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539B1 - 다층 압축 적층판용 격리판과 다층 압축 적층판용 격리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압축 적층판용 격리판과 다층 압축 적층판용 격리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539B1
KR100601539B1 KR1020037016590A KR20037016590A KR100601539B1 KR 100601539 B1 KR100601539 B1 KR 100601539B1 KR 1020037016590 A KR1020037016590 A KR 1020037016590A KR 20037016590 A KR20037016590 A KR 20037016590A KR 100601539 B1 KR100601539 B1 KR 100601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steel sheet
delete delete
mpa
multi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9311A (ko
Inventor
디에터 백하우스
Original Assignee
백하우스 모니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하우스 모니카 filed Critical 백하우스 모니카
Publication of KR20040019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6Platens or press rams
    • B30B15/062Press 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32B2037/262Partition plates or sheets for separating several laminates pressed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08PCBs, i.e. printed circuit bo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22Static electricity metal bleed-off metallic stock
    • Y10S428/923Physical dimension
    • Y10S428/924Composite
    • Y10S428/926Thickness of individual layer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30Foil or other thin sheet-metal making or tr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30Foil or other thin sheet-metal making or treating
    • Y10T29/301Method
    • Y10T29/302Clad or other composite foil or thin metal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26Assembling b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535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with additional, spatially distinct nonmetal component
    • Y10T428/12556Organic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632Four or more distinct components with alternate recurrence of each typ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03Cu-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03Cu-base component
    • Y10T428/12917Next to Fe-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03Cu-base component
    • Y10T428/12917Next to Fe-base component
    • Y10T428/12924Fe-base has 0.01-1.7% carbon [i.e., st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10T428/12972Containing 0.01-1.7% carbon [i.e., st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993Surface feature [e.g., rough, mirr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uel Cell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압축 적층판(3)용 격리판(1) 및 다층 압축 적층판(3)용 격리판(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격리판(1)은 압축박판으로서 제조될 다층 압축 적층판(3)의 컴파운드 내에, 특히 2개의 다층들(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선행기술에서 발생하던 바람직하지 못한, 다층들(2)간 이미지 전달은, 상기 격리판(1)이 특수강 박판이 아닌, 강박판으로 설계되고, 상기 강박판은 180 ℃의 온도에서 적어도 Rm ≥ 500 MPa의 인장강도 및/또는, 180 ℃의 온도에서 적어도 Rp0.2 ≥ 470 MPa의 항복강도를 가짐으로써, 억제된다.

Description

다층 압축 적층판용 격리판과 다층 압축 적층판용 격리판의 제조방법{PARTITION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A PARTITION PLATE FOR A MULTI-LAYER PRESSED STACK}
본 발명은 특허청구항 제1항에 따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층 내지 다층 압축 적층판을 제조하기 위한 격리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허청구항 제28항 내지 제29항에 따르는 다층 압축 적층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다층 압축 적층판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에 있어서, 다층 압축 적층판을 제조하기 위해 상이하게 설계된 격리판과; 다층 압축 적층판을 제조하기 위한 상이한 방법들;, 다시 말해 다층 인쇄회로기판을 압축하기 위한 상이한 방법들은 공지되어 있다. 다층(인쇄회로기판)의 압축은 일반적으로 다층평압식 프레스(multiplaten press)나 진공 프레스에서 이루어지며, 이러한 경우 약 180 ℃의 온도에서 다층의 몇몇 레이어들은 상호간에 그에 상응하게 압축된다.
이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무엇보다 압축 적층판 구조가 대응하는 프레스 내에서 실현된다. 이러한 경우, 2개의 압력판들(pressing plates), 즉 대응하는 프레스 툴(pressing tool) 및 프레스 패드(press pad) 사이에, 대응하는 격리판 또는 압축박판(pressed sheet)에 의해 상호간에 분리되어 있는 다수 개의 다층이 적층되어 놓여진다. 즉, 대개 다겹(multi-ply)으로 구성되어 있는 각각의 다층은 각각의 적층 레이어(laminate layer)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프리프레그 레이어(Prepreg layer)를 포함한다. 몇몇 적층 레이어들 또는 프리프레그 레이어들 사이에는 대응하는 스트립 도체를 실현하기 위한 대응하는 동박들(copper foils)이 제공되어 있다. (몇몇 레이어들은 또한 "플라이(ply)"로서 명명될 수 있다)
다층 자체를 제조할 시에 상이한 문제를 야기하는 영역이 존재한다. 한편에서는 격리판의 열적 팽창에 의하여 다층의 몇몇 층들, 다시 말해 프리프레그 레이어 또는 적층 레이어 및/또는 그 사이에 배치된 동박의 바람직하지 못한 변위/이동이 야기될 수 있다. 다른 한편에서는 중요 요소로서, 다층의 최적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몇몇 레이어들의 미끄럼이 가능한 한 억제될 수 있도록, 격리판을 이용하여, 다층 압축 적층판 내부의 압력이 균일하게 다층 압축 적층판의 몇몇 프리프레그 또는 적층 레이어 상에 전달되어야 한다.
