로 해서 형성된 아치형의 슬라이딩부(sliding portion)(42c)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딩부(42c)는 지지 축(40)의 외경(外徑)과 거의 동등한 내경(內徑)을 갖고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42c)는 상기 지지 축(40) 상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판 스프링(44)의 일단부(一端部)(상단부)가 헐겁게 삽입되는 직사각형 개구(42d)는, 슬라이딩부(42c)의 일부분과 그 인접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로크 부재(4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판 스프링(44)은 굴곡된 단면을 갖고 있다. 또한 판 스프링(44)은, 상부 레일(4)의 내측 벽(4b) 및 로크 부재(42)의 로크 피스(42a)의 말단부와 접촉을 유지하는, 대향 단부에 형성된 2개의 접촉부(44a, 44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로크 부재(42)가 상부 레일(4) 상에 장착될 때, 지지 축(40)이 로크 부재(42)의 슬라이딩부(42c)의 내측에 먼저 고정되고, 그 후에 로크 부재(42)의 로크 피스(42a)가 하부 레일(2)의 로크 구멍(2e)의 일부 및 상부 레일(4)의 로크 구멍(4g, 4h) 내로 삽입된다. 그 후에, 상부 레일(4)의 로크 부재 장착부(4k)는 지지 축(40) 내의 삽입 홈(40b)에 압입(press fit)되고, 삽입 홈(40b)의 내측 벽의 하나에 형성된 유지 돌기부(40c)는 상부 레일(4)의 로크 부재 장착부(4k)에 형성된, 대략적인 직사각형의 결합 구멍(4l)에 결합된다. 그 다음에 판 스프링(44)은, 상기 판 스프링(44)의 일단부가 로크 부재(42)의 직사각형 개구(42d) 내로 헐겁게 삽입되는 방식으로 로크 부재(42) 상에 고정되고, 판 스프링(44)의 일단부에 형성된 접촉부(44a)는 상부 레일(4)의 내측 벽(4b)과 접촉하게 되는 반면, 판 스프링(44)의 타단부(他端部)에 형성된 접촉부(44b)는 로크 부재(42)의 로크 피스(42a)의 인접 단부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로크 부재(42)를 항상 화살표 F 방향으로 힘을 받게 한다.
대안적으로, 상부 레일(4)의 로크 부재 장착부(4k)를 지지 축(40)의 삽입 홈(40b) 내로 먼저 압입할 수 있으며, 삽입 홈(40b)의 내측 벽의 유지 돌기부(40c)를 상부 레일(4)의 로크 부재 장착부(4k)의 대략적인 직사각형의 결합 구멍(4l)에 결합한다. 이 경우에는, 로크 부재(42)의 슬라이딩부(42c)는 그 후에 지지 축(40) 상에 고정되고, 로크 부재(42)의 로크 피스(42a)는 하부 레일(2)의 로크 구멍(2e)의 일부 및 상부 레일(4)의 로크 구멍(4g, 4h) 내로 삽입된다.
