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505B1 - 공기공급장치 및 이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고온분립체 냉각설비 - Google Patents

공기공급장치 및 이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고온분립체 냉각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505B1
KR100600505B1 KR1019990034070A KR19990034070A KR100600505B1 KR 100600505 B1 KR100600505 B1 KR 100600505B1 KR 1019990034070 A KR1019990034070 A KR 1019990034070A KR 19990034070 A KR19990034070 A KR 19990034070A KR 100600505 B1 KR100600505 B1 KR 100600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air duct
air
annula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6967A (ko
Inventor
오시오카쯔히로
스모토타다키
니시모토마사루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56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5/00Handling or treating discharged material; Supports or receiving chambers therefor
    • F27D15/02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7Cooling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72Cooling of charges therein the cooling medium being a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원형상의 이동경로를 따라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21)에 형성된 내주 환형 수봉실(24A) 및 외주 환형 수봉실(24B)과,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31)에 형성된 내주 환형 수봉실(24A) 및 외주 환형 수봉실(34B)의 밀봉수에 하단부가 잠기는 수봉밀봉판(34A, 34B)이 구비된 수봉장치(28)에 있어서, 이동경로에서 대기측으로 연이어 통하게 되어 감압되는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에서, 내주 환형 수봉실(24A) 및 외주 환형 수봉실(24B)의 내측의 수봉실 공간부(24i)에, 감압에 의한 유동공기속도를 감소시키는 보조에어를 송풍하는 분기덕트(61A, 61B)를 설치하였다. 감압되는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에 공기가 유동하는 일이 있어도, 보조에어에 의하여 수봉장치에 있어서의 유동공기의 속도를 억제하여, 밀봉수의 파도치는 현상이나 비산을 방지하여, 트러블의 발생이나 밀봉성의 악화를 방지한다.
공기공급장치, 고온분립체 냉각설비

Description

공기공급장치 및 이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고온분립체 냉각설비{AIR FEEDER AND COOLING SYSTEM FOR HIGH-TEMPERATURE POWDER PARTICLES EQUIPPED WITH SAID AIR FEEDER}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고온분립체 냉각설비의 실시형태를 표시하는 전체 평면도이다.
도 2는 동일한 냉각설비의 중요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동일한 냉각설비의 광물공급부와 광물배출부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동일한 냉각설비의 광물공급부의 수봉장치를 표시하는 중요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동일한 냉각설비의 냉각부에 있어서의 수봉장치를 표시하는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동일한 수봉장치에 설치된 분기덕트를 표시하는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동일한 수봉장치에 설치된 입구측 분기덕트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동일한 수봉장치에 설치된 출구측 분기덕트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동일한 수봉장치에 설치된 보조에어공급관을 표시하는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동일한 수봉장치에 설치된 미끄럼접촉밀봉판을 표시하는 확대 횡단 면도이다.
도 11은 동일한 수봉장치에 설치된 칸막이 미끄럼접촉판의 배치를 표시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2는 동일한 수봉장치에 설치된 칸막이 미끄럼접촉판을 표시하는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동일한 칸막이 미끄럼접촉판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4는 동일한 칸막이 미끄럼접촉판의 확대 배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고온분립체 냉각설비의 다른 실시형태를 표시하는 중요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16은 동일한 냉각설비의 수봉장치를 표시하는 확대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이동경로 1 ‥‥‥‥‥반송체
7‥‥‥‥‥트로프 8‥‥‥‥‥광물공급부
9‥‥‥‥‥광물배출부 12‥‥‥‥‥공기상자
21‥‥‥‥‥가동측 환형 에어덕트
22a, 23a‥‥‥‥‥내측 플레이트
24A‥‥‥‥‥내주 환형 수봉실
24B‥‥‥‥‥외주 환형 수봉실
24i‥‥‥‥‥수봉실 공간부 28‥‥‥‥‥수봉장치
31‥‥‥‥‥고정측 환형 에어덕트 34A, 34B‥‥‥‥‥수봉밀봉판
44A, 44B‥‥‥‥‥‥‥‥미끄럼접촉밀봉판
45A, 45B‥‥‥‥‥‥‥‥보조에어공급관
61A, 61B‥‥‥‥‥‥‥‥분기덕트
71A, 71B‥‥‥‥‥‥‥‥칸막이 미끄럼접촉판
본 발명은, 원형상의 이동경로를 이동하는 반송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및 이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소결광물이나 펠릿, 고온클링커 등의 고온분립체를 반송체에 탑재하여 냉각하는 고온분립체 냉각설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소결광물 냉각설비는, 반송체인 트로프에 예를 들면 고온분립체인 소결광물이 공급되고, 이 트로프가 원형상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트로프의 아랫쪽방향에서 윗방향으로 냉각용 공기가 흘러 나와서, 소결광물을 냉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에 이 종류의 냉각장치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6-257955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즉, 이 냉각장치의 반송체는, 원형상 경로를 따르는 내주측과 외주측의 원형측벽 사이의 저부에, 상면에 소결광물이 얹어 놓여지는 복수개의 트로프가 원형으로 연결되고, 이 원형상 경로를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트로프 저부의 공기상자 내로 냉각용 공기를 공급하는 냉각공기공급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냉각공기공급장치는, 상기 원형상경로를 따라 내주측(또는 외주측)에 배치된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와, 상기 트로프의 공기상자에 중간 에어덕트를 통해서 접속된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와, 이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 및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를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서 접속하는 수봉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조에 의하여,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로부터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 중간덕트를 통하여 각 트로프의 공기상자에 각각 냉각용 공기가 공급된다.