DE 38 44 498에 따르면, 상호간에 압축된 다층의 왜곡과 동 표면의 비균일성은 진공적용 및 등압압축성형 기술에 의해 압축이 이루어짐으로써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추가의 판들은 부동(floating)하는 방식으로 지지되고 열적으로 절연되어, 다층 압축 적층판을 가열할 시에 압력판들을 냉각상태로 유지한다. 단점으로서는 노출되는 에폭시수지의 가열 시에 다층의 가장자리가 접착될 수 있다.
DE 35 07 568 C2에 따르면, 프리프레그 레이어의 미끄러짐은 미끄럼방지 장치(antislipping device)에 의해 방지된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오직 동박이 그 외 플라이보다 약간 크게 선택되어 프리프레그가 상기 동박에 안착될 때에만, 적층판 측면에 프리프레그가 노출되는 가능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 그럼에도 상기 방법은 보다 긴 가열시간을 필요로 하고, 열침투는 예컨대 알루미늄 박판이 격리판으로서 이용될 때보다 실제로 그 균일성이 떨어진다.
DE 41 16 543 A1에 따르면, 특수강 재질의 격리판이 사용된다. 상기 격리판은 동의 팽창계수에 근접한 일정한 열팽창계수를 갖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표면응력은 계속해서 회피되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상기 특수강 박판에 대한 가열시간은 그에 상응하게 길어진다.
그러므로 과거에 격리판으로서 열을 보다 개선되게 그리고 보다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는 일정한 합금의 알루미늄 박판을 현저하게 사용하게 되었다. 전술한 모든 방법에 있어서, 동박 및 대응하는 격리판은 기타 레이어와 함께 다층 압축 적층판에 있어 상기 동박 및 격리판을 위해 제공된 층간 공간 내에 특수 숙련공이 손으로(수동으로) 끼워 맞춰 넣어야만 한다. 이 경우 문제점은 끼워 맞춰 넣을 시에 종종 매우 얇고, 그로 인해 민감한 동박이 빠르게 파손된다는 것이다.
다층 압축 적층판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술한 격리판 또는 방법은 인쇄회로기판(다층)의 차세대용, 특히 UMTS 테크놀러지용으로 아직 최적의 조건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스트립 도체는, 특히 HDI(High Density Interconnect) 테크놀러지를 이용하여, 보다 더 가늘어져야하고, 보다 작아지는 표면에 보다 많이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 한편으로 사용할 동박이 보다 얇아져야 하기 때문에(이 경우 이미 두께는 < 12㎛ 혹은 5㎛이다), 추가적으로 다층을 압축할 시에 내층의 스트립 도체는 외부 동박을 통과하여 힘이 가해질 수 있는 위험 또한 높아진다. 이렇게 설정되는 효과를 이른바 "이미지 전달(image transfer)"이라고 한다. 이러한 경우 문제가 되는 것은 에칭 시 두께의 불균일한 제거와, 보링 시 그에 대응하는 부정확성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극히 얇은 외부 동박은 더 이상 수동으로 실장할 수 없다. 다시 말해 상기 외부 동박은 바람직하게는, DE 198 31 461 C1에 기술된 바와 같이, 격리판 또는 압축박판과의 컴파운드(compound)로서 제조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DE 198 31 461 C1에는 임의의 유형 및 두께를 갖는 동박을 임의로 합금되고 임의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압축박판(격리판)과 부분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상기 방법의 경우 알루미늄 압축박판과 동박으로 이루어진 컴파운드가 제조되며, 상기 컴파운드는 대응하는 다층 압축 적층판을 제조하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문제로서는 알루미늄 또는 대응하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격리판 또는 압축박판이 전술한 "이미지 전달"을 회피하는데 요구되는 것과 같은 경도로 반드시 제조될 수 없다는 것이다. 전술한 알루미늄 압축박판용으로 지금까지 사용된 알루미늄 합금은 현재 Rm 400 MPa의 강도를 갖는다. 다층의 압축은 약 180 ℃의 온도에서 약 90분의 기간에 걸쳐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에서 알루미늄 압축박판의 강도는 약 Rm 360 MPa로 강하된다. 결과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의 차세대용으로 지금까지 공지된 격리판을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된다.
