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069B1 - 권리의 유통가치 평가 장치 - Google Patents

권리의 유통가치 평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069B1
KR100601069B1 KR1020017003718A KR20017003718A KR100601069B1 KR 100601069 B1 KR100601069 B1 KR 100601069B1 KR 1020017003718 A KR1020017003718 A KR 1020017003718A KR 20017003718 A KR20017003718 A KR 20017003718A KR 100601069 B1 KR100601069 B1 KR 100601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hts
group
groups
rank
distribu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4205A (ko
Inventor
마츠이히로노리
니시무라후유지
토쿠오카슈지
오모리아키코
나카오카준이치
Original Assignee
가네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평가하고자 하는 권리가 속하는 분야를 특정하고, 상기 분야에 속하는 일군의 권리를 추출한 후, 상기 권리군의 유통가치를 상대평가함으로써 상기 권리군에 랭크를 부여하도록 하였다. 이 방법에 의하면, 특허 등의 권리에 대하여 다른 권리로부터 받는 영향을 고려한 후, 그 시점에서의 유통가치를 적정하게 평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권리의 유통가치 평가 장치 {DEVICE USED FOR EVALUATING DISTRIBUTION VALUE OF RIGHT}
본 발명은 특허 등의 권리의 유통가치를 평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도정보화사회라고 하여 기술혁신이 급격하게 진행되는 현대사회에서, 공업소유권 등의 지적재산권에 대한 관심이 하루하루 높아지고 있고, 이들 권리보호를 강화하는 방향에서 각종 보호제도가 정비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권리를 소유하는 각 기업 또는 개인이 그 재산적 가치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이것을 담보로 융자를 받거나 권리에 기초한 실시허락 또는 권리양도에 의하여 이익을 얻는 등, 권리적인 사업전개를 도모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지적재산권 등의 권리는, 그 성질상 가치 변동이 매우 크고 융자담보 등으로 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예를 들어 유형재산이 부족한 벤처기업이 자사의 권리를 담보로 융자를 받으려고 해도 좀처럼 융자를 얻을 수 없다. 또한, 동일한 이유에서 실시허락이나 권리양도 등을 행하기 위한 대가액을 적정하게 결정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예를 들어, 특허를 예로 들면, 일단 설정등록된 특허권이라도, 부여후 이의신청에 의하여 취소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특허권이 유효하게 존속하고 있어도 그 특허발명보다도 우수한 발명이 이후에 이루어진 경우, 선원 특허발명의 가치는 후원 발명의 보급과 동시에 격감되게 된다.
그래서, 특허 등의 권리가치, 특히 융자담보 등을 할 때, 그 시점에서의 유통가치를 적정하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나, 종래부터 권리의 가치평가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디스카운트 캐쉬플로우법 (DCF 법) 으로는 상기 과제에 부응할 수 없다.
즉, 상기 DCF 법이란, 특정 권리에 대하여 그 권리에 관계되는 제품의 장래 이익을 연도마다 예측하고, 그것들을 적당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현재가치로 하는 것이나, 상기 장래 이익을 예측할 때, 후발 혁신기술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의 시장에서의 권리유효성을 올바르게 평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예측 곤란성에서 할인율을 크게 잡고 리스크를 작게 하도록 하기 있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커다란 가치를 가진 권리라도 그 실제의 가치와 동떨어진 낮은 가격으로 평가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서, 특허 등의 권리에 대하여 다른 권리에서 받는 영향을 고려한 뒤에, 그 시점에서의 유통가치를 적정하게 평가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권리의 유통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먼저 평가하고자 하는 권리가 속하는 분야를 특정하고, 상기 분야에 속하는 일군의 권리를 추출한 후, 상기 권리군의 각 권리의 유통가치를 상대평가함으로써 상기 권리군에 랭크를 부여하여 평가하고자 한 방법을 제 1 의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권리의 유통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먼저 평가하고자 하는 권리가 속하는 분야를 특정하고, 상기 분야에 속하는 일군의 권리를 추출한 후, 상기 권리군을 특정 속성을 구비한 권리끼리를 하나의 군으로 모음으로써 복수의 권리군으로 나누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권리군 중, 평가목적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권리군에 대하여 군마다 각 권리의 유통가치를 상대평가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권리군에 랭크를 부여하여 평가하고자 한 방법을 제 2 의 요지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권리의 유통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먼저 평가하고자 하는 권리가 속하는 분야를 특정하고, 상기 분야에 속하는 일군의 권리를 추출한 후, 상기 권리군을 특정 속성을 구비한 권리끼리를 하나의 군으로 모음으로써 복수의 권리군으로 나누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권리군의 유통가치를 군 단위로 상대평가하여 권리군끼리의 랭크를 부여하여 평가하고자 한 방법을 제 3 의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3 의 요지인 권리인 유통가치 평가방법에 있어서, 분할된 복수의 권리군마다 각 권리의 유통가치를 상대평가하여 랭크를 부여하고, 상기 랭크부여된 각 권리군을 권리군끼리의 랭크부여의 결과에 따라서 배열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추출된 전 권리군을 