상부 레일(4) 상에 장착된 사이드 프레임(10)은, 상부 레일(4)의 상부 벽(4a)에 고정된 바닥 벽(10a)과, 상기 바닥 벽(10a)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측면 벽(10b)을 갖는다. 바닥 벽(10a)은, 길이 방향으로 중간부에 형성된 대략적인 직사각형의 로크 부재 삽입 홈(10c)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홈은 상부 레일(4)에 형성된 로크 부재 삽입 구멍(4f)에 연결된다. 사이드 프레임(10)의 전방 단부에 L자 형상의 브래킷(46)이 고정되고, 조작 로드(48)가 중앙부에서 브래킷(46)에 힌지(hinge)로 연결된다. 조작 로드(48)의 전방 단부는 압입 피스(press-in piece)(50)로 덮혀지고, 그것은 다음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조작 파이프 또는 조작 부재(34)의 일단부에 압입된다. 조작 로드(48)는, 전방 단부의 후방 위치에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 유지 돌기부(48a)를 갖고 있으며, 스프링(52)의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 유지 돌기부(48a)에 의해 유지되는 반면, 스프링(52)의 타단부는 사이드 프레임(10)에 의해 유지됨으로써, 조작 로드(48)의 전방 단부는 항상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진다. 또한 조작 로드(48)는, 후방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안쪽으로 구부러진 압력 피스(48b)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피스는 로크 부재(42)의 결합부(42b) 위에 위치되어 있어서, 상기 압력 피스(48b)는 상기 결합부(42b)와 결합 또는 해제되어, 상부 레일(4)을 하부 레일(2)에 대해 로크하거나 로크를 해제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레일(4)은, 로크 구멍(4h)의 전방 및 후방에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의 외향 연장 벽(4e) 상에 형성된 2개의 상향 융기부(4m)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상향 융기부(4m)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긴 개구(4n)는, 상향 융기부(4m)와 인접하는 위치에서 외측 벽(4d)과 외향 연장 벽(4e) 사이의 만곡부에 형성된다. 각각의 상향 융기부(4m)는, 우선 로크 구멍(4h)의 전방 또는 후방 위치에서 외측 벽(4d)과 외향 연장 벽(4e) 사이의 만곡부에 소정의 길이의 긴 개구(4n)를 형성하고, 그 후, 긴 개구(4n)의 상부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향 연장 벽(4e)의 일부분을 약간 올려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도 9 내지 도 11은 상향 융기부(4m)에 대한 몇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각의 상향 융기부(4m)는, 중앙에 형성된 평탄부(4m1)와, 상기 평탄부(4m1)와 외향 연장 벽(4e) 사이에 형성된 2개의 경사부(4m2)를 구비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각의 상향 융기부(4m)는 2개의 경사부(4m3)가 만나는 상부를 갖는 경사진 지붕 형태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각의 상향 융기부(4m)는 중앙에 형성된 비교적 작은 아치형 돌기부(4m4)이다.
상부 레일(4)은 외향 연장 벽(4e)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향 융기부가 외측 벽(4d)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면 충분하다.
도 12는 로크 구멍(4h)의 전방 또는 후방의 외측 벽(4d)의 상부에 형성된 상향 융기부(4m)를 나타낸다. 각각의 상향 융기부(4m)는 사다리꼴 형태이며, 긴 개구(4n)는 상향 융기부(4m)의 아래에 형성되어 있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상향 융기부(4m)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변형예는, 긴 개구(4n)의 대향 단부 위에 형성된 2개의 구부러진 부분과, 사다리꼴 상향 융기부(4m)의 전방 및 후방 단부에 형성된 2개의 구부러진 부분을 구비하며, 이것은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하부 레일(2)의 외측 벽(2b)과 내측 벽(2d)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구조의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S)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자동차가 주행 중일 때, 판 스프링(44)에 의해 힘이 가해진 로크 부재(42)의 로크 피스(42a)는, 하부 레일(2)의 로크 구멍(2e)의 일부와 상부 레일(4)의 로크 구멍(4g, 4h) 내에 유지되어 있다(도 4 참조). 상부 레일(4)의 로크 구멍(4g)과 하부 레일(2)의 로크 구멍(2e)과 상부 레일(4)의 로크 구멍(4h)이 로크 피스(42a)의 테이퍼 형상에 따라 이 순서대로 좁아지기 때문에, 상부 레일(4)은 하부 레일(2) 상에 단단하게 로크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부 레일(4) 상에 장착된 좌석은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자동차가 주행되지 않고, 좌석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좌석 전방 단부 아래에 위치한 조작 부재(34)를 올렸을 때, 조작 로드(48)는 화살표 G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후방 단부는 아래로 이동한다. 그 결과, 로크 부재(42)의 결합부(42b)는, 판 스프링(44)의 편향력(偏向力)에 대항하여, 조작 로드(48)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압력 피스(48b)에 의해 아래로 눌려짐으로써, 화살표 F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 지지 축(40)에 대하여 로크 부재(42)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로크 부재(42)의 로크 피스(42a)가, 하부 레일(2)의 로크 구멍(2e) 및 상부 레일(4)의 로크 구멍(4g, 4h)으로부터 해제됨으로써, 하부 레일(2)에 대한 상부 레일(4)의 로크를 해제하게 된다.