이 수봉장치는,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측에 내주 환형 수봉실과 외주 환형 수봉실이 형성되고,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에 이들 내주 환형 수봉실내 및 외주 환형 수봉실내의 밀봉수에 하단부가 가라앉는 수봉밀봉판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공기상자 내 및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 내의 냉각공기압이 대기압+500㎜Aq도 있다. 이 때문에, 원형상 경로상에서 트로프의 저부가 개구되는 광물공급부와 트로프의 윗부분이 개구되는 광물배출부에서는 외부로 냉각공기가 누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수봉장치에 있어서, 주변냉각부의 환형 수봉실에서 광물공급부, 광물배출부의 환형 수봉실 내로 향해서 냉각공기가 격렬한 기세로 유입된다. 그렇게 되면, 이 공기흐름에 의하여 환형 수봉실 내에서 수면이 물결치고 물방울이 비산(飛散)되며, 이들 물방울이 광물공급부, 광물배출부의 벽면이나 트로프에 부착된다. 또한 이 물방울에 소결광물의 분진이 부착고화하여 성장한다. 이것에 의하여, 트러블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운전을 방해함과 아울러, 이 물방울이 혼합된 분진이 트로프 대차의 본체부와 가동저부와의 밀봉부에 부착됨으로써 냉각공기의 밀봉성이 저해되어서 누풍의 원인으로 되는 일이 있었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여, 수봉장치에 있어서 광물공급부나 광물배출부 등의 감압부를 향해서 공기가 유동하는 일이 있어도, 밀봉수의 파도치는 현상의 발생이나 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트러블이나 밀봉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공기공급장치 및 이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고온분립체 냉각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원형상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복수개의 반송체와, 이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어서 반송체에 중간에어덕트를 통해서 접속되는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와,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어서 상기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에 수봉장치를 통해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지는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를 구비한 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경로의 소정위치에 반송체내의 공기가 누출되는 감압부가 설치되고, 상기한 수봉장치는,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와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의 한쪽에 형성된 내주 환형 수봉실 및 외주 환형 수봉실과,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와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의 다른쪽에 설치되어서 이들 내주 환형 수봉실내 및 외주 환형 수봉실내의 밀봉수에 하단부가 잠기는 수봉밀봉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감압부에서 내주 환형 수봉실 및 외주 환형 수봉실의 내측 수봉실 공간부로, 감압에 의한 공기의 유동속도를 감속하는 보조에어를 송풍하는 보조에어송풍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감압부에서 반송체내의 냉각공기가 유출하여 공기압이 감압되어도, 보조에어송풍수단에서 보충공기가 내측 수봉실 공간부로 송풍되므로, 수봉실 공간부에서 감압부측으로 흐르는 유동공기의 속도가 감속되어, 수봉실의 밀봉수의 파도치는 현상을 억제하여 밀봉수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수의 비산에 의하여 진애(塵埃)의 부착을 원인으로 하여 발생되는 트러블이나 밀봉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원형상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복수개의 반송체와, 이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어서 반송체에 중간에어덕트를 통해서 접속되는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와,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어서 상기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에 수봉장치를 통해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지는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를 구비한 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의 소정위치에 반송체내의 공기가 누출되는 감압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봉장치는,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와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의 한쪽에 형성된 내주 환형 수봉실 및 외주 환형 수봉실과,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와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의 다른쪽에 설치되어서 이들 내주 환형 수봉실내 및 외주 환형 수봉실내의 밀봉수에 하단부가 잠기는 수봉밀봉판으로 구성되고, 수봉장치의 내주 환형 수봉실 및 외주 환형 수봉실내의 내측 수봉실 공간부에서, 고정측의 수봉밀봉판 또는 환형 수봉실 내면에 선단부가 가동측의 환형 수봉실 내면 또는 수봉밀봉판에 미끄럼접촉하는 미끄럼접촉밀봉판이 감압부에 걸쳐서 부착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미끄럼접촉밀봉판에 의하여, 감압부에서 내측의 수봉실 공간부로부터 반송체내를 향해서 유출되는 공기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수봉실 공간부에서 냉각부로부터 감압부측으로 흐르는 유동공기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고, 밀봉수의 파도치는 현상이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원형상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복수개의 반송체와, 이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어서 반송체에 