또한 선행기술에 있어서 다층 압축 적층판의 제조가 공지되어 있는데(US-PS 6.130.000), 상기의 경우 격리판으로서 "탄소강(carbon steel)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다층 압축 적층판의 제조는 최적화 되지 않으면서 그에 상응하게 높은 비용과 결부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러므로 본 발명은, 최초 언급한 격리판 내지 최초 언급한 방법으로부터 출발하여, 소위 "이미지 전달"을 경제적으로 회피하는 방식으로, 다층 또는 다층 압축 적층판을 제조하기 위한 격리판을 제공 및 개선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에 따라 해결된다. 상기 격리판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다층 압축 적층판을 청구항 제28항 내지 제29항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층 또는 다층 압축 적층판이 지정된 기계적 특성을 갖는 격리판을 이용하여 제조 내지 실현된다는 기본적 사고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격리판은 특수강 박판이 아닌 강박판으로 설계되어 있고, 적어도 Rm ≥ 500 MPa의 인장강도 및/또는 적어도 Rp0.2 ≥ 470 MPa의 항복강도를 가지며, 보다 정확하게는 대체로 180 ℃의 온도에서 상기의 인장강도 및/또는 항복강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강박판은 추가적으로 유기질 코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질 코팅부는 미끄럼 장치(sliding means)로서 도포되고 올레핀에 기초하여 제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원리는, 다층 또는 다층 압축 적층판 제조 시에 반드시 알루미늄 압축박판 또는 특수강 박판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0.3m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4mm의 두께를 포함하며, 다시 말해 추가적으로 제시된 기계적 강도 값에 기초하여 지금까지 선행기술에서 사용되던 약 0.5mm의 두께를 갖는 격리판보다 "보다 얇게" 설계될 수 있는 강박판을 사용한다는 점에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상기와 같이 강박판으로서 설계된 격리판을 제조할 시에, 특히 냉간압연 시에, 본원에서는 거의 최대 표면 특성을 고려해야 하고, 특히 대응하는 강박판을 균열 및 기공없이 제조해야만 한다. 추가적으로 "오직 0.4mm"(혹은 그 이하)로 강박판의 두께를 감소시킨다는 점에 근거하여 프레스의 구성부품(component parts)도, 결국 적층판 당 다층의 대응하는 수량에 따라, 그에 상응하게 증가한다. 즉, 그로 인해, 코팅부(coating)는 지금까지 기본적으로 14개의 다층으로 구성되고 그에 따라 16개의 격리판을 필요로 했던 구성부품/압축개구부(pressing opening) 당, 본 발명에 따른 격리판의 두께를 그에 상응하게 0.5mm에서 0.4mm로 감소시킬 시에, 1.6mm의 공간 절감이 실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추가적으로 다층 압축 적층판 내에 추가의 또 다른 다층을 위한 공간이 제공되며, 그럼으로써 압축 적층판 내에 다층의 수는 15개로 증가하게 된다. 강박판 두께를 예컨대 0.3mm로 추가 감소 시킬 시에, 그에 상응하게 보다 높은 공간 절감이 달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다층을 제조할 시에 그에 상응하는 비용이 절감되는데, 왜냐하면 작업과정에서 보다 많은 수량의 다층을 제조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작업 및 에너지 비용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격리판과; 격리판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상기 격리판을 이용하여 다층 압축 적층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바람직한 유형 및 방식으로 설계하고 개선하는 다수의 가능성에 대해 기술된다. 이와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특허청구항 제1항과 특허청구항 제17항의 종속항들을 참조하여야 한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격리판,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한 다수의 실시예들이 다음의 명세 및 그에 따른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대응하는 다층(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다층 압축 적층판의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간단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격리판에 대한 제 1 실시예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간단한 개략도로, 바람직한 기계적 강도값과 바람직한 영역에 대해 선호되는 값의 도표도 함께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제 2 실시예, 즉 표면 처리된 격리판을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간단한 개략도이다.
1. 강박판(steel sheet)
1a. 상부 강박판
1b. 하부 강박판
1c. 중간 강박판
2. 다층(multilayer)
3. 다층 압축 적층판(multilayer pressed stack)
4. 압력판(pressing plate)
5. 프레스 툴(pressing tool)
6. 프레스 패드(press pad)
7. 동박(copper foil)
8. 코팅부(coating)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다수의 격리판들(1)과 다층들(2)을 포함하는 다층 압축 적층판의 구조를 개략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바람직하면서 선호되는 기계적 강도값을 포함하는 대응하는 도표와 함께 격리판(1)을 도시하고 있다. 도3은 표면 처리된 격리판(1)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다층 인쇄회로기판 압축 적층판을 적층할 시에 제공되는 격리판(1)을 기술한다.