랭크부여하도록 한 방법을 제 4 의 요지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들 방법에 의하여 랭크가 부여된 권리군 중, 적어도 하나의 권리의 유통가치지표를 특정하고, 이 유통가치지표에 기초하여 랭크부여된 다른 권리의 유통가치지표를 산출하여 평가하도록 한 권리의 유통가치 평가방법을 제 5 의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권리의 유통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장치로서, 권리에 관한 서지데이터, 경과데이터 및 기타의 데이터가 축적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분야의 권리군을 추출할 수 있는 추출수단과, 상기 추출수단에 의하여 추출된 권리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권리군의 각 권리를 상대적으로 평가하고 랭크를 부여하는 권리랭크부여수단을 구비한 장치를 제 6 의 요지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권리의 유통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장치로서, 권리에 관한 서지데이터, 경과데이터 및 기타의 데이터가 축적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분야의 권리군을 추출할 수 있는 추출수단과, 상기 추출수단에 의하여 추출된 권리군을 특정 속성을 구비한 권리끼리를 하나의 군으로 모음으로써 복수의 권리군으로 나눈 권리군 분할수단과, 상기 분할된 복수의 권리군마다 각 권리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권리군의 각 권리를 상대적으로 평가하고 랭크를 부여하는 권리랭크부여수단을 구비한 장치를 제 7 의 요지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권리의 유통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장치로서, 권리에 관한 서지데이터, 경과데이터 및 기타의 데이터가 축적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분야의 권리군을 추출할 수 있는 추출수단과, 상기 추출수단에 의하여 추출된 권리군을 특정 속성을 구비한 권리끼리를 하나의 군으로 모음으로써 복수의 권리군으로 나눈 권리군 분할수단과, 상기 분할된 복수의 권리군의 유통가치를, 군 단위로 상대적으로 평가하여 권리군끼리의 랭크부여를 행하는 군단위 랭크부여수단을 구비한 장치를 제 8 의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8 의 요지인 권리인 유통가치 평가장치에 있어서, 분할된 복수의 권리군마다 각 권리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권리군의 각 권리를 상대적으로 평가하고 랭크를 부여하는 권리랭크부여수단과, 상기 랭크부여수단에 의하여 랭크부여된 각 권리군을 군단위 랭크부여수단에 의하여 랭크부여된 권리군끼리의 랭크부여 결과에 따라 배열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추출된 전 권리군을 랭크부여하는 토탈 랭크부여수단을 구비한 장치를 제 9 의 요지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들 장치에 의하여 권리에 관한 유통가치지표를 입력하는 유통가치지표 입력수단과, 상기 유통가치지표 입력수단에서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권리에 관한 유통가치지표에 기초하여, 랭크부여된 다른 권리의 유통가치지표를 산출하는 연산처리수단을 구비한 권리의 유통가치 평가장치를 제 10 의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권리」란, ① 특허법에 있어서 보증되고 있는 특허권 및 특허를 받을 권리, ② 실용신안법에 있어서 보증되고 있는 실용신안권 및 실용신안등록을 받을 권리, ③ 의장법에 있어서 보증되고 있는 의장법 및 의장등록을 받을 권리, ④ 상표법에 있어서 보증되고 있는 상표권 및 상표출원에 의하여 발생된 권리, ⑤ 반도체회로배치이용권 등의 공업소유권뿐만 아니라, 저작권 등도 포함하는 유통가치를 갖는 각종 권리를 말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장치의 블록도,
도 2 는, 이 장치를 이용한 동작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장치의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권리군을 추출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5 는, 이 추출된 권리군을 발명의 과제별로 분할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6 은, 상기 추출된 권리군을 모두 랭크부여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권리의 유통평가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 는, 그 동작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1 은 권리에 관한 서지데이터, 경과데이터 기타의 데이터가 축적된 권리데이터 베이스로서, 기존의 정보서비스 (PATOLIS 등) 를 이용할 수 있다. 2 는, 상기 권리데이터 베이스 (1) 에서 특정분야의 권리군을 검출할 수 있는 권리추출부로서 평가하고자 하는 권리의 종류 (특허, 실용신안, 의장, 상표 등의 종류), 분류 (예를 들어, 특허, 실용신안인 경우에는 기술분야, 의장의 경우에는 의장분류, 상표의 경우에는 상표ㆍ역무분류 등을 기준으로 하는 분류) 등의 제조건을 입력함으로써, 시장유통성의 관점에서 관계되는 특정 범위에 한정시켜 그 범위에 속하는 권리군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비교 평가하고자 하는 일군의 권리번호 (특허번호, 특허공개번호 등) 를 미리 알고 있는 경우에서는, 「추출작업」은 그 번호로부터 각각의 정보를 인출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그리고, 일차선택부 (3) 에서, 상기 권리추출부 (2) 에 의하여 추출된 일군의 권리데이터 중, 명확하게 평가의 대상이 되지 않는 것이 선별 제거될 수 있다. 즉, 추출된 권리군 중, 출원중인 것에 대해서는 기본적인 권리성립요건 (특허의 경우, 예를 들어 발명성립성, 산업상 이용성, 신규성, 진보성, 불특허사유에 해당되지 않을 것의 5 가지 요건) 이 기억된 권리성립성 판단테이블 (4) 을 이용하여, 명확하게 상기 요건의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은 권리성립성 없음이라고 하여 평가대상에서 제외된다. 또한, 추출된 권리군 중, 특허권 등의 권리가 설정등록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는 법정권리존속기간부터 그 권리의 잔존기간을 즉석에서 산출하도록 설정된 잔존기간판단 데이터테이블 (5) 을 이용하여, 그 권리잔존기간이 평가할 가치가 없을 정도로 짧은 기간 (예를 들어 1 년 미만) 인 경우에는 평가대상에서 제외된다.