중간에어덕트를 통해서 접속되는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와,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어서 상기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에 수봉장치를 통해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지는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를 구비한 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경로의 소정위치에 반송체내의 공기가 누출되는 감압부를 설치하고, 상기 수봉장치는,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와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의 한쪽에 형성된 내주 환형 수봉실 및 외주 환형 수봉실과,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와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의 다른쪽에 설치되어서 이들 내주 환형 수봉실내 및 외주 환형 수봉실내의 밀봉수에 하단부가 잠기는 수봉밀봉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감압부의 입구와 출구에서 내주 환형 수봉실 및 외주 환형 수봉실의 내측 수봉실 공간부에, 고정측의 수봉실의 내면에 부착되어서 선단부가 가동측의 수봉밀봉판에 미끄럼접촉하는 칸막이 미끄럼접촉판, 또는 고정측의 수봉밀봉판에 부착되어서 선단이 가동측의 수봉실의 내면에 미끄럼접촉하는 칸막이 미끄럼접촉판이 하단부를 밀봉수에 잠기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감압부의 입구와 출구에서, 칸막이 미끄럼접촉판에 의하여 내측 수봉실 공간부를 냉각부측과 감압부측을 분리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감압부에서 감압되어도 냉각부의 내측 수봉실 공간부로부터 감압부의 내측 수봉실 공간부로 공기가 흐르는 일이 없어지고, 따라서 공기흐름에 의한 밀봉수의 비산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청구범위 제6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고온분립체 냉각설비로서, 반송체는 내측 및 외측으로 배치된 원형측벽과, 이들 원형측벽의 저부에서 고온분립체를 탑재하는 복수개의 트로프로 구성되며, 반송체에 공급되는 공기는 트로프에 탑재된 고온분립체를 냉각하는 냉각공기이고, 감압부는 고온분립체를 트로프에 공급하는 광물공급부와, 트로프를 경사시켜서 고온분립체를 낙하배출하는 광물배출부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광물공급부 및 광물배출부에서 누출되는 냉각공기에 의하여, 내측 수봉실 공간부에서 유동공기에 의하여 발생하는 밀봉수의 파도치는 현상이나 비산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고성능의 고온분립체 냉각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고온분립체 냉각설비의 기본구성을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은 원형상의 이동경로(A)를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반송체이며, 고온분립체인 소결광물을 광물공급부(감압부)(8)에서 냉각부(C)를 통과하여 광물배출부(감압부)(9)로 이동시키는 동안에, 냉각공기에 의하여 소결광물의 냉각을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반송체(1)는, 이동경로(A)를 따라 부설된 좌우 한쌍의 안내레일(6A)에 안내차륜(5A)을 끼워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트로프(7)와, 연결들보(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서 트로프(7) 위에 배치되어 사이드레일(6B)로 안내되는 사이드차륜(5B)을 보유하는 내측 원형측벽(3) 및 외측 원형측벽(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표시하듯이, 각 트로프(7)는 각각 앞부분에서 원형측벽(3, 4)에 수평축중심 둘레 아랫쪽방향으로 경사가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고, 광물배출부(9)에서는 안내레일(6A)이 아랫쪽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안내차륜(5A)을 통해서 트로프(7)가 아랫쪽방향으로 경사되고, 탑재된 소결광물이 아랫쪽방향으로 배출된다.
상기 각 트로프(7)는, 앞부분 양측으로 안내차륜(5A)을 보유하는 트로프본체(11)와, 이 트로프본체(11)의 저부에 설치된 공기상자(12)로 구성된다. 또, 이 공기상자(12)의 상면에 다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된 통기판(13)이 배치되고, 또한 이 공기상자(12)에는 예컨대 내측 원형측벽(3)의 하부에 개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반송체(1)의 내측 원형측벽(3)에는, 도 4 및 도 5에 표시하듯이, 원형의 이동경로(A)를 따라 상면이 개구된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21)가 설치되고, 트로프(7)의 공기상자(12)와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21)가, 개구부(14)에 접속된 중간에어덕트(26)에 의하여 연이어 통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21)는, 내측 측벽부(22) 및 외측 측벽부(23)가 내측 플레이트(22a, 23a)와 외측 플레이트(22b, 23b)로 이루어지는 2중벽 구조로 형성되고, 이들 내측 플레이트(22a, 23a), 외측 플레이트(22b, 23b)에 의하여 상면이 개구된 내주 환형 수봉실(24A) 및 외주 환형 수봉실(2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21)의 내측 측벽부(22)와 외측 측벽부(23) 사이에 환형의 가동측 공기통로(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21)의 상부에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31)가 배치되고, 이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31)에 의하여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21)의 전체가 은폐되는 것과 동시에, 가동측 공기통로(25)에 연이어 통하는 환형의 고정측 공기통로(3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31)는, 뚜껑판부(40)와 양측 측벽부(32, 33)에 의하여 하면이 개방된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냉각부(C)의 뚜껑판부(40)에는 도 1 및 도 2에 표시하는 원호형상 에어헤더(39)로부터 복수의 중간에어덕트(38)(38o, 38i)가 접속되며, 냉각공기가 고정측 공기통로(30)에 공급되고 있다.