도 1에는 개략도로 다층 압축 적층판(3)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다층 압축 적층판(3)은 대응하는 프레스(본원에서는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음) 내에서, 다시 말해 프레스의 압력판들(4)과 프레스 툴들(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층 압축 적층판(3)을 최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다층 압축 적층판(3)의 외부 격리판들(1a, 1b) 사이에 추가의 프레스 패드(6)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다층 압축 적층판(3)은 다수의 다층들(2)과 다수의 격리판들(1)로 이루어져 있는데, 즉 외부의 상부 격리판(1a), 외부의 하부 격리판(1b) 그리고 다수의 중간 격리판들(1c)로 이루어져 있다. 몇몇 격리판들(1) 사이에는 그에 상응하게 통상의 구조를 갖는(본원에서는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음) 다층들(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다층들(2)은, 대응하는 다겹의 레이어, 즉 대응하는 프리프레그 레이어 또는 적층 레이어 뿐 아니라 대응하는 스트립 도체를 구현하기 위한 대응하는 수의 동박(본원에서는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것들은 상세히 공지되어 있으며, 본원에서는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그러나 추가로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다층들(2)과 격리판들(1) 사이에는 대응하는 격리막(separating foil), 즉 동박들(7)이 제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리판들(1)과 동박들(7)은 컴파운드로서 제조되며, 이러한 점은 다음에서 더 설명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동박들(7)을 대체하고, 격리판(1)에 반결합성 코팅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층들(2), 즉 도1에 도시한 각각의 다층의 몇몇 레이어/플라이를 대응하는 컴파운드로 압축할 시에 프레스 내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약 180 ℃의 온도가 지배한다. 격리판(1)은 압축과정동안 한편으로는 다층 압축 적층판(3) 내의 균일한 열분배를 보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균일한 압력분배를 보장한다. 이러한 점이 보장되지 못할 시에는 상기 다층 압축 적층판(3) 내부에 불균일한 열분배 및 압력분배가 야기될 수도 있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다층들(2)의 몇몇 영역은 다른 영역보다 빠르게 항복특성을 보이기 시작할 수도 있으며, 결국 공기축적(air trapping), 즉 요구되는 허용오차를 벗어난 압력분배로 이어질 수도 있고, -결국에는- 몇몇 다층들(2)의 횡단면에 있어서 각각의 다층(2)의 적층된 플라이 내에 동이 상이한 분포를 나타내고 동이 부족한 위치의 영역에서는 적층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게 된다. 그러므로 결국에는 상기 격리판(1)의 설계/구성은, 최적의 다층(2)을 제조하는데, 특히 한편에서는 다층(2)의 가능한 표면 결함을 회피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상기와 같은 표면결함이 다층 압축 적층판(3) 내부에서 인접한 다층(2) 상에 영향을 주는 것을 억제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지금까지 선행기술에서 사용되는 격리판은 최적으로 설계되어 있지 않다.
최초에 기술한 단점들은, 상기 격리판(1)이 특수강 박판으로서가 아니라 강박판으로서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강박판은 대체로 180 ℃의 온도에서 적어도 Rm ≥ 500MPa의 인장강도 및/또는 대체로 180 ℃의 온도에서 적어도 Rp0.2 ≥ 470 MPa의 항복강도를 포함함으로써, 회피된다. 달리 말하자면 다층 압축 적층판(3)용 격리판(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격리판(1)은 강박판 재질로 제조되고, 상기 강박판 및 그 합금은, 상기 강박판이 대체로 180 ℃의 온도에서 적어도 Rm ≥ 500MPa의 인장강도 및/또는 대체로 180 ℃의 온도에서 적어도 Rp0.2 ≥ 470 MPa의 항복강도를 갖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본원에서 두 가지 대체안을 언급했다고 하더라도, 다시 말해 격리판(1) 또는 도1 ~도3에서 도시한 격리판들(1)이 한편으로는 적어도 Rm ≥ 500MPa의 인장강도 또는 적어도 Rp0.2 ≥ 470 MPa의 항복강도를 가질 수 있다고 하더라도, 두 강도값을 조합하는 것, 다시 말해 적어도 Rm ≥ 500MPa의 인장강도를 실현하면서 그리고 적어도 Rp0.2 ≥ 470 MPa의 항복강도를 실현하는 것이 최적의 조건이다(각각 약 180 ℃의 온도에서). 강박판으로서 설계되어 있으면서 정확하게 상기의 최소 강도값을 갖는 격리판(1)은 다층(2) 또는 다층 압축 적층판(3)을 제조하는데 최적으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미지 전달"은 상기 격리판들(1)을 이용하여 그에 상응하게 회피되고, 제조된 다층(2)은 최적의 표면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격리판(1)은 또한 다수의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다시금 대응하는 비용 절감으로 이어진다.
해당 도표를 함께 도시한 도 2에는 강박판으로서 설계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격리판(1)이 도시되어 있다. 도표에는 항복강도(Rp0.2) 및 인장강도(Rm)에 대해 대응하는 강도값이 제시되어 있다. 물론 각각은 온도가 180 ℃일 때이다. 다시 말해 실제로 온도는 다층(2)의 대응하는 압축 시에 다층 압축 적층판(3) 내부의 지배적인 온도이다. 도 2의 도표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인장강도에 대한 최소값은 Rm ≥ 500MPa이고, 항복강도에 대한 최소값은 Rp0.2 ≥ 470 MPa이다. 그러나 인장강도가 Rm ≥ 690MPa이고, 항복강도가 Rp0.2 ≥ 630 MPa이라면, 특히 양호한 특성을 갖는 다층(2)이 제조되고, 이미지 전달 또한 특히 양호하게 억제되는 점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격리판(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강도값은 Rm = 789MPa이고, Rp0.2 = 732 MPa이다.