상기 일차선택부 (3) 에서 제외되지 않고 선별을 클리어한 권리군의 데이터는, 서지데이터를 포함하는 모든 데이터가 데이터 입력부 (6) 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고, 이들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랭크부여부 (7) 에서, 권리군의 상대평가가 이루어진다. 상기 상대평가는 권리의 유통가치를 좌우하는 소정의 복수의 항목을 기억하는 평가항목 데이터테이블 (8) 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평가항목의 예로서, 특허권을 평가하는 경우의 일례를 이하에 나타낸다.
[특허권 평가항목]
(1) 서지사항
ㆍ 발명의 카테고리 (물건의 발명이 제법 발명보다 우위)
ㆍ 청구항 수 (많을수록 우위)
ㆍ 잔존하는 존속기간 (길수록 우위)
ㆍ 지분 (많을수록 우의)
(2) 특허권의 확정성
ㆍ 무효이유 등의 유무
ㆍ 정정에 의한 권리범위감축의 여지
(3) 기술적 가치
ㆍ 독창성
ㆍ 완성도
ㆍ 발전성 (응용성)
(4) 경제적 가치
ㆍ 대상시장의 규모
ㆍ 판매액ㆍ이익액
(5) 권리적 가치
ㆍ 독점성
ㆍ 침해발견의 난이도
또한, 각 평가항목에 대한 평가는 항목마다 대상이 되는 권리군의 각각에 단계평가를 실시하고, 각 평가치에 평가항목의 경중이 반영되도록 평가항목마다 그 평가항목이 유통가치를 좌우하는 정도에 따른 계수를 곱한 후, 얻어진 값을 집계하여 합계평가치를 구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얻어진 합계치의 대소를 비교하여, 대상이 되는 권리군을 예를 들어 큰 순서대로 배열함으로써 랭크 부여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랭크가 부여된 권리군에 대해, 유통가치지표 연산처리부 (9) 에서 유통가치지표가 산출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유통가치지표 연산처리부 (9) 에는 실제의 시장에서 거래되는 권리의 유통가치지표 (취급가격 등) 를 그 거래형태 (예를 들어 양도계약, 전용실시권계약, 통상실시권계약 등) 와 함께 순차 입력하여 기억하는 유통가치지표 데이터테이블 (10) 이 접속되며, 상기 랭크가 부여된 권리군 중 실제로 시장에서 거래실적이 있는 권리에 대한 그 유통가치지표를 추출할 수 있다. 11 은 순차 입력을 행하는 신규 데이터 입력부이다.
그래서, 상기 유통가치지표 데이터테이블 (10) 에서 추출된 랭크의 유통가치지표와, 그 권리의 랭크에서 다른 랭크의 유통가치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랭크와 유통가치지표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관계식이 상기 유통가치지표 연산처리부 (9) 에 미리 입력되어 있고, 기준이 되는 유통가치지표와 랭크가 결정되면 다른 랭크의 권리의 유통가치지표가 즉석에서 산출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특정분야에 속하는 권리군의 랭크부여와 유통가치지표의 결과는, 정보로서 수시로 꺼낼 수 있도록 기억부 (12) 에 기억된다. 그리고 기억된 권리부 중의 어느 하나에 대하여, 후일 실제로 거래가 행해지고 유통가치지표가 결정되는 경우에는 그 값이 데이터 갱신부 (13) 를 통해 기억부 (12) 에 입력되고, 기억데이터가 갱신된다. 따라서, 동일 분야의 권리 평가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재작업하지 않고 기억부 (12) 에 기억되고 순차 갱신되어 있는 기억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평가한다.
상기 권리평가장치를 사용하여 권리평가를 행하는 순서에 대하여, 미리 추출된 잉크젯 날염기술분야에 속하는 5 가지의 특허권 (A, B, C, D, E) 의 유통가치를 평가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 참조).
상기 5 가지의 특허권은 특정분야에 있어서의 추출을 종료하고 있기 때문에, 먼저 일차선택부 (3) 에서 잔존기간판단 데이터테이블 (5) 을 이용하여 각 권리의 잔존권리기간을 산출하고, 그것이 1 년 미만인 것을 제외한다. 이 경우, 모든 권리는 잔존권리기간이 1 년 이상이고, 전체 권리 모두가 평가대상이 된다.
다음으로, 각 권리의 서지데이터, 심사경과 데이터 등의 전체 데이터를 데이터 입력부 (6) 에 입력하고, 그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랭크부여부 (7) 에 있어서, 전술한 특허권 평가항목마다 상대평가한다. 얻어진 평가치를 하기의 표 1 에 나타낸다.