이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31)와 상기한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21)는 수봉장치(28)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고, 이 수봉장치(28)는, 상기 내주 환형 수봉실(24A) 및 외주 환형 수봉실(24B)과,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31)의 양측 측벽부(32, 33)에서 부착플랜지(35)를 통해서 양측의 환형 수봉실(24A, 24B)의 밀봉수에 하단이 잠기도록 늘어뜨려진 수봉밀봉판(34A, 34B)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부호(36A), (36B)는 각 수봉밀봉판(34A, 34B)의 상부 외측으로 환형 수봉실(24A, 24B)의 외측을 은폐하도록 돌출 설치된 커버플레이트이다.
또,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31)에는 중간에어덕트(38)의 접속부를 제외한 부위에 신축이음매(41)를 통해서 데드플레이트(dead plate)(42)가 부착되어 있고, 한편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21)측에서 내측 플레이트(22a)와 외측 플레이트(23a)의 상단부로, 상단이 데드플레이트(42)에 근접하는 래버린스 실(labyrinth seal) 판(43A, 43B)이 부착되고, 이 데드플레이트(42)와 래버린스 실 판(43A, 43B)에 의하여 래버린스 실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광물공급부(8) 및 광물배출부(9)에는 중간에어덕트(38)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
또, 이동경로(A)의 상부에는 내외 원형측벽(3, 4)의 상단부에 밀봉장치를 통해서 고정후드(51)가 배치되어 있다. 이 고정후드(51)는, 내외주 고정측판(51a, 51b)과, 내외주 고정측판(51a, 51b)을 상단부에서 연결하는 고정뚜껑판(51c)으로 이루어지고, 이 고정후드(51)의 소정위치에 배기덕트(52)가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이 이동경로(A) 도중의 광물공급부(8) 및 광물배출부(9)에서는, 트로프(7)의 공기상자(12)가 광물공급장치 및 광물배출장치를 통해서 대기에 연이어 통해진 개방상태로 되어 냉각공기가 유출된다. 이때, 환형 수봉실(24A, 24B)의 수봉밀봉판(34A, 34B)의 가동측 공기통로(25)측의 수봉실 상부공간(24i, 24i)에서,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밀봉수가 동반되어서 비산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밀봉수의 비산에 의한 트러블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기의 대책이 강구되어 있다.
① 감압부인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의 가동측 공기통로(25)측의 수봉실 상부공간(24i, 24i)으로 압축공기(보조에어)가 보충된다(도 6∼도 9).
② 광물배출부(9)로부터 광물공급부(8)에 걸쳐서 가동측 공기통로(25)측의 수봉실 상부공간(24i, 24i)의 밀봉수 상면을 은폐하는 미끄럼접촉밀봉판(44A, 44B)이 배치된다(도 10).
③ 적어도 광물배출부(9)의 입구 및 광물공급부(8)의 출구에 있어서, 가동측 공기통로(25)측의 수봉실 상부공간(24i, 24i)에서 하단이 밀봉수에 잠기는 칸막이 미끄럼접촉판(71A, 71B)이 설치되고, 이들 칸막이 미끄럼접촉판(71A, 71B)에 의하여 냉각부(C)와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가 구획된다(도 11∼도 14).
이들 밀봉수 비산방지수단①∼③ 중에서, 어느 것을 단독으로 설치해도 좋고, 또는 ①∼③ 중에서 2개를 조합해도 좋고, 또는 전부를 조합시킬 수도 있다.