도 2는 본원에서 비처리된, 특히 표면 비처리된 강재질의 격리판(1)을 도시하고 있는 반면, 도 3은 표면 처리되거나 표면 가공된, 특히 코팅된 격리판(1)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되고 강박판으로서 설계된 격리판(1)은 본원에서 실제로 표면 처리되고, 즉 양측면에 코팅되어 설계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격리판(1)은 실제로 도 2 도표 내에 기입된 기계적 강도값 또는 강도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격리판(1)의 두께는 0.3 ~ 1mm의 영역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리판(1)은 0.3 ~ 0.5mm의 두께, 보다 바람직하게는 0.4mm의 두께를 갖는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상기 격리판(1)의 추가적 코팅부(8)는 상이한 유형 및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상기 격리판은 유기질 코팅부(8), 무기질 코팅부(8) 혹은 금속 코팅부(8)이다. 그러므로 금속 코팅부(8)로서 알루미늄이나 동으로 이루어진 도금부(plating)가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전기도금식으로 도포된 크롬 재질의 코팅부(8)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상기 격리판(1) 또는 상기 코팅부(8)의 두께는 도 3에 오직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코팅부(8)의 두께 치수에 대해서는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므로 코팅부(8)로서 상기 격리판(1)의 도금부, 예컨대 알루미늄이나 동을 이용한 도금부가 사용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언급한 상기의 피복재료(cladding material)는 개선된 열전도성을 포함하며, 그로 인해 다층 압축 적층판(3) 내부의 열전도성은 그에 상응하게 재차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부(8)가 유기질 또는 무기질 코팅부로서 설계되어 있으며, 예컨대 상기 격리판(1) 상에 미끄럼 장치(sliding means)가 도포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미끄럼 장치는 올레핀(olefin)에 기초하여 제조될 수 있거나, 혹은 유사한 특성을 갖는 또 다른 유기질 성분이 코팅부(8)로서 도포된다. 무기질 코팅부(8)는 예컨대 플라스틱에 기초하여서도 실현될 수도 있다.
강박판으로서 설계된 격리판(1)은 바람직하게는 0.4mm의 두께를 갖는 반면, 상기 코팅부(8)의 두께는 적어도 2㎛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특히 금속 코팅부(8)일 때, 5 ~ 25㎛의 영역이다. 코팅부(8)를 이용하여, 다층들(2)의 보다 최적의 표면을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대응하는 동박들(7)의 손상 또한 계속해서 회피된다.
재차 중요한 사항으로 언급되어야 할 점은, 강박판으로서 본원에서는 특수강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비록 비처리된 강박판, 다시 말해 표면 처리되거나 코팅된 강박판이 아닌 강박판이 대응하는 다층(2)을 제조하거나 대응하는 다층 압축 적층판(3)을 제조하기 위한 격리판(1)으로서 사용될 수는 있지만, 그럼에도 사용되는 격리판(1)의 표면에 특수 코팅부가 제공되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특히 완벽한 표면은 또한 동박(7) 또는 다층(2)의 손상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특히 매끄러운 표면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코팅부(8)에 추가적으로 상기 강박판에도 미끄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 외 추가적 주안점으로서 냉간압연 시에 강박판의 표면이 최상으로 마무리되고, 상기 표면은 또한 균열 및 기공 없이 제조된다.