상대평가
A B C D E
서지사항 카테고리 2 1 2 1 1
청구항수 4 3 5 2 1
잔존하는 존속기간 3 4 2 1 5
지분 2 2 2 1 1
특허권의 확정성 무효이유 등의 유무 5 3 4 2 1
정정에 의한 감축의 여지 3 4 5 2 1
기술적 가치 독창성 5 3 2 4 1
완성도 3 4 5 1 2
발전성 (응용성) 1 2 3 5 4
경제적 가치 대상시장의 규모 2 2 1 1 1
판매액ㆍ이익액 1 1 1 1 1
권리적 가치 독점성 3 2 5 4 3
침해발견의 난이도 5 3 4 1 2
다음으로, 각 평가항목은 서로 동등하지 않다고 하여, 미리 설정한 계수를 각 평가치로 곱하여 얻어진 값을 집계하여 합계평가치를 구한다. 상기 계수 및 집계된 합계평가치를 정리하여 하기의 표 2 에 나타낸다.
계수 상대평가
A B C D E
서지사항 카테고리 1 2 1 2 1 1
청구항수 1 4 3 5 2 1
잔존하는 존속기간 2 6 8 4 2 10
지분 1 2 2 2 1 1
특허권의 확정성 무효이유 등의 유무 3 15 9 12 6 3
정정에 의한 감축의 여지 1 3 4 5 2 1
기술적 가치 독창성 2 10 6 4 8 2
완성도 1 3 4 5 1 2
발전성 (응용성) 1 1 2 3 5 4
경제적 가치 대상시장의 규모 3 6 6 3 3 3
판매액ㆍ이익액 1 1 1 1 1 1
권리적 가치 독점성 1 3 2 5 4 3
침해발견의 난이도 2 10 6 8 2 4
합계 평가치 - 66 54 59 38 36
상기 합계 평가치의 대소를 비교함으로써, 5 가지의 특허권에 랭크를 부여하면 상위부터 순서대로 A, C, B, D, E 가 된다.
한편, 유통가치지표 데이터테이블 (10) 에서, 상기 특허권 A 내지 E 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면, 하기와 같이 특허권 A, B 에 대하여 실제로 통상실시허락료가 지불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A : 통상실시허락료 500 만엔
B : 통상실시허락료 300 만엔
그래서 상기 2 가지의 값 (실시허락료) 을 특허권 A, B 의 유통가치지표로 하여 유통가치지표 연산처리부 (9) 에 입력하고 다른 특허권 C~E 를 산출하면, 하기와 같이 각각의 유통가치지표를 얻을 수 있다.
C : 400 만엔
D : 200 만엔
E : 100 만엔
따라서, 특허권 A ~ E 를 정리하여 취급하면, 전체의 유통가치지표는 A + B + C + D + E = 1500 만엔으로 산출된다.
또한 상기 유통가치지표 연산처리부 (9) 에서의 처리는, 랭크부여에서의 1 랭크마다의 유통가치지표 간격이 균등하다 (유통가치지표가 일직선상에 올라있음) 는 전제에서 행하는 처리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관계식으로서 소정의 이차함수, 삼차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통가치지표에 대한 데이터가, 예를 들어 특허권 A 에 있어서 권리양도의 대가가 5000 만엔, 특허권 B 에 있어서 통상실시허락료가 300 만엔이라는 식으로, 거래양태의 종류가 상이한 경우, 또는 동일한 통상실시허락이라도 지역 한정 또는 기간 한정 등의 한정조건 등의 유무에 따라서 조건이 상이한 경우 등에는, 상기와 같이 일원적으로 취급할 수 없기 때문에, 그 경우에는 이들 조건의 차이를 일 원화하기 위하여 소정의 변환식에 따라서 동일 조건의 유통가치지표를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랭크부여 결과와 유통가치지표의 결과를 기억부 (12) 에 기억시키며, 특허권 A~E 의 구체적인 상거래에 도움이 되도록 출력한다. 또한, 이 기억ㆍ출력조작 시에, 미리 기억되어 있고, 과거에 평가된 권리군의 유통가치지표에 대하여 추가해야 하는 데이터 (새로운 실시허락료가 설정되거나 한 데이터) 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입력하고 기억데이터를 갱신하여 일련의 조작을 종료한다.