우선 밀봉수 비산방지수단①에 대하여 도 6∼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냉각부(C) 출구단의 중간에어덕트(38o)에 입구측 분기덕트(보조에어공급수단)(61A)가 접속 분기되고, 입구측 분기덕트(61A) 선단부가 광물배출부(9) 입구의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31)의 뚜껑판부(40)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 입구측 분기덕트(61A)의 도중에 유량조절수단인 셔터플레이트식 댐퍼(게이트밸브)(62A)가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또한, 냉각부(C) 입구단의 중간에어덕트(38i)에 출구측 분기덕트(보조에어공급수단)(61B)가 접속분기되며, 출구측 분기덕트(61B)의 선단부가 광물공급부(8) 출구의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31)의 뚜껑판부(40)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 출구측 분기덕트(61B)에는 중간에 유량조절수단인 셔터플레이트식 댐퍼(게이트밸브)(62B)가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분기덕트(61A, 61B)에서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31)에 공급된 보조에어가, 신축이음매(41) 사이에서 데드플레이트(42)의 양 측부를 통과하여 내측의 수봉실 상부공간(24i, 24i)으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의 입구와 출구 에 분기덕트(61A, 61B)가 접속되어 있지만, 도 1에 가상선으로 표시하듯이, 광물배출부(9)와 광물공급부(8) 중간부에 보조에어공급덕트(62C)를 접속하여도 좋다. 또 보조에어로 중간에어덕트(38)의 냉각공기를 사용했지만, 보조에어펌프유닛(64)을 설치하여도 좋고, 또 도 1에 가상선으로 표시하듯이 보조에어공급수단을 에어공급덕트(62C)와 보조에어펌프유닛(64)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보조에어공급수단의 변형예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광물공급부(8) 및 광물배출부(9)에는, 냉각부(C)에서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 측으로 유동하는 유동공기를 완화하는 것으로서, 광물배출부(9)의 입구 및 광물공급부(8)의 출구에서 수봉실 상부공간(24i, 24i)으로 압축공기(보조에어)를 보충하는 보조에어공급관(45A, 45B)이 각각 설치되고, 이들 보조에어공급관(45A, 45B)에 유량조절수단인 유량조정밸브(46)가 끼워져 구성되어 있다. 이 보조에어공급관(45A, 45B)에는, 도면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냉각공기공급용과 동일한 에어펌프유닛, 또는 보조에어용의 별도의 에어펌프유닛으로부터 보조에어가 공급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보조에어공급관(45A, 45B)에서 보충되는 보조에어에 의하여, 수봉실 상부공간(24i, 24i)에서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속도를 대폭으로 완화할 수 있고, 밀봉수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밀봉수 비산방지수단②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광물배출부(9)와 광물공급부(8)는 그 전후부분에 걸쳐서, 가동측 공기통로(25)측의 수봉실 상부공간(24i, 24i) 상부에는 고정측의 수봉밀봉판(34A, 34B)에 각각 미끄럼접촉밀봉판(44A, 44B)이 부착되어 있고, 수봉밀봉판(34A, 34B) 의 선단부가 내측 플레이트(22a, 23a)의 내면에 각각 미끄럼접촉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광물배출부(9)와 광물공급부(8)에 있어서 래버린스 실 판(43A, 43B)의 밀봉효과를 증강하고, 가동측 공기통로(25)와 수봉실 상부공간(24i, 24i)과의 밀봉성이 향상되고, 또한 수봉실 상부공간(24i, 24i)에서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속도를 대폭으로 억제하여 밀봉수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밀봉수 비산방지수단③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에 표시하듯이, 광물배출부(9)의 입구와 광물공급부(8)의 출구에는, 내주 환형 수봉실(24A) 및 외주 환형 수봉실(24B)의 내측 수봉실 공간부(24i, 24i)에서 각각 고정측의 수봉밀봉판(34A, 34B)에 칸막이 미끄럼접촉판(71A, 71B)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들 칸막이 미끄럼접촉판(71A, 71B)은, 칸막이 미끄럼접촉판(71A, 71B)의 선단부가 수봉실(24A, 24B)의 내측 플레이트(22a, 23a)의 내면에 미끄럼접촉되고, 하부가 각각 밀봉수에 잠겨있다.
이 칸막이 미끄럼접촉판(71A, 71B)은, 도 13 및 도 14에 표시하듯이 수봉밀봉판(34A, 34B)의 표면에 부착된 부착부재(72)와, 이 부착부재(72)에 의하여 수봉실(24A, 24B)의 선회방향 하류측으로 경사하여 부착된 미끄럼접촉판 본체(73)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미끄럼접촉판 본체(73)는, 표면의 러버판(73a)과, 러버판의 배면에 부착된 빗톱니모양의 스프링판(73b)으로 구성되고, 수봉밀봉판(34A, 34B)과 내측 플레이트(22a, 23a) 내면의 간격(내측 수봉실의 폭)의 변동에 순조롭게 추종함과 아울러 밀봉성이 향상되어 있다.