이어서 하중(荷重)이 좌석의 길이 방향으로 가해질 때, 상부 레일(4)은 리테이너(14)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구형 요소(12)를 통해서 하부 레일(2) 위를 미끄러지게 된다. 원하는 위치에서 조작 부재(34)가 해제될 때, 조작 로드(48)는 조작 부재(34)의 무게에 의해 화살표 G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따라서 조작 로드(48)의 후방 단부는 위로 올라간다. 그 결과, 로크 부재(42)는 판 스프링(44)의 편향력에 의해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로크 피스(42a)가 다시 하부 레일(2)의 로크 구멍(2e)의 일부 및 상부 레일(4)의 로크 구멍(4g, 4h)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부 레일(4)은 하부 레일(2)에 대해 로크되어, 좌석은 이렇게 원하는 위치에 유지된다.
삭제
다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측면에 2개)의 상향 융기부(4m)가 상부 레일(4)의 외향 연장 벽(4e) 또는 외측 벽(4d) 상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또한 상향 융기부(4m)가 단지 하부 레일(2)의 상부 벽(2c)의 내측면과 미끄럼 접촉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미끄럼 저항은 비교적 적으며, 상부 레일(4)은 하부 레일(2)을 따라 원활하게 미끄러진다. 또한, 상향 융기부(4m) 아래에 형성된 긴 개구(4n)가 상향 융기부(4m)에 수직 탄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부 레일(4) 또는 하부 레일(2)의 치수 편차로 인해 하부 레일(2)에 대한 상부 레일(4)의 미끄럼 저항에 영향을 주게 되는 제조 정밀도가 어느 정도 낮아질지라도, 상향 융기부(4m)의 탄성(유연성)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상향 융기부(4m)가, 중앙 로크부에 인접한 상부 레일(4)의 각각의 측면 위에 구비되어 있지만, 그것들이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부재 장착부(4k)가 로크 부재 삽입 구멍(4f)의 각각의 측면 위에 형성되어 있지만, 좌석의 중앙에 인접해서 로크 부재 삽입 구멍(4f)의 단지 하나의 측면 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구형 요소(12)는, 하부 레일(2)을 따라 상부 레일(4)을 원활하게 미끄러지도록 하기 위해 전동 요소로서 채용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수지(resin)로 만든 슬라이딩 요소를 전동 요소 대신에 채용할 수도 있다는 점에 또한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 충분히 설명하였지만, 여기서 당업자에게는 각종 변경 및 변형이 명백하게 될 것임에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그러한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로부터 일탈(逸脫)하지 않는 한, 그것들은 여기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차량의 좌석을 조정하는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에 있어서, 구성 부품의 수 또는 조립 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미끄럼 저항이 안정적으로 되는, 간단한 구조의 신뢰성이 높은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를 제공한다.

Claims (4)

  1. 바닥 벽, 상기 바닥 벽의 각각의 측면 모서리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외측 벽, 상기 2개의 외측 벽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상부 벽, 상기 2개의 상부 벽의 안쪽 모서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내측 벽을 갖고, 차량 본체에 고정되는 하부 레일(lower rail)과,
    상부 벽, 상기 상부 벽 각각의 측면 모서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내측 벽, 상기 2개의 내측 벽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경사진 하부 벽, 상기 2개의 경사진 하부 벽의 바깥쪽 모서리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외측 벽, 상기 2개의 외측 벽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외향 연장 벽을 갖고, 상기 하부 레일 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레일(upper rail)과,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사이에서 하부에 배치된 다수의 전동 요소(rolling element)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레일은, 상기 외향 연장 벽에 형성된 다수의 상향 융기부(upward protrusion)를 갖고, 또한 상기 다수의 상향 융기부의 각각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긴 개구(opening)를 갖고 있으며,
    또한, 상기 상향 융기부는 상기 하부 레일의 상부 벽과 미끄럼 접촉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slide adjuste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요소의 중심과 상기 상향 융기부의 상부(top) 사이의 수직 거리는, 상기 전동 요소의 중심과 상기 하부 레일의 상부 벽의 하부 면 사이의 수직 거리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요소는 상기 경사진 하부 벽과 접촉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
KR1020040071543A 2003-09-17 2004-09-08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 KR100603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24957A JP2005088751A (ja) 2003-09-17 2003-09-17 車両用スライドアジャスタ
JPJP-P-2003-00324957 2003-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206A KR20050028206A (ko) 2005-03-22
KR100603092B1 true KR100603092B1 (ko) 2006-07-20

Family

ID=34191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543A KR100603092B1 (ko) 2003-09-17 2004-09-08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47195B2 (ko)