전술한, 강박판으로서 설계된 상기 격리판(1)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된 경우는, 강박판으로서 설계된 상기 격리판(1)이 대응하는 전술한 강도값을 포함할 때이다. 또한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강박판으로서 설계된 상기 격리판(1)의 열적팽창이 상대적으로 극미하게 이루어지고, 그럼으로써 압축이 이루어지거나 대체로 180 ℃의 온도가 그에 상응하게 지배하는 동안, 다층(2)의 몇몇 레이어/플라이 내부에서의 변위/편심 또는 이동은 회피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본원에 도시한 격리판(1)은, 예컨대 DE 198 31 461 C1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의 도2와 도3에는 도시하지 않은 동박과 결합되어 제조된다. 이러한 경우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부분적으로도 수동으로 더 이상 끼워 넣을 수 없는 매우 얇은 동박은, 대응하는 다층(2)을 제조하는데, 상기 격리판(1)과 함께 신속하면서도 특별한 작업소요 없이도 그에 상응하게 다층 압축 적층판(3) 내에 실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하기 사항이 주지된다: 선행기술에서 바람직하게는 0.5mm의 두께를 갖는 격리판들이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격리판(1)에 대해 앞서 제시한 강도값들에 근거하여, 상기 격리판(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4mm로, 심지어는 0.3mm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선행기술에서 다층 압축 적층판(3)은, 총(압축개구부 당) 14개의 다층(2)을 포함할 수 있으며(도1에서는 "오직" 3개의 다층(2)만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음), 이와 관련하여 16개의 격리판이 이용되기 때문에, 만약 본 발명에 따른 격리판(1)을 사용한다면, 바람직하게는 0.4mm까지 두께를 감소시키는 경우 총 1.6mm(16x(0.5 - 0.4mm))의 공간 절감을 가져오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다층 압축 적층판(3) 내에는 또 다른 추가 다층(2)을 위한 추가적 공간이 제공되고, 그럼으로써 다층 압축 적층판(3) 내부에 배치되는 다층(2)의 총 수는 14개의 다층(2)에서 15개의 다층(2)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추가로 상기 두께를 0.3mm로 감소시키면, 또 다른 추가의 공간이 제공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생산 시에 보다 높은 비용, 특히 작업 및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바람직한, 본 발명에 따른 격리판들(1)이라면, 특히 하기의 조성을 갖는다: 0.04 중량퍼센트의 C, 0.01 중량퍼센트의 Si, 0.22 중량퍼센트의 Mn, 0.012 중량퍼센트의 P, 0.005 중량퍼센트의 S 및 0.037 중량퍼센트의 Al; 남는 잔여 중량퍼센트는 그에 상응하게 Fe의 비율이다. 본원에서 기술한 강합금은 또한 "ST2 K70 RP"로서 명명된다. 또한 또 다른 강합금, 예컨대 대응하는 기계적 강도값을 갖는 "C75"와 유사한 강합금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 따른 격리판은 660mm의 길이와 580mm의 폭을 갖는다.
강박판으로서 제조할 다층 압축 적층판(3)의 컴파운드 내에 삽입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격리판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강박판은 바람직하기로는 비합금 탄소강 재질로, 다시 말해 합금강이 아닌 재질로 제조된다. 비합금 강박판으로서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격리판(1)은 실제로 하기의 조성을 갖는다: 0.03 ~ 1.2 중량퍼센트의 C-(탄소) 및 0.2 ~ 1.5 중량퍼센트의 Mn-(망간). 특히 바람직한 영역은 대응하는 비합금 탄소강 또는 비합금 강박판의 경우 0.03 ~ 0.1 중량퍼센트의 C와 0.2 ~ 0.5 중량퍼센트의 Mn이다. 나머지 중량퍼센트은 실제로 대응하는 Fe의 비율이다. 이러한 점에서 비합금 탄소강,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강박판은, 예컨대 인, 황, 알루미늄 및/또는 규소와 같이 강품질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기타 원소를 극미한 흔적량(trace)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최초에 기술한 이미지 전달을 회피하기 위해 언급한 항복강도(Rp0.2)가 매우 중요하다. 즉, 만약 상기 항복강도(Rp0.2)가 매우 낮다면, 특히 선행기술에서 사용되는 격리판은 잔류변형의 지배를 받게 되는데, 왜냐하면 그 결과 전술한 이미지 전달이 상기 격리판을 재사용할 시에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 기술한 Rp0.2 ≥ 470MPa의 항복강도가 적용되면, 상기 이미지 전달은 그로 인해 반드시 회피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격리판(1)의 재사용 시에, 상기 격리판은 그에 상응하게 설계된 항복강도에 근거하여 어떠한 잔류변형에도 지배를 받지 않는 점이 보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으로써 이미지 전달이 발생하지 않고도 상기 격리판을 반복해서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미끄럼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올레핀에 기초하여 제조한 미끄럼 장치가 사용된다. 또한 폴리-올레핀에 기초한 중합체 또는 폴리-올레핀-에멀젼, 예컨대 현탁화 폴리-올레핀-/수용액이 고려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조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격리판(1)에 대한 양호한 부식방지가 보장되고, 또한, 특히 수지에 반하는 양호한 반결합성 코팅이 달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 따른 격리판(1)은 대체로 40 ~ 60W/mK의 열전도성 및/또는 9 ~ 14 10-6K-1의 열적 팽창계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격리판(1)에 대한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기의 조성을 갖는다: 0.037 중량퍼센트의 C, 0.003 중량퍼센트의 Si, 0.21 중량퍼센트의 Mn, 0.008 중량퍼센트의 인, 0.01 중량퍼센트의 황, 0.039 중량퍼센트의 알루미늄 및 0.020 중량퍼센트의 크롬; 나머지 잔여 중량퍼센트는 그에 대응하는 Fe-비율이고, 인, 황, 알루미늄 및 규소의 부분은 본원에서 "불순물"로서 간주된다. 이 경우 언급한 조성은 바람직하게는 기본적으로 "DC04"와 유사한, 냉각압연된 스트립 강으로 제조되고, 대체로 57 W/mK의 열전도성과 11.45 10-6K-1의 열적 팽창계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마지막으로 언급한 상기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박층 크롬도금부(thin-layer chrome-plating)로서 설계되고 70 ~ 130 mg/㎡의 코팅두께를 포함하는 코팅부(8)가 제공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격리판(1) 및 상기 격리판(1)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중요한 장점들이 달성되고, 선행기술에서 공지된 단점들은 회피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33)