이 칸막이 미끄럼접촉판(71A, 71B)에 의하여, 수봉실(24A, 24B)의 내측 수봉실 공간부(24i, 24i)가 냉각부(C)측과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측으로 분리됨으로써, 감압되는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측이 저압으로 되어도, 내측 수봉실 공간부(24i, 24i)내에서 냉각부(C)측으로부터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측으로 공기가 이동되는 일이 없어지고, 유동공기에 의하여 밀봉수가 비산되는 일이 없다.
상기 수봉실(24A, 24B)의 밀봉수 비산방지수단 ①∼③은, 단독으로 설치해도 좋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3개중에서 2개를 조합해도 좋고, 또는 3개를 조합해도 좋다. 이와 같은 조합에 있어서, 밀봉수 비산방지수단①의 분기덕트(61A, 61B)와, 밀봉수 비산방지수단②의 미끄럼접촉밀봉판(44A, 44B)을 조합시킨 경우는,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에 대응하는 수봉실 상부공간(24i, 24i)을 은폐하고 있으므로,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에 분기덕트(61A, 61B)를 개구하여 보조에어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보조에어공급관(45A, 45B)의 경우 미끄럼접촉밀봉판(44A, 44B)보다 상부로 개구시킬 필요가 있다. 밀봉수 비산방지수단①의 분기덕트(61A, 61B)와 밀봉수 비산방지수단③의 칸막이 미끄럼접촉판(71A, 71B)을 조합시킨 경우, 칸막이 미끄럼접촉판(71A, 71B)으로부터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측으로 분기덕트(61A, 61B)를 접속하여 보조에어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밀봉수 비산방지수단②의 미끄럼접촉밀봉판(44A, 44B)과 밀봉수 비산방지수단③의 칸막이 미끄럼접촉판(71A, 71B)을 조합시킨 경우, 칸막이 미끄럼접촉판(71A, 71B)의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측으로 미끄럼접촉밀봉판(44A, 44B)을 설치한다. 밀봉수 비산방지수단 ①∼③을 전부 조합시킨 경우에도,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이 소결광물 냉각설비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경로(A) 중에서 냉각부(C)에 있어서는, 중간에어덕트(38)로부터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31)의 고정측 공기통로(30)내로 공급된 냉각공기가, 수봉장치(28)를 보유하는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21)로부터 중간에어덕트(26)를 통해서 각 트로프(7)의 공기상자(12)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통기판(13)을 통해서 트로프(7)상의 소결광물을 냉각하여 윗방향의 고정후드(51)로부터 배출된다.
또, 트로프(7)가 광물배출부(9)로부터 광물공급부(8)로 이동되면, 광물배출장치 및 광물공급장치를 통해서 대기측으로 냉각공기가 누출되고, 냉각부(C)로부터 냉각공기가 광물배출부(9) 및 광물공급부(8)측으로 흐른다. 이때, 수봉장치(28)에서는, 밀봉수 비산방지수단①∼③ 중에서 어느 것,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상기 내외주 환형 수봉실(24A, 24B)의 내측 상부공간(24i, 24i)에서 유동공기에 의한 밀봉수의 파도치는 현상이 방지되어서 밀봉수가 비산하지 않으므로, 물방울에 의한 진애의 부착으로 인한 트러블이 미연에 방지된다.
즉, 밀봉수 비산방지수단①에 의하면, 분기덕트(61A, 61B) 또는 보조에어공급관(45A, 45B)으로부터 상기 내외주 환형 수봉실(24A, 24B)의 내측 상부공간(24i, 24i)으로 고압의 보충공기가 공급됨으로써, 내측 상부공간(24i, 24i)에 있어서의 냉각부(C)측과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측과의 압력차가 작아져서 유동공기의 속도가 느려지고, 유동공기에 의한 밀봉수의 파도치는 현상과 밀봉수의 비산이 방지된다.
또 밀봉수 비산방지수단②에서는, 내외주 환형 수봉실(24A, 24B)의 내측 상부공간(24i, 24i)에 배치된 미끄럼접촉밀봉판(44A, 44B)에 의하여, 내측 상부공간(24i, 24i)으로부터 가동측 통기로(25)로의 공기의 유입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밀봉수의 파도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밀봉수의 비산으로 인하여 진애가 부착되어서 생기는 고장이나 밀봉불량이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밀봉수 비산방지수단③에서는 내외주 환형 수봉실(24A, 24B)의 내측 상부공간(24i, 24i)의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의 입구와 출구에 배치된 미끄럼접촉밀봉판(44A, 44B)에 의하여, 내측 수봉실 공간부(24i, 24i)가 냉각부(C)측과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측으로 구획분리됨으로써,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측이 저압으로 되어도, 내측 상부공간(24i, 24i)에 있어서 냉각부(C)측으로부터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측을 향해서 공기가 이동되는 일이 없고, 유동공기에 의한 밀봉수의 비산이 방지된다.