상기 평가방법에 의하면, 특정 권리에 대하여 다른 권리에서 받는 영향을 고려한 뒤, 그 시점에서의 유통가치지표를 기준이 되는 유통가치지표를 근거로 하여 산출하기 위하여, 보다 실제에 입각한 객관적인 유통가치지표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권리유통에서의 리스크가 작아지고 종래에는 없던 권리의 유통촉진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순서로 간단하게 권리평가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좋다. 특히, 유통가치지표 데이터테이블 (10) 의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갱신되고, 최신 유통가치지표가 축적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평가하고자 하는 그 시점에서의 적정한 평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기억부 (12) 에 있어서도, 실제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데이터가 갱신되기 때문에 동일 분야의 권리군의 평가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재실시할 필요가 없어 손이 많이 가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추출한 권리군에 대하여 먼저 일차 선택부 (3) 에서 소정 요건에 근거하여 일차 선별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선별은 반드시 행해야 할 필요가 없고, 추출한 권리군 전체에 대하여 상대평가하고 랭크를 부여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전혀 가치가 없는 권리를 배제하기 위하여, 하나의 평가항목으로서「권리성립성」또는「권리유효성」이라는 항목을 설정하고, 여기에 0 (제로) 평가를 부여하여 0 평가를 갖는 권리는「랭크 외」로 하는 등의 방법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랭크부여부 (7) 에 있어서, 각각의 권리에 대하여 복수의 평가항목에 대하여 단계평가를 행하고, 소정의 계수를 곱한 후 집계하여 합계평가치를 얻고, 이 합계평가치의 대소에 의하여 랭크를 부여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소정의 계수」는 정수는 아니고, 랭크부의 목적 (라이센스, 담보가치평가, 자기재산평가, 사내평가 등) 에 의하여 상이한 값이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랭크부여 수법은 반드시 상기 수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평가대상이 되는 권리군에서 2 개의 권리를 꺼내어 양자의 유통가치를 비교하고, 양자의 우열을 결정하는 작업을, 전 권리에 대하여 조합을 변경시켜 반복 실행하고, 최종적으로 전 권리군을 우열의 순서대로 배열하는 수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양자대비에 의하기 때문에 우열을 판단하기 쉽다는 점에서 상기보다도 유리하나, 전체를 집계하여 랭크를 부여한다는 점에서는 상기 예에 비하여 번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평가대상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수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자대비에 의한 랭크부여의 경우에도, 대비 기준으로서 상기 예와 동일하게 평가항목을 열거하고, 각 항목에 대하여 양자의 우열을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예에서는 상기 랭크가 부여된 권리군의 유통가치지표를 얻을 때, 유통가치지표 데이터테이블 (10) 에서, 실제로 시장에서 이루어진 거래에 기초하여 실시허락권을 인출하고, 다른 권리의 유통가치지표를 산출하는 근거로 하고 있으나, 랭크가 부여된 권리군의 어느 것도 실제의 데이터가 없을 경우 근거로 할 것이 없다. 그래서 그 경우에는 평가해야 할 권리군의 분야에 인접하는 다른 분야에서의, 조건이 근사한 권리의 랭크부여와 유통가치지표를 참조하고, 그 유통가치지표에 보정을 가하는 등, 가상상의 근거로 하기에 충분한 유통가치지표를 구한 후, 이를 근거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미리 추출된 5 가지의 특허권 A ~ E 에 대하여, 먼저 유통가치의 랭크를 부여한 후, 유통가치지표 데이터테이블 (10) 에서 과거의 유통실적 데이터를 유통가치지표로 하여 인출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각 권리의 유통가치지표를 구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유통가치지표를 반드시 구할 필요는 없다. 즉, 특정 분야에 속하는 권리군을 그 유통가치의 대소에 따라서 랭크를 부여할 수 있으면, 그 랭크를 기준으로 하여 권리의 유통가치를 어느 정도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유통가치지표를 구할 필요가 없는 경우,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의 권리의 유통평가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장치에는 단순히 랭크부여 기능뿐만 아니라,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의 시장에서의 거래실적에 기초하는 유통가치의 랭크부여 정보를 신데이터 입력부 (11) 에서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데이터 갱신부 (13) 를 통하여 기억부 (12) 에 입력하여, 후속하는 랭크부여 작업에 도움이 되는 기능을 가져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예에서는 미리 추출된 5 가지의 특허권 A ~ E 에 대하여, 즉석에서 랭크를 부여했다. 예를 들어, 특정 분야에 속하는 권리 수가 수백 가지 의 광대한 수인 경우, 이것을 일괄하여 랭크부여하는 것은 매우 번잡한 작업이 된다. 또한, 필요로 하는 정보가 불필요한 정보와 혼동되어 타겟을 좁히기 힘들게 될 우려도 있다. 그래서, 그러한 경우에는 상기 특정 분야에 속하는 일군의 권리를, 특정 속성을 가지는 권리끼리를 하나의 군으로 하여 정리함으로써, 복수의 권리군으로 나눈 후 랭크를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특정 속성끼리의 것을 나눈다」는 것은, 예를 들어 발명의 과제별로 나누고, 사업분야별로 나누고, 출원중인 것과 등록된 것으로 나누고, 권리에 관계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설비코스트별로 나누고, 그 발명의 실시에 의한 시장점유율의 독점비율의 크기별로 나누는 등의 작업을 들 수 있다. 어떠한 속성에 따라서 나누는가는 권리평가의 목적에 비추어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어,「잉크젯 날염기술에 관한 특허권」으로서 권리를 좁혀 추출하면,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젯 날염기술에 관한 다수의 권리군이 추출된다. 그래서, 이것을 날염물의 색상확대, 조업성의 향상, 흰색 빠짐의 방지 등등의 발명의 과제별로 나누면, 이에 의하여 속하는 권리 수가 적어지고, 다수의 권리군을 얻을 수 있다. 그 상태를 도 5 에 나타낸다. 그래서 분할된 복수의 권리군마다, 상기 예에 준하여 각각의 군에서의 각 권리의 유통가치를 상대평가하여 각 권리군에 랭크를 부여한다. 또한, 상기 분할된 복수의 권리군의 유통가치를 군단위로 상대평가하여 권리군끼리의 랭크를 부여한다. 이 경우, 군분리의 기준이 되는 속성 (날염물의 색상확대, 조업성의 향상, 흰색 빠짐 방지 등) 을 권리평가의 목적에 맞추어 랭크를 부여한다. 랭크부여의 수법은 상기 각 권리의 랭크부여 수법에 준하여 행한다. 그리고, 얻어진 랭크부여에 따라서, 먼저 군단위로 각 분할권리군끼리를 상하로 배열하고, 그리고 각 분할권리군 중에서 각각의 권리를 상하로 배열한다. 이렇게 하여, 추출된 전 권리를 랭크부여할 수 있다. 이 상태를 도 6 에 나타낸다.