  1.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다층(2) 또는 다층 압축 적층판(3)을 제조하기 위해 격리판(1)으로서, 압축박판으로서 제조될 다층 압축 적층판(3)의 컴파운드 내에, 특히 2개의 다층들(2)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특수강 박판이 아닌 강박판으로 설계되며,
    상기 강박판은 180 ℃의 온도에서 Rm ≥ 500 MPa의 인장강도 및 180 ℃의 온도에서 Rp0.2 ≥ 470MPa의 항복강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강박판은 추가적으로 유기질 코팅부(8)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질 코팅부(8)는 미끄럼 장치로서 도포되고 올레핀에 기초하여 제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판은 표면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판은 0.3 ~ 0.5mm의 두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판은 추가적으로 무기질 또는 금속 코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코팅부는 알루미늄 또는 동으로 제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8)는 2㎛ 이상의 두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판에 있어 한 표면 또는 양표면이 동박(7)으로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판은 Rm ≥ 500 MPa의 인장강도 및 Rp0.2 ≥ 470 MPa의 항복강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판(1)은 비합금 탄소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판은 0.03 ~ 1.2 중량퍼센트의 C와 0.2 ~ 1.5 중량퍼센트의 Mn의 비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판은 0.03 ~ 0.1 중량퍼센트의 C와 0.2 ~ 0.5 중량퍼센트의 Mn의 비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판은 인, 황, 알루미늄 및 규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물질의 흔적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장치는 폴리-올레핀에 기초한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박층 크롬 도금부로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격리판.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특수강 박판이 아닌 강박판으로 설계되며,
    상기 강박판은 180 ℃의 온도에서 Rm ≥ 500 MPa의 인장강도 및 180 ℃의 온도에서 Rp0.2 ≥ 470MPa의 항복강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강박판은 추가적으로 유기질 코팅부(8)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질 코팅부(8)는 미끄럼 장치로서 도포되고 올레핀에 기초하여 제조되는 격리판(1)으로, 상기 격리판(1)이 압축박판으로서 제조될 다층 압축 적층판(3)의 컴파운드 내에, 특히 2개의 다층들(2)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1).
  29. 특수강 박판이 아닌 강박판으로 설계되며,
    상기 강박판은 180 ℃의 온도에서 Rm ≥ 500 MPa의 인장강도 및 180 ℃의 온도에서 Rp0.2 ≥ 470MPa의 항복강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강박판은 추가적으로 유기질 코팅부(8)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질 코팅부(8)는 미끄럼 장치로서 도포되고 올레핀에 기초하여 제조되는 격리판(1)으로, 상기 격리판(1)이 상기 다층 압축 적층판(3) 내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압축 적층판.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KR1020037016590A 2001-07-04 2002-07-03 다층 압축 적층판용 격리판과 다층 압축 적층판용 격리판의 제조방법 KR100601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31887A DE10131887A1 (de) 2001-07-04 2001-07-04 Trennblech bzw.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rennbleches für ein Multilayerpreßpaket
DE10131887.1 2001-07-04
PCT/DE2002/002418 WO2003004717A2 (de) 2001-07-04 2002-07-03 Trennblech bzw.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rennbleches für ein multilayerpresspak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311A KR20040019311A (ko) 2004-03-05
KR100601539B1 true KR100601539B1 (ko) 2006-07-19

Family

ID=769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590A KR100601539B1 (ko) 2001-07-04 2002-07-03 다층 압축 적층판용 격리판과 다층 압축 적층판용 격리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986950B2 (ko)
EP (1) EP1401636B1 (ko)
JP (1) JP4064344B2 (ko)
KR (1) KR100601539B1 (ko)
CN (1) CN100361809C (ko)
AU (1) AU2002354732A1 (ko)
DE (3) DE10131887A1 (ko)
HK (1) HK1064329A1 (ko)
WO (1) WO200300471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4499B4 (de) 2005-07-20 2011-03-31 Wickeder Westfalenstahl Gmbh Presspaketaufbau zum Verpressen von Multilayern bzw. Presse zur Verpressung bzw. Herstellung von Multilayern
DE102007054171A1 (de) * 2007-02-28 2008-09-04 Backhaus, Monika Press- und Heizsystem zum Verpressen eines Multilayerpresspaketes
JP4383493B2 (ja) * 2007-08-17 2009-12-1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780MPa以上のTSを持つハイテン出荷鋼板の材質情報提供方法及び材質情報利用方法