도 15 및 도 16은 다른 실시형태를 표시한다.
이전의 실시형태에서는, 중간에어덕트(38)에 의하여 윗쪽방향에서 냉각공기를 공급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랫쪽방향에서 냉각공기를 공급한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31)에 수봉장치(28)의 수봉실(24A, 24B)이 설치되고, 트로프(7)측의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21)에 수봉밀봉판(34A, 34B)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수봉장치(28)에서는 이전의 실시형태의 고정측과 가동측의 부재배치가 역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그 외는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때에 감압부인 광물공급부(8), 광물배출부(9)와 그 전후에 걸쳐서 배치된 미끄럼접촉밀봉판(44A, 44B)은, 내측 플레이트(22a, 23a)에 부착되어서 수봉밀봉판(34A, 34B)에 미끄럼접촉하도록 설치된다. 또 보조에어공급관(45A, 45B)이 배치되는 경우도, 공급측 공기통로(30)에서 내측 플레이트(22a, 23a)를 관통하여 내외주 환형 수봉실(24A, 24B)의 내측 상부공간(24i, 24i)으로 고압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칸막이 미끄럼접촉판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봉실(24A, 24B)의 내측 수봉실 공간부(24i, 24i)에서 각각 고정측의 수봉실(24A, 24B)의 내측 플레이트(22a, 23a)에 칸막이 미끄럼접촉판(71A, 71B)이 부착되고, 그 선단부가 가동측의 수봉밀봉판(34A, 34B)에 미끄럼접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이전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 및 이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고온분립체 냉각설비는, 수봉실과 수봉밀봉판을 보유하는 수봉장치를 통해서 가동덕트와 고정덕트가 이동이 자유롭게 접속되고, 이 이동경로에 감압부를 보유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Claims (6)

  1. 원형상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복수개의 반송체와, 이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어서 반송체에 중간에어덕트를 통해서 접속되는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와,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어서 상기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에 수봉장치를 통해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지는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를 구비한 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의 소정위치에 반송체내의 공기가 누출되는 감압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봉장치는,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와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의 한쪽에 형성된 내주 환형 수봉실 및 외주 환형 수봉실과,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와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의 다른쪽에 설치되어서 이들 내주 환형 수봉실내 및 외주 환형 수봉실 내의 밀봉수에 하단부가 잠기는 수봉밀봉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감압부에서, 내주 환형 수봉실 및 외주 환형 수봉실의 내측 수봉실 공간부에, 감압에 의한 공기의 유동속도를 감속하는 보조에어를 송풍하는 보조에어송풍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공급장치.
  2. 원형상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복수개의 반송체와, 이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어서 반송체에 중간에어덕트를 통해서 접속되는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와,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어서 상기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에 수봉장치를 통해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지는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를 구비한 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의 소정위치에 반송체내의 공기가 누출되는 감압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봉장치는,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와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의 한쪽에 형성된 내주 환형 수봉실 및 외주 환형 수봉실과,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와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의 다른쪽에 설치되어서 이들 내주 환형 수봉실내 및 외주 환형 수봉실내의 밀봉수에 하단부가 잠기는 수봉밀봉판으로 구성되고,
    수봉장치의 내주 환형 수봉실 및 외주 환형 수봉실내의 내측 수봉실 공간부에서, 고정측의 수봉밀봉판 또는 환형 수봉실 내면에, 선단부가 가동측의 환형 수봉실 내면 또는 수봉밀봉판에 미끄럼접촉하는 미끄럼접촉밀봉판이 감압부에 걸쳐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공급장치.
  3. 원형상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복수개의 반송체와, 이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어서 반송체에 중간에어덕트를 통해서 접속되는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와,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어서 상기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에 수봉장치를 통해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지는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를 구비한 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의 소정위치에 반송체내의 공기가 누출되는 감압부를 설치하고,
    상기 수봉장치는,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와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의 한쪽에 형성된 내주 환형 수봉실 및 외주 환형 수봉실과, 가동측 환형 에어덕트와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의 다른쪽에 설치되어서 이들 내주 환형 수봉실내 및 외주 환형 수봉실내의 밀봉수에 하단부가 잠기는 수봉밀봉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감압부의 입구와 출구에서 내주 환형 수봉실 및 외주 환형 수봉실의 내측 수봉실 공간부에, 고정측의 수봉실의 내면에 부착되어서 선단부가 가동측의 수봉밀봉판에 미끄럼접촉하는 칸막이 미끄럼접촉판, 또는 고정측의 수봉밀봉판에 부착되어서 선단이 가동측의 수봉실의 내면에 미끄럼접촉하는 칸막이 미끄럼접촉판이 하단부를 밀봉수에 잠기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보조에어공급수단은, 고정측 환형 에어덕트에 냉각공기를 공급하는 중간에어덕트로부터 분기된 분기덕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보조에어공급수단은, 보조에어펌프유닛과 이것에 접속된 보조에어공급덕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공급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고온분립체냉각설비로서,
    반송체는 내측 및 외측으로 배치된 원형측벽과, 이들 원형측벽의 저부에서 고온분립체를 탑재하는 복수의 트로프로 구성되고,
    반송체에 공급되는 공기는 트로프에 탑재된 고온분립체를 냉각하는 냉각공기이고,
    감압부는 고온분립체를 트로프에 공급하는 광물공급부와, 트로프를 경사시켜서 고온분립체를 낙하배출하는 광물배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고온분립체 냉각설비.