상기 방법으로 평가한 경우, 장치로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장치에서는, 100 건이면 100 건의 추출된 권리군이, 권리군 분할부 (20) 에 있어서 권리속성 데이터테이블 (21) 에서 인출되는 적절한 속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소규모 권리군으로 분할되고, 각 분할권리군 랭크부여부 (22) 에서 각 권리군에 랭크가 부여된다. 또한, 동시에 분할에 사용된 속성의 종류 (각 분할권리군의 특성) 가 군단위 랭크부여부 (2) 에 있어서 평가되고, 군단위의 랭크부여가 동시에 병렬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군단위의 랭크부여와 분할권리군마다의 각 권리의 랭크부여에는 각각 평가항목 데이터테이블 (8) 에 기억되는 평가항목이 이용된다. 다른 구성은 상기 도 3 의 장치와 동일하다.
또한, 추출된 권리군의 수가 적어 분할 필요성이 없는 경우에는, 그대로 각 분할권리군 랭크부여부 (22) 로 진행하여 랭크부여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 권리를 랭크부여할 때, 상기 예와 같이 먼저 군단위의 우열을 상하로 배열하고, 다음으로 각 분할권리군 중에서 각각의 권리를 상하로 배열하여 전 권리를 배열하는 경우, 예를 들어 상위로 평가되는 군 [A] 에 속하는 권리 a1, a2, a3, a4, a5 와, 그 아래의 위치로 평가되는 군 [B] 에 속하는 군 b1, b2, b3, b4, b5 이 이 순서대로 상하로 배열되면, 군 [A] 에 속하는 하위의 권리 (예를 들어 a4 와 a5) 와, 군 [B] 에 속하는 상위의 권리 (예를 들어 b1 와 b2) 에서는 권리의 평가가치가 역전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군 [A] 의 쪽이 군 [B] 보다도 상위라고 해서, 획일적으로 군 [A] 에 속하는 전 권리 a1, a2, a3, a4, a5 를, 군 [B] 에 속하는 전 권리 b1, b2, b3, b4, b5 보다도 위에 랭크부여하는 것이 아니고, 군 [A] 에 속하는 권리 중 하위에 랭크부여된 소정 수의 권리와, 군 [B] 에 속하는 권리 중 상위에 랭크부여된 소정 수의 권리를 꺼내어, 이들 권리에 대하여 재평가하도록 하면 보다 적정한 랭크를 부여할 수 있다.
게다가 전 권리에 대한 랭크부여가 불필요하고, 특정 속성을 구비한 권리군에 대해서만 랭크를 부여하는 경우에는 필요로 하는 속성에 관계되는 권리군 (하나의 군이든 2 개의 군이든 관계없음) 에 대하여 랭크를 부여하면 된다. 그 경우에는 군단위로 랭크를 부여할 필요가 없고, 도 7 에 쇄선으로 나타낸 구성은 제거될 수 있다.