EP (1) EP1516772A3 (ko)
JP (1) JP2005088751A (ko)
KR (1) KR100603092B1 (ko)
CN (1) CN100379604C (ko)
TW (1) TWI23991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819Y1 (ko) * 2009-06-08 2013-11-11 주식회사다스 차량의 시트레일용 이동레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2897B2 (en) * 2002-04-22 2006-12-2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rticle attachment system
DE602005002720T2 (de) * 2004-12-20 2008-07-17 Aisin Seiki K.K., Kariya Sitzgleitschienen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
WO2006121216A1 (ja) * 2005-05-12 2006-11-16 Ts Tech Co., Ltd. スライド式自動車用シート
US7314204B2 (en) * 2005-09-27 2008-01-01 Kabushikigaisha Imasen Denki Seisakusho Sliding rail system
JP4984471B2 (ja) * 2005-09-29 2012-07-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923513B2 (ja) 2005-10-24 2012-04-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774913B2 (ja) * 2005-10-25 2011-09-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EP2008863A4 (en) * 2006-04-14 2017-11-22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Seat slide device for vehicle
JP2008049891A (ja) * 2006-08-25 2008-03-06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CN101795599A (zh) * 2007-06-11 2010-08-04 江森自控科技公司 闩锁机构
US8052111B2 (en) * 2007-10-22 2011-11-08 Lear Corporation Seat track assembly
US8215602B2 (en) * 2008-05-23 2012-07-10 Lear Corporation Longitudinal adjustment apparatus for a vehicle seat
US8899542B2 (en) * 2009-12-18 2014-12-0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eat track system
JP5467602B2 (ja) * 2010-09-15 2014-04-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9393883B2 (en) 2010-09-29 2016-07-19 Lear Corporation Adjustable seat track having track engagement structure
DE102010047043B4 (de) * 2010-09-30 2021-05-06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Längsversteller und Fahrzeugsitz
DE102010042285B4 (de) 2010-10-11 2021-09-09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Baugruppe für einen Fahrzeugsitz mit einem an einer Führungsschiene angeordneten Lagerbolzen
JP5691542B2 (ja) * 2011-01-18 2015-04-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シート用スライド装置
CN102152748A (zh) * 2011-03-23 2011-08-17 上海沿浦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的纵向导轨装置
US8807508B2 (en) * 2011-07-25 2014-08-1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Seat raiser for spacing a seat rail from the vehicle floor
JP5927970B2 (ja) * 2012-02-15 2016-06-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764161B2 (ja) * 2013-05-10 2015-08-1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座席シートの支持装置
CN103253167A (zh) * 2013-05-24 2013-08-21 开平市中铝实业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
JP6217501B2 (ja) * 2014-02-05 2017-10-2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スライドレール
DE102016113409B4 (de) * 2015-10-02 2022-06-30 Tillmann Profil Gmbh Schiene für einen Sitz eines Kraftfahrzeuges sowie Sitzschienen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6589574B2 (ja) * 2015-11-06 2019-10-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102015226266B4 (de) 2015-12-21 2019-07-11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Lagerkäfig und Sitzschienenpaar für einen Fahrzeugsitz
KR102496370B1 (ko) 2016-03-07 202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일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DE102016215958A1 (de) * 2016-04-28 2017-11-02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Längseinsteller
DE102016225818B4 (de) * 2016-09-21 2021-05-12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Längseinsteller sowie Fahrzeugsitz
DE102019206304B4 (de) * 2018-05-04 2022-01-27 Lear Corporation Schienenanordnung
US11718204B2 (en) 2021-03-05 2023-08-08 Camaco, Llc. Anti-chuck mechanism for seat track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9587A (en) * 1971-12-13 1973-09-18 Faure Bertrand Ets Slides especially for vehicle seats