KR1019990034070A 1999-02-22 1999-08-18 공기공급장치 및 이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고온분립체 냉각설비 KR100600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42451 1999-02-22
JP4245199 1999-02-22
JP11210019A JP2000310489A (ja) 1999-02-22 1999-07-26 空気供給装置およびこの空気供給装置を備えた高温粉粒体冷却設備
JP99-210019 1999-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967A KR20000056967A (ko) 2000-09-15
KR100600505B1 true KR100600505B1 (ko) 2006-07-13

Family

ID=26382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070A KR100600505B1 (ko) 1999-02-22 1999-08-18 공기공급장치 및 이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고온분립체 냉각설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0310489A (ko)
KR (1) KR100600505B1 (ko)
TW (1) TW4293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73005C (zh) * 2007-09-03 2009-12-23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环冷机的风道水密封镇波装置
CN101118122B (zh) * 2007-09-03 2010-04-14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环冷机的防堵料风道密封板
JP5319964B2 (ja) * 2008-06-09 2013-10-16 スチールプランテック株式会社 空気供給装置およびこの空気供給装置を備えた高温粉粒体冷却設備
CN101387476B (zh) * 2008-11-03 2010-08-11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环形风道端部密封体
CN101504254B (zh) * 2009-03-19 2012-02-29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环冷机
CN101865605B (zh) * 2010-07-07 2011-12-07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环冷机及其环形风道密封隔离装置
CN102374790B (zh) * 2010-08-23 2013-06-19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环形风道隔离装置
CN101979948B (zh) * 2010-12-01 2012-03-28 中冶北方工程技术有限公司 鼓风环冷机风道密封装置
CN103047868B (zh) * 2013-01-14 2015-05-13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环冷机及其液槽清淤装置
CN103062413B (zh) * 2013-01-23 2015-05-13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环冷机及其非冷却区液密封装置
CN104457257B (zh) * 2014-11-27 2016-06-01 攀钢集团攀枝花钢钒有限公司 烧结机台车底部两侧密封结构
CN104482769B (zh) * 2014-12-02 2016-08-24 北京京诚科林环保科技有限公司 环冷机下密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29302B (en) 2001-04-11
JP2000310489A (ja) 2000-11-07
KR20000056967A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612B1 (ko) 공기 공급 장치 및 이 공기 공급 장치를 구비한 고온 분립체 냉각 설비
KR100600505B1 (ko) 공기공급장치 및 이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고온분립체 냉각설비
US5148687A (en) Cooling apparatus for bulk material
CN101272868A (zh) 用于分离喷涂湿漆的装置和方法
JP2922077B2 (ja) 高温粉粒体の冷却装置
CA1084264A (en) Pressure equalizing valves
US7651329B2 (en) Exhaust gas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10523353U (zh) 一种除尘装置及环保型排料装置
JP2003090459A (ja) パージ機構を有する弁
JP4199418B2 (ja) 高炉の充填装置を冷却するための方法
KR101523654B1 (ko) 개폐 장치
US3566908A (en) Gastight, liquid sealed, swing-type valve assembly
JPH087357Y2 (ja) 高温粉粒体の冷却装置
CN207080619U (zh) 一种免维护全密封切断盖板阀
US4796665A (en) Multi-purpose draining valve
JPH087358Y2 (ja) 高温粉粒体の冷却装置
US3695466A (en) Charging apparatus for the furnace
CN101886880B (zh) 一种隔断组件
CN219264350U (zh) 一种具有滑道气密封装置的烟道闸门
CN101886879B (zh) 一种环形风道隔断
KR200181272Y1 (ko) 노정 하부 실밸브 메탈시트 이물 고착방지장치
CN210885936U (zh) 干熄焦一次除尘厢式焦粉冷却装置
JPH087359Y2 (ja) 冷却機における水封装置
SU1696724A1 (ru) Способ проветривани тупиковой выработки
KR200272218Y1 (ko) 고로 상부의 밀폐용 밸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