또는 권리끼리의 랭크부여는 불필요하고, 군단위에서의 랭크부여만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에는, 각 분할권리군 랭크부여부 (22) 는 도 7 의 구성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하여 랭크부여된 권리군에 대하여, 구체적인 유통가치지표를 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1 에 나타낸 유통가치지표 연산처리부 (9) 및 유통가치지표 데이터테이블 (10) 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순서에 따라서 유통가치지표를 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일련의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소정의 특정한 1 건의 권리에 대하여, 여기에 필적하는 유통가치를 구비한 다른 권리를 탐색할 수도 있다. 즉, 그 경우에는 먼저 상기 소정의 권리가 속하는 분야의 권리군을 추출하고, 전술한 수법 중 적절한 방법에 따라서 그 권리군의 랭크를 부여한다. 그리고 상기 소정의 권리와 동등 또는 더욱 근사한 위치에 랭크가 부여된 권리를 픽업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권리에 필적하는 다른 권리를 탐색할 수 있다. 이로써 경합하는 타사 권리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수법을 사용하여 소정의 권리에 랭크를 부여하고, 다음으로 그 권리가 속하는 분야와는 상이한 분야에 속하는 권리군, 또는 동일 분야로서 상이한 속성을 구비한 권리군을 추출하여 랭크를 부여함으로써, 소정의 권리와 동등 또는 근사한 가치의 다른 권리를 탐색할 수 있다. 이로써, 소정의 권리와 경합은 하지 않으나 동등한 유통가치를 가지는 권리를 특정할 수 있다. 대등한 기술제휴 또는 기술교환 등의 교섭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평가방법은, 특정 권리 또는 특정 권리군에 대하여 일정한 순서에 따름으로써 그 시점에서의 유통가치에 기초하는 랭크부여를 즉석에서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고 적정한 평가가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권리유통에 있어서의 리스크가 작아지고, 종래에 없는 권리의 유통촉진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서, 산업자원인 발명, 고안, 의장, 상표 등의 활발한 이용에 의하여 공업생산의 확대, 상거래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고, 우수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랭크부여에 그치지 않고, 그 시점에서의 유통가치지표를, 기준이 되는 유통가치지표를 근거로 하여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경우에는 보다 실제에 입각한 객관적인 유통가치지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순서로 효율적으로 본 발명의 권리를 평가할 수 있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권리의 유통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장치로서,
    권리에 관한 서지데이터, 경과데이터 및 기타의 데이터가 축적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분야의 권리군을 추출할 수 있는 추출수단; 및
    상기 추출수단에 의하여 추출된 권리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권리군의 각 권리를 상대적으로 평가하고 랭크를 부여하는 권리랭크부여수단을 구비하는, 권리의 유통가치 평가장치.
  11. 권리의 유통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장치로서,
    권리에 관한 서지데이터, 경과데이터 및 기타의 데이터가 축적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분야의 권리군을 추출할 수 있는 추출수단;
    상기 추출수단에 의하여 추출된 권리군을, 특정 속성을 구비한 권리끼리를 하나의 군으로 모음으로써 복수의 권리군으로 나누는 권리군 분할수단; 및
    상기 분할된 복수의 권리군마다 각 권리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권리군의 각 권리를 상대적으로 평가하고 랭크를 부여하는 권리랭크부여수단을 구비하는, 권리의 유통가치 평가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권리랭크부여수단이, 대상이 되는 권리군에 대하여 복수의 평가항목마다 단계평가를 행하고, 얻어진 각 평가치에 대하여 평가항목마다 그 평가항목이 유통가치를 좌우하는 정도에 따른 계수를 곱한 후 집계하여 합계평가치를 얻고, 이 합계평가치의 대소의 순서대로 상기 권리군을 배열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권리의 유통가치 평가장치.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권리랭크부여수단이, 대상이 되는 권리군에서 2 개의 권리를 꺼내어 양자의 유통가치를 비교하여 양자의 우열을 결정하는 작업을 전 권리에 대하여 조합을 변경시켜 반복 실행하고, 최종적으로 전 권리군을 우열의 순서대로 배열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권리의 유통가치 평가장치.
  14. 권리의 유통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장치로서,
    권리에 관한 서지데이터, 경과데이터 및 기타의 데이터가 축적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분야의 권리군을 추출할 수 있는 추출수단;
    상기 추출수단에 의하여 추출된 권리군을, 특정 속성을 구비한 권리끼리를 하나의 군으로 모음으로써 복수의 권리군으로 나누는 권리군 분할수단; 및
    상기 분할된 복수의 권리군의 유통가치를, 군단위로 상대적으로 평가하여 권리군끼리에 랭크를 부여하는 군단위 랭크부여수단을 구비하는, 권리의 유통가치 평가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군단위 랭크부여수단이, 분할된 각각의 권리군에 대하여 복수의 평가항목마다 단계평가를 행하고, 얻어진 각 평가치에 대하여 평가항목마다 그 평가항목이 유통가치를 좌우하는 정도에 따른 계수를 곱한 후 집계하여 합계평가치를 얻고, 이 합계평가치의 대소의 순서대로 상기 권리군을 군단위로 배열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권리의 유통가치 평가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군단위의 랭크부여수단이, 분할된 복수의 권리군에서 2 개의 권리군을 꺼내어 양자의 유통가치를 군단위로 비교하여 양자의 우열을 결정하는 작업을 전 권리군에 대하여 조합을 변경시켜 반복 실행하고, 최종적으로 전 권리군을 군단위로, 우열의 순서대로 배열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권리의 유통가치 평가장치.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할된 복수의 권리군마다 각 권리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권리군의 각 권리를 상대적으로 평가하고 랭크를 부여하는 권리랭크부여수단과, 상기 랭크부여수단에 의하여 랭크가 부여된 각 권리군을 군단위 랭크부여수단에 의하여 랭크부여된 권리군끼리의 랭크부여 결과에 따라서 배열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추출된 전 권리군을 랭크부여하는 토탈 랭크부여수단을 구비하는, 권리의 유통가치 평가장치.
  18.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권리에 관한 유통가치지표를 입력하는 유통가치지표 입력수단; 및
    상기 유통가치지표 입력수단에서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권리에 관한 유통가치지표에 기초하여, 랭크부여된 다른 권리의 유통가치지표를 산출하는 연산처리수단을 구비하는, 권리의 유통가치 평가장치.