RU2524892C2 (ru) * 2012-11-22 2014-08-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Н.Э. Баумана" (МГТУ им. Н.Э. Баумана)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талей машин с получением субмикро- и нано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ого состояния диффузионного приповерхностного слоя при азотировании
CN103118494B (zh) * 2013-01-29 2015-09-16 苏州市嘉明机械制造有限公司 用于线路板压合制程电压机压合的镜板
CN104202927A (zh) * 2014-09-12 2014-12-10 高德(无锡)电子有限公司 一种软硬结合半成品印刷线路板的生产工艺
CN104955279B (zh) * 2015-05-22 2017-12-29 苏州市嘉明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高强度防凹陷镜板的生产工艺
CN105517334A (zh) * 2015-12-10 2016-04-20 苏州市嘉明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基于含浸工艺的高强度绝缘镜板的生产工艺
CN111278221A (zh) * 2020-02-21 2020-06-12 盐城维信电子有限公司 一种快压隔板及多层快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07568A1 (de) * 1985-03-04 1986-09-25 Dynamit Nobel Ag, 5210 Troisdorf Verfahren zum verpressen von prepregs in einer etagenpresse mit einer rutschsicherung
DE3844498A1 (de) * 1988-12-30 1990-07-05 Klaus Schneider Vorrichtung zum verpressen von multilayerpaketen
JP2556897B2 (ja) * 1989-02-23 1996-11-2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外層材及び製造方法
DE4116543C2 (de) * 1991-05-21 1995-07-27 Siemens Nixdorf Inf Syst Verfahren zum Verpressen von mehrlagigen Leiterplatten
DE29719716U1 (de) * 1997-11-06 1997-12-11 Picard Fa Carl Aug Trennblech
US6129990A (en) * 1998-04-10 2000-10-10 R. E. Service Company, Inc. Copper/steel laminated sheet for use in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s
DE19831461C1 (de) * 1998-07-14 2000-02-24 Dieter Backhaus Verfahren zur partiellen Verbindung von Kupferfolien und Trennblechen (CuAI-Verfahren)
KR100395266B1 (ko) * 1998-11-04 2003-08-21 지에이-티이케이 아이엔시 인쇄회로기판의 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61809C (zh) 2008-01-16
DE50209237D1 (de) 2007-02-22
AU2002354732A1 (en) 2003-01-21
JP2004538146A (ja) 2004-12-24
JP4064344B2 (ja) 2008-03-19
EP1401636B1 (de) 2007-01-10
DE10292952D2 (de) 2004-09-09
CN1522197A (zh) 2004-08-18
US20040211494A1 (en) 2004-10-28
WO2003004717A3 (de) 2003-05-30
DE10131887A1 (de) 2003-01-23
KR20040019311A (ko) 2004-03-05
WO2003004717A2 (de) 2003-01-16
EP1401636A2 (de) 2004-03-31
US6986950B2 (en) 2006-01-17
HK1064329A1 (en) 200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5962B2 (en) Aluminum-silicon carbide composite and heat dissipation device employing the same
EP3509100B1 (en) Heat si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1737034A1 (en) Al/AlN JOINT MATERIAL, BASE PLATE FOR POWER MODULE, POWER MODULE AND PROCESS FOR PRODUCING Al/AlN JOINT MATERIAL
KR100601539B1 (ko) 다층 압축 적층판용 격리판과 다층 압축 적층판용 격리판의 제조방법
CN101627447B (zh) 无胶粘剂挠性层压体及其制造方法
WO2007125878A1 (ja) アルミニウム-炭化珪素質複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放熱部品
EP2530707A2 (de) Verfahren zum Fügen von Metall-Keramik-Substraten an Metallkörpern
WO2002007487A1 (fr) Procede de production de tole laminee plaquee de cuivre
TWI377891B (ko)
EP1174006B1 (en) Method for drilling circuit boards
CN110267465A (zh) 一种改善厚铜线路板板厚均匀性的压合方法
US4311419A (en) Method for drilling circuit boards
TWI584701B (zh) A supporting substrate having a circuit forming layer, a supporting substrate having a double-sided circuit forming layer, a multilayer laminated sheet,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and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JP2004538146A5 (ko)
JPH0153632B2 (ko)
US11845700B2 (en) Method for producing a semi-finished metal product, method for producing a metal-ceramic substrate, and metal-ceramic substrate
KR102090353B1 (ko)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및 프린트 배선판
US7097915B2 (en) Separator plate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 components
KR20220053602A (ko) 캐리어층붙이 금속 적층 기재 및 그 제조 방법, 금속 적층 기재 및 그 제조 방법, 및 프린트 배선판
JP5662834B2 (ja) アルミニウム−炭化珪素質複合体の製造方法
JP4894344B2 (ja) 片面板の製造方法及び多層プリント配線板
JP4096171B2 (ja) プリント配線板用銅箔複合板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2018030738A (ja) セラミックス基板とアルミニウム含浸炭化珪素多孔質体との接合体の製造方法
EP0050694B1 (en) Entry material and method for drilling circuit boards
KR20230006808A (ko) 금속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