JPS5848536A (ja) 1981-09-17 1983-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イナリ−カウンタ
JPS5860533A (ja) 1981-10-06 1983-04-11 Fujitsu Ltd 液相エピタキシヤル成長方法
JPS6279628A (ja) 1985-10-02 1987-04-13 Seiko Epson Corp 界面準位密度の減少法
AU592381B2 (en) * 1986-11-07 1990-01-11 Tachi-S Co., Ltd. Slide device for an automotive seat
JP2832653B2 (ja) 1991-07-04 1998-12-09 高木産業株式会社 洗濯注水機構を備えた風呂装置の洗濯注水方法
JP2550847Y2 (ja) * 1991-07-15 1997-10-15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シートトラック
JPH0537554A (ja) 1991-07-30 1993-02-12 Oki Electric Ind Co Ltd 電子メールシステム
US5222814A (en) * 1992-09-30 1993-06-29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Vehicle seat track assembly
JP3119779B2 (ja) 1994-03-31 2000-12-25 池田物産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3417059B2 (ja) * 1994-06-15 2003-06-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19530266C2 (de) * 1995-08-17 1998-08-13 Grammer Ag Führungsschienenein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JPH09183323A (ja) * 1995-12-29 1997-07-15 Fuji Kiko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3373348B2 (ja) * 1995-12-29 2003-02-04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0289093B1 (ko) * 1996-09-26 2001-05-02 가또 게이 차량 좌석 슬라이드 장치
FR2759330B1 (fr) * 1997-02-13 1999-04-30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Glissier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JP2001171398A (ja) * 1999-12-17 2001-06-26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レール装置
FR2811946B1 (fr) * 2000-07-19 2002-11-15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JP3614098B2 (ja) * 2000-09-25 2005-01-26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10050957B9 (de) * 2000-10-13 2004-09-30 Keiper Gmbh & Co. Kg Sitzlängsverstellung
US6497397B2 (en) * 2000-11-16 2002-12-24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oration Seat slide apparatus
DE10139630A1 (de) * 2001-08-11 2003-03-06 Keiper Gmbh & Co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49698A1 (de) * 2002-10-25 2004-05-13 Westfalia Profiltechnik Gmbh & Co. Kg Gleitschienensystem,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sitz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819Y1 (ko) * 2009-06-08 2013-11-11 주식회사다스 차량의 시트레일용 이동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17280A (en) 2005-06-01
KR20050028206A (ko) 2005-03-22
EP1516772A3 (en) 2009-08-12
US20050056761A1 (en) 2005-03-17
JP2005088751A (ja) 2005-04-07
EP1516772A2 (en) 2005-03-23
CN1605496A (zh) 2005-04-13
US7147195B2 (en) 2006-12-12
TWI239911B (en) 2005-09-21
CN100379604C (zh) 200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3092B1 (ko) 차량용 슬라이드 어저스터
KR200357471Y1 (ko) 자동차용 시트로킹장치의 로크가이드
JP4797625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8251336B2 (en) Seat track mechanism for vehicle
EP1892145B1 (en) Seat sliding apparatus for vehicle
US6874747B2 (en) Seat track for vehicles
US7993060B2 (en) Seat slide apparatus for vehicle
JP3417059B2 (ja)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20140231610A1 (en) Vehicle seat sliding apparatus
KR100559459B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로킹장치
KR100446231B1 (ko) 시트 슬라이드 장치
US20030094558A1 (en) Seat slide device
US20060108492A1 (en) Vehicle seat device
WO2006075815A1 (en) Fixing apparatus for seattrack
JP2001171398A (ja) シートレール装置
US6557809B2 (en) Universal seat track assembly
KR20180070155A (ko) 헤드레스트의 폴가이드
JP2005082130A (ja) 車両用スライドアジャスタのロック機構
JP2004148854A (ja) 車両用スライドアジャスタ
KR19980070466A (ko) 차량 안전 벨트 시스템의 편향을 맞추기 위한 조절 장치
KR200227061Y1 (ko) 자동차 시트로킹시스템의 로크스프링
US11807145B2 (en) Headrest level adjustment mechanism
KR100502232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트랙
CN220865270U (zh) 一种安全座椅
JPH0717634U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