  19. 삭제
  20. 제 17 항에 있어서,
    권리에 관한 유통가치지표를 입력하는 유통가치지표 입력수단; 및
    상기 유통가치지표 입력수단에서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권리에 관한 유통가치지표에 기초하여, 랭크부여된 다른 권리의 유통가치지표를 산출하는 연산처리수단을 구비하는, 권리의 유통가치 평가장치.
KR1020017003718A 1999-05-11 2000-04-24 권리의 유통가치 평가 장치 KR100601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053999 1999-05-11
JP99-130539 1999-05-11
JP2000048012A JP2001028018A (ja) 1999-05-11 2000-02-24 権利の流通価値評価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JP2000-048012 2000-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205A KR20010104205A (ko) 2001-11-24
KR100601069B1 true KR100601069B1 (ko) 2006-07-19

Family

ID=2646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718A KR100601069B1 (ko) 1999-05-11 2000-04-24 권리의 유통가치 평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215599A4 (ko)
JP (1) JP2001028018A (ko)
KR (1) KR100601069B1 (ko)
AU (1) AU3842900A (ko)
WO (1) WO20000688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6992B1 (en) 1999-09-14 2003-04-29 Patent Rat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rating patents and other intangible assets
AU2003235828A1 (en) * 2002-05-10 2003-11-11 Alps Electric Co., Ltd. Intellectual property right selling/buying system and method, program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JP2004318811A (ja) * 2003-02-25 2004-11-11 Alps Electric Co Ltd 知的財産会計管理装置及び知的財産会計管理プログラム
JP2005122318A (ja) * 2003-10-14 2005-05-12 Nec Corp 特許情報管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174313A (ja) * 2003-11-18 2005-06-30 Shinko Res Kk 特許又は技術の経済価値算出方法及び装置
JP4631582B2 (ja) * 2005-07-28 2011-0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事業価値評価支援装置及び事業価値評価支援プログラム
US7949581B2 (en) 2005-09-07 2011-05-24 Patentratings, Llc Method of determining an obsolescence rate of a technology
US7716226B2 (en) 2005-09-27 2010-05-11 Patentrat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babilistically quantifying and visualizing relevance between two or more citationally or contextually related data objects
AU2007314921A1 (en) * 2006-11-02 2008-05-08 Intellectual Property Bank Corp. Patent evaluating device
WO2008075744A1 (ja) * 2006-12-20 2008-06-26 Intellectual Property Bank Corp. 情報処理装置、提携先を選定するための情報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80147B1 (en) 2010-10-07 2019-08-13 PatentSight GmbH Computer implemented method for quantifying the relevance of documen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3749B2 (ja) * 1994-04-28 2006-03-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著作物提供システム
JPH10126408A (ja) * 1996-10-17 1998-05-15 Green Net:Kk 双方向参加型データ通信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特許評價指標(技術移轉版), 일본 특허청 총무부 총무과 특허전략기획반, 1999.04 작성 및 공표된 特許評價指標(試案)을 기초로 2000.12 작성 및 공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15599A1 (en) 2002-06-19
WO2000068847A1 (fr) 2000-11-16
AU3842900A (en) 2000-11-21
EP1215599A4 (en) 2002-11-13
KR20010104205A (ko) 2001-11-24
JP2001028018A (ja) 2001-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ng‐Huang Chiang et al. Data mining based storage assignment heuristics for travel distance reduction
Hung et al. Evaluating the dynamic performances of business groups from the carry-over perspective: A case study of Taiwan׳ s semiconductor industry
KR100601069B1 (ko) 권리의 유통가치 평가 장치
CN106056292A (zh) 一种业务经营智能决策支持系统及其方法
CN106203938A (zh) 一种基于云计算的园区智能服务平台
Ustinovichius Determination of efficiency of investments in construction
CN107609771A (zh) 一种供应商价值评价方法
Wen et al. Modified honey bees mating optimization algorithm for multi-objective uncertain integrated process planning and scheduling problem
Ma et al. Research on petroleum patent valuation based on Value Capture Theory
Ogheneovo et al. Iterative dichotomizer 3 (ID3) decision tree: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data classification and predictive analysis
CN110135743A (zh) 基于直觉模糊层次分析模型的科技成果效益评估方法
CN105447117A (zh) 一种用户聚类的方法和装置
US20030177049A1 (en) Skill match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Perry et al. A revised sampling plan for obtaining food products for nutrient analysis
CN106611339A (zh) 种子用户筛选方法、产品的用户影响力评价方法及装置
CN109544337A (zh) 一种股权估值方法
CN109146259A (zh) 一种基于灰色聚类评估的独立售电公司发展潜力评价方法
Kucińska-Landwójtowicz Organizational maturity models-review and classification
JP3735505B2 (ja) Pos分析システム
Song Application of data mining technology in the CRM of pharmaceutical industry
Chang et al. Probe of the replenishment strategy and grouping rule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US7885851B2 (en) Retailer optimization using market segmentation top quintile process
Azadfallah A hybrid MCDM approach for ranking suppliers by considering ethical factors
CN116468290B (zh) 一种利用计算机实施的土地流转热度系统及其构建方法
CN110246026A (zh) 一种数据转移的输出组合设定方法、装置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